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전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전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축구 경기를 의미하며, 양국 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해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남북 축구는 때로는 긴장과 경쟁, 때로는 화해의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친선 경기가 열리고, 1991년에는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단일팀을 출전하기도 했다.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대한민국이 '도하의 기적'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2010년 FIFA 월드컵에 남북한이 동반 진출하기도 했지만, 정치적 갈등과 긴장 속에서 경기가 치러졌다. 남자 축구 대표팀은 1990년 이후 북한을 상대로 승리하지 못하고 있지만, 여자 축구 대표팀은 2005년 북한을 상대로 승리한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은 대한민국과 이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며, 2022년 3월 2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10승, 이란이 13승, 그리고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공한증
공한증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관계에서 오랫동안 우위를 점하며 중국이 한국을 두려워했던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2010년 이후 중국의 승리로 그 의미가 희석되었음에도 양국 축구 관계를 설명하는 역사적 용어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은 대한민국과 이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며, 2022년 3월 2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10승, 이란이 13승, 그리고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공한증
공한증은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관계에서 오랫동안 우위를 점하며 중국이 한국을 두려워했던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2010년 이후 중국의 승리로 그 의미가 희석되었음에도 양국 축구 관계를 설명하는 역사적 용어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은 대한민국과 이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며, 2022년 3월 2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10승, 이란이 13승, 그리고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1960–1969)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대에 AFC 아시안컵 우승과 메르데카컵에서의 활약을 통해 아시아 축구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였으나, FIFA 월드컵과 하계 올림픽 진출에는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남북전 (축구) | |
---|---|
기본 정보 | |
![]() | |
도시 또는 지역 | 아시아 (AFC) 동아시아 (EAFF) |
첫 경기 (남자) | 1978년 12월 22일 (1978년 아시안 게임) |
첫 경기 결과 (남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0 대한민국 |
참가 팀 (남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자 대한민국 남자 |
최다 출전 선수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득점자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가장 최근 경기 (남자) | 2019년 10월 15일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가장 최근 경기 결과 (남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0 대한민국 |
다음 경기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총 경기 수 (남자) | 17 |
리그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시리즈 (남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승 대한민국: 7승 무승부: 9 |
정규 시즌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포스트 시즌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최대 점수차 승리 (남자) | 1993년 10월 28일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최대 점수차 승리 결과 (남자) | 대한민국 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방송사 (남자) | 해당 사항 없음 |
지도 정보 | |
지도 레이블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도 레이블 1 위치 | 오른쪽 |
지도 레이블 2 | 대한민국 |
지도 레이블 2 위치 | 오른쪽 |
여자 축구 정보 | |
첫 경기 (여자) | 1990년 10월 1일 (1990년 아시안 게임) |
첫 경기 결과 (여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0 대한민국 |
참가 팀 (여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대한민국 여자 |
최다 출전 선수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득점자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가장 최근 경기 (여자) | 2023년 9월 30일 (2022년 아시안 게임) |
가장 최근 경기 결과 (여자) | 대한민국 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다음 경기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총 경기 수 (여자) | 16 |
리그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시리즈 (여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승 대한민국: 1승 무승부: 2 |
정규 시즌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포스트 시즌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최대 점수차 승리 (여자) | 1990년 10월 1일 (1990년 아시안 게임) |
최대 점수차 승리 결과 (여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0 대한민국 |
방송사 (여자) | 해당 사항 없음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남북전 |
경쟁 팀 | |
