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1997년 12월 18일에 실시되었으며,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선거는 1987년 민주화 이후의 정치 지형, 3당 합당과 보수 대연합, 김영삼 정부의 개혁과 한계 등 역사적 배경 속에서 치러졌다. 주요 후보로는 한나라당 이회창,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국민신당 이인제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 정당의 경선을 통해 후보로 선출되었다. 선거 운동 과정에서 정책 공약, TV 토론, 후보들의 비리 의혹 등이 주요 쟁점이 되었으며, 특히 이회창 후보 아들의 병역 기피 의혹과 김대중 후보의 비자금 의혹 등이 논란이 되었다. 선거 결과, 김대중 후보가 40.3%의 득표율로 38.7%를 얻은 이회창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으며, 이인제 후보는 19.2%를 득표했다. 김대중의 당선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경영 - 국가혁명당
    허경영을 중심으로 창당된 국가혁명당은 경제, 복지, 사회, 정치 개혁을 주요 이념으로 하며 국회의원 축소, 수능 폐지, 국민배당금 지급, 유엔 본부 판문점 이전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에서 의석 확보에는 실패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 허경영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이회창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이회창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1997년 12월 - 교토 의정서
    교토 의정서는 1997년 일본에서 채택된 국제 협약으로,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자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 감축을 목표로 했으며, 배출권 거래제 등의 유연성 메커니즘을 도입했으나 한계와 비판을 받았다.
  • 1997년 12월 -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었고 브라질이 결승전에서 호주를 꺾고 우승했다.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지도 정보
광역시·도별 선거 결과 지도. 녹색은 김대중, 파란색은 이회창이 각각 최다 득표를 얻은 지역임.
선거 정보
선거 이름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92년
다음 선거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02년
선거일1997년 12월 18일
투표율80.7% (1.2%p 감소)
후보 정보
후보 정보
후보 정보
선거 결과

2. 역사적 배경

금융위기[1]로 한국 경제가 파탄 위기에 놓인 가운데 제15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후보가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 국민신당의 이인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는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한 여야 간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사례이다.

이번 선거전부터 금권 선거를 없애기 위해 실내외 대규모 선거 집회가 금지되었고, 후보자 간 텔레비전 토론을 통해 국민에게 지지를 호소하는 방식으로 선거 운동 방식이 변경되었다.

2. 1. 1987년 민주화 이후의 정치 지형

六月民主抗爭|6월 민주 항쟁중국어 이후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한국 정치 지형은 크게 변화하였다.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태우가 당선되었으나, 여소야대 국면이 형성되면서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높아졌다.

2. 2. 3당 합당과 보수 대연합

주어진 섹션 제목은 "3당 합당과 보수 대연합"이지만,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사용하여 섹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전 출력에서 안내한 바와 같이, 해당 내용은 이 문서에서 다루지 않는다고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text

3당 합당한국어과 보수 대연합에 대한 내용은 이 문서에서 다루지 않는다.

2. 3. 김영삼 정부의 개혁과 한계

김영삼 정부는 하나회 해체, 금융실명제 도입 등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임기 말 IMF 외환 위기를 겪으면서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

3. 후보

1997년 11월 26일, 제15대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 마감 결과 총 7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주요 후보로는 한나라당 이회창,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가 있었으며, 그 외 국민승리21 권영길, 공화당 허경영, 바른정치 김한식, 통일한국 신정일 후보가 있었다.

기호후보자명정당비고
1[8]이회창한나라당
2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총재: 김종필)과 선거 협력
3이인제국민신당
4권영길국민승리21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지지
5허경영공화당
6김한식바른정치
7신정일통일한국



민주당은 1997년 9월 11일 임시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조순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15]

3. 1. 신한국당

신한국당1997년 7월 21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국무총리, 감사원장 출신 이회창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1] 경선에서 이인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1. 1. 경선 과정 및 결과

신한국당1997년 7월 21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국무총리, 감사원장 출신 이회창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1] 여당인 신한국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 대회는 올림픽 체조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전 국무총리 이회창이 2차 투표 끝에 전 경기도 지사 이인제를 누르고 당의 후보가 되었다.[3]

당시 신한국당의 유력 대선 후보는 다음과 같았다.

