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새천년미소에서 운행하며, 급행, 시내, 좌석, 순환 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노선이 있다. 급행버스는 주요 거점 지역을 빠르게 연결하고, 시내버스는 경주시 전역을 운행하며, 좌석버스는 장거리 이동에 적합하다. 순환버스는 경주역, 시외버스터미널, 불국사, 보문단지 등 주요 관광지와 시내 중심지를 연결한다. 또한 울산, 포항, 영천과 인접하여 해당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버스 요금은 일반형과 좌석형으로 구분되며,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교통카드를 이용한 경우 하차 후 30분 이내 다른 노선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주시에 위치하며 전국 각지로 향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2010년대 이후 노선 변경이 있었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후포터미널
후포터미널은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에 위치하며 강원권, 수도권, 영남권 각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울진군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버스터미널이다. - 경주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주시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경주시의 시내버스 | |
---|---|
기본 정보 | |
![]() | |
지역 | 경상북도 경주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경주시청 교통행정과 |
서비스 지역 | 경상북도 경주시 |
기타 지역 |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포항시, 울산광역시 |
노선 수 | 85 |
인가 대수 | 169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 레일플러스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사이트 | 경주시 시내버스 노선 안내 |
2. 경주시 면허의 버스 노선
새천년미소에서 운행한다.
2. 1. 급행버스
경주시의 급행버스는 시내와 주요 거점 지역을 빠르게 연결하는 노선이다.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1100 | 경주역 ↔ 감포종점 | 고속버스터미널ㆍ불국동행정복지센터ㆍ토함산터널ㆍ어일ㆍ나정삼거리ㆍ감포시장 | 4회 | |
1150 | 경주역 ↔ 양남 | 고속버스터미널ㆍ힐튼호텔ㆍ경주월드 ㆍ불국사ㆍ토함산터널ㆍ어일시장앞ㆍ주상절리 | 3회 | |
1200 | 경주역 ↔ 산대리 한동아파트 | 경주시외버스터미널ㆍ금장삼성아파트ㆍ강동ㆍ안강파출소 안강LH아파트 ㆍ우방아파트(경주역 방향만 정차) | 4.5회 | 막차(19시 40분) 경주역에서 한동아파트까지 운행 후 이후 공차 운행 |
1600 | 경주역 ↔ 부영아파트 | 이조ㆍ입실ㆍ(구)모화역 | 5회 |
2. 2. 시내버스
경주시 전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시민들의 일상적인 이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1 | 어일 ↔ 어일 | 장항, 범곡 / 권이리, 무점 | ||
2 | 산내정류장 ↔ 산내정류장 | 외칠리, 옻밭, 신원 / 내일리, 국민청소년수련마을, 서편, 시다, 태종 / 감산회관 | 장날일 때 10회, 그 외에는 5회 | |
15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보문마을 | 중앙시장, 구 경주역, 월성동, 선덕여고, 분황사, 진평왕릉 | 3회 | 18번, 607번, 16번 노선 차량 1회 운행, 첫차는 보문마을발 편도 운행 |
16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손곡동 | 중앙시장, 구 경주역, 월성동, 선덕여고, 분황사, 보문단지, 경주월드, 신라밀레니엄파크 | 3회 | 평일 아동 1회, 선덕여고 통근 1회 운행, 물천리 매일 1회 운행 |
20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안강정류장 | 구 경주역, 황성공원, 강동, 양동입구, 안강시외버스터미널, 산대, 육통 | 일 5회 | |
203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옥산서원 | 구 경주역, 황성공원, 강동, 양동마을, 안강정류장 | 일 10회 | 일반, 좌석 겸용 |
206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안강(두류) | 황성공원, 강동, 양동입구, 안강정류장 | 6회 | |
21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산대리 우방, 한동아파트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금장, 청령리, 사방리, 안강역 | 30분 | 입석 7대 |
212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근계리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강동, 양동입구, 안강정류장 | 일 6회 | 8시 20분에 위덕대 경유 |
