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송 소제는 남송 도종의 일곱 번째 아들로, 1278년 단종이 죽자 옹립되어 즉위했으나,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원나라에 패배하여 육수부와 함께 자결함으로써 남송은 멸망했다. 소제는 즉위 전에는 위왕, 광왕으로 봉해졌으며, 재위 기간의 연호인 상흥제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 도종의 황자 - 남송 단종
남송 단종은 도종의 아들로, 원나라의 침공 후 7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장세걸, 육수부 등과 함께 남송 부흥을 꾀했으나, 1278년 10세의 나이에 병으로 붕어하였다. - 남송 도종의 황자 - 남송 공제
남송 공제는 도종의 아들로, 4세에 남송의 황제로 즉위했으나 원나라에 항복하여 폐위된 후 몽골을 증오하는 시를 읊었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 - 1279년 사망 - 육수부
육수부는 남송 말기의 충신이자 정치가로, 원나라의 침공에 맞서 남송의 마지막 저항을 이끌었으며, 어린 황제를 옹립하여 국정을 운영하다 야먼 해전에서 패배 후 순절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 1279년 사망 - 아폰수 3세 (포르투갈)
아폰수 3세는 1248년부터 1279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한 국왕으로, 평민의 정치 참여를 이끌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수도를 리스본으로 이전하고 카스티야와의 국경을 확정했다. - 1272년 출생 - 윌리엄 월리스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영국 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스털링 다리 전투 승리 후 스코틀랜드 수호관이 되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의 투쟁은 스코틀랜드 독립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 1272년 출생 - 쇼니 사다쓰네
쇼니 사다쓰네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 시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막부에 협력하다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귀순하여 겐무 신정에서 슈고로 임명되었으나, 다카우지를 지지하다 왕실 지지 세력의 공격으로 자결하였다.
남송 소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조병(趙昺) |
다른 이름 | 송나라 병제, 송 제병(宋帝昺) |
묘호 (비공식) | 회종(懷宗) |
출생 | 1272년 2월 12일 |
출생지 | 송 제국 임안 (현재의 중국 저장성 항저우 시) |
사망 | 1279년 3월 19일 (7세) |
사망지 | 송 제국 광남동로 애산 (현재의 중국 광둥성 신후이 구) |
능묘 | 소제릉 (少帝陵, 현재의 중국 광둥성 선전시 츠완) |
왕조 | 조 |
왕가 | 송 (남송) |
아버지 | 도종 |
어머니 | 유씨 |
재위 | |
즉위일 | 1278년 5월 10일 |
퇴위일 | 1279년 3월 19일 |
이전 통치자 | 단종 |
이후 통치자 | 쿠빌라이 칸 (원나라) |
연호 | 상흥(祥興; 1278–1279) |
작위 | |
위왕(衛王) 재위 | 1276년 6월 14일 ~ 1278년 5월 10일 |
즉위식 | 경염(景炎) 원년 음력 5월 1일 (1276년 6월 14일) |
신왕(信王) 재위 | 1274년 8월 13일 ~ 1276년 6월 14일 |
즉위식 | 함순(咸淳) 10년 음력 7월 10일 (1274년 8월 13일) |
영국공(永國公) 재위 | 1274년 5월 16일 ~ 1274년 8월 13일 |
즉위식 | 함순(咸淳) 10년 음력 4월 9일 (1274년 5월 16일) |
2. 생애
1272년 도종의 7번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수용(修容) 유씨(兪氏)이다. 1274년 형인 공종에 의해 신왕(信王), 광왕(廣王)에 봉해졌다. 1276년 수도 임안이 원나라군에 함락되고 형 공종이 항복하자, 육수부, 장세걸 등과 함께 절강 금화로 도피하여 단종을 옹립, 이때 단종에 의해 위왕(衛王)에 봉해졌다.
1278년 단종이 병으로 죽자 육수부, 장세걸 등에 의해 홍콩 란터우섬에서 황제로 즉위하여 연호를 상흥(祥興)으로 하였다. 당시 원나라는 바얀이 푸젠성 취안저우시 호족 포수경을 포섭하여 해상에서 유리하게 싸울 수 있었다. 원나라 측 기록에 의하면 남송 함대는 1,000척의 대형 선박을 모두 한데 묶어서 화재 방지용으로 선체 외장에 진흙을 칠하고 적이 가까이 오지 못하게 긴 목재를 묶어서 붙여 놓아 방어망을 만들어 기름을 이용해 화공을 가하려는 의도를 가진 원나라군을 물리쳤다고 한다.
1279년 2월 기나긴 소모전에 피로가 쌓인 남송군은 패주하기 시작했고, 3월 19일 광저우 남서쪽 애산(오늘날의 광둥성 장먼 시)에서 벌어진 애산 전투에서 원나라에 크게 패하였다. 전투 와중에도 육수부는 어린 황제에게 대학을 가르쳤다. 전투 후 패배에 절망한 남송의 신하 및 간부들이 차례로 물에 뛰어들었고, 소제도 육수부와 함께 물에 뛰어들어 자결함으로써 송나라는 멸망했다.
