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꽝찌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꽝찌성은 베트남 중북부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참파인, 중국, 베트남의 영향을 받았다. 베트남 전쟁 당시 비무장 지대가 위치하여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지뢰 제거 작업이 진행 중이다. 꽝찌성은 1개의 시와 1개의 시사, 8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 약 63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국도 1A, 국도 9호선, 베트남 남북선 철도가 있으며, 관광 명소로는 호찌민 트레일, 꽝찌 성채, 빈목 터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꽝찌성 - 동하
    동하는 베트남 꽝찌성의 도시로, 과거 참파 왕국 영토이자 베트남 전쟁 당시 미 해병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현재 DMZ 투어의 주요 방문지이고, 열대 계절풍 기후를 가진다.
  • 베트남 북중부 지방 - 하띤성
    하띤성은 베트남 북중부에 위치하며 라오스와 국경을 접하고,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자원을 가진 곳으로 농업, 임업, 수산업이 주요 산업이나 붕앙 항을 중심으로 산업 개발이 진행 중이며, 환경 문제와 지방 정부 운영의 효율성 문제가 남아있는 응웬 듀를 비롯한 저명한 인물들의 고향이다.
  • 베트남 북중부 지방 - 트어티엔후에성
    트어티엔후에성은 베트남 중부에 위치하여 톤킨 만, 꽝찌성, 꽝남성과 다낭, 라오스와 접경하며, 고대부터 참파 왕국과 응우옌 왕조의 중심지였고 후에 학살과 베트남 전쟁을 겪었으나 후에 기념물 단지를 포함한 문화유산과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 꽝찌성의 지리 - 벤하이강
    벤하이강은 안남산맥에서 발원하여 남중국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군사 분계선 역할을 했고, 히엔르엉교가 이 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 꽝찌성의 지리 - 찌에우퐁현
    찌에우퐁현은 베트남 꽝찌성 남동쪽에 위치하며, 언덕, 평원, 해안 모래 지역으로 이루어져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1개의 타운과 17개의 코뮌으로 구성되어 있다.
꽝찌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꽝찌성 베트남 지도
꽝찌성의 베트남 내 위치
별칭지배하의 평온
국가베트남
지역북중부 해안
수도동하
면적4,701.23 km²
인구754,200명 (2023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민족 구성베트남인
브루족
호아족
타오이족
GDP27조 4940억 VND (11억 9400만 USD)
인간 개발 지수 (HDI)0.694 (2020년)
시간대ICT
UTC 오프셋+7
지역 번호233
ISO 코드VN-25
공식 웹사이트꽝찌성 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모음
깜로 사원
라방 대성당 종탑
꽝찌 고대 성벽
꽝찌 고대 성벽
꽝찌 고대 성벽
탁한 다리
자오브 동상
세 그루 반얀 나무 기념비
끄어뚱 해변
라방 성모상
띤꽝 사원
라오바오 국경 검문소
벤하이 강
히엔르엉 다리
빈목 터널
벤하이 강
빈목 어촌 마을
조국 통일 염원 기념비
정치
지리
위치후에에서 약 75km 거리

2. 역사

1909년 꽝찌성 지도


1913년 꽝찌 성채 그림


1967년 가을, 남쪽에서 바라본 꽝찌 성채와 꽝찌 시 일부


꽝찌성은 선사시대부터 참파의 영역이었으며, 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참족들이 거주했다. 기원전 3세기 말, 중국 진나라가 이 지역을 정복하여 일남군을 통해 통치했다. 2세기 참족의 반란으로 중국 지배가 종식되었고, 14~15세기에는 베트남 군대에 의해 참족이 패배하면서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후 1874년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1887년 프랑스 인도차이나안남 보호국의 일부가 되었다.

1954년 베트남 분단 이후 베트남 공화국의 최북단 지방이 되었으며, 베트남 비무장지대가 이 성에 위치했다. 1964년부터 미군 기지가 집중되었고, 1966년에는 북베트남군의 공격을 받았다. 꽝찌시는 1967년과 1968년에 걸쳐 격전지가 되었으며, 케산 전투를 비롯한 주요 전투가 벌어졌다. 1972년 북베트남의 공세로 꽝찌시가 함락되기도 했으나, 남베트남의 반격으로 탈환되었다.