경기 수 | 16경기 |
최다 승리 | 대한민국 (7승) |
최다 득점자 | 황선홍 (3골) |
가장 최근 경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s 대한민국 (2019년 10월 15일) |
최근 경기 대회 | 2022년 월드컵 & 2023년 아시안컵 예선 |
다음 경기 | 해당 사항 없음 |
역대 전적 | 7승 8무 1패로 대한민국 우세 |
정규 시즌 전적 | 해당 사항 없음 |
플레이오프 결과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점수차 경기 | 해당 사항 없음 |
방송 사업자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
2. 1. 초기 교류와 경쟁 (1970년대~1990년대 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사이의 좋지 않은 관계는 축구에서도 경쟁심으로 나타났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자, 대한민국 정부는 반공주의에 입각하여 축구 클럽 양지를 창단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보다 더 나은 수준의 국가대표팀을 육성하려 했다.[1] 그 결과 대한민국 축구팀은 1970년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첫 번째 남북 대결은 197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 벌어졌고,[3] 승부차기 없이 0-0으로 비겨 두 나라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2]1990년대 초반, 양측의 관계와 유대감은 개선되었고 축구를 포함한 문화 교류가 활발해졌다. 두 나라는 친선 축구 경기를 가졌고,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단일팀을 출전시켰다.[4]
2. 2. 1994년 월드컵 예선과 도하의 기적
1993년 10월 28일, 최종 예선 경기를 앞두고 대한민국은 일본과 사우디 아라비아에 승점 1점이 뒤져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출전권 두 장 중 한 장을 노리고 있었다.[5] 반면 북한은 이미 탈락한 상태였다.[5] 후반전에 고정운, 황선홍, 하석주의 골로 대한민국은 3-0으로 승리했다.[5] 경기 막바지에 일본이 이라크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면서, 대한민국은 골득실에서 일본을 앞서며 1994년 월드컵에 진출했다.[5]2. 3. 2000년대 이후의 남북 축구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였으며, 북한은 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한민국 대표팀은 북한 내에서도 지지 기반을 확보했다고 알려져 있다.[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리광건 위원장은 대한민국 대표팀의 선전에 축하 메시지를 보냈으며, 북한 주민들은 대한민국 대표팀을 응원하는 모습을 보였다.[7][8]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평양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경기가 북한 당국의 비협조로 상하이에서 개최되는 등 정치적인 갈등이 있었다.[8][9] 서울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한 후, 북한 축구 협회는 대한민국이 선수들에게 고의로 식중독을 일으켰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0]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남북한이 사상 최초로 동반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11] 대한민국 대표팀 주장 박지성은 "북한과 우리는 같은 나라"라며 북한 대표팀을 응원하는 모습을 보였고, 대한민국 국민들 역시 북한 대표팀을 지지하는 여론이 높았다.[12][13] 그러나 북한의 군사적 도발 등으로 인해 양 팀 간의 경기에는 긴장감이 이어지고 있다.[3]
북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0년 이후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하지 못하고 있다.[3] 반면,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5년 친선 경기에서 북한을 상대로 단 한 번 승리했다.
2. 4. 최근의 남북 축구 경기
3. 역대 경기
3. 1. 남자 성인 대표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남자 성인 대표팀 간 축구 경기는 '남북전'으로 불리며, 양국 간 특수한 관계 속에서 치러져 왔다.# | 일자 | 결과 | 대회 | 장소 | 최종 승부패 결과 | ||
---|---|---|---|---|---|---|---|
1 | 0-0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결승전 | 방콕 | 무 | |||
2 | 정해원(2) | 2-1 | 박종헌 | 1980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 | 쿠웨이트시티, 사바 알 살렘 경기장 | 승 | |
3 | 황선홍 | 1-0 | 1990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승 | ||
4 | 황보관 | 1-0 | 1990년 다이너스티컵 |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승 | ||
5 | 김주성 | 1-2 | 윤정수, 탁영빈 | 친선경기 | 평양, 릉라도5월1일경기장 | 패 | |
6 | 황선홍 | 1-0 | 친선경기 |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승 | ||
7 | 홍명보 | 1-1 | 최영선 | 1992년 다이너스티컵 |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무 | |
8 | 고정운, 황선홍, 하석주 | 3-0 | 1994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도하의 기적)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 승 | ||
9 | 0-0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 무 | |||
10 | 염기훈 | 1-1 | 정대세 |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충칭,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 무 | |
11 | 0-0 | 2010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 상하이, 훙커우 경기장 | 무 | |||
12 | 0-0 | 2010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무 | |||
13 | 기성용 | 1-1 | 홍영조 | 2010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 상하이, 훙커우 경기장 | 무 | |
14 | 김치우 | 1-0 | 2010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승 | ||
15 | 0-0 |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 무 | |||
16 | 리영철 (자책골) | 1-0 | 2017년 EAFF 동아시안컵 | 조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승 | ||
17 | 0-0 | 2022년 월드컵 & 2023년 아시안컵 예선 | 평양, 김일성경기장 | 무 | |||