  • 최형우 의원(61세, 전 내무부 장관): 뇌졸중으로 3월 11일 출마를 포기하였다.
  • 김덕룡 의원(55세, 전 정무제1장관)
  • 이인제 경기도지사(48세)
  • 김윤환 의원(64세, 전 대표): 이회창 대표의 지지를 표명하고 6월 3일 출마를 포기하였다.
  • 이한동 의원(62세, 전 국회 부의장)
  • 이회창 대표의원(62세, 전 국무총리): 판사 출신으로, 김영삼 정권 초기에 감사원장으로서 부정부패를 척결하여 국민적 인기가 높았다.
  • 이홍구 고문(62세, 전 대표): 지지율이 1% 정도에 그치자 7월 19일 출마를 포기하였다.
  • 이수성 고문(59세, 전 국무총리)
  • 박찬종 의원: 1992년 대통령 선거, 1995년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선전하였다. 어느 정도 대중적 인기가 있었다. 7월 19일 출마를 포기하였다.
  • 최병렬 의원(전 서울시장): 뇌졸중으로 쓰러진 최형우를 대신하여 5월 31일 선거전에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6명의 후보가 경쟁하여 7월 21일 1만 2천여 명의 당 대표에 의한 투표가 실시되었고, 1차 투표를 거쳐 결선 투표에서 이회창이인제를 누르고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대의원 투표 결과
rowspan=2|1차 투표 결과
(유효표 1만 2,049표)
결선 투표 결과rowspan=2|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이회창4,95541.1%6,92260%후보자
확정
이인제1,77414.7%4,62240%
이한동1,76614.6%colspan=3 rowspan=4 |
김덕룡1,67313.9%
이수성1,64513.6%
최병렬2362.0%


3. 2.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1997년 5월 19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김대중 당 총재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2] 김대중은 당내 경선에서 정대철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2]

3. 2. 1. 경선 과정 및 결과

새정치국민회의1997년 5월 19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김대중 당 총재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2]

새정치국민회의 전당대회는 5월 19일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렸다. 전남 출신 6선 의원 출신인 김대중이 서울 출신 4선 의원 출신인 정대철을 누르고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2]

투표 제목김대중정대철무효
대의원322390727


3. 3.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1997년 6월 24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김종필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4] 김종필은 당 총재이자 충청남도 출신의 8선 의원으로, 단독 후보로 추대되어 압도적인 표차로 지명되었다.[4]

3. 3. 1. 경선 과정 및 결과

1997년 6월 24일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자유민주연합 전당대회에서 김종필이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14] 김종필은 충청남도 출신의 8선 의원으로, 압도적인 표차로 지명되었다.[4]

대의원
김종필2575
한영수554


3. 4. 국민신당

국민신당은 1997년 11월 4일 창당대회를 개최하고 경기지사 출신 이인제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3]

11월 26일 선거가 공고되고 후보자 등록이 마감된 시점에서 7명이 입후보하였는데, 이 중 국민신당에서는 기호 3번으로 이인제가 출마하였다.

기호후보자명정당
3이인제국민신당


3. 4. 1. 창당 배경 및 과정

이인제신한국당 경선 결과에 불복하고, 1997년 11월 4일 새로운 보수 정당을 표방하며 국민신당을 창당하였다.[13] 이는 이회창의 아들 병역 면제 의혹이 보도되면서 이회창의 인기가 하락한 것이 배경이 되었다.[6]

3. 5. 민주당

1995년 김대중계가 이탈한 이후 변방 정당이 되었던 민주당은 1997년 9월 11일 임시 전당대회에서 서울특별시조순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5]

3. 5. 1. 후보 추대 과정

9월 11일, 신한국당의 주요 야당이었으나 1995년 김대중계가 이탈한 이후 변방 정당이 되었던 민주당서울특별시조순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5]

3. 6. 군소 후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지지를 받은 국민승리21 권영길 후보, 공화당 허경영 후보, 바른정치 김한식 후보, 통일한국 신정일 후보 등이 출마하였다.[8]

