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무타기사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타기사촌(Tichodroma muraria)은 딱새소목에 속하는 조류로, 나무타기사촌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몸길이는 약 15.5~17cm이며, 청회색 깃털과 흰색 반점이 있는 진홍색 날개가 특징이다. 유럽, 아시아 고산 지역에 서식하며, 바위 틈새에 둥지를 짓고 곤충을 잡아먹는다. 분류학적으로는 과거에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단일 종의 과로 분류된다. 2종의 아종이 있으며, 번식기에는 경계심이 강하지만 비번식기에는 온순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의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부탄의 새 - 딱새
    딱새는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수컷은 회색 머리와 주황색 가슴을, 암컷은 갈색을 띠고, 곤충과 거미를 먹으며 나무 구멍 등에 둥지를 짓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이다.
  • 1766년 기재된 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1766년 기재된 새 -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갈매기과의 새로서, 여름에는 초콜릿 갈색 머리를, 겨울에는 흰색 머리에 검은 반점을 가지며, 해안, 호수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잡식성을 띠고,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나무타기사촌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 피아트라 크라이울루이 산맥의 암컷
학명Tichodroma muraria
명명자Linnaeus, 1766
이명Certhia muraria Linnaeus, 1766
보전 상태LC
T. muraria의 분포 (BirdLife International 및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2019)에서 편집, 2019.) 초록색: 서식지, 파란색: 비번식지
카베바시리과
카베바시리속
카베바시리
영어 이름Wallcreeper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아목참새아목

2. 분류 및 계통

과거 조류학자들 사이에서 나무타기사촌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이견이 있었다. 처음에는 린네가 나무타기사촌을 나무발발이와 함께 ''Certhia muraria''로 분류했고,[2][3] 1811년 요한 카를 빌헬름 일리거에 의해 별도의 속 ''Tichodroma''로 분리되었을 때에도 오랫동안 나무발발이과에 포함되었다.

최근 카렐 부스는 ''최근 홀라크틱 조류 목록''에서 나무타기사촌을 단일 종의 과인 나무타기사촌과(Tichodromadidae)로 분류했으며,[4] 찰스 보리와 같은 다른 권위자들은 오색방울새과의 아과인 단일 종의 Tichodromadinae로 분류했다.[5] 2016년 Certhioidea 상과의 구성원에 대한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나무타기사촌은 오색방울새과(Sittidae)의 자매 분류군이다.[6] 화석 기록상 나무타기사촌의 다른 종으로 ''Tichodroma capeki''(헝가리 폴가르디 후기 마이오세)가 알려져 있다.[7]

속명 ''Tichodroma''는 고대 그리스어 ''teikhos'' "벽"과 ''dromos'' "주자"에서 유래했다. 종명 ''muraria''는 라틴어 ''murus'' "벽"에서 유래한 중세 라틴어로 "벽의"라는 뜻이다.[10] 나무타기사촌은 '붉은 날개 벽 타는 새'라고 불리기도 한다.[11]

2. 1. 아종

다음과 같은 두 아종이 인정된다.[12]

  • '''유럽 바위타기새''' (''T. m. muraria'') - 린네, 1766: 남부 및 동유럽에서 카프카스, 서부 이란까지 서식
  • '''아시아 바위타기새''' (''T. m. nepalensis'') - 보나파르트, 1850: 원래 별개의 종으로 묘사되었다.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및 동부 이란에서 동부 중국까지 서식

2.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22]

{| class="wikitable"

|-

! 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여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종려나무떠들썩새과

|-

|

여새과
Hylocitreidae
오오과



|}

|-

! 딱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엘라쿠라과

|-

|

{| class="wikitable"

|-

| 물까마귀과

|-

|



|-

|

{| class="wikitable"

|-

| 소등쪼기새과

|-

|



|}

|}

|}

|-

! 나무발바리상과

|-

|



|-

|

{| class="wikitable"

|-

| 나무타기사촌과

|-

|

{| class="wikitable"

