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규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규는 NC 다이노스 소속의 야구 선수이다. 2018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2019년 데뷔 첫 승과 완봉승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KBO리그 왼손투수 최다 홀드를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 MVP로 선정되었고, 2024년에는 KBO리그 역대 35번째 3시즌 연속 10홀드를 달성했다. 또한,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과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고우석 (1998년)
LG 트윈스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최다 세이브 타이틀을 획득하고 국가대표로 아시안 게임 우승에 기여한 우완 정통파 투수 고우석은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으나 부진을 겪었다.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양일환
양일환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사이드암 투수로 7시즌 동안 활동하며 31승을 기록했고,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투수 코치와 2군 감독 대행을 거쳐 현재는 KIA 타이거즈에서 지도자로 활동 중인 프로야구 선수 출신이다. - 무등중학교 동문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무등중학교 동문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김영규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김영규 |
원어명 | 해당 정보 없음 |
소속 구단 | NC 다이노스 |
등번호 | 17 |
로마자 표기 | Gim Yeonggyu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담양군 |
사망일 | 해당 정보 없음 |
신장 | 188 |
체중 | 86 |
수비 위치 | 투수 |
투구 | 좌 |
타석 | 좌 |
프로 입단 연도 | 2018년 |
드래프트 순위 | 2018년 2차 8라운드(NC 다이노스) |
첫 출장 | KBO / 2019년 3월 27일 창원 대 kt전 선발 |
마지막 경기 | 해당 정보 없음 |
획득 타이틀 | 해당 정보 없음 |
계약금 | 4,000만원 |
연봉 | 2억 2,500만원(2024년) |
경력 | NC 다이노스 (2018년~현재)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국가대표 경력 | |
아시안 게임 | 2022년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23년 |
메달 정보 | |
메달 내역 | 의 선수 |
스포츠 | 남자 야구 |
대회 | 아시안 게임 |
메달 | 2022 항저우 단체전 금메달 |
2. 프로 선수 경력
2018년에 2차 8라운드로 지명을 받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였다.
=== 2019년 시즌 ===
3월 27일 kt 위즈전에 선발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6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 9월 2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해 데뷔 첫 완봉승을 거뒀다.[1]
=== 2020년 시즌 ===
2020년 시즌 20경기에 출장해 67 2/3이닝 2승 2패 1홀드 평균자책점 5.45로 부진했다.
시즌 초 선발 투수로 등판했으나 5월에 1패 평균자책점 5.50으로 부진했고, 5월 29일에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6월부터는 불펜 투수로 주로 등판했고, 9월부터 다시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선발 투수로 총 13회 등판했다.
=== 2021년 시즌 ===
2021년 시즌 초에는 선발로 주로 등판했으나, 후반기에는 불펜으로 보직을 변경해 필승조로 활약했다. 5월 20일 LG 트윈스전에서는 8이닝 5피안타 1실점으로 시즌 3승을 기록했다.[2] 시즌 37경기에 등판해 63.2이닝 5점대 평균자책점, 5승 3패, 6홀드, 42탈삼진을 기록했다.
=== 2022년 시즌 ===
5월 15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3] 7월 9경기에 등판해 8.2이닝 2실점(1자책), 1승, 1홀드, 평균자책점 1.04를 기록하며 7월 구단 MVP로 선정됐다.[4] 시즌 72경기에 등판해 66이닝 3점대 평균자책점, 2승 7패, 1세이브, 13홀드, 46탈삼진을 기록했다. 데뷔 첫 두 자릿수 홀드를 기록했다.
=== 2023년 시즌 ===
2023년 시즌 좌완 필승조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2023년 시즌 63경기에 출장해 61 2/3이닝 2승 4패 24홀드 48탈삼진 평균자책점 3.06을 기록했다. 2023년 KBO리그 왼손투수 중 최다 홀드를 기록했으며, 이는 리그 전체를 통틀어서도 손꼽히는 뛰어난 성적이었다.
시즌 종료 후 2억 2500만원에 연봉 협상을 마무리하며 그의 활약을 인정받았다.
