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오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오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등장하여 한나라, 삼국 시대,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설치 및 폐지되었다.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멸망시킨 후 설치되었으며, 광신현에 치소를 두었다. 이후 신나라 시기에는 신광군으로 개칭되기도 하였으나, 후한 시대에 다시 창오군으로 복구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오나라에 속했으며, 동오 시기 임하군이 분리되기도 했다. 수나라 때는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시대에 오주로 개칭되면서 창오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둥성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광둥성의 군 - 계양군 (중국)
    계양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수나라 말까지 존속했던 형주 소속의 군으로, 수나라에 의해 천주로 통합된 후 잠시 계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나 곧 다시 천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 광시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광시의 군 - 영릉군
    영릉군은 기원전 11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형주에 속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왕망 시대에는 구의로 불리기도 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영주로 개칭되면서 명칭이 사라졌다.
  • 후난성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후난성의 군 - 천문군
    천문군은 삼국 시대 오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형주에 속했으며, 진나라, 남조 송, 제나라 때 4현을 관할하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어 송주에 편입되었다.
창오군
개요
이름창오군 (蒼梧郡)
로마자 표기Cāngwú Jùn
민족월족
위치영남
역사
설치 시기기원전 111년 (원정 6년)
폐지 시기서진 시기
전신남해군
행정
군 치소광신현 (廣信縣)
속현광신현 (廣信縣)
합포현 (合浦縣)
고요현 (高要縣)
봉림현 (封林縣)
사안현 (謝沐縣)
부중현 (富中縣)
임하현 (臨賀縣)
단성현 (端谿縣)
구정현 (酃令縣)
영릉현 (營陵縣)
증식현 (增食縣)
주로현 (柱魯縣)
정양현 (程陽縣)
인구
호구68,824호 (元始 2年)
인구354,774명 (元始 2年)
기타
주요 인물사섭
사일
사휘
사간
옹개

2. 진나라 시기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 창오군(蒼梧郡)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불분명하다. 진나라가 멸망한 후에는 남월에 계승되었다.[8]

2. 1. 동정군, 장사군과의 관계

전래 문헌에는 진나라의 창오군이 나오지 않아 그 존재를 몰랐으나, "창오후승"(蒼梧侯丞)이라 쓰여진 도장이 진나라 시대의 것으로 밝혀지면서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야진간에서 함께 언급된 동정군과 더불어 옛 초나라 지역에 설치된 군으로 추정된다. 동정군, 장사군과의 관계에는 논란이 있는데, 한나라의 장사군 지역이 동정군에 속했다고 보기도 하고, 창오군에 속했다고 보기도 하며, 장사군이 진나라에서도 독립된 군으로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속현은 창오(蒼梧), 영포(營浦), 남평(南平), 냉도(冷道), 용릉(舂陵), 도양(洮陽), 관양(觀陽), 계양(桂陽), 흘도(齕道), 유(攸), 영릉(零陵), 뇌양(耒陽), 침(郴)이 있었다.

2. 2. 속현

전래 문헌에는 진나라의 창오군이 나오지 않아 존재를 몰랐으나, “창오후승”(蒼梧侯丞)이라 쓰여진 도장이 진나라 것으로 밝혀지면서 존재가 확인됐다. 이야진간에서 같이 언급된 동정군과 함께 옛 초나라 지역에 설치된 군으로 추정된다. 동정군, 장사군과의 관계에는 논란이 있다. 한나라의 장사군 지역이 동정군에 속했다고 보기도 하고, 창오군에 속했다고 보기도 하며, 장사군이 진나라에서도 독립된 군으로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속현으로는 창오(蒼梧), 영포(營浦), 남평(南平), 냉도(冷道), 용릉(舂陵), 도양(洮陽), 관양(觀陽), 계양(桂陽), 흘도(齕道), 유(攸), 영릉(零陵), 뇌양(耒陽), 침(郴)이 있었다.

3. 전한 시기

기원전 111년(원정 6년), 한나라남월을 멸망시키자 창오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광신현(廣信縣)에 위치했으며, 교지자사부(交阯刺史部)에 속했다. 전한 말기 창오군은 10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신광군(新廣郡)으로 개칭되었다.[8]

3. 1. 속현 (전한)

무제가 남월을 정복하고 옛 남월의 계림군을 분할하여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세웠다. 교지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4,379호, 146,160명을 관할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5] 원연·수화 연간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신廣信우저우시
사목謝沐융저우시 장융현 남서관문이 있다.
고요高要자오칭시염관이 있다.
봉양封陽허저우시 남
임하臨賀허저우시 남동
단계端谿자오칭시 더칭현
빙승馮乘융저우시 장화야오족자치현 남서
부천富川허저우시 중산현
여포荔蒲구이린시 리푸현 남서여평관(荔平關)이 있다.
맹릉猛陵우저우시 창우현 서용산(龍山)에서 합수(合水)가 나와 포산(布山)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4. 신나라 시기

왕망전한을 멸망시키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창오군을 신광군(新廣郡)으로 고쳤다.[8] 군 아래에 있던 현의 이름도 일부 바뀌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전한
광신광신정(廣信亭)
임하대하(大賀)
맹릉맹륙(猛陸)


5. 후한 시기

기원전 111년(원정 6년), 한나라남월을 멸망시키자 창오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광신현(廣信縣)에 위치했으며, 교지자사부(交阯刺史部)에 속했다. 전한 말기 창오군은 광신, 사목(謝沐), 고요(高要), 봉양(封陽), 임하(臨賀), 단계(端渓), 풍승(馮乗), 부천(富川), 려포(茘浦), 맹릉(猛陵)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신광군(新廣郡)으로 개칭되었다[8]

