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발발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발발이는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새이다. 나무 틈새나 나무껍질 뒤에 둥지를 만들고 곤충을 잡아먹으며, 꼬리를 지지대 삼아 나무를 기어오르는 특징을 보인다.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12.5cm 정도의 크기에 갈색 바탕에 흰색 반점이 있는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뉜다. 현재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되며, 넓은 지역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인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다.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나무발발이속 중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아일랜드에서 일본까지 구북구의 온대 숲에서 번식한다. 늙은 나무를 선호하며, 짧은 발톱 나무발발이와 서식지를 공유하는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는 주로 침엽수림, 특히 가문비나무와 전나무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영국 제도[7]나 유럽 러시아[7]처럼 나무발발이가 유일한 지역에서는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이나 혼합림을 더 자주 찾는다. 공원과 넓은 정원에서도 발견된다.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나무발발이속 중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아일랜드에서 일본까지 구북구의 온대 숲에서 번식한다. 늙은 나무를 선호하며, 짧은 발톱 나무발발이와 서식지를 공유하는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는 주로 침엽수림, 특히 가문비나무와 전나무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유럽 러시아나 영국 제도처럼 나무발발이가 유일한 지역에서는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이나 혼합림을 더 자주 찾는다. 공원과 넓은 정원에서도 발견된다.
이 종은 약 1000만km2에 달하는 광대한 범위를 가지고 있다. 유럽에만 1,100만~2,000만 마리로 추산되는 대규모 개체수를 가지고 있다. 개체수 추세는 정량화되지 않았지만, 이 종은 IUCN 적색 목록의 개체수 감소 기준(10년 또는 3세대 동안 30% 이상 감소)에 근접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이유로, 이 종은 최소 관심 종으로 평가된다.[1]
[1]
간행물
Certhia familiaris
2017
2. 분포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서식지 북쪽에서는 해수면까지 번식하지만, 남쪽으로 갈수록 고산 종이 되는 경향이 있다. 피레네 산맥에서는 1370m 이상, 중국에서는 400m에서 2100m, 일본 남부에서는 1065m에서 2135m에서 번식한다.[7] 번식 지역의 7월 등온선은 14°C~16°C 및 23°C~24°C 사이이다.[8]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번식 지역의 온화한 서부와 남부에서는 비이동성이지만, 일부 북부 개체는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며, 산에서 번식하는 개체는 겨울에 낮은 고도로 내려올 수 있다. 겨울 이동 및 번식 후 분산으로 인해 정상적인 서식지 밖에서 미조가 발생할 수 있다. 아시아 아종의 겨울 이동 개체는 대한민국과 중국에서 기록되었으며, 기준형은 번식지 서쪽인 스코틀랜드 오크니까지 기록되었다.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또한 채널 제도 (짧은 발톱 나무발발이가 토착종인 곳), 마요르카 및 페로 제도에서도 미조로 나타났다.[7]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온대에서 아한대에 서식한다. 서식지에서는 기본적으로 텃새이지만, 북방에서 번식한 개체는 겨울에 남방으로 이동한다.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아종은 별개의 종(아메리카 나무타기, 학명: Certhia americana)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의 아고산대의 침엽수림에 텃새로 서식한다. 번식지는 다소 국지적이며, 개체 수는 많지 않다. 겨울에는 다소 해발 고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홋카이도에서는 평지의 숲에 서식하는 개체도 있다.
