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공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송 공제는 남송의 제6대 황제 도종의 아들로, 1274년 도종이 사망하자 4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섭정 사태후와 재상 가사도의 실권 장악 하에 원나라의 침략을 받았고, 1276년 수도 임안이 함락되자 원나라에 항복했다. 영국공으로 강등된 후 승려가 되었으며, 쿠빌라이 칸의 배려로 대도에서 황족 예우를 받았다. 이후 티베트로 이주하여 불교를 공부했으나, 1323년 원 영종에 의해 자결했으며, 묘호는 마지막 황제였기에 붙여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 도종의 황자 - 남송 소제
남송 소제는 남송 도종의 아들로, 1278년 즉위했으나 이듬해 애산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함으로써 남송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 남송 도종의 황자 - 남송 단종
남송 단종은 도종의 아들로, 원나라의 침공 후 7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장세걸, 육수부 등과 함께 남송 부흥을 꾀했으나, 1278년 10세의 나이에 병으로 붕어하였다. - 1323년 사망 - 백이정
백이정은 고려 후기 안향의 문인으로 성리학을 연구하고 보급하여 도학과 예학 발전에 공헌한 문신으로, 충선왕 때 도감사를 지내고 상당군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헌이다. - 1323년 사망 - 원 영종 (9대)
원 영종(9대)은 원 인종의 아들이자 쿠빌라이 칸의 증손으로,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몽골 귀족들의 반발로 1323년 암살당했다. - 1271년 출생 - 가잔 칸
가잔 칸은 1295년부터 1304년까지 일 칸국을 통치한 몽골 제국의 칸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재위 기간 동안 종교적 관용과 개혁을 추진하다가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271년 출생 -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2세는 1278년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폴란드 왕으로 즉위했으며, 헝가리 왕위 계승에도 관여했으나 1305년에 사망했다.
남송 공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현(趙㬎) |
로마자 표기 | Zhao Xian |
작위 정보 | |
작위 | 송나라의 황제 |
재위 기간 | 1274년 8월 12일 ~ 1276년 2월 4일 |
즉위일 | 1274년 8월 12일 |
이전 통치자 | 도종 |
다음 통치자 | 단종 |
섭정 | 사도태후, 전황후, 가사도 |
작위2 | 영국공 |
재위 기간2 | 1276년 2월 4일 ~ 1323년 5월 31일 |
이전 통치자2 | 없음 |
다음 통치자2 | 없음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271년 11월 2일 |
출생지 | 임안, 저장성, 송나라 |
사망일 | 1323년 5월 31일 |
사망지 | 하서, 간쑤성, 원나라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보르지긴 씨 |
배우자 유형 | 후궁 |
자녀 | 조완보 |
아버지 | 도종 |
어머니 | 전씨 |
통치 정보 | |
연호 | 덕우 (德祐; 1275–1276) |
시호 | 효공의성황제(孝恭懿聖皇帝) |
묘호 | 없음 |
왕조 | |
가문 | 조 |
왕조 | 송나라 (남송) |
2. 생애
