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르메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메르는 기원전 3100년경에 통치한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로, 이집트 통일을 이룬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나르메르는 메네스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며, 상·하 이집트의 통일, 가나안과의 관계, 네이트호테프와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르메르의 이름은 "격노하는 메기"로 해석되며, 나르메르 팔레트와 나르메르 곤봉 머리 등 유물을 통해 그의 업적을 엿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르메르 -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나르메르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의식용 방패 모양 팔레트로, 양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합 등 다양한 도상이 묘사되어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대중 문화와 학계에서 활용된다.
  • 기원전 32세기 파라오 - 메네스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에 상·하 이집트를 통일하고 제1왕조를 개창한 전설적인 파라오로, 후대 기록에서 이집트 최초의 통치자로 언급되며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와 동일인물이라는 주장이 있고, 티니스를 수도로 삼았거나 멤피스를 건설했다는 설과 함께 이집트 문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기원전 31세기 파라오 - 호르-아하
    호르-아하는 기원전 31세기경 이집트 제1왕조의 두 번째 파라오로, 나르메르의 아들로 추정되며, 종교 활동 장려, 누비아 원정 등의 활동을 펼쳤고, 그의 무덤은 아비도스의 움 엘 카아브에 위치한다.
  • 기원전 31세기 파라오 - 메네스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에 상·하 이집트를 통일하고 제1왕조를 개창한 전설적인 파라오로, 후대 기록에서 이집트 최초의 통치자로 언급되며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와 동일인물이라는 주장이 있고, 티니스를 수도로 삼았거나 멤피스를 건설했다는 설과 함께 이집트 문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르메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르메르 팔레트 뒷면
나르메르 팔레트 뒷면
역할파라오
통치 기간기원전 3150년경
왕조이집트 제1왕조
선임자카?
후임자호르-아하
다른 이름메네스(?)
호루스 이름
호루스호르-나르메르 (종종 메기만 있는 "세레크"에 표시됨)
Ḥr-nˁr-mr
"호루스의 사나운 메기"

두 번째 호루스 이름: 호르-나르메르-트자이 (드뭄—단 하나의 예시만 존재함)
Ḥr-nˁr-mr-ṯ3j
"호루스의 남자다운 메기"
가족
배우자불확실: 아마도 네이트호테프
자녀불확실: 아마도 호르-아하
아버지카?, 스코르피온 2세?
어머니알려지지 않음
기타 정보
출생일알려지지 않음
사망일알려지지 않음
매장지방 B17 및 B18, 움 엘 카브
기념물알려지지 않음
통치 시기기원전 31세기의 기원전 3273년에서 2987년 사이
왕조이집트 제1왕조

2. 역사적 정체성

마네토의 기록에서는 나르메르를 메네스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하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그가 ·하이집트를 통일하고 호르-아하 이전에 통치한 파라오임을 보여준다.

나르메르가 이집트 통일을 이룬 인물이라는 점은 널리 받아들여지지만, 전통적으로 고대 이집트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메네스와의 관계는 학계의 오랜 논쟁거리이다. 대부분의 이집트학자는 나르메르와 메네스를 동일 인물로 간주하지만, 나르메르의 후계자인 호르-아하를 메네스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러한 혼란은 "나르메르"가 호루스 이름이고 "메네스"는 사초와 꿀벌 이름(개인 이름 또는 출생 이름)이라는 점 때문에 발생한다. 신왕국 시대 이후의 왕 목록은 대부분 개인 이름인 메네스를 첫 번째 인간 왕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동시대 고고학 유물에 기록된 호루스 이름(나르메르, 호르-아하 등)과 후대 왕 목록의 개인 이름(메네스)을 연결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과거에는 두 가지 유물이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 중 누가 메네스인지를 밝혀줄 증거로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나카다 유적의 네이트호테프 여왕(호르-아하의 어머니로 추정) 무덤에서 발견된 "나카다 라벨"이다.[3] 이 라벨에는 호르-아하의 세레크 옆에 일부 학자들이 "메네스"로 해석한 기호가 있는 울타리가 그려져 있다. 이를 근거로 호르-아하가 메네스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이 기호가 왕의 이름이 아니라 신전의 이름("두 여인이 견딘다")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며, 메네스의 정체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보기 어렵다.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나르메르-메네스 봉인 인상의 재구성


두 번째 유물은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봉인 인상으로,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체스판 모양의 기호 "''mn''"(메네스 이름의 약자로 해석됨)이 번갈아 나타난다. 이는 나르메르가 메네스라는 강력한 증거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초기 왕조 봉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 인상이 메네스를 나르메르의 왕자, 즉 후계자인 호르-아하로 나타낸다고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어, 오히려 호르-아하가 메네스라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했다. 따라서 이 봉인 인상 역시 어느 한쪽의 주장을 명확히 뒷받침하지는 못한다.