3. 형태
모든 나무발발이는 얼룩덜룩하고 점점이 박힌 갈색 윗부분, 붉은 엉덩이, 흰색 아랫부분을 가진 작은 새이다. 길게 아래로 굽은 부리와 나무줄기를 기어 올라가 곤충을 찾을 때 지지대를 제공하는 길고 뻣뻣한 꼬리 깃털을 가지고 있다.[7]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12.5cm 길이에 7g~12.9g의 무게가 나간다. 검정색, 황갈색, 흰색이 복잡하게 패턴화된 따뜻한 갈색 윗부분과 밋밋한 갈색 꼬리를 가지고 있다. 배, 옆구리, 항문 부위는 황갈색을 띤다. 성별은 비슷하지만, 어린 개체는 성체보다 윗부분이 더 칙칙하고 아랫부분은 옆구리에 어두운 미세한 반점이 있는 칙칙한 흰색이다.[7]
접촉 호출은 매우 조용하고 얇고 높은 음조의 ''sit''이지만, 가장 특징적인 호출은 때때로 일련의 음으로 반복되는 비브라토 품질을 가진 날카로운 ''tsree''이다. 수컷의 노래는 ''srrih, srrih''로 시작하여 차례로 몇 개의 지저귀는 음, 더 긴 하강 잔물결, 휘파람이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간다.[7]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서식지는 다른 여러 나무발발이와 겹치며, 이는 지역 식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유럽에서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짧은발톱 나무발발이와 서식지를 많이 공유한다. 해당 종에 비해 아랫부분이 더 희고, 윗부분이 더 따뜻하고 더 많은 반점이 있으며, 더 흰색의 눈썹선과 약간 짧은 부리를 가지고 있다. 손으로도 시각적 식별이 잘 표시되지 않은 새에게는 불가능할 수 있다. 노래하는 나무발발이는 일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데, 짧은발톱 나무발발이는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노래와 상당히 다른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일련의 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종 모두 서로의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세 가지 히말라야 아종은 현재 때때로 호지슨 나무발발이로 완전한 종 지위를 부여받는데, 예를 들어 BirdLife International에서 그렇다.[2] 그러나 만약 그들이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아종으로 유지된다면, 다른 세 가지 남아시아 나무발발이와 구별해야 한다.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밋밋한 꼬리는 독특한 줄무늬 꼬리 패턴을 가진 꼬리줄무늬 나무발발이와 구별되며, 흰색 목은 갈색목 나무발발이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녹슨옆구리 나무발발이는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와 구별하기 더 어렵지만 황갈색 대신 더 대조적인 계피색 옆구리를 가지고 있다.[7]
북미의 갈색 나무발발이는 유럽에서 기록된 적이 없지만, 가을 미조는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노래하지 않고, 미국 종의 호출이 유라시아 나무발발이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외관상 갈색 나무발발이는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보다 짧은발톱 나무발발이와 더 유사하지만, 세 종 간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미조를 확실하게 식별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할 수 있다.[7]
전체 길이는 11-15.5cm이다. 참새보다 작고 호리호리하다. 몸의 윗면은 갈색 바탕에 흰색 반점이 있어 나무껍질과 비슷한 색을 띤다. 눈썹선은 흰색이고 눈선은 갈색이다. 배면은 흰색이며 꼬리는 길고 갈색이며 끝이 뾰족하다. 부리는 가늘고 길며 아래로 굽어 있다. 암수 동색이다.[15]
4. 생태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서식지 북쪽에서는 해수면까지 번식하지만, 남쪽으로 갈수록 고산 종이 되는 경향이 있다. 번식 지역의 7월 등온선은 14~16 °C 및 23°C에서 24°C 사이이다.[8]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번식 지역의 온화한 서부와 남부에서는 비이동성이지만, 일부 북부 개체는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며, 산에서 번식하는 개체는 겨울에 낮은 고도로 내려올 수 있다. 겨울 이동 및 번식 후 분산으로 인해 정상적인 서식지 밖에서 미조가 발생할 수 있다. 아시아 아종의 겨울 이동 개체는 대한민국과 중국에서 기록되었다.[7]
나무발발이는 만 1세부터 번식하며, 나무 틈새나 나무껍질 뒤에 둥지를 짓는다.[2] 도입된 북미의 자이언트 세쿼이아(거대 삼나무)가 존재할 경우 선호되는 둥지 나무인데, 부드러운 껍질에 둥지 구멍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9]
유럽에서는 3월에서 6월 사이에 5~6개의 알을 낳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본에서는 5월에서 7월 사이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이며 넓은 끝 부분에 주로 분홍색 반점이 있다. 암컷 혼자 13~17일 동안 알을 품어 조류 솜털 병아리가 부화한다. 그런 다음 두 부모 모두가 먹이를 주지만, 암컷 혼자 15~17일 동안 둥지 밖으로 날아갈 때까지 보살핀다.[2] 어린 새끼는 떠남 후 며칠 밤 동안 둥지로 돌아온다. 남부와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약 20%의 쌍이 두 번째 번식을 한다.