1978년 197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 처음 맞붙은 이후,[6] 1980년 1980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대한민국이 2-1로 승리하였다. 1990년에는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다시 만나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해 1990년 다이너스티컵에서도 대한민국이 황보관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친선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하고, 1992년 다이너스티컵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993년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예선에서는 대한민국이 3-0으로 대승을 거두며 도하의 기적을 통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고, 북한은 최하위로 탈락했다.[6] 이후 북한은 김일성 사망과 기근으로 인해 한동안 국제 축구 무대에서 멀어졌다.[6]
2005년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12년 만에 재회했고,[14] 2008년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1-1로 비겼다.[15]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3, 4차 예선에서 모두 같은 조에 편성되어 총 4번의 경기를 치렀는데, 북한이 홈 경기 개최를 거부하여 3경기는 상하이에서 열렸다.[15] 4경기 중 3경기는 무승부였고, 마지막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하며 양 팀 모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15년 2015년 EAFF 동아시안컵과 2017년 2017년 EAFF 동아시안컵에서 각각 0-0 무승부와 1-0 대한민국 승리로 경기가 종료되었다.[16] 2019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29년 만에 평양에서 경기가 열렸으나 무관중으로 진행되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7][18] 이후 북한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예선에서 기권하여 2022년 FIFA 월드컵과 2023년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잃었다.[19]
3. 2. 여자 성인 대표팀
번호 | 날짜 | 대회 | 경기 결과 | 장소 |
---|---|---|---|---|
1 | 1990년 10월 1일 | 1990년 아시안 게임 | 7–0 | 베이징 |
2 | 1993년 12월 7일 | 199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A조 | 0–3 | 쿠칭 |
3 | 2002년 10월 9일 | 2002년 아시안 게임 | 2–0 | 구덕 운동장, 부산 |
4 | 2003년 6월 16일 |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A조 | 2–2 |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 방콕 |
5 | 2004년 4월 26일 |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 | 5–1 |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
6 | 2005년 8월 4일 | 2005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 | 1–0 |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
7 | 2006년 7월 24일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B조 | 1–0 | 힌드마시 스타디움, 애들레이드 |
8 | 2006년 12월 7일 | 2006년 아시안 게임 B조 | 4–1 | 움 아파이 스타디움, 알라이얀 |
9 | 2008년 2월 24일 | 2008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 | 0–4 | 융촨 스타디움, 충칭 |
10 | 2010년 11월 20일 | 2010년 아시안 게임 준결승 | 1–3 (연장) | 톈허 스타디움, 광저우 |
11 | 2011년 9월 5일 | 2012년 하계 올림픽 예선 | 2–3 |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지난 |
12 | 2013년 7월 21일 | 2013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 | 1–2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13 | 2014년 9월 29일 | 2014년 아시안 게임 준결승 | 1–2 | 인천 문학 경기장 |
14 | 2015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 | 0–2 |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우한 | |
15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1–1 | 김일성경기장, 평양 | |
16 | 2022년 아시안 게임 8강 | 1–4 |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원저우 |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으로 여자 축구 경기가 개최된 이후, 대한민국과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차례 경기를 가졌다.[20][21][22][23] 2005년 전주에서 열린 2005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이 북한을 상대로 첫 승리(1-0)를 기록하기 전까지 북한이 대한민국을 상대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20]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양 팀은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A조에 함께 편성되어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두 팀 모두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북한이 우승하고 양국 모두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20]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는 1990년 이후 처음으로 대한민국 대표팀이 북한 평양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여 대한민국이 골득실차로 북한을 제치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3. 3. U-23 대표팀
U-23 대표팀 간의 경기 결과를 정리한다.4. 남북 여자 축구
