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남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남은 중국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백월의 거주지였으며 고대 남월 왕국의 근거지였다. 한나라 시기에 중국 황제의 지배가 시작되어 남월국이 세워졌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절도사가 설치되어 군벌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후 오대 십국 시대에는 남한 왕국의 근거지가 되었다. 영남은 온대 하우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중원 문화와는 다른 독특한 문화가 발달했다. 특히 해상 무역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상업과 교역이 번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역사적 지역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중국의 역사적 지역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중국의 지리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 중국의 지리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영남 (중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적 위치
개요
명칭링난 (岭南)
로마자 표기py: lǐng nán
jyut: ling5 naam4
yale: líhng nàahm
베트남어Lĩnh Nam
설명난링 산맥의 남쪽 지역
현대 위치
위치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
북부 베트남 (통킹)
역사적 의미
관련 국가남월 (대략적인 영역)

2. 역사

영남 지역은 백월의 거주지였으며 고대 남월 왕국의 근거지였다. 당시 령남(嶺南)은 고대 중국 조정에서 중원과 접촉이 없는 열대 야만족의 땅으로 여겨졌으며, 중원은 중국 문화의 발상지였다. 기원전 2세기에 한나라가 남월 정복을 통해 한나라의 남방 확장을 하면서 이 지역을 흡수했으며, 매령이 포장되면서 개발이 촉진되었다.

남월국 영역


영남(嶺南)은 "오령(五嶺)의 남쪽"을 의미한다. 오령(五嶺)은 남령 산맥을 가리키며, 월성령, 도방령(계양령이라고도 함), 맹저령, 기전령, 대유령의 5개 산맥 복합체를 지칭한다.

영남은 고대에는 백월의 땅이라고 불렸다. 중원과는 언어가 통하지 않고 풍습도 다른 남방 여러 민족(백월족)이 살았으며, 오와 월을 통해 중원과도 약간 교류를 가졌다. 진나라한나라 초에는 '''남월국'''이 세워졌다. 진서·지리지 하에서는, 진나라 시대에 세워진 남해군, 계림군, 상군을 "영남 삼군"이라고 칭하고 있다.

오령은 매우 험준하여, 오랫동안 천연의 장벽으로서 교통의 방해물이 되었다. 그 결과, 영남은 중원과는 다른 경제·문화를 영위해 왔다. 북방인들은 영남을 "만이(蠻夷)의 땅"이라고 불렀다. 당나라 시대, 영남 출신으로 유일하게 재상이 된 장구령은 대유령 산중에 매관고도를 개통하였고, 이후 점차 남북의 왕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2. 1. 고대

고대 영남은 백월의 터전이었다. 기원전 2세기, 진나라의 남월 정복과 한나라의 한나라의 남방 확장을 통해 이 지역은 중원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매령 개발이 촉진되었다.[3] 당시 령남(嶺南)은 중원에서 멀리 떨어진 열대 야만족의 땅으로 여겨졌으나, 중원과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2. 2. 중세

당나라 시대에는 영남절도사(嶺南節度使)라는 군사령부가 설치되어 군벌에 의해 통치되었다.[3] 당나라 재상 장구령은 대유령 산중에 매관고도를 개통하여 중원과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했다.

영남절도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송징716
전단717
배주현719-722
이구727-735
이상인727
이초인733-735
송정739
배돈부745
팽곽745-747
노환749-751
장구고751-753
아여광754-756
하란금명756
위이견757-758
장만경758-760
조량필760-761
장수763
양신위764-767
서호767-768
이면768-772
이충본772-773
노사공773
이숙775
고운776-777
장보이777-782
원수782-784
두우784-787
이부787-792
설각792-795
왕아795-801
조지801-802
서심802-806
조창806-808
양우령808-810
정은810-813
마종813-816
최용817
공규817-820
최능820-823
정권823-824
최지824-826
호정826-828
이현828-829
최호829-830
이량831-833
최공833
왕모원833-835
이총의835-836
노준836-840
최귀종844-845
노진845-846
이빈847-848
이흥수848-849
위정관849-851
갈간충851-854
위술855-858
양발858
이수858
이성순858-859
소방859-860
위주861-868
정우868-871
정종당871-874
위학874-876
이조877-879
정서879-886
려영지886
배거887-889
이충귀890-895
진배893
최인896
이지유896-900
최인900
서언약900-901
유은901-911
배서903
최원904
유엄911-917



이 지역은 남한 (917–971) 왕국의 근거지였다.[3]

2. 3. 근현대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광저우가 유일한 대외 무역항으로 지정되어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국민당의 주요 근거지 중 하나였다. 현대에는 홍콩, 마카오의 반환 이후 중국의 경제 발전을 이끄는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다.

3. 지리

영남은 지리적으로 오령(五嶺) 산맥을 기준으로 중원과 구분된다.