217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왕신리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안강시외버스터미널, 강동, 왕신 | 일 5회 | 3월 ~ 5월 31일까지 위덕대 운행 |
222 | 안강정류장 → 안강정류장 | 육통, 우방아파트 | 5회 | rowspan=3| |
한동아파트, 우방아파트 | ||||
강동, 위덕대학교 | ||||
23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남사리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금장, 서경주역, 디자인고등학교, 가정리 | 26회 | |
23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내태리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금장, 서경주역, 가정리, 무과리 | 일 8회 | |
232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나원리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금장 | 일 9.5회 | |
252 | 안강정류장 → 안강정류장 | 강동, 국당, 왕신, 오금 | 11회 | rowspan=3| |
대동, 사방, 검단 | ||||
달성, 다산, 사골, 양동마을 | ||||
27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신당3리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구 경주역, 황성공원, 신라공고 | 8회 | |
27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모아회관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현진에버빌 | 10회 | |
272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화산 | 구 경주역, 황성공원, 동산리 | 60 | |
273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천북(신당1)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청우아파트, 현진에버빌 | 10회 | |
275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천북(성지)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현진에버빌, 동산리, 갈곡리 | 8회 | |
276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동산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현진에버빌, 동산리 | 8회 | |
277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천북(물천) | 성동시장 동편, 황성공원, 현진에버빌, 동산리, 덕산리 | 9회 | |
301 | 성동시장 동편 ↔ 아화역 | 성동시장 동편, 경주고속버스터미널, 충효동, 모량리, 건천, 운대리, 사라리, 아화역 | 14회 | |
305 | 아화 ↔ 북안(임포) | 임포 정류장 | 3회 | 300번 3회 운행 |
334 | 성동시장 동편 ↔ 건천(방내) | 구 경주역, 서라벌대학, 경주대학교, 광명, 모량, 새마을, 중마을 | 9회 | |
335 | 성동시장 동편 ↔ 건천(용명) | 구 경주역, 서라벌대학, 경주대학교, 광명, 모량, 금척, 조전, 건천, 대곡 | 6회 | |
337 | 성동시장 동편 ↔ 건천(용명) | 구 경주역, 서라벌대학, 경주대학교, 광명, 모량, 금척, 조전, 건천, 신평, 장시 | 6회 | |
338 | 성동시장 동편 ↔ 건천(신평) | 구 경주역, 충효동, 모량리, 건천터미널, 재하, 돈지, 가척 | 6회 | |
502 | 경주시외터미널 ↔ 덕천 | 구 경주역, 대릉원, 오릉, 삼릉, 현동(편도), 덕천, 도초(편도), 오릉 이하 | 6회 | |
505 | 경주시외터미널 ↔ 박달 | 구 경주역, 대릉원, 오릉, 삼릉, 용장, 이조, (비지) | 6회 | |
507 | 경주시외터미널 ↔ 안심 구일 | 구 경주역, 대릉원, 오릉, 삼릉, 용장, 이조 | 5회 | 일부 시간때 청도 마을 경유 |
602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신계 | 구 경주역, 동방역, 도지동, 평동, 조양동, 불국사역 | 3회 | |
604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모화역 | 구 경주역, 옥룡암, 통일전, 동방역, 불국사역, 방어리, 제내리, 입실리 | 4회 | |
607, 608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구어, 608 모화 | 구 경주역, 동방역, 불국사역, 죽동리, 입실리 | 5회 | 일부 수봉정, 활성, 말방회관 |
2. 3. 좌석버스
경주시의 좌석버스는 보다 편안한 좌석을 제공하며, 장거리 이동에 적합한 노선이다.[6][7][8]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12 | 불국사 ↔ 석굴암 | 무정차 | 60 | 첫차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유 |
18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암곡동(왕산) | 구 경주역, 세무서, 소방서, 북군동, 보문단지, 경주월드 | 일 7회 | |
10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감포 | 구 경주역, 경주월드, 장항리(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어일리, 전촌리 | 25분 | |