1975년 북베트남이 남부를 점령하고 1976년 베트남이 통일된 이후, 꽝찌성에는 전쟁의 상흔이 깊게 남았다. 2000년에는 클리어 패스 인터내셔널(CPI)이 대규모 불발탄 제거 작업을 진행했고, 1999년부터는 지뢰자문그룹(MAG International)이 지뢰 제거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뿌리 오브 피스[12]는 MAG와 협력하여 지역 재건과 농업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2. 1. 선사 시대와 고대

선사시대 직전, 꽝찌성과 베트남 중부 저지대 전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하고 북쪽 홍강 유역의 베트남인들과 문화적으로 다른 참족(참파인)들이 거주했다. 기원전 3세기 말, 중국 진나라는 현재 중부 베트남 일부를 정복하여 수 세기 동안 일남군을 통해 지역 원주민들을 통치했다. 2세기, 참족의 반란으로 중국의 지배가 무너지고 지역 정부가 재건되었다.[4] 14세기와 15세기부터 베트남 군대는 이 지역에서 참족을 패배시켰고, 베트남계 민족은 도망치지 않은 참족들을 점차 대체하거나 흡수, 동화시켰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역에는 독특한 베트남 방언과 문화 하위 집단이 발전했다.

2. 2. 중세와 근대

참파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하며, 홍강을 따라 북쪽으로 베트남인과 문화적으로 구별되는 꽝찌의 저지대와 베트남 중부 전체를 점령하였다. 진은 기원전 3세기 말에 현재의 중부 베트남의 일부를 정복했고, 수세기 동안 지방 행정 구역이었던 일남군을 통해 이 지역의 토착민들을 관리했다. 2세기에 참족의 반란으로 중국의 지배가 전복되고 지방 정부가 다시 세워졌다.[9]

14, 15세기부터 참족은 베트남군에 의해 이 지역에서 패배하였고, 베트남 민족은 도망치지 않은 참족들을 점차 추방하거나 흡수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지역에서 뚜렷한 베트남의 지방적이고, 문화적인 하위 집단으로 발전했다. 그 지역은 1874년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1887년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즉 안남 보호령의 일부가 되었다.

2. 3. 베트남 전쟁과 통일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할되자, 꽝찌성은 베트남국베트남 공화국의 최북단 성이 되었다. 베트남 비무장지대가 이 성에 위치했다. 1964년부터, 특히 1966년 10월 미 해병대 제3해병사단이 비무장지대 남쪽 기지로 이동한 후, 이 성은 점차 미군 기지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6년, 북베트남군(PAVN)도 북부 지역을 점령하고 성 내부로 더 깊이 진격하기 시작했다. 성도인 꽝찌 시는 1967년 4월 공산군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령당했고, 1968년 테트 공세 동안 다시 북베트남군에 의해 점령되어 짧은 기간 동안 점령된 후 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군에 의해 탈환되는 주요 전투 지역이 되었다.[5][6]

케산 전투(1968)는 북베트남이 꽝찌성 전체를 점령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1968년 7월 케산에서 철수한 후, 북베트남은 성 전체를 점령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1972년 북베트남 공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꽝찌를 점령한 것이었지만(꽝찌 제1차 전투), 1972년 6월부터 9월까지 남베트남 반격 작전(꽝찌 제2차 전투) 동안 얻은 영토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1975년, 공산주의 북베트남군이 남부를 장악했고, 1976년 베트남은 통일되었다.