|-

| 동고비과

|-

|



|-

|



|}

|}

|}

|}

과거, 조류학자들 사이에서 나무타기사촌의 분류학적 순위에 대한 이견이 있었다. 처음에는 린네가 이를 나무발발이와 함께 ''Certhia muraria''로 분류했으며,[2][3] 1811년 요한 카를 빌헬름 일리거에 의해 별도의 속 ''Tichodroma''로 분리되었을 때에도 오랫동안 나무발바리과에 포함되었다. 최근에는 카렐 부스가 ''최근 홀라크틱 조류 목록''에서 단일 종의 과인 Tichodromadidae에 포함시켰으며,[4] 찰스 보리와 같은 다른 권위자들은 이를 오색방울새과의 아과인 단일 종의 Tichodromadinae에 포함시켰다.[5] 어느 경우든, 오색방울새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2016년 Certhioidea 상과의 구성원에 대한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오색방울새과(Sittidae)의 자매 분류군이라고 한다.[6] 화석 기록상 나무타기사촌의 다른 종으로 ''Tichodroma capeki''(헝가리 폴가르디 후기 마이오세)가 알려져 있다.[7]

{| class="wikitable"

|+ Certhioidea 상과 내 과들의 관계.[8][9]

|-

|

{| class="wikitable"

|-

| Tichodromidae: 나무타기사촌 – 1종

|-

|

{| class="wikitable"

|-

| Sittidae: 오색방울새 – 29종

|-

|

Salpornithidae: 얼룩나무타기새 – 2종
Certhiidae: 나무발발이 – 9종



|-

|

Polioptilidae: 개개비사촌 – 22종
Troglodytidae: 굴뚝새 – 96종



|}

|}

|}

속명 ''Tichodroma''는 고대 그리스어 ''teikhos'' "벽"과 ''dromos'' "주자"에서 유래했다. 종명 ''muraria''는 라틴어 ''murus'' "벽"에서 유래한 중세 라틴어로 "벽의"라는 뜻이다.[10] 또는 나무타기사촌은 '붉은 날개 벽 타는 새'라고 불리기도 한다.[11]

3. 형태

몸길이는 15.5cm~17cm이고, 몸무게는 17g~19g이다. 깃털은 주로 청회색이며, 날개와 꼬리 깃털은 더 어둡다. 수컷은 여름에 검은색 목을 가지며, 암컷은 흰색 목이나 목에 작은 검은 반점을 가질 수 있다. 가을과 겨울에는 암수 모두 흰색 목을 갖는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흰색 반점이 있는 특별한 진홍색 날개이다. 날개를 접으면 대부분 숨겨지지만, 이 밝은 색상은 덮깃의 대부분과 날개깃과 둘째 깃털의 기저부 절반을 덮는다. 꼬리는 짧고 검은색이며 좁은 흰색 테두리가 있다. 어린 새는 겨울 깃털과 매우 유사하다. 아종 ''T. m. nepalensis''는 기준종보다 약간 더 어둡다.

4. 생태

바위새는 곤충을 먹는 곤충 식성 동물로, 주로 곤충과 거미와 같은 육상 무척추동물을 바위 표면에서 찾아 먹는다.[19] 때로는 바위 벽에 앉아 있다가 짧게 급강하하여 날아다니는 곤충을 쫓기도 한다. 먹이를 찾는 새는 절벽면을 따라 짧게 날거나 재빨리 뛰어다니며 이동하며, 종종 날개를 부분적으로 펼친다.

바위새의 분포


바위새

4. 1. 번식

암벽타기사촌은 풀과 이끼로 된 컵 모양 둥지를 짓는데, 이는 바위 틈새, 구멍 또는 동굴 깊숙한 곳에 위치한다.[19] 둥지는 깃털이나 양모 등 부드러운 재료로 안을 채우며,[3] 보통 두 개의 입구를 가지고 있다. 암컷은 보통 4~5개의 을 낳지만, 3개와 같이 작은 산란도 발견된다. 흰색 알은 길이가 21mm이며, 검은색 또는 적갈색 반점이 약간 있다. 모든 알을 낳은 후, 암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19~20일 동안 알을 품는다. 포란 기간 동안 암컷은 짝으로부터 정기적으로 먹이를 공급받는다.[3] 새끼는 미성숙으로, 태어날 때 눈이 멀고 깃털이 없으며 무력하다. 부모는 모두 새끼가 둥지를 떠날 때까지 28~30일 동안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각 쌍은 1년에 한 번만 새끼를 기른다.

