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루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루왕은 백제의 제6대 왕으로, 기루왕의 아들이다. 그는 공손하고 질서 정연한 성품을 지녔다고 전해진다. 128년 기루왕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 132년 북한산성을 축조하여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했다. 165년 신라 아찬 길선을 받아들인 일로 신라와 갈등을 겪었으며, 결국 166년 재위 39년 만에 사망했다. 개루왕 사후 백제와 신라는 적대 관계로 돌입했다. 그의 치세 동안 신라와의 외교 관계는 불안정했으며, 왕위 계승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년 사망 - 마융
    마융은 후한 시대의 '통유'라 불린 학자이자 관료로, 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폭넓은 지식, 그리고 노식과 정현을 비롯한 제자 양성을 통해 후대 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수의 경전에 주석을 남겼다.
  • 166년 사망 - 도상 (후한)
    도상은 후한 말기 환관의 추천으로 관직에 올라 치적을 쌓고 형주자사로서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권력에 아부하고 부정부패를 저질렀다는 비판도 있는 관료이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백제 국왕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백제 국왕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개루왕
기본 정보
왕 정보
대관식개루왕
별명없다
출생일?
출생지?
사망일166년
사망지?
재위128년 ~ 166년
매장지없다
자녀초고왕
부왕다루왕
모후?
왕비?
전임자기루왕
후임자초고왕
묘호없다
시호없다
종교없다
가문부여씨
왕조백제
연호없다
호칭어라하
목록제4대 백제 국왕
백제 군주
백제 군주 목록온조 18 BCE–28 CE
다루 28–77
기루 77–128
개루 128–166
초고 166–214
구수 214–234
사반 234
고이 234–286
책계 286–298
분서 298–304
비류 304–344
344–346
근초고 346–375
근구수 375–384
침류 384–385
진사 385–392
아신 392–405
전지 405–420
구이신 420–427
비유 427–455
개로 455–475
문주 475–477
삼근 477–479
동성 479–501
무령 501–523
523–554
위덕 554–598
혜 598–599
599–600
600–641
의자 641–660

2. 생애

개루왕은 기루왕의 아들로 태어났다.[1] 『삼국사기』에는 "성품이 공손하고 행실이 질서 정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

128년, 아버지 기루왕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2] 132년 봄 2월,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다.[2] 이 요새는 고구려의 침입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훗날 초고가 북쪽 원정을 감행하는 근거지가 되었다.

137년 가을 8월, 화성이 남두성에 들어왔다.[2] 145년 봄 1월 말일에는 일식이 있었다.[2]

165년 신라아찬 길선(吉宣)이 반란을 일으켜 백제로 망명했다.[2] 개루왕은 아달라왕의 송환 요청에도 불구하고 길선을 받아들였다.[2] 이에 신라가 백제를 공격하여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대규모 전쟁이 벌어졌다.[2]삼국사기》에는 김부식이 "개루왕이 나라를 배신할 지도 모르는 길선을 데리고 왔으니 왕이 매우 어리석다."라고 비난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

165년 10월, 신라의 아찬 길선(吉宣)이 반란을 기도했다 실패하고 백제로 망명해 오자, 아달라니사금은 길선의 송환을 요구했으나 개루왕은 이를 거절하였다. 이로 인해 신라와의 우호 관계가 깨지고 신라군의 파병을 불렀으나, 백제의 여러 성이 고성전을 택해 신라군은 철수했다. 166년, 개루왕은 재위 39년 만에 사망하였고, 이후 백제와 신라는 적대 관계로 들어섰다.

2. 1. 즉위 전

개루왕은 기루왕의 아들로 태어났다.[1] 『삼국사기』에는 "성품이 공손하고 행실이 질서 정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

2. 2. 재위 기간

128년, 아버지 기루왕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2] 132년 봄 2월,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다.[2] 이 요새는 고구려의 침입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훗날 초고가 북쪽 원정을 감행하는 근거지가 되었다.

137년 가을 8월, 화성이 남두성에 들어왔다.[2] 145년 봄 1월 말일에는 일식이 있었다.[2]

165년 신라아찬 길선(吉宣)이 반란을 일으켜 백제로 망명했다.[2] 개루왕은 아달라왕의 송환 요청에도 불구하고 길선을 받아들였다.[2] 이에 신라가 백제를 공격하여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대규모 전쟁이 벌어졌다.[2]삼국사기》에는 김부식이 "개루왕이 나라를 배신할 지도 모르는 길선을 데리고 왔으니 왕이 매우 어리석다."라고 비난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

2. 3. 사망

165년 10월, 신라의 아찬 길선(吉宣)이 반란을 기도했다 실패하고 백제로 망명해 오자, 아달라니사금은 길선의 송환을 요구했으나 개루왕은 이를 거절하였다. 이로 인해 신라와의 우호 관계가 깨지고 신라군의 파병을 불렀으나, 백제의 여러 성이 고성전을 택해 신라군은 철수했다. 166년, 개루왕은 재위 39년 만에 사망하였고, 이후 백제와 신라는 적대 관계로 들어섰다.

3. 외교 관계

3. 1. 신라와의 관계

개루왕 재위 초기에는 신라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다.[2] 132년 2월, 북한산성(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을 축조했다.[2]

그러나 165년, 신라의 아찬 길선(吉宣)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백제로 망명해 오자, 아달라의 송환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를 받아들였다.[2] 이로 인해 신라와의 우호 관계가 깨지고, 신라군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2] 백제는 고성전을 택하여 신라군을 물리쳤다.[2]

4. 왕위 계승 논란

삼국사기에는 개루왕의 장남 초고와 차남 고이가 모두 왕위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은 두 왕족 간의 권력 투쟁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21대 왕 개로왕(근구루라고도 알려짐)은 자신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개루왕의 이름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5. 가계

다루는 개루왕의 조부이고, 기루는 개루왕의 부왕이다.[3] 왕비는 미상이다. 개루왕에게는 초고, 고이, 우수(優壽) 등의 아들이 있었다.[3] 이 중 초고왕은 개루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고이왕은 초고왕 사후 한참 뒤인 234년에 왕위에 올랐다.[3] 고이왕에 대해서는 다른 설도 존재한다.[3] 우수는 260년 내신좌평에 임명되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다. 개루왕의 동생으로는 이 있었다.

6. 현대적 평가

개루왕의 외교 정책은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특히 신라길선 망명을 허용한 것은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백제 초기 왕실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논란은 당시 왕실의 불안정한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삼국사기』에는 개루왕의 장남이 초고왕이 되고 차남이 고이왕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은 두 왕족 간의 권력 투쟁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제21대 왕 개로왕(근개루라고도 알려짐)은 자신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개루왕의 이름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2] 서적 A History of the Early Korean Kingdom 2007
[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