이집트 파라오 덴의 묘지 봉인 인상




그러나 1985년과 1991년에 아비도스의 움 엘 카아브 지역에 있는 덴과 카아의 무덤 근처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묘지 봉인 인상은 논쟁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이 봉인들은 제1왕조의 왕 목록을 보여주는데, 두 목록 모두 나르메르를 첫 번째 왕으로 기록하고 그 뒤를 호르-아하가 잇는 순서로 나타낸다. 특히 카아의 봉인에는 제1왕조의 8명의 왕이 나르메르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이 발견은 나르메르가 제1왕조의 창시자이며, 따라서 후대 기록의 메네스와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로 평가받는다.

3. 이름



나르메르의 이름은 이집트 상형문자로 메기(음역: nꜥr|나르egy)와 (음역: mr|메르egy)을 나타내는 두 개의 기호로 구성되며, "나르메르"라고 읽는다. 이 이름에 사용된 메기는 지느러미 모양 때문에 때때로 전기 메기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전기가 없는 이질아강(Clarias) 속에 속한다.

이 이름은 흔히 "격노하는 메기"로 번역되지만, 번역에 대한 완전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메기" 앞의 형용사에 대한 다른 번역으로는 "분노한", "싸우는", "사나운", "고통스러운", "격노한", "나쁜", "사악한", "물어뜯는", "위협적인", "찌르는" 등이 제시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름에 "메기"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다른 해석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으나, 이는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나르메르의 이름은 두 상형 문자를 모두 사용하는 대신, 메기 기호만으로 줄여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수평선 형태로 더욱 단순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표기 방식의 차이는 해당 기록의 공식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레크가 돌 조각이나 공식적인 인장에 표시될 때는 항상 두 기호가 모두 사용되지만, 도자기 조각이나 암벽 비문에 이름이 나타날 때는 대부분 메기 기호만 사용되거나 더 단순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나르메르 이름의 다른 두 가지 철자법도 발견되었다. 타르칸 유적에서 발견된 진흙 인장에는 세레크 안의 나르메르 이름 두 기호에 가디너 기호 G47에 해당하는 새( ṯꜣj|차이egy, "오리 새끼") 기호가 추가되어 있다. 이는 "남성적인 나르메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지만, 이 기호가 매우 드물게 나타나기 때문에 왕 이름의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고드론(Godron)은 이 추가 기호가 이름의 일부가 아니라 구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세레크 안에 배치된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한,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묘지 인장에는 나르메르의 이름이 독특한 방식으로 새겨져 있다. 끌 기호가 있어야 할 자리에 전통적인 메기 기호가 표시되어 있고, 그 위에는 여러 학자들이 동물의 가죽으로 해석한 기호가 있다. 귄터 드레이어에 따르면, 이는 나르메르 팔레트에서 나르메르가 힘의 상징으로 황소 꼬리를 착용한 모습과 유사하게, 황소 꼬리가 달린 메기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6]

1994년 여름, 이스라엘 남부의 나할 틸라(Nahal Tillah]) 발굴 현장에서 세레크 안에 나르메르의 이름이 새겨진 도편이 발견되었다.[32] 이 도편은 기원전 3000년경 나일강 유역에서 가나안 지역으로 운반된 포도주 항아리의 파편으로 추정된다.

4. 통치

나르메르의 통치 시작 시기는 기원전 3100년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역사적 방법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모두 사용한 다른 주류 추정치는 기원전 3273–2987년경이다.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나르메르는 메네스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그가 상이집트하이집트를 통일했으며 호르-아하의 전대 파라오임을 시사한다. "누가 메네스인가?"와 "누가 이집트를 통일했는가?"는 밀접하게 연관된 별개의 문제이다. 나르메르는 종종 상 이집트가 하 이집트를 정복하여 이집트 통일을 이룬 인물로 여겨진다. 메네스는 전통적으로 고대 이집트의 첫 번째 왕으로 간주되며, 대부분의 이집트학자들은 나르메르와 동일 인물로 본다. 그러나 나르메르의 후계자인 호르-아하를 메네스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러한 혼란은 "나르메르"가 호루스 이름인 반면, "메네스"는 개인 이름이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신왕국 시대 이후의 왕 목록은 대부분 개인 이름을 기록하며 메네스를 첫 번째 왕으로 명시한다.