100-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감포 (오류) | 구 경주역, 보문단지, 경주월드, 장항리(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어일리, 감은사지, 나전리, 감포 | 8회 | 여름 휴가철에만 100번 노선을 연장하여 운행 |
130 | 문무대왕면 → 문무대왕면 | 어일, 기림사 | 12회 | rowspan=4| |
어일, 송전,(죽전) | ||||
어일, 대본, 감포 | ||||
어일, 용동 | ||||
15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양남 (하서) | 분황사, 경주월드, 장항리(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어일리, 감은사지, 봉길리, 나아리 | 60 | |
150-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양남 (하서) | 분황사, 보문단지, 경주월드, 장항리(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어일리, 감은사지, 봉길리, 나아리 | 3회 | |
151 | 양남 (하서) ↔ 양남 (상라) | 읍천리, 나아리, 나산리 | 일 3회 | 154번 노선 차량이 운행 |
152 | 양남 (하서) ↔ 양남 (상계) | 관성, 수렴리, 서동리 | 일 4회 | 150번, 154번 차량이 운행 |
154 | 양남 (하서) ↔ 외동 (입실) | 환서리, 기구리, 석읍리, 효동리 | 일 10회 | |
160 | 감포 → 양남 | 나아, 대본 | 8회 | |
20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기계정류장 | 황성공원, 현진에버빌, e편한세상APT, 강동, 양동입구, 안강정류장, 노당리, 내단리 | 4회 | |
202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두류1리 | 황성공원, 강동, 양동입구, 안강정류장 | 5회 | 막차 207번으로 운행 |
205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안강 (하곡) | 황성공원, 강동, 양동입구, 안강정류장, 위덕대학교 | 5회 | 장날 일부 영천 오룡리 운행 일부 위덕대학교 경유 |
207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안강 (강교 2리) | 황성공원, 용강동, 강동, 안강정류장 | 7회 | |
208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안강 (강교 1리) | 황성공원, 용강동, 강동, 안강정류장 | 5회 | |
26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위덕대학교 | 구 경주역, 경주시청, 강동 | (평일) 일 21회, (토, 일요일, 공휴일, 방학)일 13회 | 막차(22:20)일 때 황성공원, 서라벌여자중학교, 구 경주역 |
300-1 | 성동시장 동편 ↔ 아화역 | 성동시장 동편, 무열왕릉, 율동, 모량리, 건천, 아화역 | 5회 | 2회 천촌 경유 1회 임포 경유 |
302 | 성동시장 동편 ↔ 아화역 | 성동시장 동편, 무열왕릉, 모량리, 건천, 아화역 | 6회 | 4회 도계 경유 |
303 | 성동시장 동편 ↔ 도리 | 구 경주역, 충효동, 모량리, 건천, 아화리, 심곡리, 아화역 | 6회 | |
330 | 성동시장 동편 ↔ 화곡,망성 | 무열왕릉, 율동, 망성리, 화곡리, (덕천리) | 9회 | |
332 | 성동시장 동편 ↔ 학동 비지 | 구 경주역, 충효동, 경주대학교, 광명 | 9회 | |
350 | 성동시장 동편 ↔ 산내정류장 | 구 경주역,성동시장, 충효동, 경주대학교, 건천 | 30-50 | |
351 | 성동시장 동편 ↔ 우라 | 성동시장, 충효동, 경주대학교, 건천, 산내정류장 | 5회 | |
352 | 성동시장 동편 ↔ 일부 | 구 경주역,성동시장, 충효동, 경주대학교, 건천, 산내정류장 | 6회 | |
355 | 성동시장 동편 ↔ 언양터미널 | 구 경주역,성동시장, 충효동, 경주대학교, 건천, 산내, 대현, 궁근정, 상북면주민센터 | 4회 | |
50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봉계 | 구 경주역, 대릉원, 오릉후문, 삼릉, 용장, 노곡, (월산) | 30-40 | |
506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내남 (명계) | 구 경주역, 신라오릉, 탑동, 포석정, 용장리, 노곡리 | 9회 | |
508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외동 (입실) | 구 경주역, 오릉, 탑동, 포석정, 용장리, 노곡리 | 5회 | 154번 돌려쓰기 |
600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효청보건고 | 구 경주역, 동방역, 불국사역, 죽동리, 입실리, 모화역 | 13 | |
601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북토 | 구 경주역, 동방역, 도지, 불국사역,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시동 | 7회 | |
603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제네 | 구 경주역, 동방역, 불국사역, 방어리, 순지, 지초 | 7회 | |
605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석계 | 구 경주역, 동방역, 불국사역, 입실리, 모화리, 문산리 | 18회 | 일부 수봉정,활성,말방회관 / 일반 겸용. 600번돌려쓰기 |