두산 베어스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1이닝 등판해 3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1 | 0 | 0 | 1 | 0 | 0 | 0 | 1 | 0 | 0 | 3 | 0 | 1 | 0 | 0 |
SSG 랜더스와의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에 출장해 3 2/3이닝 1승 2홀드를 기록했다. 이러한 맹활약으로 준플레이오프 MVP에 선정됐다.[5]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3 | 0 | 0 | 1 | 0 | 0 | 2 | 3 2/3 | 1 | 0 | 2 | 0 | 1 | 0 | 0 |
kt 위즈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 출장해 2 1/3이닝 등판 1패, 평균자책점 7.71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7.71 | 3 | 0 | 0 | 0 | 1 | 0 | 0 | 2 1/3 | 4 | 1 | 1 | 0 | 2 | 2 | 0 |
=== 2024년 시즌 ===
스프링캠프에서 왼쪽 팔꿈치에 불편함을 느껴 조기 귀국했으나, 검진 결과 단순 염좌로 판정받았다.[6] 4월 13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1군에 복귀, 7회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시즌 첫 승을 따냈다. 6월 21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는 8회말 2/3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10홀드를 기록, KBO리그 역대 35번째 3시즌 연속 10홀드를 달성했다. 6월 한 달간 14경기 18⅓이닝 2승 5홀드 1세이브 19탈삼진 4실점(4자책) 평균자책점 1.96으로 구단 6월 투수 MVP에 선정되었다.[7] 전반기에는 36경기 38⅓이닝 4승 1패 1세이브 12홀드 40탈삼진 평균자책점 3.05를 기록했다.
7월 25일 광주 KIA 타이거즈전 이후 왼쪽 어깨 회전근개 부상으로 휴식을 취했다. 8월 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패전 후, 8월 2일 kt 위즈전을 마지막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다. 후반기 6경기 7⅓이닝 1패 2홀드 8탈삼진 평균자책점 3.68을 기록했다.
2024년 시즌 최종 기록은 42경기 45⅔이닝 4승 2패 1세이브 14홀드 48탈삼진 평균자책점 3.15이다.
2. 1. 2019년 시즌
3월 27일 kt 위즈전에 선발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6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 9월 2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해 데뷔 첫 완봉승을 거뒀다.[1]2. 2. 2020년 시즌
2020년 시즌 20경기에 출장해 67 2/3이닝 2승 2패 1홀드 평균자책점 5.45로 부진했다.시즌 초 선발 투수로 등판했으나 5월에 1패 평균자책점 5.50으로 부진했고, 5월 29일에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6월부터는 불펜 투수로 주로 등판했고, 9월부터 다시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선발 투수로 총 13회 등판했다.
2. 3. 2021년 시즌
2021년 시즌 초에는 선발로 주로 등판했으나, 후반기에는 불펜으로 보직을 변경해 필승조로 활약했다. 5월 20일 LG 트윈스전에서는 8이닝 5피안타 1실점으로 시즌 3승을 기록했다.[2] 시즌 37경기에 등판해 63.2이닝 5점대 평균자책점, 5승 3패, 6홀드, 42탈삼진을 기록했다.2. 4. 2022년 시즌
5월 15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3] 7월 9경기에 등판해 8.2이닝 2실점(1자책), 1승, 1홀드, 평균자책점 1.04를 기록하며 7월 구단 MVP로 선정됐다.[4] 시즌 72경기에 등판해 66이닝 3점대 평균자책점, 2승 7패, 1세이브, 13홀드, 46탈삼진을 기록했다. 데뷔 첫 두 자릿수 홀드를 기록했다.2. 5. 2023년 시즌
2023년 시즌 좌완 필승조 셋업맨으로 활약했다.2023년 시즌 63경기에 출장해 61 2/3이닝 2승 4패 24홀드 48탈삼진 평균자책점 3.06을 기록했다. 2023년 KBO리그 왼손투수 중 최다 홀드를 기록했으며, 이는 리그 전체를 통틀어서도 손꼽히는 뛰어난 성적이었다.
시즌 종료 후 2억 2500만원에 연봉 협상을 마무리하며 그의 활약을 인정받았다.
두산 베어스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1이닝 등판해 3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1 | 0 | 0 | 1 | 0 | 0 | 0 | 1 | 0 | 0 | 3 | 0 | 1 | 0 | 0 |
SSG 랜더스와의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에 출장해 3 2/3이닝 1승 2홀드를 기록했다. 이러한 맹활약으로 준플레이오프 MVP에 선정됐다.[5]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3 | 0 | 0 | 1 | 0 | 0 | 2 | 3 2/3 | 1 | 0 | 2 | 0 | 1 | 0 | 0 |
kt 위즈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 출장해 2 1/3이닝 등판 1패, 평균자책점 7.71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7.71 | 3 | 0 | 0 | 0 | 1 | 0 | 0 | 2 1/3 | 4 | 1 | 1 | 0 | 2 | 2 | 0 |
2. 5. 1. 2023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두산 베어스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1이닝 등판해 3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1 | 0 | 0 | 1 | 0 | 0 | 0 | 1 | 0 | 0 | 3 | 0 | 1 | 0 | 0 |
2. 5. 2. 2023년 준플레이오프
SSG 랜더스와의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에 출장해 3 2/3이닝 1승 2홀드를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준플레이오프 MVP에 선정됐다.[5]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3 | 0 | 0 | 1 | 0 | 0 | 2 | 3 2/3 | 1 | 0 | 2 | 0 | 1 | 0 | 0 |
2. 5. 3. 2023년 플레이오프
kt 위즈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경기 출장해 2 1/3이닝 등판 1패, 평균자책점 7.71을 기록했다.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7.71 | 3 | 0 | 0 | 0 | 1 | 0 | 0 | 2 1/3 | 4 | 1 | 1 | 0 | 2 | 2 | 0 |
2. 6. 2024년 시즌
스프링캠프에서 왼쪽 팔꿈치에 불편함을 느껴 조기 귀국했으나, 검진 결과 단순 염좌로 판정받았다.[6] 4월 13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1군에 복귀, 7회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시즌 첫 승을 따냈다. 6월 21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는 8회말 2/3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10홀드를 기록, KBO리그 역대 35번째 3시즌 연속 10홀드를 달성했다. 6월 한 달간 14경기 18⅓이닝 2승 5홀드 1세이브 19탈삼진 4실점(4자책) 평균자책점 1.96으로 구단 6월 투수 MVP에 선정되었다.[7] 전반기에는 36경기 38⅓이닝 4승 1패 1세이브 12홀드 40탈삼진 평균자책점 3.05를 기록했다.7월 25일 광주 KIA 타이거즈전 이후 왼쪽 어깨 회전근개 부상으로 휴식을 취했다. 8월 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패전 후, 8월 2일 kt 위즈전을 마지막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다. 후반기 6경기 7⅓이닝 1패 2홀드 8탈삼진 평균자책점 3.68을 기록했다.