메네스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두 가지 주요 유물이 증거로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나카다 유적에서 발견된 "나카다 라벨"로, 호르-아하의 세레크 옆에 일부 학자들이 "메네스"로 해석한 기호가 있는 울타리가 그려져 있다.[3] 두 번째는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봉인 인상으로,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메네스의 약자로 해석되는 체스판 기호 "''mn''"이 번갈아 나타난다. 이 두 유물은 각각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라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었지만, 어느 쪽도 결정적인 증거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1985년과 1991년에 아비도스(움 엘 카아브)의 덴과 카아의 무덤 근처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묘지 봉인 인상은 나르메르를 목록의 첫 번째 왕으로, 호르-아하를 그 다음 왕으로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카아의 봉인에는 이집트 제1왕조의 8명의 왕이 나르메르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이 봉인들은 나르메르가 제1왕조의 첫 번째 왕, 즉 메네스였다는 강력한 증거로 여겨진다.

1898년 제임스 에드워드 퀴벨이 히에라콘폴리스에서 발견한 유명한 나르메르 팔레트에는 상·하 이집트의 상징을 모두 사용하는 나르메르의 모습이 묘사되어[30], 그가 이집트 통일자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나르메르가 통일된 이집트를 계승했을 뿐이라는 설, 또는 통일 과정을 완성했다는 설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나르메르의 실존을 증명하는 고고학적 증거는 다수 발견되었으나[31], 메네스는 주로 후대의 기록과 전승에만 등장한다.

마네토는 메네스가 외국 원정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고 기록했는데, 이것이 나르메르를 가리킨다면 가나안 지역에서의 활동과 관련될 수 있다. 실제로 가나안 지역 아홉 곳에서 나르메르의 ''세레크''가 확인되었다. 가나안에서 이집트의 영향력은 나르메르 시대 이전에 시작되었지만, 그의 통치 기간에 절정에 달했다가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 이 시기 가나안에서 발견된 33개의 이집트 ''세레크'' 중 20개가 나르메르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나르메르 이전(카 1개, 이리-호르 1개)이나 이후(호르-아하 1개)와 비교할 때 두드러지는 수치이다. 가나안에서 발견된 이집트산 토기 및 이집트 양식으로 현지에서 제작된 토기는 단순한 교역을 넘어 이집트인의 정착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텔 에스-사칸에서 발견된 이집트식 요새 유적은 군사적 주둔 가능성도 보여준다. 가나안에서의 이집트 활동 성격(교역 및 식민화 또는 군사적 침략)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나르메르 시대에 이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력이 상당했음은 분명하다. 나르메르의 상자 유물은 가나안에서의 군사 작전이나 공물 수수를 기념했을 가능성이 있다.

1994년 이스라엘 남부 나할 틸라에서는 나르메르의 이름이 새겨진 도기 조각이 발견되었는데,[32] 이는 기원전 3000년경 나일강 유역에서 가나안으로 운반된 와인 항아리의 파편으로 밝혀졌다. 이는 당시 두 지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4. 1. 네이트호테프와의 관계

네이트호테프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나르메르와 호르-아하의 이름이 함께 발견되어, 많은 이집트 학자들은 그녀가 나르메르의 왕비이자 호르-아하의 어머니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네이트호테프라는 이름은 "네이트 여신이 만족하신다"는 뜻으로, 네이트 여신이 하 이집트 서부 델타 지역 사이스의 수호신이었던 점에 비추어 그녀가 하 이집트 출신의 공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나르메르가 이집트 통일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통합을 위한 정략 결혼이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녀의 무덤이 상 이집트의 나카다 지역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그녀가 상 이집트에 통합되기 전 나카다 지역 선왕조 통치자의 후손이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또한 나르메르 곤봉 머리 유물이 이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최근 2012년 피에르 탈레(Pierre Tallet)가 시나이에서 발견한 암각 비문은 네이트호테프가 실제로 나르메르의 아내였는지에 대해 새로운 의문을 제기했다. 이 비문은 네이트호테프가 제르 왕의 섭정이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지만, 그녀가 나르메르의 왕비였는지 여부는 명확히 밝혀주지 않는다. 네이트호테프는 기록상 이름이 알려진 가장 오래된 여성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5. 나르메르의 유적