2. 4. 전후 복구와 발전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할되자, 꽝찌성은 베트남국베트남 공화국의 최북단 성이 되었다. 베트남 비무장지대가 이 성에 위치했다. 1964년부터, 특히 1966년 10월 3해병사단이 비무장지대 남쪽 기지로 이동한 후, 이 성은 점차 미군 기지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6년, 북베트남군(PAVN)도 북부 지역을 점령하고 성 내부로 더 깊이 진격하기 시작했다. 성의 수도인 꽝찌 시는 1967년 4월 공산군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령당했고, 1968년 테트 공세 동안 다시 북베트남군에 의해 점령되어 짧은 기간 동안 점령된 후 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군에 의해 탈환되는 주요 전투 지역이 되었다.[5][6]

케산 전투(1968)는 북베트남이 꽝찌성 전체를 점령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1968년 7월 케산에서 철수한 후, 북베트남은 성 전체를 점령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1972년 북베트남 공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꽝찌를 점령한 것이었지만(꽝찌 제1차 전투), 1972년 6월부터 9월까지 남베트남 반격 작전(꽝찌 제2차 전투) 동안 얻은 영토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1975년, 공산주의 북베트남군이 남부를 장악했고, 1976년에 베트남은 통일되었다.

2000년, 클리어 패스 인터내셔널(CPI)은 당시 베트남 역사상 가장 큰 불발탄(UXO) 제거 노력이었던 꽝찌성에 남아 있던 미국의 불발탄을 제거했다. 1999년부터 지뢰자문그룹(MAG International)은 꽝찌와 인근 꽝빈성에서 운영을 유지해 왔으며,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민간인이 운영하는 지뢰 제거 및 UXO 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뢰 제거 지역의 재건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으며, 뿌리 오브 피스[7]는 MAG와 함께 지뢰 제거-재식재 모델로 작업하여 지역을 정리하고 지역 농민들과 함께 고부가가치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3. 지리

꽝찌성은 베트남 중북부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꽝빈성, 남쪽으로는 트어티엔후에성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라오스의 사반나케트주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는 75km 길이의 해안선이 펼쳐져 있다.

방위지역
북쪽꽝빈성
남쪽트어티엔후에성
서쪽라오스 사반나케트주
동쪽동해 (75km 해안선)



3. 1. 지형

베트남의 중북부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꽝빈성, 남쪽으로는 트어티엔후에성과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라오스의 사반나케트주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75km에 이르는 해안선이 있다. 좁은 산록 해안 평원을 제외하면 지형은 언덕과 안남산맥이 지배하고 있다.

가파른 비탈과 날카로운 산마루, 좁은 계곡으로 특징지어지는 고지대는 주로 울창한 활엽 상록수 숲으로 덮여 있다. 봉우리의 높이는 대부분 1200m에서 2100m에 이르지만 일부는 2400m를 넘어서기도 한다. 동쪽의 고지를 끼고 있는 좁은 해안 평야는 바위투성이의 곶을 가지고 있으며 모래언덕과 토양이 적합한 지역의 논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원의 유역 분수계에 해당하는 산봉오리에서, 시냇물은 동해를 향해 동쪽 또는 라오스나 캄보디아 방향인 서쪽으로 흐른다. 동쪽으로 흐르는 이 물들은 바위 밑 깊은 골짜기를 지나 해안 평원에 도달할 때까지 짧은 경로를 흘러간다. 서쪽으로 흐르는 시냇물은 더 긴 흔적을 따르는데, 때로는 계절에 따라 홍수가 날 수 있는 깊은 협곡을 통해 흐른다.

벤하이강안남산맥에서 발원하며, 북위 17도 부근을 대략 동쪽 방향으로 흐르고, 동해로 직접 빠져 나간다. 길이는 약 100km에 이르며, 폭은 넓은 곳에서는 약 200m에 달한다. 하구는 꽝찌성 졸린현찌에우퐁현을 가르는 경계가 된다.

날씨는 광범위한 기온과 강우량을 특징으로 하며, 남서 몬순(5~9월)에는 덥고 건조한 남서풍이 불고, 장마철(11~3월 중순)에는 훨씬 시원하고 습한 날씨를 보인다. 연평균기온은 24°C지만 장마철에는 기온이 7°C까지 떨어질 수 있다.