기호후보자명정당비고
4권영길국민승리21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지지
5허경영공화당
6김한식바른정치
7신정일통일한국


4. 후보간 합종연횡

1997년 대선 과정에서는 후보 단일화 및 정당 통합이 이루어졌다.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와 자유민주연합 김종필 후보는 1997년 11월 3일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고 공동 정부를 구성하기로 했다.[22] 신한국당 이회창 후보와 민주당 조순 후보는 1997년 11월 7일 양당을 통합하고 이회창으로 후보를 단일화하는 데 합의했으며,[23] 이후 11월 21일 통합 정당인 한나라당이 출범했다.[24]

4. 1. DJP 연합

1997년 11월 3일,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와 자유민주연합 김종필 후보는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고, 공동 정부 구성 및 의원내각제 개헌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22]

4. 1. 1. 연합의 배경 및 의의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후보와 자유민주연합김종필 후보는 1997년 11월 3일 대선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였다.[22] 김대중은 충청권의 지지를 확보하고, 김종필은 자신의 오랜 주장이던 의원내각제로 개헌을 추진하기 위해 연합하였다. 이들은 김대중이 대통령에 당선되면 김종필을 국무총리로 임명하고, 의원내각제로 헌법을 개정하며, 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이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여러 현안에 대해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는 과거 박정희 정권 시절 국무총리를 역임했던 김종필과, 박정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김대중의 연합이라는 점에서, 한국 정치사에서 이념적 차이를 넘어선 연합으로 평가된다.

4. 2. 한나라당 창당

신한국당의 대통령 후보 이회창과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조순은 1997년 11월 7일 양당 통합 및 이회창으로의 대선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였다.[23] 이후 1997년 11월 21일 통합 정당인 한나라당이 공식 출범하였으며, 이회창이 대통령 후보, 조순이 당 총재가 되었다.[24]

4. 2. 1. 창당 배경 및 과정

신한국당의 대통령 후보 이회창과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조순은 1997년 11월 7일 양당 통합 및 이회창으로의 대선 후보 단일화, 조순의 당 총재직 수행에 합의하였다.[23] 이는 김대중의 지지율 상승으로 돌파구가 필요했던 이회창과 조순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이후 1997년 11월 21일 통합 정당인 한나라당이 공식 출범하였으며,[24] 조순이 당 의장, 이회창이 대통령 후보를 맡았다.

5. 선거 운동

초기 여론조사에서는 이회창김대중을 30%p까지 앞섰다.

그러나 이회창의 지지율은 언론 보도를 통해 그의 두 아들이 신체검사 전 체중 감량을 통해 병역을 기피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급락했다. 한국 사회는 병역 기피나 특혜를 받으려는 남성에게 매우 비판적인 경향이 있다.[2] 이어 이인제가 대통령 출마를 선언하며 이회창은 당선될 수 없고, 자신이 다른 후보들보다 20살이나 어린 세대교체를 상징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 변화로 김대중이 근소한 차이로 앞서게 되었다.[2]

5. 1. 정책 공약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1997년 12월 IMF 외환 위기라는 엄중한 상황 속에서 치러졌다.[2] 각 후보는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공약을 제시했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극복 방안이 주요 쟁점이 되었다.

5. 1. 1. 경제 정책

김대중은 중소기업 육성, 시장 개방 확대 등을 공약으로 제시하였다. 이회창은 대기업 중심의 성장 정책을 유지하면서, 구조 조정을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이인제는 경제 개혁을 통해 새로운 경제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주장하였다.

이 선거는 대한민국이 1997년 12월 3일 IMF 외환 위기 속에서 IMF 구제금융을 받아들여야 했던 맥락에서 치러졌다.[2]

5. 1. 2. 사회 정책

김대중은 사회 복지 확대, 노동권 강화 등을 공약으로 제시하였다. 이회창은 법치주의 확립, 사회 질서 유지 등을 강조하였다. 이인제는 교육 개혁, 지역 균형 발전 등을 주장하였다.

