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녹탈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녹탈릭은 그린란드 최남단에 위치한 도시로, 노르드인과 이누이트가 정착했던 지역 중 하나이다. 1797년 상인들에 의해 무역 거점이 세워졌으며, 1830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래브라도 해 연안의 나녹탈릭 섬에 위치하며, 툰드라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은 게잡이, 물개 사냥, 소형 보트 낚시이며, 나녹탈릭 헬리포트를 통해 그린란드 내 다른 지역 및 유럽과 연결된다.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란드의 도시 - 카나크
    카나크는 그린란드 최북단의 가장 큰 정착지로 잉글필드 만 북쪽에 위치하며 툰드라 기후를 띠고, 1953년 강제 이주된 주민들에 의해 건설되어 이누이트 문화와 서구 문화가 공존한다.
  • 그린란드의 도시 - 누크
    그린란드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누크는 남서부 해안에 위치하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지형과 자연환경, 교육 및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나녹탈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브네프옐데트 근처에서 바라본 겨울의 나노르탈리크 풍경
라브네프옐데트 근처에서 바라본 겨울의 나노르탈리크 풍경
다른 이름넨노르탈리크
위치그린란드
지방 자치체[[File:Kujalleq-coat-of-arms.svg|22px]] 쿠얄레크
시간대서부 그린란드 시간
UTC 오프셋-02:00
서머타임서부 그린란드 서머타임
서머타임 UTC 오프셋-01:00
우편 번호 유형우편 번호
우편 번호3922
인구 통계
인구 (2020년)1185명
기타 정보
웹사이트nanortalik.gl
언어 정보

2. 역사

이 지역은 노르드그린란드에서 처음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누이트가 마지막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다.[3] 1770년 넨노르탈릭(Nennortalik)으로 설립되었고,[3] 1797년 줄리아네호브 상인들에 의해 나노르탈릭에 영구적인 무역 거점이 세워졌다. 항만 시설이 좋지 않아 1830년 마을은 3km 북쪽으로 옮겨졌으며,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옛 마을 터에는 흩어진 폐허만 남아 있다.

2. 1. 초기 정착

이 지역은 위치상 노르드그린란드에서 처음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누이트가 마지막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다.[3] 1770년 넨노르탈릭(Nennortalik)으로 설립되었다.[3] 1797년, 줄리아네호브 상인들에 의해 나노르탈릭에 영구적인 무역 거점이 세워졌다. 항만 시설이 좋지 않아 1830년 마을은 3킬로미터 북쪽으로 옮겨졌고,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옛 마을 터에는 흩어진 폐허만 남아 있다.

2. 2. 무역 거점 설립

이 지역은 위치상 노르드그린란드에서 처음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누이트가 마지막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다. 1770년 넨노르탈릭(Nennortalik)으로 마을이 설립되었다.[3] 1797년, 줄리아네호브 상인들에 의해 나노르탈릭에 영구적인 무역 거점이 세워졌다. 항만 시설이 좋지 않아 1830년 마을은 3킬로미터 북쪽으로 옮겨졌고,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옛 마을 터에는 흩어진 폐허만 남아 있다.

2. 3. 도시 이전

이 지역은 위치상 노르드그린란드에서 처음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누이트가 마지막으로 정착한 지역 중 하나였다. 1770년 넨노르탈릭(Nennortalik)으로 설립되었다.[3] 1797년, 줄리아네호브 상인들에 의해 나노르탈릭에 영구적인 무역 거점이 세워졌다. 항만 시설이 좋지 않아 1830년 마을은 3킬로미터 북쪽으로 옮겨졌고,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옛 마을 터에는 흩어진 폐허만 남아 있다.

3. 지리

나노르탈릭 섬은 70km 길이의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입구 근처에 있으며, 폭이 약 10km이다. 섬에는 콰카르수아시크(Storfjeldet|큰 산da; 559m)와 콰시크(Ravnefjeldet|갈까마귀 산da; 308m)라는 두 개의 작은 산이 있다.[6]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인근에는 높은 산봉우리와 수직 절벽이 있으며, 케틸 산(1500m)과 울라메르토르수아크는 등반객들이 많이 찾는다. 라브네펠레트도 근처에 있으며, 거대한 썸네일 해안 절벽이 있는 토르수카타크 피오르와 파미아글루크 섬은 전세 보트로 접근할 수 있다.