3. 2. 수계

안남산맥에서 발원하여 대체로 동쪽으로 흐르는 벤하이강은 북위 17도선 근처에서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강 길이는 약 100km이며, 넓은 곳은 폭이 약 200m에 달한다. 벤하이강 하구는 꽝찌성 졸린현찌에우퐁현의 경계선이 된다.[1]

고원의 유역 분수계에 해당하는 산봉우리에서, 시냇물은 동해를 향해 동쪽 또는 라오스캄보디아 방향인 서쪽으로 흐른다. 동쪽으로 흐르는 이 물들은 바위 밑 깊은 골짜기를 지나 해안 평원에 도달할 때까지 짧은 경로를 흘러간다. 서쪽으로 흐르는 시냇물은 더 긴 흔적을 따르는데, 때로는 계절에 따라 홍수가 날 수 있는 깊은 협곡을 통해 흐른다.[1]

3. 3. 기후

날씨는 광범위한 기온과 강우량을 특징으로 하며, 남서 몬순(5~9월)에는 덥고 건조한 남서풍이 불고, 장마철(11~3월 중순)에는 훨씬 시원하고 습한 날씨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4°C지만 장마철에는 기온이 7°C까지 떨어질 수 있다.

4. 행정 구역

꽝찌성은 1개의 시, 1개의 시사, 8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하시의 시내 정경


명칭베트남어한자
깜로현Huyện Cam Lộ甘露縣
꼰꼬현Huyện Cồn Cỏ𡑱𦹵縣
다끄롱현Huyện Đa Krông-
졸린현Huyện Gio Linh由靈縣
하일랑현Huyện Hải Lăng海陵縣
흐엉호아현Huyện Hướng Hóa向化縣
찌에우퐁현Huyện Triệu Phong肇豐縣
빈린현Huyện Vĩnh Linh永靈縣


5. 인구 통계

2019년 4월 1일 기준, 꽝찌성의 인구는 632,375명이다. 성별로는 여성이 50.4%, 남성이 49.6%를 차지하며, 연령대별로는 0~59세까지 약 90.9%로 젊은 인구 구조를 보인다. 특히 15세 미만 인구가 37.9%를 차지한다.[13]

5. 1. 인구 분포

2019년 4월 1일 기준 꽝찌성의 인구는 632,375명이다. 꽝찌성 전체는 136,743 가구로 가구당 평균 4.4명의 인구를 가진다. 도시 인구는 195,413명으로 30.9%를 차지한다. 자연 인구 증가율은 0.55명 증가했다. 꽝찌성 전역의 인구는 연평균 5,000~6,000명씩 증가한다. 꽝찌성은 또한 거의 7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북중앙 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지방이다.

성별 인구는 여성이 50.4%, 남성이 49.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대별로는 0~59세까지 약 90.9%가 젊은 인구 구조를 보인다. 특히 15세 미만 인구가 37.9%를 차지하고 있다. 꽝찌성의 인구 밀도는 126.7명/km2로 전국 다른 성과 도시에 비해 낮다. 인구는 지역 간에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꽝찌와 같은 도시, 시사, 현에 집중되어 있다. 꽝찌성 평균이 308명/km2이지만, 동하시사는 1157명/km2으로 가장 많고, 다끄롱현은 29명/km2으로 가장 적으며, 흐엉호아현은 64명/km2이다. 지역간 인구 분포가 고르지 않은 것은 교통, 전기, 수도, 관개, 학교, 보건소 건설에 큰 영향을 미친다.[13]

2019년 4월 1일 기준 꽝찌성의 종교인은 86,363명이다. 불교가 52,881명, 천주교가 25,720명, 개신교 신자가 7,750명이다. 신흥 종교는 베트남 순수불교와 같은 나머지 종교는 5명으로 각각 이슬람교, 호아하오교, 히에우응이어(好義道) 각 종교는 1명뿐이다.[13]

5. 2. 종교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꽝찌성에 있는 종교인 수는 86,363명이다. 이 중 불교 신자가 52,881명으로 가장 많고, 천주교 신자는 25,720명, 개신교 신자는 7,750명이다. 베트남 순수불교를 비롯한 나머지 신흥 종교 신자는 5명이며, 이슬람교, 호아하오교, 히에우응이어(好義道)는 각각 1명씩이다.[13]

6. 교통

꽝찌성에는 남북으로 국도 1A가 통과한다. 베트남-라오스 도로도 꽝찌성의 서남쪽을 통과하며, 국도 1A와 분기점이 있다. 베트남 남북선 철도는 꽝찌성을 경유한다.