나르메르의 시대를 증명하는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들이 이집트 전역과 인근 지역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이 유적들은 나르메르의 통치와 이집트 통일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히에라콘폴리스에서 발견된 나르메르 팔레트와 나르메르의 지팡이 머리가 있다.[30] 이 유물들은 고대 이집트 연구, 특히 초기 왕조 시대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또한 상 이집트 아비도스 인근의 움 엘카아브에서는 나르메르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이곳과 주변 지역에서도 그의 이름이 새겨진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나르메르의 영향력은 이집트 국경을 넘어 시나이와 남부 가나안 지역까지 미쳤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들도 다수 존재한다.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된 나르메르 관련 비문과 유물들은 그가 단순한 지역 통치자를 넘어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한 강력한 군주였음을 뒷받침한다.

5. 1. 무덤

나르메르의 분묘는 상 이집트 아비도스 지방의 움 엘카아브에서 발견된, 연결된 방(B17과 B18)으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5. 2. 유물

나르메르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유물은 나르메르 팔레트이다. 이 짙은 녹색 편암으로 만들어진 팔레트는 고대 이집트의 기념물 중 역사적 기록이 담긴 최초의 것으로 평가된다.[30] 히에라콘폴리스에서 1897년~1898년 제임스 E. 퀴벨에 의해 발견되었다.

팔레트의 한 면에는 나르메르가 상이집트의 상징인 백관(헤제트)을 쓰고 몽둥이로 적(아마도 하이집트의 도시국가 나카다의 추장)을 내려치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는 서양 역사에서 왕의 정복 장면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도상이다. 다른 면에는 하이집트의 상징인 적관(데슈레트)을 쓰고 병사들의 사열을 받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팔레트는 나르메르가 상·하 이집트 양쪽의 왕권을 모두 장악했음을 시사하고, 그가 이집트를 통일했다는 주장의 핵심 근거가 된다.

그러나 발견 이후 나르메르 팔레트가 실제 역사적 사건을 묘사한 것인지, 아니면 순전히 상징적인 표현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팔레트가 나르메르 시대 이전의 사건(예: 리비아인 정복)을 기념하거나, 왕의 기본적인 역할인 혼돈을 의례적으로 제압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1993년 귄터 드레이어가 아비도스에서 발견한 나르메르의 "연도 라벨"은 팔레트에 묘사된 것과 동일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어, 팔레트가 실제 역사적 사건을 묘사했을 가능성을 높인다. 이 연도 라벨의 발견으로 나르메르 팔레트가 실제 역사적 사건을 묘사한다는 견해가 현재 이집트 학계의 주된 의견으로 자리 잡았다.

또 다른 중요한 유물은 나르메르의 지팡이 머리(Narmer Macehead)이다. 여기에는 파라오의 왕위 갱신 축제인 헤브-세드를 기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헤브-세드 축제는 보통 즉위 30년을 기념하여 열렸으므로, 이를 통해 나르메르가 최소 30년 이상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곤봉 머리에는 또한 포로와 약탈품이 왕에게 바쳐지는 의식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소 40만 마리, 염소 142만 2천 마리, 포로 12만 명이라는 구체적인 숫자가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정복 활동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나르메르가 이집트 통일을 이룬 첫 번째 /파라오인지, 아니면 전설적인 초대 왕 메네스와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유물들도 있다. 나카다 유적에서 발견된 "나카다 라벨"과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봉인 인상이 주요 증거로 제시된다. 나카다 라벨에는 호르-아하의 세레크 옆에 '메네스'로 해석될 수 있는 기호가 있어, 호르-아하가 메네스라는 주장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3] 그러나 현재는 이 기호가 신전의 이름이며 메네스의 정체에 대한 증거는 아니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아비도스 봉인 인상에는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메네스를 나타내는 'mn' 기호가 번갈아 나타나 나르메르가 메네스라는 강력한 증거로 보이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메네스가 나르메르의 왕자, 즉 후계자인 호르-아하를 의미한다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두 유물만으로는 논쟁을 명확히 해결하기 어렵다.

하지만 1985년과 1991년 아비도스(움 엘-카아브)의 덴과 카아의 무덤 근처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묘지 봉인 인상은 나르메르를 제1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기록하고 그 뒤를 호르-아하가 잇는 순서로 보여준다. 특히 카아 봉인에는 제1왕조의 8명의 왕 이름이 나르메르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이 봉인들은 나르메르가 제1왕조의 첫 번째 왕, 즉 메네스와 동일 인물이라는 강력한 고고학적 증거로 평가된다.

