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해군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었다. 진나라가 영남 지역을 정복한 후 설치되었으며, 이후 조타가 남월을 건국하면서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전한 시대에는 무제가 남월을 멸망시키고 다시 설치하여 교주에 속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7개 현을 관할했다. 이후 오, 진, 유송, 남제를 거치면서 관할 현의 변화를 겪었고, 수나라 시대에는 15개 현을 관할하는 군으로 존속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광주총관부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남해군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758년에 광주로 개칭되면서 남해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젠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푸젠성의 군 - 진안군 (중국)
    진안군은 282년 서진에 의해 설치되어 양주에 속했으며, 이후 여러 행정 구역으로 소속이 변경되다가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어 취안저우에 편입되었고, 당나라 시대에는 복주시로 개명되었다.
  • 광둥성의 군 - 창오군
    창오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등장하여 한나라, 삼국 시대,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설치 및 폐지되었으며,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멸망시킨 후 설치되어 광신현에 치소를 두었다.
  • 광둥성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광시의 군 - 창오군
    창오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등장하여 한나라, 삼국 시대,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설치 및 폐지되었으며,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멸망시킨 후 설치되어 광신현에 치소를 두었다.
  • 광시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남해군 (중국)
개요
이름남해군
간체자南海郡
병음Nánhǎi Jùn
로마자 표기Namhae-gun
위치광둥 성
역사
설치 시기기원전 214년
설치 주체진나라
폐지 시기589년 (수나라)
비고군치(郡治)는 번우(番禺, 현재의 광저우 시)
관할 구역 (수나라 초기)
속현번우 (광저우 시)
증성 (광저우 시)
회포
박라 (후이저우 시)
동관 (둥관 시)
용천 (후이저우 시)
정향
안회
귀선
사령
평요
농진
변경
만녕
주요 인물
진나라 관리임효 (任囂)
조타 (趙佗)
남월의 왕조타 (趙佗)
조말 (趙眜)
조영제 (趙嬰齊)
조흥 (趙興)
조건덕 (趙建德)
기타
관련 사건남월의 건국

2. 진 ~ 전한

기원전 214년, 진나라영남 지역을 정복하고 남해군(南海郡)을 설치했다.[1] 진나라 멸망 후, 조타(趙佗)가 남월(南越)을 건국하면서 남해군은 남월의 영토가 되었다.[2] 남월의 수도는 번우(番禺, 현재의 광저우시)였다.

기원전 111년, 전한 무제(武帝)가 남월을 멸망시키고 남해군을 다시 설치했다.[3] 남해군은 교지자사부(交趾刺史部)에 속했으며, 번우현(番禺縣), 박라현(博羅縣), 중숙현(中宿縣), 용천현(龍川縣), 사회현(四會縣), 게양현(揭陽縣)의 6개 현을 관할했다.[15][16]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시 2년(2년) 기준 19,613호, 94,253명이 남해군에 거주했다.[15][16]

2. 1. 속현 (전한)

番禺縣|번우현중국어은 현재의 광저우시로, 남월의 수도였으며 염관(鹽官)이 있었다.[16]

博羅縣|박라현중국어은 현재의 후이저우시 보뤄 현이다.[16]

中宿縣|중숙현중국어은 현재의 칭위안시 북서부로, 광포관(洭浦官)이 있었다.[16]

龍川縣|용천현중국어은 현재의 허위안시 룽촨 현 서쪽이다.[16]

四會縣|사회현중국어은 현재의 자오칭시 쓰후이시이다.[16]

揭陽縣|게양현중국어은 현재의 제양시 북서 일대이다.[16]

3. 신

신나라 시기, 게양현(揭陽縣)이 남해정(南海亭)으로 개칭되었다.[1]

전한
게양남해정(南海亭)


4. 후한

후한 시대 남해군은 7개 현을 관할했으며, 101,477호 250,282명을 거느렸다.[17] 후한 말, 교주자사 주부(朱符)가 토착민에게 살해당하면서 혼란에 빠졌으나, 사섭이 그의 친척인 사무(士武)를 남해태수로 임명하면서 어느 정도 안정화되었다.[17]

4. 1. 속현 (후한)

후한 시대 남해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번우현番禺縣광저우시
박라현博羅縣후이저우시 보뤄현
중숙현中宿縣칭위안시 북서오나라 때 시흥군으로 이관되었다.
용천현龍川縣허위안시 룽촨현
사회현四會縣자오칭시 쓰후이시
게양현揭陽縣제양시 북서 일대
증성현增城縣광저우시 쩡청 구 북동노령산(勞領山)이 현내에 있었다.


5. 오, 진

226년(오 대제 황무 5년), 창오군, 울림군, 고량군과 함께 광주로 분리되었다가 광주가 얼마 못가 폐지되면서 다시 교주에 속했다. 263년(오 경제 영안 6년), 광주가 다시 설치되면서 남해군은 광주에 속하게 되었다.[18][19]

서진 시대 남해군은 6개 현(번우현, 사회현, 증성현, 박라현, 용천현, 평이현)을 관할했다. 331년(함화 6년) 동관군이, 420년(원희 2년) 신회군이 분리 신설되면서 남해군의 영역이 축소되었다.[18][19]

5. 1. 속현 (서진)

서진 시대 남해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번우현番禺縣광저우시
사회현四會縣자오칭시 쓰후이시
증성현增城縣광저우 시 쩡청구 북동
박라현博羅縣후이저우시 보뤄현
용천현龍川縣허위안시 룽촨현
평이현平夷縣장먼시 신후이구 사전진(司前鎭)오나라 때 신설된 현으로 280년(진 무제 태강 원년), 신이현(新夷縣)으로 개명되었다.