3. 1. 자연 조건

북회귀선이 링난 중부를 가로지른다. 링난은 온대 하우 기후에 속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아 아열대나 해양성 기후의 색채가 강하다. 또한 레이저우 반도에서 하이난섬에 걸쳐서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 고온·다우가 링난의 기후적 특징이며, 여름이 길고 겨울은 짧으며, 산악부를 제외하고는 서리가 내리거나 눈이 내리는 일은 없다. 열대 수렴대에 들어가는 기간이 길고, 연간 일조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지만, 위도가 낮기 때문에 일사량이 매우 많다. 몬순의 영향으로 연간 풍향도 크게 다르며, 여름에는 풍속이 작은 남풍이 많고, 겨울에는 풍속이 강한 북풍이 많다. 봄과 가을은 풍향도 기후도 일정하지 않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기 때문에 동식물이나 과수, 꽃의 종류가 풍부하다. 동식물 자원 면에서 중국의 다른 지방보다 혜택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2. 지형

영남은 평야가 좁고 산지가 많은 지형이다. 지각 운동에 의한 습곡과 지층의 단열의 영향이 크며, 산지, 구릉, 대지, 평원이 교차하고 있다. 암석의 성질은 다양하며, 지형의 유형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영남에는 오령의 험준한 산악부에서 다수의 하천이 흐르고 있다. 유량은 많지만 토사의 양은 적다. 영남 최대의 하천은 주강으로, 길이는 중국에서 5위이지만, 유량은 양쯔강에 이어 2위이다.

다양한 지형, 특히 험준한 봉우리와 종횡으로 흐르는 하천, 복잡한 해안선이 만들어내는 풍경은 영남의 풍광을 인상적으로 만들고 있다. 또한 석회암에 의한 기봉이나 종유동 등의 지형은 구이린을 비롯한 경승지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광둥의 명산 중에서도 초의 영남의 저명한 시인인 취다쥔은 뤄푸 산을 제일로 꼽았다.[1]

4. 문화

영남은 중원 문화와 구별되는 독특한 지역 문화를 형성해 왔다.[1]

4. 1. 특징

영남 문화는 중국 북방의 중원 문화와 큰 차이를 보인다. 하천을 따라서는 어로와 벼농사의 혜택을 받았으며, 외부로는 바다에 열려 있고, 중원의 정치적 혼란이 미치기 어려운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광둥 등지에서 독특한 문화가 발달했다. 주요 문화로는 광부 문화, 조주 문화, 객가 문화 등이 있다.[1]

4. 2. 중원 문화의 영향

진나라가 링난(嶺南)을 지배한 이후, 링베이(嶺北)에서 많은 한족이 이주해 오면서 백월 사람들은 점차 동화되었다. 그러나 방언이나 풍습 등에는 큰 차이가 남아 있었다.[3]

당나라 시대에 재상 장구령이 다위링(大庾嶺)에 넓은 신작로를 건설하면서 링난과 링베이 사이의 주요 도로가 생겼다. 이 길을 통해 링난에는 중원의 문화와 재화가 널리 퍼졌고, 링난의 뛰어난 인재들이 중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또한, 화북과 화중에서 링난으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북방의 생산 기술이 링난에 전해졌다. 북쪽에서 링난으로 피난 온 사람들 중 객가는 특히 큰 집단을 이루었다.

유우석, 구준, 진관, 유종원, 한유, 탕현조 등 유배 온 학자나 정치가들은 링난의 개발과 인재 교육을 맡아 사대부를 배출하는 데 기여했다. 명나라 중기 이후에는 광둥(廣東)·신후이에 천헌장을 시조로 하는 링난 학파가 나타나,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유학 연구를 하기도 했다.

4. 3. 하위 문화

영남 지방은 중국 북방의 중원 문화와 큰 차이를 보인다. 하천을 따라 어로와 벼농사가 발달했으며, 바다에 열려 있고, 중원의 정치적 혼란이 미치기 어려운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광둥 등지에서 독특한 문화가 발달했다. 주요 문화로는 광부 문화, 조주 문화, 객가 문화 등이 있다.[1]

5. 경제

영남은 전통적으로 농업과 어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중원과 마찬가지로 농업을 근본으로 삼았지만, 수도를 주로 재배했다. 강과 하천이 촘촘히 얽혀 있고 기후도 온난하여 곡물 외에도 어업, 축산업, 상품 작물 재배 등 다양한 1차 산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1]

5. 1. 상업과 교역

긴 해안선을 가진 영남에서는 연안 어업뿐만 아니라 해상 무역도 일찍부터 발달했다. 바다 건너편과의 교역 경험은 상품 경제의 발전과 상품 의식 함양으로 이어졌다. 원나라 시대에 영남은 해상 실크로드의 동쪽 관문이 되었고, 에서 중기에 걸쳐 영남의 번영은 절정에 달했다. 이 시기 광저우만이 중국 유일의 대외 무역항이었으며, 광저우는 중국 최대 규모의 상업 도시였고, 주강은 오가는 배로 매우 번화했다.[1]

참조

[1] 서적 岭南文化研究 https://books.google[...] 清華大學出版社
[2] 서적 辛亥革命百年透视 现代南北朝的曙光 https://books.google[...] Lulu.com
[3] 웹사이트 Social and Clan Culture in the Lingnan Region http://www.shvoong.c[...] 2012-06-20
[4] 웹사이트 History of Lingnan http://www.travelchi[...]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