1274년 아버지 도종이 붕어하자 4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연호를 덕우(德祐)로 고쳤다. 너무 어려서 생모 전황태후, 조모 사태황태후가 섭정을 하였으나, 실권은 재상 가사도가 장악했다. 원나라의 침공이 본격화되면서, 가사도의 군대가 우후시에서 궤멸되고, 문천상 등이 화의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1]
1276년 정월, 바얀이 이끄는 원나라 군대에 의해 수도 임안이 함락되면서, 공제는 어머니와 함께 원나라에 항복하고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후 영국공으로 강등되어 북쪽으로 끌려갔으나, 쿠빌라이 카안과 황후 차브이 카툰의 배려로 대도에서 황족 대우를 받았다. 장세걸, 육수부 등은 공제의 서형인 단종을 옹립하여 남쪽에서 항전을 계속하였다.[1]
1288년 쿠빌라이 카안의 명으로 티베트로 이주하여 브라만과 티베트 고전을 공부했다. 그는 사캬 사원에 거주하며 법명 "''초키 린첸''"(ཆོས་ཀྱི་རིན་ཆེན་bo)을 받았다. 후에 자오시안은 사원의 수석 승려가 되어, "''스만체 라춘''"(སྨན་རྩེ་ལྷ་བཙུན་bo)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어와 티베트어 사이의 불교 경전을 번역했다.[3]
1323년 5월 몽골을 증오하는 시를 읊었다는 이유로 영종 시데발라 황제로부터 자진을 명받고 처형되었다. 일설에는 한족이 송 공제를 추대하려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고도 한다.[2]
2. 1. 즉위 전
1271년, 도종의 여섯째 아들(일설에는 넷째 아들이라고도 한다)로, 임안의 궁궐에서 태어났다.[1] 어머니는 황후 전씨이다. 1273년, 가국공(嘉國公)에 봉해졌다.[2]2. 2. 남송 황제 재위
1274년 아버지 도종이 붕어하자 4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너무 어려서 사태후가 섭정을 하였으나, 실권은 재상 가사도가 장악했다.[1] 원나라의 침공이 본격화되면서, 가사도의 군대가 궤멸되고, 문천상 등이 화의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1275년 초, 가사도는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우후시에서 원나라 군대와 교전했으나 패배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태황태후 사씨는 여론의 압력에 굴복하여 가사도의 처형을 명령했지만, 이미 송나라의 멸망은 가까워진 뒤였다.[1]
1276년 1월, 바얀이 이끄는 원나라 군대에 의해 수도 임안이 함락되면서, 공제는 원나라에 항복하고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 3. 원나라에 항복
1276년, 원나라 장수 바얀에게 항복하여 임안이 함락되었다.[1] 영국공으로 강등되어 북쪽으로 끌려갔으나, 쿠빌라이 카안과 황후 차브이 카툰의 배려로 대도에서 황족 대우를 받았다. 장세걸, 육수부 등은 단종을 옹립하여 항전을 계속하였다.2. 4. 티베트 이주와 승려 생활
1288년 쿠빌라이 카안의 명으로 티베트로 이주하여 브라만과 티베트 고전을 공부했다. 다른 자료에서는 자오시안이 티베트에 있는 동안 불교를 공부하기로 결정했다고도 한다.1288년 12월, 자오시안은 현재의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에 있는 암도(མདོ་སྨདbo, Wylie: ''mdo smad''; 중국어: 朵思麻)에서 현재 티베트 국경 내의 위-창(དབུས་གཙངbo, Wylie: ''dbus gtsang''; 중국어: 烏思藏)으로 출발했다. 그는 사캬 사원에 거주하게 되었고 법명 "''초키 린첸''"(ཆོས་ཀྱི་རིན་ཆེན་bo)을 받았다. 후에 자오시안은 사원의 수석 승려가 되어, "''스만체 라춘''"(སྨན་རྩེ་ལྷ་བཙུན་bo, 중국어: 蠻子合尊 ''manzihézūn'')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어와 티베트어 사이의 불교 경전을 번역했는데, 이는 티베트어로 "만기"(남부의 야만인)의 왕족을 의미한다.