4. 2. 분포

나무타기사촌은 고산 지역의 조류로, 유럽에서는 1000m에서 3000m 사이의 고도에서 번식하며,[13] 톈산 산맥에서는 2800m에서 4000m, 히말라야 산맥에서는 3600m에서 5100m 사이에서 번식한다.[14] 이 종은 분포 지역 내에서 대체로 텃새이지만, 겨울에는 낮은 고도로 이동하여 건물과 채석장에서 발견된다. 프랑스에서는 브르타뉴와 노르망디의 대성당과 고가교에서 정기적으로 겨울을 보낸다.[15]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와 같이 먼 곳에서 겨울을 나는 경우도 있는데, 1989년과 1991년 사이 암스테르담의 자유 대학교에서 두 번의 겨울을 보낸 개체도 있었다.[16] 이 종은 히말라야 산맥 대부분 지역에서 텃새로, 인도, 네팔, 부탄, 티베트 일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방글라데시에서는 겨울철에 찾아오는 겨울철새이기도 하다.[17][18]

''T. m. nepalensis'', Gojal, 길기트발티스탄, 파키스탄


5. 인간과의 관계

나무타기사촌은 사람에게 상당히 길들여질 수 있지만, 산악 지형에서는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번식기에는 경계심이 강하지만, 비번식기에는 경계심이 덜하며, 특히 방황하는 새들은 매우 온순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관찰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숨고, 둥지에 들어가기 전에 망설이며, 심지어 장기간 관찰 중에는 둥지로 가는 우회로를 택하기도 한다.[2]

나무타기사촌은 영역성이 강하며, 암수 한 쌍은 여름 동안 번식 구역을 격렬하게 방어한다. 겨울 동안에는 단독 생활을 하며, 수컷과 암컷은 각각의 먹이 구역을 방어한다. 먹이 구역의 크기는 추정하기 어렵지만, 하나의 큰 채석장이나 암석 덩어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련의 작은 채석장과 암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무타기사촌은 둥지에서 먹이 구역까지 어느 정도 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 해 동안 겨울철 먹이 구역에 대한 장소 충실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1] 간행물 "''Tichodroma muraria''" 2019
[2] 학술지 ed. 12 https://www.biodiver[...] 2024-10-06
[3] 서적 A Dictionary of Birds T & A D Poyser
[4] 학술지 List of Recent Holarctic Bird Species 1977
[5] 학술지 Systematic notes on palearctic birds. No 29. 1957
[6] 학술지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Wallcreeper Tichodroma muraria
[7] 문서 Neogene songbirds (Aves, Passeriformes) from Hungary. Hantkeniana, Budapest 2013
[8] 학술지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9]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2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8
[10]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11] 웹사이트 Tichodroma muraria (Wallcreeper) - Avibase http://avibase.bsc-e[...] 2017-07-23
[12] 웹사이트 Nuthatches, Wallcreeper, treecreepers, mockingbirds, starlings & oxpeckers « IOC World Bird List http://www.worldbird[...] 2017-07-23
[13] 서적 Collins Bird Guide HarperCollins
[1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3, Penduline-tits to Shrikes Lynx Edicions
[15] 웹사이트 ornithomedia.com https://www.ornithom[...]
[16] 웹사이트 waarneming.nl http://waarneming.nl[...]
[17] 웹사이트 Wallcreeper (Tichodroma muraria) - BirdLife species factsheet http://datazone.bird[...]
[18] 학술지 Wallcreeper (Tichodroma muraria) http://www.hbw.com/s[...] 2020-03-04
[19] 서적 The Birdwatcher's Handbook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0] BirdLife Tichodroma muraria
[21] 간행물 Tichodroma muraria (amended version of 2018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22711234A155489183 https://dx.doi.org/1[...] 2019
[22]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