3. 1. 위치

래브라도 해 연안의 작은 섬(이름도 나녹탈릭)에 있으며, 그린란드 최남단인 케이프 페어웰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다. 인근의 곶은 케이프 에게데로 알려져 있다.[4]

주변 지역은 알루이추프 파 근처의 케케르타르수아크 섬에서 케이프 페어웰까지, 동해안의 60km 길이의 린데노우 피오르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총 15000km2(약 15021.86km2)를 포함한다.[5]

인근 정착촌으로는 나르사르미짓, 알루이추프 파, 타시우사크, 아아필라토크, 아마시비크가 있으며, 각 20명 이하의 주민이 거주하는 정착촌으로는 ''사푸티트'', ''나라수트'', ''누가르수크'', ''아클리아루세크'', ''칼리미우트'', ''코르토르수아크'', ''알루이소크'', 그리고 기상 관측소 ''이케라사수아크''가 있다.

3. 2. 주변 지역

래브라도 해 연안의 작은 섬(이름도 나녹탈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린란드 최남단인 케이프 페어웰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다. 인근의 곶은 케이프 에게데로 알려져 있다.[4]

주변 지역은 알루이추프 파 근처의 케케르타르수아크 섬에서 케이프 페어웰까지, 동해안의 60km 길이의 린데노우 피오르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총 15000km2를 포함한다.[5]

인근 정착촌으로는 나르사르미짓, 알루이추프 파, 타시우사크, 아아필라토크, 아마시비크가 있으며, 각 20명 이하의 주민이 거주하는 정착촌으로는 ''사푸티트'', ''나라수트'', ''누가르수크'', ''아클리아루세크'', ''칼리미우트'', ''코르토르수아크'', ''알루이소크'', 그리고 기상 관측소 ''이케라사수아크''가 있다.

3. 3. 나노르탈릭 섬

나노르탈릭 섬은 래브라도 해 연안의 작은 섬(이름도 나노르탈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린란드 최남단인 케이프 페어웰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다. 인근의 곶은 케이프 에게데로 알려져 있다.[4]

주변 지역은 알루이추프 파 근처의 케케르타르수아크 섬에서 케이프 페어웰까지, 동해안의 60km 길이의 린데노우 피오르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총 15000km2를 포함한다.[5]

인근 정착촌으로는 나르사르미짓, 알루이추프 파, 타시우사크, 아아필라토크, 아마시비크가 있으며, 각 20명 이하의 주민이 거주하는 정착촌으로는 ''사푸티트'', ''나라수트'', ''누가르수크'', ''아클리아루세크'', ''칼리미우트'', ''코르토르수아크'', ''알루이소크'', 그리고 기상 관측소 ''이케라사수아크''가 있다.

나노르탈릭 섬은 70km 길이의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입구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은 폭이 약 10km이며, 두 개의 작은 산, 즉 콰카르수아시크 (Storfjeldet|큰 산da; 559m)와 콰시크 (Ravnefjeldet|갈까마귀 산da; 308m)가 있다.[6]

3. 4. 등산

나노르탈리크섬은 70km 길이의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입구 근처에 있다. 이 섬은 폭이 약 10km이며, 두 개의 작은 산, 즉 콰카르수아시크(Storfjeldet|큰 산da; 559m)와 콰시크(Ravnefjeldet|갈까마귀 산da; 308m)가 있다.[6]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인근에는 높은 산봉우리와 수직 절벽이 있다. 케틸 산(1500m)과 울라메르토르수아크는 일반적으로 등반된다. 라브네펠레트도 근처에 있다. 거대한 썸네일 해안 절벽이 있는 토르수카타크 피오르와 파미아글루크 섬도 전세 보트로 갈 수 있다.