2. 5. 죽음
1323년 영종 시데발라 황제의 명으로 자결하였다. 영종이 趙顯|조현중국어의 시를 불쾌하게 여겼거나, 조현을 옹립한 반란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2] 조현의 시가 원나라 통치자 영종을 불쾌하게 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역사가들도 있고,[3] 영종이 조현이 주도하는 쿠데타를 두려워했다고 보는 역사가들도 있다.[3]3. 가족 관계
- 배우자: 孛兒只斤氏중국어 보르지긴 씨[4]
- 자녀: 조완보(趙完普)[4]
송 공제는 보르지긴 씨와의 사이에서 아들 조완보를 낳았다.[4] 조완보는 어머니의 혈통 덕분에 원나라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4] 조완보는 유배되었으나,[4] 1352년 홍건적의 난이 발발하자 원나라 어사는 조완보를 다른 곳으로 이송해야 한다고 건의했다.[4] 원나라는 한족 반군이 조완보를 확보할 것을 우려하여 그를 사저우로 유배보냈다.[4]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영왕(榮王) 조여예(趙與芮)
- '''조모''' : 제국부인(齊國夫人) 황씨(黃氏)
- '''부친''' : 도종(度宗) 경효황제(景孝皇帝) 조기(趙禥)
- '''모친''' : 황후(皇后) 전씨(全氏)
3. 2. 배우자
3. 3. 자녀
- 조완보(趙完普)
孛兒只斤氏중국어 보르지긴 씨족 출신 부인[4]
:* 자오 완푸(趙完普중국어), 첫째 아들
송 공제 자오 시안은 보르지긴 몽골 여성과의 사이에서 자오 완푸를 낳았다.[4] 자오 시안 사후, 아들 자오 완푸는 어머니의 몽골 보르지긴 황실 혈통 덕분에 원나라에서 생존했다.[4] 자오 완푸는 유배되었을 뿐이다.[4] 1352년 홍건적의 난이 허난에서 발발하자, 원나라 어사(御史)는 자오 완푸를 다른 곳으로 이송해야 한다고 건의했다.[4] 원나라는 한족 반군이 자오 완푸를 확보할 것을 우려하여 아무도 그를 만나지 못하게 했고, 자오 완푸와 가족은 원 황제에 의해 국경 근처 사저우로 유배되었다.[4]
4. 재상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가사도 | 1274년 ~ 1275년 | 평장군국중사(平章軍國重事) | 사헌 (師憲) | ||
2 | 왕약 (王爚) | 1274년 ~ 1275년 | 좌승상(左丞相) | 중잠 (仲潛) | ||
3 | 장감 (章鑑) | 1274년 ~ 1275년 | 우승상(右丞相) | 공병 (公秉) | ||
4 | 진의중 | 1275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여권 (與權) | ||
5 | 유몽염 (留夢炎) | 1275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한보 (漢輔) | ||
6 | 진의중 | 1275년 ~ 1276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여권 (與權) | ||
7 | 오견 (吳堅) | 1276년 | 좌승상(左丞相) | 언개 (彦愷) | ||
8 | 문천상 | 1276년 | 우승상(右丞相) | 송서 (宋瑞) | 신국공 |
도종이 1274년 과음으로 사망하자, 당시 4세였던 그의 여섯 번째 아들 조현이 재상 가사도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1]
5. 평가 및 묘호
묘호는 붙여지지 않았고, '공손하다'는 뜻의 공제(恭帝)로 불린다.[1] 그는 남송의 마지막 황제로서 원나라에 항복한 비운의 군주로 평가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남송 멸망의 원인을 권신 가사도의 전횡과 무능한 군사적 대응에서 찾으며, 공제 개인의 책임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구조적 문제를 강조한다. 특히 가사도의 실정은 북벌을 주장했던 김구 선생과 이승만 대통령의 갈등, 그리고 친일파 청산 문제와 연결 지어 해석하기도 한다.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공제의 항복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평가하며, 이후 티베트에서 불교에 귀의한 삶을 통해 개인적인 구원을 추구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진보 진영에서는 공제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외세에 의한 민족사의 단절과 그 극복 과정을 강조하며, 역사적 교훈을 얻고자 한다.
참조
[1]
서적
State Power in China, 900-132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1-11-29
[2]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https://books.google[...]
BRILL
2018
[3]
서적
Chronicle of the Chinese Emperors
Thames & Hudson
1988
[4]
문서
([[拉施德丁|拉施特]] [[Rashid-al-Din Hamadani]]《[[史集]]》 [[Jami' al-tawarikh]] 之忽必烈汗紀、陳霆《兩山墨談》、[[谈迁]]《[[国榷]]》等)
[5]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BRILL
2018
[6]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7]
문서
《庚申外史》
[8]
문서
銭士升『南宋書』による
[9]
웹사이트
https://www.unicode.[...]
[10]
문서
「顕」の旧字「顯」の左の部分で音は「けん」、意味は「あきら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