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제공항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김제시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취소된 공항이다.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과 백산면 일대에 활주로, 계류장, 여객 터미널, 주차장 등을 갖춘 공항을 2007년까지 완공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 감사원의 공사 중단 요구로 인해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고, 2008년 7월에 건설 계획이 최종 취소되었다. 현재는 군산공항 확장을 통해 대체되었으며, 김제공항 부지는 용도 폐지되어 활용 방안을 논의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제시의 건축물 - 김제역
김제역은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호남선이 지나가며 KTX, ITX-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김제시의 건축물 - 부용역
부용역은 전라북도 김제시에 위치한 호남선의 역으로,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나 기능이 축소되어 2008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면서 사실상 폐역되었다. - 취소된 건축물 - 트리플 원
트리플 원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랜드마크로 계획되었던 초고층 빌딩으로, 여러 설계 변경을 거쳤으나 시행사 간의 갈등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무산되면서 2012년에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 - 취소된 건축물 - 안산문화복합돔구장
안산문화복합돔구장은 경기도 안산시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2013년 최종적으로 백지화된 4만 명 수용 규모의 개폐식 돔구장 건설 사업이다. - 대한민국의 공항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공항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김제공항 | |
---|---|
공항 정보 | |
공항 이름 | 금제공항 |
IATA 코드 | 미정 |
ICAO 코드 | 미정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김제시 공덕면・백산면 |
종류 | 공공 |
소유자 | 알 수 없음 |
운영자 | 알 수 없음 |
표고 | 20.66m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활주로 | |
방향 | 16/34 |
길이 | 1,800m |
폭 | 45m |
표면 | 아스팔트 |
통계 | |
통계 연도 | 알 수 없음 |
여객 수 | 알 수 없음 |
화물 처리량 | 알 수 없음 |
발착 횟수 | 알 수 없음 |
2. 명칭
대한민국 항공법 규정에 따른 시설 설치 고시에서의 명칭은 "김제공항"[9]이지만, 당초에는 "전주권 신공항", "전주 신공항" 또는 단순히 "전주공항"으로 불렸다.
다음과 같은 시설이 계획되어 있다.
3. 시설
3. 1. 활주로
활주로: 길이 1800m, 폭 45m가 계획되어 있다.
3. 2. 계류장
23435m2 규모로 계획되어 있다.
3. 3. 여객 터미널
다음과 같은 시설이 계획되어 있다.3. 4. 주차장
18300m2
4. 역사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2007년까지 공항을 완공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다. 감사원은 2003년 9월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고,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다. 결국 2008년 7월에 공항 건설 계획은 취소되었다.
4. 1. 전사(前史)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길이 1800m×폭 45m의 활주로 1개와 보잉 737급 여객기 3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계류장을 갖춘 공항을 200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 부지 매입이 시작되고 건설사가 선정되었고,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전체 사업비 1474억원 중 부지매입비 396억원을 포함한 총 480억원이 투입되었다.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고, 감사원이 2003년 9월에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여 2005년 이후로 공사가 중단되고 결국 2008년 7월에 공항 건설 계획은 취소되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항공 교통 역사는 오래되어, 1930년대에는 경성과 이리비행장을 잇는 정기 노선이 운항되었다.[1] 또한 1970년대에는 대한항공이 전주시에 있는 전주비행장과 군산시의 군산비행장에 취항했지만, 호남고속도로의 개통과 오일 쇼크의 영향으로 모든 노선이 운휴되었다.
4. 2. 구상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길이 1800m×폭 45m의 활주로 1개와 보잉 737급 여객기 3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계류장을 갖춘 공항을 200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1] 2002년부터 부지 매입이 시작되고 건설사가 선정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전체 사업비 1474억원 중 부지매입비 396억원을 포함한 총 480억원이 투입되었다.[1]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고, 감사원이 2003년 9월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여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고, 결국 2008년 7월 공항 건설 계획은 취소되었다.[1]
1980년대 말부터 한국에서는 각지에서 공항 정비가 이루어졌다.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군산비행장 활용도 검토되었지만, 군과의 공용으로 인한 제약과 군산시가 전라북도 북서단에 위치하여 전라북도 각지, 특히 중심 도시인 전주시로부터의 교통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더 조건이 좋은 장소에 공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2]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교통부는 1990년 12월부터 전북 공항 건설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 1991년 11월, 공항 신설 타당성을 인정하는 결론을 내렸다.[2] 한편, 군산비행장 민간 항공 시설 정비도 병행되어 1992년 12월 군산공항으로 개항, 대한항공이 재취항했다.[2]
1994년 4월, 교통부는 '공항 개발 중장기 기본 계획'에서 1995년부터 5년간 추진할 공항 개발 사업을 제시했다.[2] 그러나 이 계획에 전주 신공항 구상은 반영되지 않았고, 군산공항 시설 확장만 포함되었다.[2] 1996년 전라북도가 독자적으로 전주 신공항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지만, 도는 조사 결과 보고를 받은 후 한동안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2]
4. 3. 착수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길이 1800m, 폭 45m의 활주로 1개와 보잉 737급 여객기 3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계류장을 갖춘 공항을 200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 부지 매입이 시작되고 건설사가 선정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전체 사업비 1474억원 중 부지매입비 396억원을 포함한 총 480억원이 투입되었다.[7]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다. 감사원은 2003년 9월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고,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다.[3] 결국 2008년 7월에 공항 건설 계획은 취소되었다.