나무발발이의 둥지와 어린 새끼의 포식자에는 큰점박이딱따구리, 붉은 다람쥐, 작은 족제비과 등이 있다.[10] 이 종은 둥지에서 알락할미새벼룩(''Dasypsyllus gallinulae'')의 기생을 받는다.[11] 이 종의 어린 새끼 생존율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성체의 47.7%가 매년 생존한다. 전형적인 수명은 2년이지만, 기록된 최대 수명은 8년 10개월이다.[2]
유럽 나무발발이는 전형적으로 나무 밑둥에서 시작하여 뻣뻣한 꼬리 깃털로 지지하며 위로 올라가면서 나무 줄기에서 무척추 동물 먹이를 찾는다. 길고 가느다란 부리를 사용하여 나무 껍질 틈새에서 곤충과 거미를 잡아낸다. 일반적으로 나무에서 발견되지만, 벽, 맨 땅 또는 떨어진 소나무 바늘 사이에서 먹이를 사냥하기도 하며, 추운 달에는 식단에 일부 구과 식물 씨앗을 추가할 수 있다.[2]
암컷 유럽 나무발발이는 주로 나무 줄기의 윗부분에서 먹이를 찾고, 수컷은 아랫부분을 사용한다. 핀란드에서 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이 사라지면 짝이 없는 암컷은 더 낮은 높이에서 먹이를 찾고, 각 나무에서 더 적은 시간을 보내며, 짝이 있는 암컷보다 짧은 사냥을 한다.[12]
이 새는 때때로 겨울에 혼합 종 먹이 무리에 합류할 수 있지만, 함께 다니는 박새와 굴뚝새가 발견한 자원을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무리의 추가적인 경계심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2] 개미는 나무발발이와 같은 서식지를 공유하며, 나무 줄기에서 무척추 동물을 먹고 산다. 핀란드 연구원들은 개미가 먹이를 찾은 곳에 절지동물이 더 적고, 수컷 나무발발이는 개미가 방문한 가문비나무 줄기에서 더 짧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발견했다.[13]
은폐된 깃털과 조용한 울음소리를 가진 작은 숲새인 유라시아나무발발이는 수직 나무줄기를 생쥐처럼 짧게 뛰어 올라가면서 쉽게 간과된다. 뻣뻣한 꼬리와 넓게 벌어진 발을 지지대로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계심이 적어 사람의 존재에 대체로 무관심하다. 독특하게 불규칙하고 물결치는 비행을 한다. 이동하는 새들은 낮이나 밤에 날 수 있지만, 이동 범위는 일반적으로 텃새 개체군에 의해 가려진다. 겨울에는 단독 생활을 하지만, 추운 날씨에는 10마리 이상의 새들이 적절한 덮개 틈새에서 함께 둥지를 튼다.[8]
저산지에서 아고산대의 침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에 서식한다.[15] 나무 줄기에 사는 작은 곤충류나 거미를 주식으로 한다.[15][16] 줄기에 꼬리를 붙여 몸을 지탱하며, 기어가는 자세로 줄기를 나선형으로 오르내리며 먹이가 되는 벌레를 찾는다. 경계 시에는 몸을 나무 줄기에 붙여 정지한다.[16] 나무 틈새나 나무 구멍에 썩은 나무 조각을 거미줄로 연결하여 사발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 시기는 3~5월이며, 산란 수는 4~5개이다. 포란 일수는 14~15일이며, 암컷이 포란한다. 새끼는 14~16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15] 비번식기에도 단독 또는 암수 한 쌍으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박새 등의 다른 박새류의 혼합 무리에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15]
5. 분류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전형적인 나무발발이 종 그룹 중 하나이며, 모두 단일 속인 ''Certhia''에 속한다. 현재 8종이 인식되고 있으며, 두 개의 진화 계통으로 나뉜다. 하나는 홀극 방사선이고, 다른 하나는 남부 아시아 그룹이다. 홀극 그룹은 더 휘파람 소리가 나는 노래를 가지며, 항상 (중국에서 온 ''C. familiaris'' 제외) 날카로운 소리로 시작하거나 끝난다. 반대로 남부 그룹의 종들은 소리 없이 더 빠른 속도의 트릴을 낸다. 모든 종은 독특한 발성을 가지며, 일부 아종은 그들의 소리를 바탕으로 종으로 승격되었다.[5]
유라시아 나무발발이는 북아메리카의 갈색 나무발발이 ''C. americana'', 서부 유라시아의 짧은발톱나무발발이 ''C. brachydactyla'' 및 별도의 종으로 간주되는 경우 히말라야 산맥 남부 지역의 호지슨 나무발발이 ''C. hodgsoni''와 함께 북부 그룹에 속한다.[6]
5. 1. 아종
유라시아나무발발이는 칼 폰 린네가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현재의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3] 학명은 고대 그리스어 'kerthios'와 라틴어 'familiaris'에서 유래했다.[4]
이 종은 나무발발이속에 속하며, 8종이 두 개의 진화 계통으로 나뉜다. 유라시아나무발발이는 북아메리카의 갈색 나무발발이, 서부 유라시아의 짧은발톱나무발발이, 히말라야 산맥 남부의 호지슨 나무발발이와 함께 북부 그룹에 속한다.[6] 갈색 나무발발이는 때때로 유라시아나무발발이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별개의 종으로 취급된다.[7] 호지슨 나무발발이 역시 별개의 종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
