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남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존속된 군(郡)이다. 현재의 베트남 중부에 위치했으며, 전한 시대에는 교지자사부에 속했다. 신나라 때는 일남정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나 후한 시대에 일남군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후한 말에는 구연의 반란으로 림읍이 건국되었고, 이후 오나라, 서진, 수나라 등을 거치며 명칭과 관할 지역에 변화를 겪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환주로 개칭되면서 일남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파 - 참파 예술
    참파 예술은 베트남 중부에 위치했던 참파 왕국의 시각 예술로,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붉은 벽돌 사원, 사암 조각상, 부조 조각 등을 포함하며 미선 유적, 도반, 포나가르 사원, 포 클롱 가라이 등이 주요 유적지이다.
  • 참파 - 비자야 (참파)
    비자야는 참파 왕국의 중요 도시로, 대월, 앙코르, 원나라 등의 침략을 받았으며 1471년 대월에 의해 멸망했고, 비옥한 꼰강 유역에 위치하여 농업과 무역이 발달했으며, 독특한 건축 양식과 즈엉롱 탑 등의 유적이 빈딘성에 남아있다.
  • 동오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동오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일남군
기본 정보
설치기원전 111년
상황758년 개칭
역사
진나라상군
서한일남군
신나라일남정
동한일남군
삼국 시대일남군
서진일남군
동진일남군
남북조 시대일남군
린이에 의한 점령
수나라환주
일남군
당나라남덕주
덕주
환주
일남군
환주

2. 전한

진나라 시대에 상군으로 지정되었으나, 진나라 말기의 혼란으로 조타남월을 건국하면서 이 지역을 지배했다. 전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전한이 남월을 멸망시키자 그 판도에 남해, 창오, 울림, 합포, 교지, 구진, '''일남''', 주애, 담이의 9군을 설치하고, 교주의 관할 하에 두었다. 마원의 남정 후에 象林县|상림현중국어이 추가 설치되었고, 1만 4천여 호, 인구 6만 9천 명을 보유했다. 신나라가 건립되자 일시적으로 '''일남정'''으로 개칭되었지만, 후한에 의해 일남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5] 한나라의 지배에 대한 반란이 잇따랐고, 많은 관청이 방화되는 등 혼란이 자주 발생했다.[8]

2. 1. 속현

교지자사부에 속했다. 작은 강이 16개 있어 함께 3180리를 간다.[12]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460호, 69,485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3][12]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5현이다. 치소는 주오현, 서권현 두 설이 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주오현朱吾縣베트남 꽝빈 성 경내
비경현比景縣베트남 꽝빈 성 경내
노용현盧容縣베트남 투아티엔후에 성 후에
서권현西捲縣베트남 꽝찌 성 동하강이 바다로 들어가고, 대나무가 있어 지팡이를 만들 만하다.
상림현象林縣베트남 꽝남 성 호이안 남서


3. 신

전한
서권일남정(日南亭)



신나라가 건립되자 일시적으로 '''일남정'''으로 개칭되었지만, 후한에 의해 일남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5]

4. 후한

43년 쯩 자매의 반란을 마원이 진압하였다.[5] 이후에도 한나라의 지배에 대한 반란이 잇따랐고, 많은 관청이 방화되는 등 혼란이 자주 발생했다.[8] 후한 말 초평 3년(서기 192년[9]), 구연이 상림현에서 대규모 반란을 일으켜 '''림읍'''을 건국했다.

오나라 시대에는 노용현이, 남조 양나라 시대에는 일남군 전역이 림읍에 점령되었다.

4. 1. 속현

낙양에서 남으로 30,400리 거리에 있다. 5개 성, 18,263호, 100,676명을 거느렸다. 후한 말 상림현에서 토착민들이 현령을 죽이는 반란을 일으키고 일남군 일대에 참파를 세우면서 행정력을 크게 상실하였다. 43년 쯩 자매가 반란을 일으키자 마원이 내려가서 진압했다.

일남군의 속현
현명(한자)현명(한글)비고
西卷縣서권현전한대 서권현(西捲縣)이다.
朱吾縣주오현
盧容縣노용현
象林縣상림현
比景縣비경현


5. 육조

진나라 때 상군으로 지정되었으나, 진나라 말기의 혼란기에 조타남월을 건국하면서 이 지역을 지배했다. 원정 6년(기원전 111년), 전한이 남월을 멸망시키자 남해, 창오, 울림, 합포, 교지, 구진, '''일남''', 주애, 담이의 9군을 설치하고, 교주의 관할 하에 두었다. 당시 일남군은 주오, 비경, 노용, 서권의 4현을 관할했다.[5][6] 마원의 남정 후에 상림이 추가 설치[7]되었고, 1만 4천여 호, 인구 6만 9천 명을 보유했다. 신나라 건립 후 '''일남정'''으로 개칭되었지만, 후한에 의해 일남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5] 한나라의 지배에 대한 반란이 잇따랐고, 많은 관청이 방화되는 등 혼란이 자주 발생했다.[8] 후한 말 초평 3년(서기 192년[9]), 구연의 반란으로 상림을 지배하에 두고 '''림읍'''을 건국했다.

오나라 시대에는 노용이 림읍에 의해 점령되었고, 남조 양나라 시대에는 일남군 전역이 림읍에 점령되었다.

