금곡역 (남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곡역은 경춘선에 있는 전철역으로, 1939년 7월 20일 금곡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후 1958년에 새로운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1993년 현재의 금곡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금곡초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금곡중학교, 남양주시청 제1청사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춘선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경춘선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금곡역 (남양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로19번길 47 (금곡동 404-276)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춘선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역 번호 | P127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1939년 7월 20일 |
이용객 수 (2018년) | 2,999명 (승강객 기준)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망우 기점 14.6km |
이전 역 | P126 사릉 |
이전 역 간 거리 | 3.6km |
다음 역 | P128 평내호평 |
다음 역 간 거리 | 4.0km |
한국어 정보 | |
한글 표기 | 금곡역 |
한자 표기 | 金谷驛 |
로마자 표기 | Geumgongnyeok |
2. 역사
1939년 7월 20일 경춘선 개통과 함께 '''금곡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2] 당시 역사는 수원역, 전주역과 마찬가지로 기와와 단청이 있는 조선식 건물이었으나,[3] 6.25 전쟁으로 소실되었다. 1958년 10월 25일 역사가 다시 완공되었고, 1976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1993년 '''금곡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을 위해 역사를 새로 지으면서 기존 역사는 철거되지 않고 2013년 11월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소속 성시교회가 되었다.[6][7]
2. 1. 금곡리역 (1939년~1993년)
1939년 7월 20일, 경춘선 개통과 함께 산67-6에서 '''금곡리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2] 당시 역사는 수원역, 전주역과 마찬가지로 기와가 올라가고 단청이 칠해진 조선식 건물이었다.[3]- -|]]
이 역사는 광복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나, 6.25 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금곡역은 폐역으로 남아있다가 1958년 10월 25일에 새로운 역사가 완공되었다. 1976년에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남양주군 미금읍이 미금시로 분리될 때 금곡리도 금곡동으로 바뀌면서, 1993년에는 역 이름이 금곡리역에서 '리'를 뗀 '''금곡역'''으로 변경되었다.[5]
2. 2. 금곡역 (1993년~현재)
1993년 금곡리역에서 '리'를 뗀 '''금곡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을 위해 역사를 새로 지었다. 이때 기존 역사는 철거되지 않고 남아있다가 2013년 11월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소속 성시교회가 문을 열었다.[6][7]
2. 3. 연혁
- 1939년 7월 20일: 현 금곡동 산67-6에서 '''금곡리역'''(金谷里驛)으로 영업 개시[2]
-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 소실
- 1958년 10월 25일: 역사 완공
- 1976년 7월 10일: 화물 취급 중지[4]
- 1993년 7월 1일: '''금곡역'''으로 역명 변경[5]
- 2010년 7월 22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이전까지 여객 취급 중단
-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성북 기점 16.3 km에서 망우 기점 14.6 km로 변경.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8], 현 위치로 역사 이전,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어 여객 취급 재개
- 2013년 11월: 구 역사가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소속의 성시교회가 됨[6][7]
- -|]]
3. 역 구조
금곡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wikitext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이용객 변동
경춘선한국어 금곡역의 연도별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춘선 | 승차 | 1,007 | 973 | 1,166 | 1,307 | 1,386 | 1,455 | 1,496 | 1,538 | 1,528 | 1,662 | 1,224 | 1,294 | 1,390 | 1,464 | [9] |
하차 | 952 | 888 | 1,119 | 1,236 | 1,339 | 1,414 | 1,453 | 1,484 | 1,471 | 1,547 | 1,164 | 1,246 | 1,341 | 1,411 |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의 자료만 반영된 것이다.
5. 역 주변
6. 인접한 역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