유라시아나무발발이에는 9~12개의 아종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외형에 차이가 있다.[7]아종 분포 비고[7] C. f. britannica 영국, 아일랜드 아일랜드 나무발발이는 영국 나무발발이보다 약간 더 어둡다. C. f. macrodactyla 서부 유럽 C. f. britannica보다 위쪽은 더 연하고 아래쪽은 더 흰색이다. C. f. corsa 코르시카 아랫부분은 황갈색을 띠고 윗부분은 C. f. macrodactyla보다 더 대비가 심하다. C. f. familiaris 스칸디나비아와 동유럽 동부에서 서부 시베리아까지 기준 아종. C. f. macrodactyla보다 위쪽은 더 연하고, 아랫부분은 흰색이다. C. f. daurica 동부 시베리아, 북부 몽골 기준 아종보다 더 연하고 회색이다. C. f. orientalis 아무르 분지, 중국 북동부, 한국, 일본 홋카이도 기준 아종과 유사하지만, 위쪽 줄무늬가 더 강하다. C. f. japonica 일본 홋카이도 남쪽 C. f. daurica보다 더 어둡고 붉은색을 띤다. C. f. persica 크림 반도와 터키 동부에서 북부 이란까지 기준 형태보다 둔하고 붉은색이 덜하다. C. f. tianchanica 중국 북서부와 구 소련의 인접 지역 기준 아종보다 더 연하고 붉은색을 띤다. C. f. hodgsoni 카슈미르의 서부 히말라야 종종 완전한 종인 호지슨 나무발발이, C. hodgsonii로 취급된다.[6] C. f. mandellii 인도, 네팔의 동부 히말라야 현재는 호지슨 나무발발이의 아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C. f. khamensis 중국, 쓰촨성 현재는 호지슨 나무발발이의 아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는 북부나무발발이(학명 ''C.f.daurica'')와 나무발발이(학명 ''C.f.japonica'') 2종이 분포한다. 북부나무발발이는 홋카이도, 나무발발이는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두 아종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여 야외에서 식별하기 어렵다.
6. 보전 상태
서식 범위의 대부분 지역에서 흔하지만, 가장 북쪽 지역에서는 드문데, 혹독한 겨울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무에 얼음 막이 생기거나 얼어붙은 비로 인해 먹이 활동이 방해받는 경우 더욱 그렇다. 또한 터키와 코카서스 산맥에서도 흔하지 않다. 서쪽으로는 스코틀랜드의 아우터헤브리디스 제도까지 퍼져나갔고, 노르웨이에서도 더 북쪽으로 확장되었으며, 1993년에는 네덜란드에서 처음 번식했다.[2]
참조
[2]
웹사이트
Hodgson's Treecreeper Certhia hodgsoni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8-05-27
[3]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Editio decima, reformata. Tomus I.
https://www.biodiver[...]
Lars Salvius
[4]
웹사이트
Treecreeper Certhia familiaris [Linnaeus, 1758]
http://blx1.bto.org/[...]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08-05-20
[5]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reecreeper vocalisations (Aves: Certhia)
[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reecreepers (Certhia) detects hidden diversity
[7]
서적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Christopher Helm
[8]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concise edition (2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10]
논문
Forest Fragmentation Increases Nest Predation in the Eurasian Treecreeper
2004-02
[11]
서적
Fleas, Flukes and Cuckoos. A study of bird parasites
https://archive.org/[...]
Collins
[12]
논문
Effects of male removal on female foraging behavior in the Eurasian treecreeper
1997-07
[13]
논문
Behavioural responses of Eurasian treecreepers, Certhia familiaris, to competition with ants
1997-11
[14]
간행물
Certhia familiaris
[15]
서적
京都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 2015
京都府自然環境保全課
2015-04
[16]
서적
新版 日本の野鳥
山と溪谷社
201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