609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녹동 | 구 경주역, 동방역, 불국사역, (구매마을, 수봉정, 활성, 말방회관), 입실리, 모화리, 석계리 | 6회 | 수봉정, 활성 3회 |
1000 | 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포항경주공항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3회 | 보문관광단지 경유 포항경주공항의 비행기 시간에 맞춰 운행 |
2. 4. 순환버스
경주시의 순환버스는 경주시 내 주요 지점들을 연결하여 관광객과 시민들에게 편리한 교통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경주역, 경주시외버스터미널, 불국사, 보문단지 등 주요 관광지와 시내 중심지를 순환하는 노선들이 운행되고 있다.10번, 11번 버스는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불국사와 보문단지 등을 순환하며, 각각 외선순환, 내선순환으로 운행된다. 31번 버스는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앙시장, 대릉원, 구 경주역 등을 거쳐 외선순환한다. 40번, 41번 버스는 문화고등학교에서 출발하여 충효동, 동국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50번, 51번 버스는 경주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성건동 등을 순환한다. 60번, 61번 버스는 경주역에서 무열왕릉, 대릉원, 첨성대 등을 지난다. 70번 버스는 경주역과 신경주대학교, 경주시청 등을 연결한다.
700번 버스는 경주역과 감포를 왕복하며, 동궁과월지, 분황사, 불국사 등을 경유한다. 710번, 711번 버스는 경주역에서 출발하여 각각 보문단지와 통일전, 불국사 방면으로 운행한다.
3. 인접 시·군 노선
경주시는 울산, 포항, 영천과 인접해 있으며, 각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인접 지역과의 대중교통 연계는 지역 간 교류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증진시킨다.
3. 1. 울산광역시
3. 2. 포항시
3. 3. 영천시
4. 버스 요금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일반형과 좌석형으로 구분되며, 요금은 연령에 따라 다르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1,700 | 1,6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300 | 1,2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850 | 800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300 | 1,2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000 | 9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00 | 650 |
단일요금제이다.
2016년 1월 21일부터 무료환승 제도가 도입되었다.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하차 후 30분 이내 다른 노선의 버스로 갈아탈 경우 1회에 한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현금 승차 또는 동일 노선은 무료 환승에서 제외되며, 여러 명 환승 시 카드 소지자 1인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1인 1카드 사용) 인접 지역인 포항시의 시내버스, 영천시의 시내버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와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4. 1. 환승 제도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2016년 1월 21일부터 무료환승 제도가 도입되었다.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하차 후 30분 이내 다른 노선의 버스로 갈아탈 경우 1회에 한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현금 승차 또는 동일 노선은 무료 환승에서 제외되며, 여러 명 환승 시 카드 소지자 1인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1인 1카드 사용) 인접 지역인 포항시의 시내버스, 영천시의 시내버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와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5. 사진
참조
[1]
문서
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2]
문서
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3]
문서
보조금 및 언양운행
[4]
문서
보조금 및 오룡리.임포운행
[5]
웹사이트
경주시청 홈페이지 열린시장실 공약추진현황, 경주시 새올전자민원창구 관련답변 참조
[6]
문서
KCC스위첸→현진에버빌→광중마을→우리마트→용강동 대성주유소→황성공원→구 경주역→팔우정→국립경주박물관→코아루 APT→불국사
[7]
문서
(8:40,13:00,17:30)
[8]
문서
시다.태종 1회 운행(7:30) 언양은 3회 운행(10:40,14:00,18:10)
[9]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