1998년 김대중이 제15대 대통령에 취임하자, 전라북도는 전주 신공항 건설을 건설교통부에 요청했다. 건설교통부는 1998년 9월 공항 개발 중장기 기본 계획 변경을 고시하고, "전주 신공항 개발"이라는 명칭으로 김제시 백산면의 공항 신설을 중장기 계획에 반영했다.[7] 예정지였던 김제시에서는 소음 등으로 인한 환경 악화 및 채산성에 대한 의문을 이유로 반대 의견이 제기되었고, 시의회가 반대 결의를 했다.[2] 지역 주민과 시민 단체는 반대 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국회 앞에서 시위를 하는 등 반대 운동을 펼쳤다. 한국방송공사는 예정지 인근에 여러 개의 전파탑이 있어 항공기 장비 및 관제와의 교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표명했다.
1999년 3월, 감사원은 "항공 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 대책 추진 실태" 감사 결과에서 김제 공항 계획이 인근 공항,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철도 등 경쟁 교통 수단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계획 전면 재검토를 건설교통부에 촉구했다.[3] 그러나 1999년 5월 전주를 방문한 김대중은 신공항 추진을 주장했고, 건설교통부는 6월부터 타당성 재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는 감사원이 문제를 지적한 최초 조사를 실시한 외부 기관에 다시 위탁되었기 때문에 형식적인 재조사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건설교통부는 11월 건설이 타당하다는 보고를 받자 이 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지속했다. 1999년 12월부터 기본 설계가, 2000년 12월부터 실시 설계가 진행되었다. 처음 1600m로 계획되었던 활주로 길이는 기본 설계 후 1800m로 연장되었다.
2001년 공군은 김제에 공항을 개항하면 군산공항 및 정읍 비상 활주로 운용이 제한되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사실상 계획에 반대했다. 그러나 건설교통부는 민간 공항 신설 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라며 군의 협조를 요청하는 데 그쳤고, 특별한 대응은 하지 않았다. 건설 예정지인 공덕면, 백산면에서는 이 시기에도 반대 운동이 계속되었고, 운동의 조직화도 진행되어 격화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접한 용지면에서는 반대로 공항 유치 움직임이 일어났다. 전라북도는 현 예정지는 심사숙고하여 결정된 것이라며 입지 재검토를 하지 않았고, 2001년 11월 김제 공항 건설 지원 사업소를 개설하여 용지 매수를 추진했다.
4. 4. 연기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2007년까지 공항을 완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 부지 매입이 시작되고 건설사가 선정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총 480억 원이 투입되었다.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다. 감사원은 2003년 9월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여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다.[4] 2004년에는 김제, 울진, 무안 각 공항에 대해 경제적 타당성 등을 재검토하도록 건설교통부에 권고하였고, 착공에 이르지 못한 김제공항에 대해서는 계획 자체가 중지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05년 전라북도는 용지 매입 완료를 선언했다. 그러나 착공 예정이 잡히지 않아 2006년부터 서울지방항공청은 김제시에 위탁하여 매입된 용지의 임대를 시작했고, 예정지에서는 감자, 고구마, 배추 등이 재배되기 시작했다. 2006년에는 1.44억원, 2007년에는 1.71억원의 임대 수입을 얻었고, 서울지방항공청과 김제시에서 절반씩 나누었다.
2008년 1월, 전라북도는 용지에 유채꽃을 심어 "유채꽃 관광 단지"로 활용할 것을 서울지방항공청에 제안했으나, 서울지방항공청이 거부하여 실현되지 않았다. 2008년 2월, 이명박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008년 5월 7일, 김완주 전라북도지사는 군산공항의 확장과 국제화를 주장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이에 동의하며 김제공항에 대해 "군산이 넘치면 검토하면 된다"고 했다.[5] 2008년 7월, 정일영 국토해양부 항공철도국장은 김제공항 건설을 중지하고 군산공항 확장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6] 2011년 1월에 공표된 「제4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 계획」에서는 김제공항의 개발 계획이 삭제되었다.[12]
4. 5. 백지화
1998년 건설교통부는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와 백산면 조종리 일대에 길이 1800m 활주로 1개와 보잉 737급 여객기 3대가 이용할 수 있는 계류장을 갖춘 공항을 200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2002년부터 부지 매입이 시작되고 건설사가 선정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전체 사업비 1474억원 중 부지매입비 396억원을 포함한 총 480억원이 투입되었다.그러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다. 감사원이 2003년 9월 "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여 2005년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고, 결국 2008년 7월 공항 건설 계획은 취소되었다.