후한 건립 후 창오군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창오군은 교주(交州)에 속했으며, 광신, 사목, 고요, 봉양, 임하, 단계, 풍승, 부천, 려포, 맹릉, 장평(鄣平)의 11개 현을 관할했다[9]。 서기 140년 인구는 111,395호(466,975명)였다.[3]

6. 삼국 시대 (오)

동오 시대에는 여러 현이 설치되었다. 226년에는 창오군에서 임하군이 분리되었다. 264년(영안 7년), 광주가 설치되면서 창오군은 광주에 편입되었다. 진나라가 280년에 중국을 통일했을 때 창오군은 12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7,700호의 인구가 기록되었다.[4]

7. 진(晉)

진(晉)나라 때, 려포현이 시안군에 편입되었다. 창오군은 광신, 단계, 고요, 건릉(建陵), 신녕(新寧), 맹릉, 장평, 농성(農城), 원계(元渓), 임윤(臨允), 도라(都羅), 무성(武城)의 12개 현을 관할했다.[10]

8. 남북조 시대

기원전 111년(원정 6년) 한나라남월을 멸망시키면서 창오군이 설치되었다. 군의 치소는 광신현(廣信縣)이었고, 서한 말기에는 10개 현, 24,739호(146,160명)의 인구가 있었다. 10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자
광신廣信
섭목謝沐
고요高要
봉양封陽
임하臨賀
단계端谿
풍승馮乘
부천富川
립푸荔蒲
맹릉猛陵

[2] 왕망 때 신광군(新廣郡)으로 개칭되었다.[8]

후한이 건립되자 창오군으로 다시 변경되었고, 장평(鄣平)이라는 새로운 현이 추가되었다. 서기 140년에는 11개 현, 111,395호(466,975명)의 인구가 있었다.[3] 11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자
광신廣信
섭목謝沐
고요高要
봉양封陽
임하臨賀
단계端谿
풍승馮乘
부천富川
립푸荔蒲
맹릉猛陵
장평鄣平

[9]

삼국 시대 동안 창오군은 동오의 영토였으며, 이 시기에 여러 현이 설치되었다. 264년(영안 7년), 오(呉)나라는 창오군의 동북쪽 임하, 사목, 풍승, 부천, 봉양의 여러 현을 분할하여 임하군(臨賀郡)을 설치하였다. 또한 교주 동부를 분할하여 광주(廣州)를 설치하고 창오군을 광주에 편입시켰다.

진(晋)나라 때, 려포현이 시안군(始安郡)에 편입되었다. 창오군은 12개 현을 관할했다.[10] 12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자
광신廣信
단계端谿
고요高要
건릉建陵
신녕新寧
맹릉猛陵
장평鄣平
농성農城
원계元渓
임윤臨允
도라都羅
무성武城



남조 송(宋)나라 때, 창오군은 11개 현을 관할했다.[11] 11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자
광신廣信
맹릉猛陵
회희懷熙
사안思安
봉흥封興
탕강蕩康
교녕僑寧
수성遂城
정류丁留
광릉廣陵
무화武化



남조 제(齊)나라 때, 창오군은 12개 현을 관할했다.[12] 12개 현은 다음과 같다.

현 이름한자
광신廣信
영신寧新
봉흥封興
무녕撫寧
수성遂城
정류丁留
회희懷熙
맹릉猛陵
광녕廣寧
탕강蕩康
교녕僑寧
사안思安



진 목제 통치 기간 동안 창오군의 영토에 진강(晉康), 신녕(新寧), 영평(永平)의 세 군이 더 설치되었다. 464년에는 4,547호(17,710명)의 인구가 있었다.[5]

남조 양(梁)나라 때 성주(成州)가 설치되었고, 창오군은 성주에 속했다.

9. 수나라

수나라가 진나라를 정복하면서 창오군은 폐지되었다.[6]

수나라당나라 시대에 창오군은 봉주의 다른 이름이었으며, 621년에 무주(武州)로 개명되었다. 이 군은 3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741년에 1,290호의 인구가 있었다.[7]

583년(개황 9년), 수나라남조 진(陳)나라를 멸망시키자, 창오군은 폐지되어 봉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자, 봉주는 창오군으로 개칭되었다. 군의 치소는 봉천현(封川縣)에 위치했으며, 봉천, 도성(都城), 창오(蒼梧), 봉양의 4개 현을 관할했다.[13]

10. 당나라

수나라당나라 시대에 창오군은 봉주의 다른 이름이었으며, 621년에 무주(武州)로 개명되었다.[7] 이 군은 3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741년에 1,290호의 인구가 있었다.[7]

621년(무덕 4년), 소선이 당나라에 항복하자, 창오군은 당나라의 오주(梧州)가 되었다. 당시 오주는 창오, 호정(豪靜), 개강(開江)의 3개 현을 관할했다.[14] 742년(천보 원년), 오주는 창오군으로 개칭되었다.[14] 758년(건원 원년), 창오군은 다시 오주로 개칭되어, 창오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4]

참조

[1] 서적 The People between the Rivers: The Rise and Fall of a Bronze Drum Culture, 200–750 C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2] 서적 Book of Han https://s:zh:漢書/卷028[...]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s:zh:後漢書/卷11[...]
[4] 서적 Book of Jin https://s:zh:晉書/卷015
[5] 서적 Book of Song https://s:zh:宋書/卷38
[6] 서적 Book of Sui https://s:zh:隋書/卷31
[7]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s:zh:新唐書/卷04[...]
[8] 서적 漢書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晋書
[11] 서적 宋書
[12] 서적 南斉書
[13] 서적 隋書
[14] 서적 旧唐書
[15]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