6. 유송, 남제

유송 시대 남해군은 10개 현을, 남제 시대에는 13개 현을 각각 관할했다.[20][21] 유송 시대의 시창현은 다른 군으로 이관되었고, 신풍현(新豊|신풍중국어), 안원현(安遠|안원중국어), 나양현(羅陽|나양중국어), 하원현(河源|하원중국어) 4개 현이 신설되었다.[21]

6. 1. 속현 (유송)

유송 시대 남해군은 10개 현, 8,574호, 19,157명을 거느렸다.[20]

유송 시대 남해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번우현番禺縣광저우시남상(男相)
희안현熙安縣광저우시 리완구 일대(광저우 시 서)자상(子相)
증성현增城縣광저우시 쩡청구 북동현령(縣令)
박라현博羅縣후이저우시 보뤄현남상(男相)
서평현西平縣후이저우시 후이청구 서남 동호진(潼湖鎭) 일대현령(縣令)
용천현龍川縣허위안시 룽촨현현령(縣令)
회화현懷化縣광저우시 하이주구현령(縣令)진 안제 시기 신설
수녕현綏寗縣광저우시 쩡청구남상(男相)
고요현高要縣자오칭시자상(子相)
시창현始昌縣현령(縣令)


6. 2. 속현 (남제)

남제 시기 남해군 속현[21]
현명한자위치비고
신풍현新豊|신풍중국어사오관 시 신펑 현 동쪽483년(제 무제 영명 원년) 용천현에서 신설.
안원현安遠|안원중국어위치 불명
나양현羅陽|나양중국어후이저우 시 보뤄 현 서쪽 용화진 일대
하원현河源|하원중국어허위안 시483년 용천현에서 신설.


7. 수

589년 (개황 9년), 수나라가 남진을 멸망시키면서 남해군은 폐지되고 광주총관부(廣州總管府)가 설치되었다. 601년 (인수 원년)에는 번주(番州)로 개칭되었다가,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다시 설치되면서 번주는 남해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3]

수나라 시기 남해군은 15개 현, 37,482호를 거느렸다.[22] 각 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7. 1. 속현 (수)

수나라 남해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남해현南海縣광저우 시통일 직후 번우현이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곡강현曲江縣사오관 시 취장 구시흥군에 속했다가 통일 이후 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정양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옥산, 은산이 있었다.
시흥현始興縣사오관 시 스싱 현양나라 때 동형주가 설치되었다가 통일 이후 군으로 강등되었다. 또한 대유현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대유현이 폐지되었다.
옹원현翁源縣사오관 시 웡위안 현 서북양나라 때 설치된 군으로 진나라 때 청원군에 소속되었다. 통일 이후 군이 폐지되었다.
창락현昌樂縣사오관 시 러창 시양나라 때 양화현이라 불리고 평석현이 신설되었다. 592년(수 문제 개황 12년), 평석현이 통폐합되었고 600년(수 문제 개황 2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화몽현化蒙縣자오칭 시 광닝 현대업 초기 위성현이 통폐합되었다.
청원현淸遠縣칭위안 시청원군 시절 위정현, 염평현, 은흡현, 부호현이 설치되었다. 또한 제강군이 존재했으나 통일 이후 모두 통폐합되었다.
함광현含洭縣칭위안 시 잉더 시 함광진본래 형주에 속했다가 통일 이후 광주에 속하게 되었다. 600년 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에 속하게 되었다. 현내에 요산이 있었다.
정빈현政賓縣칭위안 시 서통일 이후 동관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회집현懷集縣자오칭 시 화이지 현
신회현新會縣장먼시 신후이 구통일 이후 신회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에 내속되었고 분윤현, 영창현, 신건현, 희담현, 소화현, 회집현 등 6개 현을 아울러 봉주로 승격되었다. 591년(수 문제 개황 11년) 윤주로 개명되었다. 이후 강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 초기 봉락현을 통폐합하고 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현내에 사산이 있었다.
의녕현義寧縣590년 신이현, 빈이현을 통폐합했다가 시강현을 통폐합한 봉평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무산이 있었다.

[22]

8. 당

621년(무덕 4년), 唐나라중국어가 소선을 평정하자 남해군은 광주총관부로 개칭되었다.[14] 742년(천보 원년), 광주는 남해군으로 개칭되었다.[14] 758년(건원 원년), 남해군은 다시 광주로 개칭되면서 남해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4]

9. 평가

남해군은 광동 지역의 발전과 중국 남부 해양 진출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광동 지역이 과거부터 중국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해양을 통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6] 서적 Book of Song https://zh.wikisourc[...]
[7] 서적 Book of Sui https://zh.wikisourc[...]
[8]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9] 서적 漢書
[10] 서적 後漢書
[11] 서적 晋書
[12] 서적 南斉書
[13] 서적 隋書
[14] 서적 旧唐書
[15]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01
[16] 서적 한서
[17]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1]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