4. 기후

나녹탈릭은 툰드라 기후(쾨펜 기후 구분 ''ET'')로, 해양과 극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는 적당히 높은 강수량과 계절별 낮은 기온 차이를 만들어낸다.[16][17]

4. 1. 기온

나녹탈릭은 툰드라 기후(쾨펜 기후 구분 ''ET'')로, 해양과 극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는 적당히 높은 강수량과 계절별 낮은 기온 차이를 만들어낸다. 나녹탈릭의 겨울은 그린란드의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온화하여 1월 평균 기온이 -4°C이다. 그러나 여름은 위도에 비해 상당히 추운데, 7월 평균 기온은 8.6°C이다(비슷한 위도에 위치하지만 약 17°C의 따뜻한 여름을 보이는 헬싱키와 대조적이다).[16][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1°C11°C8°C15°C16°C20°C17°C19°C16°C14°C13°C12°C
평균 최고 기온 (°C)-1.3°C-0.7°C0°C3.6°C7.5°C10.4°C12.4°C12.1°C9°C4.6°C1.5°C-0.7°C
평균 기온 (°C)-4.7°C-4.1°C-3.4°C0.2°C4°C6.6°C8.6°C8.4°C5.8°C1.8°C-1.4°C-3.9°C
평균 최저 기온 (°C)-8°C-7.5°C-6.8°C-3.1°C0.6°C2.8°C4.8°C4.8°C2.8°C-1°C-4.3°C-7°C
최저 기온 기록 (°C)-15°C-16°C-16°C-13°C-6°C-2°C0°C-1°C-3°C-6°C-10°C-13°C
평균 강수량 (mm)120mm99mm76mm74mm67mm64mm67mm84mm103mm89mm130mm116mm
평균 상대 습도 (%)757674727273767876757475


4. 2. 강수량

강수량(mm)
1월120mm
2월99mm
3월76mm
4월74mm
5월67mm
6월64mm
7월67mm
8월84mm
9월103mm
10월89mm
11월130mm
12월116mm



나녹탈릭은 툰드라 기후(쾨펜 기후 구분 ''ET'')로, 해양과 극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는 적당히 높은 강수량과 계절별 낮은 기온 차이를 만들어낸다.[16][17]

5. 동식물

라브네펠데트 정상에서 바라본 나녹탈릭의 전형적인 12월 풍경. 12월에는 빙산(앞쪽 참조)이 드물지만 봄이 되면 피오르를 지배하게 된다.


그린란드는 나무가 거의 없지만, 나녹탈릭 주변에는 칭구아 계곡을 중심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나녹탈릭 섬 자체는 야생 동물이 희소하지만, 주변 지역에는 고리무늬물범, 두건물범, 참물범 등 다양한 물개와 밍크고래, 쇠고래, 혹등고래, 범고래 등 여러 고래가 서식한다. 북극곰도 가끔씩 관찰된다. 까마귀, 뇌조, 큰재갈매기, 아이슬란드 갈매기, 눈새, 바다오리 등 다양한 조류 또한 서식하고 있다.

5. 1. 식물

나녹탈릭 타운에서 약 40km 떨어진 칭구아 계곡에는 그린란드 유일의 숲이 있다. 이곳에서는 버드나무(''Salix glauca'')와 자작나무(''Betula pubescens'')가 수 미터까지 자란다. 다른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나무가 최대 약 50cm까지 자란다. 이 계곡에는 약 300종의 다른 식물 종과 많은 지의류가 있다.

5. 2. 동물

나녹탈릭 섬의 야생 동물은 토착 사냥꾼의 영향으로 까마귀, 갈매기, 눈새와 같은 대형 조류나 쥐보다 큰 포유류는 드물지만, 주변 지역에는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북극곰은 나녹탈릭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지만, 1월에서 6월 사이 해빙을 타고 동그린란드에서 표류해 오는 경우를 제외하면 실제로 자주 관찰되지는 않는다. 매년 몇 마리의 북극곰이 목격되기는 하지만, 사람에게 위협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봄과 늦여름에는 밍크고래를 비롯한 많은 고래가 마을 주변 해역에 나타난다.

주변 피오르에서는 고리무늬물범이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두건물범과 참물범도 서식한다. 8월부터 10월 사이에는 쇠고래가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입구 근처에서 자주 관찰되고, 혹등고래범고래도 가끔씩 모습을 보인다.

나녹탈릭에서 관찰되는 조류에는 까마귀, 뇌조, 큰재갈매기, 아이슬란드 갈매기, 눈새, 바다오리, 솜깃털오리, 흰뺨오리, , 흰꼬리수리, 붉은방울새, 붉은목도요, 다양한 갯과 , 붉은가슴오리, 붉은목논병아리, 큰논병아리, 가마우지, 긴꼬리물떼새, 바다제비, 북부사다새, 바다쇠오리, 다양한 오리 그리고 드물게 흰올빼미가 있다.