나르메르의 이름 자체도 다양한 유물에서 확인된다. 이름은 보통 메기(nꜥr)와 끌(mr) 상형문자로 표기되며(리버스 원리 사용), "나르메르"로 읽힌다. 이는 "격노하는 메기"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번역에 대한 합의는 없다. 이름은 종종 메기 기호만으로 약식 표기되기도 하는데, 이는 비공식적인 기록(도자기 조각, 암각화 등)에서 주로 나타난다. 타르칸에서 발견된 진흙 봉인에는 세레크 안에 새 기호가 추가된 형태도 있으며, 아비도스에서 나온 봉인에는 끌 대신 동물의 가죽이나 황소 꼬리가 달린 메기로 보이는 독특한 기호가 사용된 예도 있다.[6]

나르메르의 영향력은 이집트 국경을 넘어 가나안 지역까지 미쳤음을 보여주는 유물들도 다수 발견되었다. 가나안 지역 9곳에서 나르메르의 세레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그의 선임자인 카(1곳)나 이리-호르(1곳)에 비해 훨씬 많은 숫자이다. 가나안에서는 이집트 나일강 점토로 만든 토기뿐만 아니라, 현지 점토를 사용했지만 이집트 양식으로 제작된 토기도 발견되어 단순한 교역을 넘어 이집트인의 거주지(식민지)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994년 이스라엘 남부 나할 틸라에서 발견된 나르메르 세레크가 새겨진 도편은 나일강 유역에서 가나안으로 운반된 와인 항아리의 파편으로 밝혀졌다.[32] 또한 텔 에스-사칸에서는 이집트식 요새 유적이 발견되어 군사적 활동의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유물들은 나르메르 시대에 이집트와 가나안의 관계가 정점에 달했으며, 나르메르가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행사했음을 보여준다.

기타 나르메르 관련 유물들은 다음과 같다.

나르메르 팔레트에 그려진, 하 이집트의 데세레트 왕관을 쓴 나르메르

6. 대중문화


  • 레스터 픽커의 소설, ''최초의 파라오(제1왕조 1권)''는 나르메르의 허구적인 전기이다. 저자는 고고학자 귄터 드라이어와 상의하여 사실성을 확보했다고 한다.
  • 윌리엄 G. 콜린스의 스릴러 소설, ''신들의 살인: 고대 이집트 미스터리''는 아하 왕자(후일 호르-아하 왕)에 관한 이야기로, 나르메르는 조연으로 등장한다.
  • 재키 프렌치의 아동 도서(10~14세 대상) ''파라오: 나일강을 정복한 소년''은 나르메르 왕자의 모험을 다룬다.
  • 링컨 차일드의 ''세 번째 문''은 제레미 로건 시리즈의 세 번째 책으로, 나르메르의 가상 비밀 매장소의 발견과 탐험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워프레임은 ''새로운 전쟁''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파벌의 이름으로 나르메르의 이름을 사용하며, 파라오의 통치와 유사한 점이 있다.[22]
  • 릭 라이어던의 ''케인 연대기''에서 남매 카터와 세이디의 부모 중 한 명은 나르메르의 후손이고, 다른 한 명은 람세스 2세의 후손으로 설정되어 있다(첫 번째 책, ''붉은 피라미드'', 195쪽).

참조

[1]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2] 문서 Garstang
[3] 웹사이트 "Naqada Label | the Ancient Egypt Site" http://www.ancient-e[...]
[4] 문서 Dreyer
[5] 뉴스 "Early Egyptian Queen revealed in 5.000-year-old Hieroglyphs'' at ''livescience.com" http://www.livescien[...]
[6] 문서 G. Dreyer, personal communication to Thomas C. Heagy, 2017
[7]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8]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9]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0]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1]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2]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13]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4]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5]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16]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7]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18]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20-06-14
[19]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17-09-13
[20]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20-06-14
[21]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2] 웹사이트 Warframe: Updates https://www.warframe[...] 2022-10-23
[23]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24]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25]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26]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7]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28]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29]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30] 서적 富永惣一先生古稀記念論文集 天心社刊行会
[31] 서적 はじめてのヒエログリフ実践講座 原書房
[32] 간행물 Egyptian-Canaanite Interaction at Nahal Tillah, Israel (ca. 4500-3000 B. C. E.): An Interim Report on the 1994-1995 Excavations https://www.journals[...] University of Chicago 1997-08
[33] 웹사이트 エジプトで5600年前の墓発掘 https://www.afpbb.co[...] AFP通信 2023-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