5. 2. TV 토론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후보자 간 TV 토론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국민들이 후보들의 정책과 자질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6. 논란

이회창 후보의 호화 빌라 논란, 며느리 원정 출산 의혹, 김대중 후보의 6.25 당시 병역 문제 의혹 등이 제기되었다.[25]

6. 1. 이회창 후보 아들 병역 문제

전두환·노태우 사면 공약 논란과 함께 이회창 후보의 두 아들 병역 기피 의혹이 제기되었다.[25] 언론 보도를 통해 이회창 후보의 두 아들이 신체검사 전 체중 감량을 통해 병역을 기피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지율이 급락했다. 이는 한국 사회가 병역 기피나 특혜에 매우 비판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6. 1. 1. 진보 진영의 비판

진보 진영에서는 이회창 후보 아들의 병역 문제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언론 보도를 통해 이회창 후보의 두 아들이 신체검사 전 체중 감량을 통해 병역을 기피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회창 후보의 도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5] 한국 사회는 병역 기피나 특혜에 매우 비판적인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 급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2. 김대중 비자금 의혹

김대중 후보가 기업으로부터 차명으로 불법 정치 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5]

6. 2. 1. 보수 진영의 비판

보수 진영에서는 김대중 후보의 차명 비자금 의혹을 제기하며 도덕성을 문제 삼았다.[25]

6. 3. 전두환·노태우 사면 논란

전두환·노태우 사면 문제는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의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25]

6. 3. 1. 후보들의 입장

선거전 내내 전두환·노태우 사면 공약 논란을 비롯해 이회창 후보의 두 아들의 병역 기피 의혹, 호화 빌라 논란, 며느리 원정 출산 의혹, 김대중 후보의 차명 비자금 의혹 및 6.25 당시 병역 문제 의혹 등 갖가지 의혹들이 제기되었다.[25]

7. 여론 조사

날짜김대중이회창이인제박찬종조순김종필비고
1월 3일[26]15.316.31.716.52.54.3
4월 7일[27]15.320.56.319.510.17이회창 신한국당 대표 임명
6월 14일[28]2517.815.820.25.7이회창 대선자금 의혹, 국민회의 후보 선출
7월 22일[29]26.640.4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7.1자민련, 신한국당 후보 선출
8월 31일[30]25.223.231.7style="text-align: left; " |16.57.9이회창 후보 병역의혹
9월 18일[31]29.722.624style="text-align: left; " |133.8민주당 후보 선출
이인제 신한국당 탈당
10월 27일[32]34.321.621.9style="text-align: left; " |4.72.9김대중 비자금의혹
11월 10일[33]35.32728.1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김대중-김종필 단일화로 DJP연합 탄생
이회창-조순 단일화로 한나라당 출범
11월 25일[34]32.131.519.9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style="text-align: left; " |


8. 선거 결과



1997년 12월 18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10,326,275표(40.3%)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7] 이회창 후보는 9,935,718표(38.7%)로 2위, 이인제 후보는 4,925,591표(19.2%)로 3위를 기록했다. 권영길, 신정일, 김한식, 허경영 후보는 각각 1.2%, 0.2%, 0.2%, 0.2%를 득표했다.[7]

이 선거는 1.52%p 차이로 승부가 결정되어, 2022년 대통령 선거 전까지 가장 접전이 벌어진 선거였다.

8. 1. 전국 결과

1997년 12월 18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10,326,275표(40.3%)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회창 후보는 9,935,718표(38.7%)로 2위, 이인제 후보는 4,925,591표(19.2%)로 3위를 기록했다.[7] 이 선거는 1.52% 차이로 승부가 결정되어, 2022년 대통령 선거 전까지 가장 박빙의 선거였다.[7]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전국 결과
순위당락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
1당선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10,326,27540.3%
2align="center"|이회창한나라당9,935,71838.7%
3align="center"|이인제국민신당4,925,59119.2%
4align="center"|권영길국민승리21306,0261.2%
5align="center"|신정일통일한국당61,0560.2%
6align="center"|김한식바른나라정치연합48,7170.2%
7align="center"|허경영공화당39,0550.2%
총계26,042,633
무효표400,195
투표율 (투표자 수/유권자 수)26,041,076 / 32,290,41680.7%[9]