5. 2. 1. 육상 동물

나녹탈릭 섬의 야생 동물은 토착 사냥꾼들로 인해 다소 희소하다. 그 결과, 까마귀, 갈매기 및 눈새는 매우 희소한 대형 조류 종 중 일부이며, 쥐보다 큰 포유류는 거의 볼 수 없다. 그러나 주변 지역에는 수많은 종이 있다.

나녹탈릭에서 관찰되는 조류에는 까마귀, 뇌조, 큰재갈매기, 아이슬란드 갈매기, 눈새, 바다오리, 솜깃털오리, 흰뺨오리, , 흰꼬리수리, 붉은방울새, 붉은목도요, 다양한 갯과 , 붉은가슴오리, 붉은목논병아리, 큰논병아리, 가마우지, 긴꼬리물떼새, 바다제비, 북부사다새, 바다쇠오리, 다양한 오리 그리고 드물게 흰올빼미가 있다.

북극곰은 나녹탈릭이라는 이름에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드물게 관찰된다. 주로 1월부터 6월까지 동그린란드에서 해빙을 타고 표류해 오는 경우가 있다.

5. 2. 2. 해양 포유류

나녹탈릭이라는 이름은 북극곰을 의미하지만, 1월부터 6월까지 해빙을 타고 동그린란드에서 표류해 오는 경우가 아니면 드물게 보인다.[1] 봄과 늦여름에는 마을 주변 해역에 많은 고래가 있으며, 밍크고래가 가장 흔하다.[1]

주변 피오르에서는 물개가 흔히 발견된다. 가장 흔한 종은 고리무늬물범이며, 두건물범과 참물범이 그 뒤를 잇는다.[1]

8월부터 10월까지는 쇠고래가 타세르미우트 피오르 입구 근처에서 흔히 발견된다. 혹등고래범고래도 가끔 관찰된다.[1]

6. 인구



2020년 기준 1,185명의 인구를 가진 나녹탈릭은 쿠얄레크 자치구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13] 그린란드 남부의 대부분 도시와 정착촌은 지난 20년 동안 인구가 감소했으며, 많은 정착촌에서 급격한 인구 감소가 나타났다.[14]

7. 경제

Alluitsoq


게잡이, 점박이물범 사냥, 소형 보트 낚시가 이 지역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다.[10] 봄에는 많은 그린란드인들이 바깥 섬에서 유빙이 동해안에서 북쪽으로 흘러가는 점박이물범을 사냥하며, 이 연례 사냥은 오랜 역사를 가진 이누이트 문화의 전통이다.

나노탈릭은 생산적인 무역이 거의 없으며, 소규모 어업, 게잡이, 물개 및 바닷새 사냥, 관광이 대부분의 지역 수입을 제공한다.[12]

7. 1. 주요 산업

게잡이, 점박이물범 사냥, 소형 보트 낚시가 이 지역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다.[10] 2004년에서 2013년 사이에는 나노탈릭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키르케스피르 계곡에서 나날루크 금광이 운영되었다.[11] 나노탈릭과 광산 사이에 도로를 건설하여 노동자들이 마을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결정과 계획이 지연되어 회사는 광산에 노동자들을 위한 간이 아파트를 건설하였다. 그린란드인들은 그러한 곳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지 않아, 대부분의 노동자는 다른 나라에서 왔다.

봄에는 많은 그린란드인들이 바깥 섬에서 유빙이 동해안에서 북쪽으로 흘러가는 점박이물범을 사냥한다.

나노탈릭은 생산적인 무역이 거의 없다. 공장이 없고, 1년 중 몇 달 동안은 바다 얼음으로 인해 어업이 불가능하여 대규모 어업 활동도 없다. 소규모 어업, 게잡이, 물개 및 바닷새 사냥, 관광이 대부분의 지역 수입을 제공한다.[12] 수십 년 전에는 마을에서 약 20km 떨어진 곳에서 흑연 광산이 운영되었지만 1925년에 폐쇄되었다.

7. 2. 광업

게잡이, 점박이물범 사냥, 소형 보트 낚시가 이 지역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다.[10] 2004년에서 2013년 사이에는 나노탈릭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키르케스피르 계곡(Kirkespirdalenda)에서 나날루크 금광이 운영되었다.[11] 나노탈릭과 광산 사이에 도로를 건설하여 노동자들이 마을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결정과 계획이 너무 오래 걸려 회사는 광산에 노동자들을 위한 간단한 아파트를 지었다. 그린란드인들이 그런 곳에서 사는 것은 덜 매력적이어서 대부분의 노동자는 다른 나라에서 왔다.

