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반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반족은 고대부터 알려진 질환으로, 발이 안쪽으로 회전하고 족저 굴곡을 보이는 선천성 기형이다.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또는 이 둘의 조합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폰세티 치료법이 표준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깁스 고정, 아킬레스건 절개술, 보조기 착용 등을 통해 변형을 교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천성 근골격계 질환 - 단지증
    단지증은 손가락이나 발가락 뼈 발달 이상으로 손, 발가락이 짧아지는 유전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되며 여러 아형이 존재하고, 기능적 문제가 있을 경우 수술로 개선할 수 있다.
  • 선천성 근골격계 질환 - 고관절 이형성증
    고관절 이형성증은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신생아 선별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고 비수술적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내반족
개요
질병 분야정형외과, 족부과
증상안쪽과 아래쪽으로 회전된 발
발병 시기임신 초기
원인불명
위험 요인유전
흡연하는 산모
남성
민족
진단 방법신체 검사
임신 중 초음파
감별 진단내전족
치료법폰세티 방법(조작, 석고 붕대, 아킬레스건 절단, 보조기)
프랑스 방법
수술
예후적절한 치료 시 양호
빈도1,000명당 1명
질병 명칭
다른 이름선천성 만곡족
영어 이름clubfoot, talipes equinovarus

2. 역사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알려진 내반족은 파라오 셉타와 투탕카멘도 앓았던 질환이다. 이 질환은 이집트 그림에도 나타난다.[13] 서기 1000년경 인도의 문서 सुश्रुतसंहिता|수슈루타 삼히타sa히포크라테스는 내반족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다.[14] 1823년, Delpech는 아킬레스건을 절개하는 테노토미 수술법을 개발하여 내반족 치료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수술은 감염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했다.[15]

프랑스의 정치가 탈레랑은 선천적인 내반족을 앓았을 수 있다. 그의 삼촌도 내반족을 앓았다면 유전적 요인일 가능성도 있다.[16] 그의 장애로 인해 탈레랑은 아버지처럼 군인의 길을 걷는 대신 교회의 길을 걷게 되었다.[16]

3. 원인

내반족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또는 이 둘의 조합이 내반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 분석 및 체계적 검토 결과, 내반족의 가장 임상적으로 관련된 위험 요인은 가족력, 부모의 흡연, 산모 비만, 임신성 당뇨병, 양수 천자 및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사용이었다.[18]

내반족의 발달에 기여하는 요인은 크게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20]


  • 외적 요인: 양수 과소증, 둔위, 뮬러 기형, 다태 임신, 양막 띠 증후군, 임신 초기(15주 미만)의 양수 천자 등이 자궁 내 태아 발의 위치에 영향을 주어 내반족을 유발할 수 있다.[20]

  • 내적 요인:
  • 염색체 이상: 복합 내반족의 30%, 고립된 내반족의 2%에서 발견된다.[24] 여기에는 18, 13, 21 삼염색체증, 성 염색체 이상, 미세 결실 및 중복 등이 포함된다.[20]
  • 유전 증후군: 라르센 증후군, 고든 증후군, 피에르 로빈 증후군, 메켈-그루버 증후군, 로버츠 증후군,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TARP (내반족, 심방 중격 결손, 로빈 연쇄, 좌측 상대 정맥의 지속) 등이 있다.[20]
  • 골격 이형성증: 엘리스 반 크레벨트 증후군, 이형성 연골 형성증, 점상 연골 이형성증, 굽은 사지 이형성증, 무골 형성증, 중간 사지 이형성증 등이 있다.[20]
  • 신경근 및 신경학적 이상: 다발성 선천성 관절만곡증, 근긴장성 영양 장애, 척수성 근위축증, 신경관 결손, 전뇌증, 수두증 등이 있다.[20]

3. 1. 유전학

일란성 쌍둥이 중 한 명이 내반족인 경우, 다른 한 명도 영향을 받을 확률은 33%이다.[2]

근육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 특히 근육 수축 복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MYH3'', ''TPM2'', ''TNNT3'', ''TNNI2'' 및 ''MYH8'')의 돌연변이는 내반족의 위험 요소이다. 이는 원위부 관절만곡증(DA) 증후군에서 내반족을 포함한 선천성 구축을 유발할 수 있다.[27] 내반족은 로이스-다이츠 증후군 및 엘러스-단로스 증후군과 같은 유전적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도 있다.[28]

유전자 지도 작성 및 질병 모델 개발은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켰다. 유전 양식은 다유전자 역치 모델을 사용하여 이질적 질환으로 설명된다. PITX1-TBX4 전사 경로는 내반족 연구의 핵심이 되었다. PITX1과 TBX4는 뒷다리에서 고유하게 발현된다.[29]