2024년 시즌 최종 기록은 42경기 45⅔이닝 4승 2패 1세이브 14홀드 48탈삼진 평균자책점 3.15이다.
3. 국가대표팀 경력
3. 1.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2년 아시안 게임이 1년 연기되어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게 되었는데, 2023년 9월 21일 부상으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서 하차한 구창모를 대신하여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되었다.아시안 게임 조별리그 3차전 태국전에 등판해 1이닝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점 |
---|---|---|---|---|---|---|---|---|---|---|---|---|---|---|---|
0.00 | 1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2 | 0 | 0 |
3. 2.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23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했으며, 2경기에 출장해 1 2/3이닝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4. 등번호
김영규는 2018년에는 등번호 '00'번을 사용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58'번을 사용했고, 2022년부터 현재까지는 '17'번을 사용하고 있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9 | NC | 5.29 | 30 | 1 | 1 | 5 | 4 | 0 | 1 | 0.556 | 307 | 66⅓ | 82 | 7 | 31 | 6 | 46 | 40 | 39 |
2020 | 5.45 | 20 | 0 | 0 | 2 | 2 | 0 | 1 | 0.500 | 296 | 67⅔ | 83 | 12 | 14 | 2 | 55 | 47 | 41 | |
2021 | 5.37 | 37 | 0 | 0 | 5 | 3 | 0 | 6 | 0.625 | 286 | 63⅔ | 69 | 10 | 28 | 1 | 42 | 40 | 38 | |
2022 | 3.41 | 72 | 0 | 0 | 2 | 7 | 1 | 13 | 0.222 | 269 | 66 | 56 | 5 | 22 | 7 | 46 | 26 | 25 | |
2023 | 3.06 | 63 | 0 | 0 | 2 | 4 | 0 | 24 | 0.333 | 247 | 61⅔ | 45 | 2 | 23 | 1 | 48 | 22 | 21 | |
2024 | 3.15 | 42 | 0 | 0 | 4 | 2 | 1 | 14 | 0.667 | 183 | 45⅔ | 40 | 3 | 14 | 1 | 48 | 19 | 16 | |
통산 | 6시즌 | 4.37 | 264 | 1 | 1 | 20 | 22 | 2 | 59 | 0.476 | 1588 | 375 | 335 | 39 | 132 | 18 | 285 | 194 | 180 |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7. 주요 기록
wikitable
참조
[1]
웹인용
2000년생 NC 김영규가 LG에 완봉승 거뒀다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20-09-24
[2]
뉴스
'19안타 폭발+김영규 8이닝 완벽투' NC, LG전 7연패 탈출
https://sports.news.[...]
2022-11-27
[3]
뉴스
데뷔 4년만에 ‘첫 세이브’ 김영규 “연패 막겠단 생각 뿐”
https://sports.news.[...]
2022-11-27
[4]
뉴스
NC 7월 MVP 김영규·김주원 선수
https://www.idomin.c[...]
2022-11-27
[5]
뉴스
'1승 2홀드' NC 김영규, 준PO MVP..."미친 선수 많아 전혀 기대 안했는데"
https://sports.news.[...]
2024-02-08
[6]
뉴스
'천만다행' NC 4호 중도귀국 김영규, 병원 검진 결과 "팔꿈치 경미한 염좌"…1일부터 재활조 합류
https://m.sports.nav[...]
2024-12-22
[7]
뉴스
NC, 박민우·김영규 6월 MVP 선정
https://www.gnnews.c[...]
2024-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