꽝찌 공항은 동하시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다. 2015년부터 운항할 예정이었지만[14][15][16], 계획이 지연되어 2020년으로 미뤄졌다.

7. 관광

빈목 터널


끄어뚱 해변


베트남 전쟁 시기 꽝찌성은 미군의 폭격을 가장 많이 당한 지역이었다. 오늘날 꽝찌성에는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많은 장소, 역사적 기념물이 있어 관광 잠재력이 크다.

  • '''호찌민 트레일'''(호찌민 루트):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군이 남베트남을 공격하기 위해 라오스캄보디아 영토를 경유하여 병력과 군수품을 이동시키던 경로이다.
  • '''꽝찌성'''(특별 국가 유적지): 꽝찌 시사 중심부에 있다. 자롱 황제 통치 기록에 따르면, 띠엔끼엔방으로 건설되었다. 원래 토성이었으나, 1837년 민망 황제 통치기에 벽돌로 다시 지었다. 1972년 부활절 공세 때 치열한 전장이었다.
  • '''쯔엉선 묘지''': 호찌민 트레일에서 사망한 베트콩 전사들의 묘지로, 주로 현지인들이 찾는다.
  • '''빈목 터널''': 구찌 터널과 함께 가장 유명한 지하 땅굴 중 하나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이 가장 많은 폭격을 퍼부었던 꽝찌성에서, 현지 주민들이 폭격을 피해 지하 30m에 구축했다.
  • '''끄어뚱 해변''': 빈린현 끄어뚱 시진에 있는 해변이다.
  • '''끄어비엣 항구''': 졸린현 끄어비엣 시진에 있는 항구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의 주요 보급항이었으며,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를 따라 발전 가능성이 크다. 베트남, 라오스, 태국 간 상품 운송에 편리하다. 베트남 국영 조선 그룹 비나신이 소유를 이전받아, 중앙의 주요 항구 연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8. 비정부기구 (NGO)

2017년 11월을 기준으로, 많은 비정부기구(NGO)들이 꽝찌성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이 집중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전쟁 잔류 폭발물(ERW)이다. 다음은 꽝찌성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NGO 목록이다.


  • 클리어 패스 인터내셔널(CPI) (Clear Path International)
  • 지뢰행동그룹(MAG) (Mines Advisory Group)
  • 피스트리스 베트남(PTVN) (PeaceTrees Vietnam) http://www.peacetreesvietnam.org
  • 프로젝트 리뉴(Project RENEW) ("전쟁의 영향을 중화하고 환경을 복원")(Restoring the Environment and Neutralizing the Effects of the War)
  • 평화의 뿌리[8](RoP) (Roots of Peace)

참조

[1] Decision Biểu số 4.3: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Bắc Trung Bộ và Duyên hải miền Trung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Quảng Trị năm 2018 http://www.mpi.gov.v[...] 2020-05-10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4] 웹사이트 South Vietnam under the Later Han Dynasty http://www.anu.edu.a[...] 1989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6-16
[6] 웹사이트 History of Quảng Trị https://web.archive.[...] History.army.mil 2013-02-06
[7] 웹사이트 Sustainable Horticulture and Agriculture Development Project (SHADE) | Roots of Peace https://web.archive.[...] 2013-01-21
[8] 웹사이트 Vietnam - Roots of Peace http://rootsofpeace.[...]
[9] 웹사이트 South Vietnam under the Later Han Dynasty http://www.anu.edu.a[...] 1989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istory.a[...] 2020-03-04
[11] 웹인용 History of Quảng Trị https://web.archive.[...] History.army.mil 2013-02-06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0-03-04
[13] 간행물 2009년 인구 조사 http://www.gso.gov.v[...] 베트남 통계청
[14] 웹인용 Quảng Trị: 374 tỷ đồng mở cảng HK sân bay Quảng Trị http://www.giaothong[...] Ministry of Transport
[15] 웹인용 Xác định vị trí quy hoạch sân bay Quảng Trị http://www.giaothong[...] Ministry of Transport
[16] 웹인용 375 billion dong airport to be built in central province – Quang Tri http://www.vnbusi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