남북 여자 축구는 1990년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맞붙었으며, 북한이 7-0으로 크게 이겼다. 이후 199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조별 리그에서 다시 만나 북한이 3-0으로 승리했다.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북한이 구덕 운동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A조 조별 리그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양 팀 모두 조별 리그를 통과했고 북한은 이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 나라 모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는 북한이 히로시마에서 열린 경기에서 5-1로 크게 이겼으나, 두 팀 모두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20] 2005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이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며 북한을 상대로 첫 승리를 기록했다.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B조 조별 리그에서는 북한이 힌드마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며 조 1위로 진출했고, 대한민국은 탈락했다. 북한은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6년 아시안 게임 B조 조별 리그에서는 북한이 움 아파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4-1로 승리했지만, 두 팀 모두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2008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북한이 융촨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을 4-0으로 꺾었다.[21] 2010년 아시안 게임 준결승에서는 1-1 무승부 후 연장전에서 라은심의 두 골로 북한이 결승에 진출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는 북한이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에 기여했고, 대한민국은 탈락했다.[22] 2013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북한이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23]
2014년 아시안 게임 준결승에서는 북한이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2-1로 승리했다. 2015년 E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북한이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는 김일성경기장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무승부로 대한민국이 골득실차로 북한을 제치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고,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반면 북한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8강에서는 북한이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4-1로 승리했다.
5. 정치, 사회적 의미와 영향
6. 기타
6. 1. 응원 문화
6. 2. 단일팀 구성 논의
참조
[1]
뉴스
https://www.eroun.ne[...]
2021-09-18
[2]
뉴스
Asian Games
https://www.rsssf.or[...]
2018-09-06
[3]
뉴스
North v South Korea: Welcome to the world's strangest football derby
https://www.bbc.com/[...]
BBC
2019-10-15
[4]
뉴스
Koreas Expected to Send Joint Team to Beijin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7-03-10
[5]
뉴스
Agony amid drama in Doha
https://www.fifa.com[...]
FIFA
2017-06-12
[6]
뉴스
Chosun one prepares for crucial qualifi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3-25
[7]
뉴스
N. Korea Congratulates S. Korea's Achievement in World Cup
http://www1.korea-np[...]
The People's Korea
2002-06-30
[8]
뉴스
World Cup will be good for Korea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5-19
[9]
뉴스
Clash of North and South Koreas ends all squar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8-09-10
[10]
뉴스
North Korea accuses South of poisoning ahead of defeat in World Cup qualifi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4-06
[11]
뉴스
North Korea TV viewers see World Cup loss
https://www.bbc.co.u[...]
BBC
2010-06-21
[12]
뉴스
Park Ji-sung hopes World Cup can help unite a divided Kore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5-28
[13]
뉴스
S.Koreans back N.Korea football team over US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
2011-02-09
[14]
웹사이트
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05 Final Competition: match sheet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15]
뉴스
S. Korea Draws With North in Chongquin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8-02-21
[16]
웹사이트
マッチレポート
http://www.jfa.jp/na[...]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17-12-12
[17]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to meet in 2022 World Cup qualifiers
https://www.apnews.c[...]
2021-04-22
[18]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soccer teams draw 0-0 in Pyongyang — to an empty stadium
https://www.washingt[...]
2019-10-15
[19]
웹사이트
North Korea withdraws from 2022 World Cup
https://www.espn.com[...]
ESPN
2021-05-16
[20]
웹사이트
DPR Korea
http://www.eaff.com/[...]
EAFF
[21]
웹사이트
Match sheet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2]
웹사이트
Women's Olympic Football Tournament London 2012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3]
웹사이트
EAFF East Asian Cup 2013 final match and result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