5. 현황
정부는 김제공항 계획을 취소하는 대신 군산공항의 기존 활주로에서 서쪽으로 1310m 떨어진 곳에 기존 활주로와 독립된 길이 2500m의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식으로 민간공항(이른바 '새만금 국제공항')을 짓기로 하였다.[13][14]
정부에서 매입한 김제공항 부지는 공사 중단 후 17년간 별다른 활용 방안이나 대책 없이 방치되어 주민들에게 여러 환경 피해를 입히다가[15][16] 2022년 11월 30일에 공항부지 용도 폐지가 확정되어 새로운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17]
6. 연표
- 1996년 12월: 전라북도는 1997년 7월까지 전주 신공항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 1998년 9월 19일: 건설교통부는 「공항 개발 중장기 기본 계획 변경」을 고시하고,[7] 전주 신공항 개발을 공항 개발 중장기 기본 계획에 추가하였다.
- 1999년 3월: 감사원은 건설교통부에 계획 재검토를 권고하였다.
- 1999년 12월 ~ 2000년 9월: 기본 설계가 진행되었다.
- 2000년 12월 ~ 2001년 12월: 실시 설계가 진행되었다.
- 2001년 7월 3일: 건설교통부는 「김제공항 기본 계획」을 고시하였다.[8]
- 2002년 2월 9일: 서울지방항공청은 「김제공항 설치」를 고시하였다.[9]
- 2002년 12월 20일: 건설 공사 입찰이 진행되었다.
- 2003년 6월: 현장 사무소가 설치되었다.
- 2003년 11월 1일: 서울지방항공청은 「김제공항 공항 개발 사업 실시 계획」을 고시하였다.[10]
- 2004년 6월: 감사원은 건설교통부에 계획 재검토를 권고하였다.
- 2006년 11월 24일: 건설교통부는 「제3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 계획」을 고시하였다.[11]
- 2011년 1월 5일: 국토해양부는 「제4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 계획」을 고시하였다.[12]
참조
[1]
서적
昭和十三年九月 朝鮮總督府時局對策調査會諮問案參考書(航空施設ノ整備ニ關スル件)
高麗書林
1993
[2]
간행물
제39회 김제시의회(임시회) 사회건설위원회회의록 제1차
김제시의회사무국
1998-09-03
[3]
뉴스
“전주 新공항 건설사업 타당성 전면 재검토”――감사원 특감――“항공수요등 고려없이 무리하게 추진”
東亞日報
1999-03-27
[4]
뉴스
“김제공항 수요 과다예측 착공시기 늦춰라”――감사원, 무안・울진공항도 개항 재조정 통보
朝鮮日報
2004-06-15
[5]
뉴스
“전주~군산공항 30분내 교통체계 구축”――김완주 지사, 도내 제18대 국회의원 초선 당선자들과 간담회
全北日報
2008-05-23
[6]
뉴스
말 많던 김제공항 결국 ‘없던 일’ 됐다――당초 정치적 결정 … 군산공항 확장해 승객 수용키로
중앙일보
2008-07-23
[7]
간행물
공항개발중장기기본계획변경
건설교통부
1998-09-19
[8]
간행물
김제공항개발기본계획
건설교통부
2001-07-03
[9]
간행물
김제공항설치고시
서울지방항공청
2002-02-09
[10]
간행물
김제공항공항개발사업실시계획고시
서울지방항공청
2003-11-01
[11]
간행물
제3차공항개발중장기종합계획(2006∼2010)
건설교통부
2006-11-24
[12]
간행물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1~2015)
국토해양부
2011-01-05
[13]
웹사이트
전북 하늘길 세계로 열린다
http://www.sjbnews.c[...]
2019-08-29
[14]
웹사이트
'군산공항' 확장건설 미공군 협의 완료
https://www.ajunews.[...]
2015-10-23
[15]
웹사이트
김제 공덕면 옛 공항부지, '쓰레기 산'으로 둔갑
http://www.jjan.kr/n[...]
2019-06-23
[16]
웹사이트
김제 공덕면 주민들, 옛 공항 부지에 대형 돈사 불법 매립 주장
http://www.jjan.kr/n[...]
2019-08-08
[17]
웹사이트
김제 공항부지 기본계획 폐지 확정…활용안 관심 뜨거워
https://www.nocutnew[...]
2022-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