지역별 주요 후보 득표율
지역김대중이회창이인제
수도권서울특별시44.9%40.9%12.8%
인천광역시38.5%36.4%23.0%
경기도39.3%35.5%23.6%
강원도23.8%43.2%30.9%
충청도대전광역시45.0%29.2%24.1%
충청북도37.4%30.8%29.4%
충청남도48.3%23.5%26.1%
호남광주광역시97.3%1.3%0.7%
전라북도92.3%4.5%2.1%
전라남도94.6%3.2%1.4%
영남부산광역시15.3%53.3%29.8%
울산광역시15.4%51.4%26.7%
대구광역시12.5%72.7%13.1%
경상북도13.7%61.9%21.8%
경상남도11.0%55.1%31.3%
제주특별자치도40.6%36.6%20.5%


8. 2. 지역별 결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지역 · 도 · 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이회창
한나라당
이인제
국민신당
수도권서울특별시44.9%40.9%12.8%
인천광역시38.5%36.4%23.0%
경기도39.3%35.5%23.6%
강원도23.8%43.2%30.9%
충청도대전광역시45.0%29.2%24.1%
충청북도37.4%30.8%29.4%
충청남도48.3%23.5%26.1%
호남 지방
(전라도)
광주광역시97.3%1.3%0.7%
전라북도92.3%4.5%2.1%
전라남도94.6%3.2%1.4%
영남 지방
(경상도)
부산광역시15.3%53.3%29.8%
울산광역시15.4%51.4%26.7%
대구광역시12.5%72.7%13.1%
경상북도13.7%61.9%21.8%
경상남도11.0%55.1%31.3%
제주특별자치도40.6%36.6%20.5%


9. 결과 분석 및 영향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한국 정치사에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선거였다.

우선, 이 선거를 통해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한 여야 간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1]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후보는 여당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는데, 이는 한국 민주주의가 성숙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김대중 후보의 당선에는 여당의 분열 (이인제 후보의 탈당 및 국민신당 창당), 김종필과의 연대(DJP 연합), IMF 외환 위기로 인한 여당 불신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10]

이 선거를 통해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지역주의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김대중 후보는 김종필과의 연합을 통해 충청도에서 상당한 득표를 얻어 지역주의 극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후보자 간 텔레비전 토론을 통해 국민에게 정책을 알리는 새로운 선거 운동 방식을 도입하여 금권 선거를 방지하고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정책을 비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치 개혁에 중요한 계기가 된 선거였다고 할 수 있다.

9. 1. 김대중 당선의 요인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후보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1.6%의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김대중의 승리 요인으로는 다음이 꼽힌다.[10]

  • 여당 지지표 분산: 여당 새한국당의 당내 선거에 불만을 품은 이인제가 탈당하여 국민신당 후보로 출마함으로써, 여당의 텃밭인 영남 지역의 표가 이회창과 이인제 사이에서 분열되었다.[10]
  • DJP 연합: 충청 지역에 영향력이 강한 김종필과의 선거 협력(DJP연합)을 통해 수도권과 호남 지역뿐만 아니라 충청 지역에서도 김대중이 이회창에게 승리할 수 있었다.[10]
  • 김영삼 대통령과 이회창의 불화: 김영삼 대통령과 후계자로 여겨졌던 이회창의 불화가 있었다.[10]
  • IMF 외환 위기로 인한 여당 역풍: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경제가 파탄 위기에 놓이자 여당에 대한 역풍이 불었다.[10]


이러한 요인들 중 하나라도 없었다면 김대중의 당선은 어려웠을 것이라고 평가된다.[10] 하지만 영남 지역에서 김대중의 득표율은 20%에 미치지 못해, 여전히 영남 지역에서 반(反) 김대중 정서가 강함을 보여주었다.

9. 2. 한국 정치에 미친 영향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후보가 여당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 국민신당의 이인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됨으로써,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한 여야 간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1] 이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또한, 김대중(DJ)과 김종필(JP)의 연합(DJP 연합)은 지역주의 완화에 기여하였으며, 이후 한국 정치에서 연합 정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9. 3. IMF 외환 위기 극복

아시아 금융 위기로 한국 경제가 파탄 위기에 놓인 가운데 치러진 선거이다. 이 선거에서 네 번째 도전 끝에 제1야당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가 여당 한나라당(자유한국당)의 이회창 후보, 국민신당의 이인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어 숙원이던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이 결과는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한 여야 간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대통령 선거였다.