나노탈릭은 생산적인 무역이 거의 없다. 공장이 없고, 1년 중 몇 달 동안 바다 얼음으로 인해 어업이 불가능하여 대규모 어업 활동도 없다. 소규모 어업, 게잡이, 물개 및 바닷새 사냥, 관광이 대부분의 지역 수입을 제공한다.[12] 수십 년 전에는 마을에서 약 20km 떨어진 곳에서 흑연 광산이 운영되었지만 1925년에 폐쇄되었다.

7. 3. 기타 산업

게잡이, 점박이물범 사냥, 소형 보트 낚시가 이 지역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다.[10]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나녹탈릭 북쪽 30km 지점의 키르케스피르 계곡에서 나날루크 금광이 운영되었다.[11] 나녹탈릭과 광산 사이에 도로를 건설하여 노동자들이 마을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결정과 계획이 지연되어 회사는 광산에 노동자들을 위한 간이 아파트를 지었다. 그린란드인들은 그러한 곳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지 않아, 대부분의 노동자는 다른 나라에서 왔다.

봄에는 많은 그린란드인들이 바깥 섬에서 점박이물범을 사냥하는데, 그곳에서는 유빙이 동해안에서 북쪽으로 흘러간다.

나녹탈릭은 생산적인 무역이 거의 없다. 공장이 없고, 1년 중 몇 달 동안은 바다 얼음으로 인해 어업이 불가능하여 대규모 어업 활동도 없다. 소규모 어업, 게잡이, 물개 및 바닷새 사냥, 관광이 대부분의 지역 수입을 제공한다.[12] 수십 년 전에는 마을에서 약 20km 떨어진 곳에서 흑연 광산이 운영되었지만 1925년에 폐쇄되었다.

8. 교통

나노탈릭 헬리포트는 에어 그린란드의 헬리콥터 허브로 연중 운영되며, 나노탈릭을 모든 지역 정착촌 및 나르사르수아크 공항과 연결하고, 따라서 간접적으로 그린란드와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된다.[15]

9. 자매 도시

나녹탈릭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
Danmark|덴마크da콜링
Danmark|덴마크da로스킬레
Ísland|아이슬란드is이사피외르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Localities https://bank.stat.gl[...] Statistical Greenland 2020-04-07
[2] 웹사이트 Population by Localities https://bank.stat.gl[...] Statistical Greenland 2020-04-07
[3] 지도 Northern America. British, Russian & Danish Possessions In North America. http://www.davidrums[...] J.H. Colton & Co. 1855
[4] 지도 Canada - East. (inset) Quebec. (inset) Ottawa. http://www.davidrums[...] Pergamon Press, Ltd. 1967
[5] 웹사이트 The Official Tourism and Business Site of Greenland http://www.greenland[...]
[6] 서적 Greenland and the Arctic Lonely Planet 2005
[7] 웹사이트 A history of climbing in Torssukatak Fjord http://greenlandexpe[...]
[8]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Nanortalik, Greenland (extremes, precipitation, and humidit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9] 웹사이트 Climate-Data.org for Nanortalik, Greenland https://en.climate-d[...] Climate-Data
[10] 웹사이트 Gold deposit in South Greenland http://www.dmu.dk/en[...]
[11] 논문 The Nalunak Gold Mine. http://www.geus.dk/m[...] Geology and Ore 2008
[12] 웹사이트 Nanortalik Tourism office http://nanortaliktou[...]
[13] 웹사이트 Population by Localities https://bank.stat.gl[...] Statistical Greenland 2020-04-07
[14] 웹사이트 Population in localities http://bank.stat.gl/[...] Statistics Greenland
[15] 웹사이트 Air Greenland, Departures and Arrivals http://airgreenland.[...] Air Greenland
[16]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Nanortalik, Greenland (extremes, precipitation, and humidit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17] 웹인용 Climate-Data.org for Nanortalik, Greenland https://en.climate-d[...] Climate-Data
[18] 웹사이트 Population in localities http://bank.stat.gl/[...] Statistics Green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