남송이 망할 때 순국한 충신은 다른 왕조에 비해 대단히 많았으나, 원나라의 통치 아래에서 송나라의 유민으로 살아남은 사대부도 있어 사방득(謝枋得), 증선지(曾先之), 호삼성(胡三省) 등, 문학, 사학에서 이름을 남긴 인물들도 많았다.
2. 1. 탄생과 즉위 전
1272년, 도종의 7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수용(修容) 유씨(兪氏)이다. 공종과 단종의 이복 형제였다.1274년, 형인 공종에 의해 신왕(信王)에 봉해졌고, 이후 광왕(廣王)으로 작위가 변경되었다.
1276년, 수도인 임안(臨安)이 원나라군에게 함락되고 형 공종이 항복하자, 조병은 양량절(楊亮節)과 육수부, 장세걸, 진의중(陳宜中), 문천상 등과 함께 남쪽으로 피신했다.[6] 이들은 절강 금화를 거쳐 복주에서 단종을 옹립했고, 조병은 위왕(衛王)에 봉해졌다.
2. 2. 즉위와 최후
1278년, 단종이 병으로 죽자 육수부, 장세걸 등[7]은 조병을 황제로 옹립하고 연호를 상흥(祥興)으로 정했다. 이들은 간저우(碙州, 현재의 홍콩 란터우섬)를 거쳐 애산(厓山, 현재의 광둥성 장먼시)으로 이동하며 원나라에 대한 항전을 이어갔다.당시 원나라군은 바얀이 1276년에 군사 요충지인 푸젠성 취안저우시의 호족인 포수경을 포섭, 그로부터 선박 및 숙련된 선원을 제공받게 되어 약했던 해상에서도 남송군에 대해 유리하게 싸울 수 있게 된 상태였다.
1279년 3월 19일, 애산에서 원나라와 남송의 최후 결전인 애산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남송군은 원나라 군대에 대패했다. 패배를 직감한 육수부는 어린 황제에게 대학을 가르쳤다. 전투 후 패배에 절망한 남송의 신하 및 간부들이 차례로 물에 뛰어들었고, 소제도 육수부와 함께 물에 뛰어들어 자결함으로써 송나라는 멸망했다.[1]
3. 명칭
묘호와 시호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재위 기간의 연호에서 따와 상흥제(祥興帝)로 불린다. 또한 즉위 이전에 봉해진 왕호인 衛王|위왕중국어으로도 불린다. 그 외에 '''소제''', '''유주''', '''제병'''으로도 불린다. 원대에 편찬된 『송사』에서는 '''영국공'''으로 공제 (영국공), 단종 (건국공)과 함께 본기의 마지막 권(제47권)에 수록되어 있다.
4. 사후
야문 해전에서 패배한 후, 육수부는 어린 황제 조병을 데리고 절벽에서 바다로 몸을 던져 함께 자결했다.[1] 이 비극적인 최후는 많은 사람들에게 애석함을 안겨주었으며, 가야금 곡 '애산애(崖山哀)'는 이를 기리는 곡이다.
일본에서는 단노우라 전투에서 패배한 안토쿠 천황과 비슷한 점이 있어, 여러 문학 작품에서 조병이 언급되기도 한다. 간 사잔의 한시 '아카마가세키 회고'와 다나카 요시키의 소설 『해소(海嘯)』 등이 그 예이다.
조병의 능묘는 현재 선전시 난산구 츠완에 위치해 있다.[2]
5. 일화
광둥성 현지인들에 따르면, 원나라 군대와의 마지막 전투인 야문 해전 전에 자오빙과 남송 잔당은 차오저우의 한 사찰로 피신했다. 사찰의 승려들은 잎채소, 식용 버섯, 채소 국물로 만든 즉석 잎채소 수프를 제공했다. 황제는 이 수프를 매우 좋아하여 "호국채"(護國菜)라고 이름을 지었다.[5] 후세들은 이를 영어로 "Patriotic Soup"라고 명명했다. 자오빙이 사망한 후, 이 수프를 만드는 것은 마지막 송나라 황제를 기리는 방식이 되었다.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영왕(榮王) 조여예(趙與芮) |
조모 | 제국부인(齊國夫人) 황씨(黄氏) |
부친 | 도종(度宗) 경효황제(景孝皇帝) 조기(趙禥) |
모친 | 수용(修容) 유씨(兪氏) |
7. 재상
8. 연호
참조
[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
웹사이트
Song Shao Di Mu, Tomb of the Last Song Emperor
http://onedayinsz.ja[...]
[3]
웹사이트
Last emperor: is Shenzhen the resting place of final Song ruler?
https://www.scmp.com[...]
2019-11-07
[4]
서적
Traditional Chaozhou Cuisine
Wan Li Book Co. Ltd.
[5]
웹사이트
Nanyuan Restaurant – Authentic GD Cuisine
http://www.newsgd.co[...]
2018-01-01
[6]
문서
육수부, 장세걸, 문천상을 삼걸(三傑) 또는 삼위충신(三位忠臣)이라고도 한다
[7]
문서
문천상은 원의 포로가 되었고 진의중은 타이([[시암]])로 망명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