수나라 대업 원년(605년), 유방이 림읍으로 원정하여 일남군의 옛 땅을 탈환하고, 탕주, 농주, 충주의 3주를 두었다. 대업 3년(607년), 환주(진나라의 구덕군)가 일남군으로 개칭되었다. 일남군은 구덕, 함환, 포양, 월상, 금녕, 교곡, 안원, 광안의 8현을 관할했다.[10]

당나라 무덕 5년(622년), 남덕주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무덕 8년(625년), 덕주로 개칭되었다. 정관 원년(627년), 환주로 개칭되었다. 정관 2년(628년), 환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천보 원년(742년), 환주는 일남군으로 개칭되었다. 건원 원년(758년), 일남군은 환주로 개칭되어 일남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1]

5. 1. 손오

일남군은 교주에 속해 있었으며, 사섭이 통치했지만 실제로는 손오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므로 최종 군주는 손권이었다.

이곳에서 곽마가 반란을 일으키자 손호는 겁을 먹고 사마염에게 항복하여 손오는 멸망했다.[8]

5. 2. 서진

西晉중국어 시기인 282년(태강 3년), 참파에게서 군역을 수복하여 일남군을 재설치하였다. 당시 일남군은 5개 현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600호를 다스리는 매우 작은 군이었다.[14]

서진 시기 일남군의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象林縣상림현미상가장 남쪽에 위치. 현 남쪽에 4개의 국가가 존재. 동주가 있으며, 금을 세금으로 바침.
盧容縣노용현상군의 치소.
朱吾縣주오현
西卷縣서권현
比景縣비경현
壽泠縣수령현289년(태강 10년) 서권현에서 신설.[15]
無勞縣무로현사마염 치세에 비경현에서 신설.


5. 3. 속현

태강 3년(282년), 참파에게서 군역을 수복해 재설치하였다. 5현임에도 600호를 다스리는 매우 작은 군이었다.[14]

일남군 속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象林縣상림현미상가장 남쪽에 있었다. 현 남쪽에 4개의 국가가 존재했다. 동주(銅柱)가 있었으며, 금을 세금으로 바쳤다.
盧容縣노용현상군의 치소였다.
朱吾縣주오현
西卷縣서권현
比景縣비경현
壽泠縣수령현태강 10년(289년) 서권현에서 신설되었다.[15]
無勞縣무로현사마염 치세에 비경현에서 신설되었다.


  • 주우
  • 비징
  • 시줜
  • 루롱(Lô Dung)
  • 샹린(Tượng Lâm)

5. 4. 유송, 남제

유송 시기 일남군 (7현 402호)
현명직위비고
서권현현령
노용현현령
상림현현령
수령현현령
주오현현령
무로현현장
비경현현장



남제 시기에도 현의 변동은 없었다.


  • 주우
  • 비징
  • 시줜
  • 루롱 (Lô Dung|노융vi)
  • 샹린 (상림)

5. 5. 속현

일남군의 속현
현명직위비고
서권현현령
노용현현령
상림현현령
수령현현령
주오현현령
무로현현장
비경현현장



제에서 변화가 없었다.

5. 6. 남량, 남진

남량에서 덕주로 소속을 바꾸었다.

6. 수

605년(대업 원년) 참파를 정벌한 이후 군역을 수복했다.

8현 9,915호를 거느렸다.[16]

현명가구 수
주우9,915호
비징
시줜
루롱
샹린



수나라 대업 원년(605년), 유방이 림읍으로 원정하여 일남군의 옛 땅을 탈환하고, 탕주( 탕주|比景郡중국어), 농주(농주|海阴郡중국어), 충주(충주|林邑郡중국어)의 3주를 두었다. 대업 3년(607년), 환주(진나라의 구덕군)가 일남군으로 개칭되었다. 일남군은 구덕(구덕|九德縣중국어), 함환(함환|咸驩縣중국어), 포양, 월상, 금녕, 교곡, 안원, 광안의 8현을 관할했다.[10]

7. 태수

이름시기
주우
비징
시줜
루롱 (루롱)
샹린 (샹린)


7. 1. 전한

7. 2. 후한


  • 이선 (명제 시기)
  • 사사(士賜, 환제 시기)
  • 우국(虞國, 후한 말기)
  • 우흠(虞欽, 후한 말기?)
  • 주우
  • 비징
  • 시줜
  • 루롱 (Lô Dung)
  • 샹린 (Tượng Lâm)

7. 3. 동오


  • 황개 (대제 시기)
  • 주우
  • 비징
  • 시줜
  • 루롱
  • 샹린 (Tượng Lâm)

참조

[1] GoogleBook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 서적 Through the Jade Gate to Rome: A Study of the Silk Routes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1st to 2nd Centuries CE BookSurge (Charleston) 2009
[3] 간행물 Cochinchina: Reassessment of the Origin and Use of a Westernized Place Name http://www.thewriter[...] The Writers Post 2007-01
[4] 서적 太平御覧
[5] 위키문헌 『漢書』地理志下
[6] 위키문헌 『宋書』州郡志四
[7] 위키문헌 『南史』夷貊伝上
[8] 위키문헌 『後漢書』南蛮西南夷列伝
[9] 문서
[10] 서적 『隋書』地理志下
[11] 서적 『旧唐書』地理志二
[1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3] 서적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
[14] 서적 진서-권15 https://zh.wikisourc[...]
[15] 서적 송서-권38 https://zh.wikisourc[...]
[16] 서적 수서-권31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