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시의 시내버스는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운행되며, 김천버스에서 단독 운영한다. 버스 요금은 일반, 중고생, 초등생으로 구분되며, 이즐과 KB국민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12년부터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구미, 칠곡 지역과 광역 환승이 가능하다. 주요 운행 노선은 김천구미역, 직지사, 김천시청 등을 경유하며, 운행 횟수는 노선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천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김천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의 시내버스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새천년미소에서 급행, 시내, 좌석, 순환버스로 나뉘어 운행되며, 각 노선은 경주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고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 할인 혜택이 있는 단일요금제를 적용한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주시에 위치하며 전국 각지로 향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2010년대 이후 노선 변경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김천시의 시내버스 | |
---|---|
개요 |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김천시청 교통행정팀 |
서비스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
기타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
운행 | |
노선 수 | 460 |
인가 대수 | 80 |
요금 및 지불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이즐, 티머니, 레일플러스, 한페이, 원패스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 원패스는 대구·구미·김천 시내버스에 의존하고 있는 칠곡군청의 요청에 따라 임시 개방했다. 2024년 12월 14일부터 대경선 연계 광역환승제 시행으로 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의 임시 개방은 전면 폐지되고, 원패스만 호환한다.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김천시 버스노선안내 |
2. 버스 요금
김천시의 모든 버스는 앞자리가 '5'자인 구미 시내버스를 제외하면 모두 김천버스가 단독 운영하고 있으며, 카드는 기본적으로 이즐과 KB국민카드가 쓰이고 있다.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기본요금 | 일반 | 1,500 | 1,500 |
중고생 | 850 | 850 | |
초등생 | 400 | 400 |
- 일반버스 요금과 좌석버스 요금이 따로 있었으나, 2021년 5월부터 일반버스 요금으로 단일화했다.
- 김천시 관외 구간에서는 시계외요금(km당 107.84원)을 받았으나, 대경선 연계 광역환승제가 시행되면서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
김천시의 시내버스는 2012년 3월부터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버스 승차 후 1시간(읍면 지역은 1시간 3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1회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구미시내버스와는 달리 하차 단말기가 없으므로, 최초 승차 시 카드를 찍은 시간을 기준으로 환승 기준이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013년 11월 1일부터는 구미시와 광역환승 협약을 체결하여 구미시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환승 횟수도 1회에서 2회로 늘어났다. 2015년 11월 16일에는 칠곡군과 협약을 맺어 2015년 12월부터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으로 확대되었다.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함께 기존 구미/칠곡 외 지역 버스와의 광역환승제를 실시하고,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 이와 함께 iM유페이 관리 교통카드 중 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의 임시 개방을 폐지하고, 원패스만 호환한다. 또한, 하차 단말기를 추가하여 환승 기준을 승차 시점이 아닌 하차 단말기 태그 시점으로 변경하였다.
2. 1. 요금 체계
김천시의 모든 시내버스는 김천버스가 단독 운행하고 있으며, 이즐과 KB국민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요금은 연령별로 구분되며, 카드와 현금 결제가 모두 가능하다.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기본요금 | 일반 | 1,500 | 1,500 |
중고생 | 850 | 850 | |
초등생 | 400 | 400 |
2021년 5월 이전에는 일반버스와 좌석버스 요금이 구분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일반버스 요금으로 단일화되었다. 과거 김천시 관외 구간에서는 시계외요금(km당 107.84원)을 징수했으나, 대경선 연계 광역환승제가 시행되면서 폐지되었다.
2. 2. 환승 제도
김천시의 시내버스는 2012년 3월부터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버스 승차 후 1시간(읍면 지역은 1시간 3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1회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구미시내버스와는 달리 하차 단말기가 없으므로, 최초 승차 시 카드를 찍은 시간을 기준으로 환승 기준이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2013년 11월 1일부터는 구미시와 광역환승 협약을 체결하여 구미시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환승 횟수도 1회에서 2회로 늘어났다.[5] 2015년 11월 16일에는 칠곡군과 협약을 맺어 2015년 12월부터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으로 확대되었다.[6]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함께 기존 구미/칠곡 외 지역 버스와의 광역환승제를 실시하고,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7] 이와 함께 iM유페이 관리 교통카드 중 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의 임시 개방을 폐지하고, 원패스만 호환한다. 또한, 하차 단말기를 추가하여 환승 기준을 승차 시점이 아닌 하차 단말기 태그 시점으로 변경하였다.
3. 운행 노선
번호
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