이번 선거전부터 금권 선거를 없애기 위해 선거 운동 기간 중 실내외에서 대규모 선거 집회를 여는 것이 금지되었고, 선거전은 후보자 상호 간 텔레비전 토론을 통해 국민에게 어필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도 특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Elections: Korea President 1997 http://www.electiong[...] 2017-04-25
[2] 뉴스 나이·건강 흠 잡힐까 봐 … DJ, 昌보다 이인제 두려워해 https://news.joins.c[...] 2011-09-18
[3] 웹사이트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이회창 당선[김상수] http://imnews.imbc.c[...] 2018-04-24
[4] 웹사이트 자민련 대통령 후보 김종필 총재의 압도적인 선택[윤정식] http://imnews.imbc.c[...]
[5] 웹사이트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조순 추대, 경제 대통령론 강조[김세용] http://imnews.imbc.c[...]
[6] 뉴스 [국민신당 창당]후보 이인제-총재 이만섭씨 선출 http://www.donga.com[...] 1997-11-04
[7] 뉴스 PPP Candidate Yoon Suk Yeol Wins Presidential Election after Tight Race http://world.kbs.co.[...] 2022-03-10
[8] 기타
[9] 기타
[10] 서적 한국대통령실록 키네마旬報社 2015
[11] 뉴스 與 대선후보 李會昌씨 동아일보 1997-07-22
[12] 뉴스 金大中씨 大選후보 선출 동아일보 1997-05-20
[13] 뉴스 李仁濟후보 선출 어제 국민신당 창당 동아일보 1997-11-05
[14] 뉴스 자민련 대통령후보 김종필씨 한겨레 1997-06-25
[15] 뉴스 민주, 조순 대선후보 선출 한겨레 1997-09-12
[16] 뉴스 권영길씨 대선후보 추대 한겨레 1997-10-27
[17] 웹인용 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 추대 https://newslibrary.[...] 2019-06-18
[18] 웹인용 김한식 목사 대선 출마 선언 https://newslibrary.[...] 2019-06-18
[19] 간행물 대한민국 정당사 제5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 웹인용 이병호 아태변협회장 출마 선언 https://newslibrary.[...] 2019-06-18
[21] 웹인용 이병호 씨 국민신당 입당 https://newslibrary.[...] 2019-06-18
[22] 뉴스 DJP단일후보체제 출범 매일경제 1997-11-04
[23] 뉴스 신한국-민주당 통합 합의 후보 李會昌-총재 趙淳 동아일보 1997-11-08
[24] 뉴스 한나라당 공식 출범 한겨레 1997-11-22
[25] 웹사이트 97대선 제2차 TV 합동 토론회, 병역 공방 치열 http://imnews.imbc.c[...] 1997-12-07
[26] 뉴스 大選(대선) 여론조사 주자별 선호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1-03
[27] 뉴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4-07
[28] 뉴스 李(이)대표 '대선자금 발목' 주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6-14
[29] 뉴스 李會昌(이회창) 40 - 金大中(김대중) 27 - 金鐘泌(김종필) 7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7-22
[30] 뉴스 李仁濟(이인제)지사 출마 땐 1위 DJ,趙淳(조순),李會昌(이회창),JP 順(순) http://newslibrary.n[...] 리서치앤리서치 1997-08-31
[31] 뉴스 추석연휴 후보지지율 변화 '미미' 金大中(김대중, 29.7%) 李仁濟(이인제, 24.0%) 1,2位(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한길리서치 1997-09-18
[32] 뉴스 97대선 여론조사 이회창 지지율 급락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0-27
[33] 뉴스 97대선 여론조사 이회창(+조순) 큰폭 상승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1-10
[34] 뉴스 여론조사 '순위바꿈' 뚜렷 http://newslibrary.n[...] 한국일보-한국리서치 1997-1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