4. 역학

선천성 만곡족의 출생 시 유병률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출생 1,000명당 0.51에서 2.03명 사이이다.[5][7][6] 2018년 기준으로 선천성 만곡족 환자의 약 80%인 연간 약 10만 명의 어린이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태어난다.[5][12] 발생 빈도는 0.1% 이하이며,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양측성 사례와 편측성 사례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5. 증상

발이 안쪽으로 회전하고 족저 굴곡을 보인다.[2][3] 영향을 받은 발과 다리는 반대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약 절반의 경우 양쪽 발에 모두 내반족이 나타난다.[2][5][7] 대부분의 경우 내반족은 다른 문제와 관련이 없다.[2]

치료받지 않으면 발은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며, 환자는 발의 측면 또는 윗부분으로 걷게 되는데, 이는 굳은살, 발 감염, 신발 착용의 어려움, 통증, 보행 곤란 및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7][6]

6. 진단

내반족은 특징적인 발 변형을 통해 출생 직후 진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는 태어난 직후 머리부터 발끝까지 검사를 받는다. 촉진을 통해 변형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는데, 변형의 경직성(손으로 발을 조작하여 얼마나 교정할 수 있는지), 아치와 발꿈치에 피부 주름의 존재, 불량한 근육 일관성 등이 평가 요소에 포함된다.

선천성 만곡족 변형에는 네 가지 구성 요소가 있다.

1
frameless
요족: 발에 높은 아치나 움푹 들어간 모습이 있다.
2
frameless
내전족: 앞발이 엄지발가락 쪽으로 안쪽으로 굽어 있다.
3
frameless
내반족: 발꿈치가 안쪽으로 기울어져 발의 바깥쪽으로 걷게 된다.
4
frameless
첨족: 발이 아래로 향해 발가락으로 걷게 된다. 아킬레스건이 뻣뻣하여 발을 아래로 당긴다.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출생 전에 선천성 만곡족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한 산전 진단은 부모가 이 상태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아기가 태어난 후 치료를 미리 계획할 수 있게 해준다.[30]

발의 변형이 뚜렷하기 때문에 출생 직후에 진단이 내려진다. 변형은 발바닥이 뒤집혀져 완전히 환아의 얼굴 방향을 향한 상태로, 첨족, 내반, 내전위로 표현된다. 변형이 있는 발은 움직임이 적고, 근육 위축이 보인다. 초진 시 촉진으로 변형의 교정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에 따라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엑스레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족근골의 배열 이상을 평가하기도 한다.

7. 치료

폰세티 치료법과 프랑스식 치료법을 조합하여 치료를 진행한다.[6][31] 폰세티 치료법은 깁스, 아킬레스건 절개술 및 보조기 착용을 병행하며,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저렴한 오픈 소스 하드웨어 보조기도 사용 가능하다.[32] 특히 두 살 미만의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다.[33] 프랑스식 치료법은 재정렬, 테이핑, 장기적인 가정 운동 및 야간 부목 착용을 포함하며, 간병인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6] 일반적으로 폰세티 치료법이 더 선호되며,[6][34] 카이트 치료법은 폰세티 치료법만큼 효과적이지 않다.[34] 초기 치료 후 약 20%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2]

발 벌림 보조기인 데니스 브라운 바. 다양한 종류의 발 벌림 보조기가 아이의 발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현재는 폰세티 치료법(Ponseti method)이 표준 치료법이다. 출생 직후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여 도수 교정(피부 위에서 뼈 배열을 바르게 하는 마사지)으로 발 변형을 교정하고 깁스로 고정한다. 깁스 교체는 1주 간격으로 실시하며, 아킬레스건의 위축으로 인해 발끝이 올라가지 않는 첨족의 경우에는 도수 교정으로는 치료할 수 없으므로, 5~10회의 깁스 교정으로 내반, 내전이 개선된 시점에서 아킬레스건 피하 절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아킬레스건 절개 수술 후에는 약 3주간 깁스 고정을 하고, 데니스 브라운 보조기로 전환한다. 재발 방지를 위해 데니스 브라운 보조기는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세 전후 변형이 남으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기초 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가 어렵고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병원 및 의사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다르며, 수술이나 보조기 변경 시기는 환자의 성장과 치료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7. 1. 폰세티 치료법

폰세티 치료법은 여러 단계를 거쳐 내반족을 교정하는 방법이다.

  • '''일련의 깁스''' : 먼저 손으로 발을 조작하여 교정하고 발가락에서 허벅지까지 깁스로 고정한다. 일주일 후 깁스를 제거하고 다시 발을 조작하여 새 깁스를 착용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4~6회 정도 깁스를 착용하여 발 모양을 점차적으로 교정한다.[33]
  • 초기 깁스는 앞발을 뒷발과 정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발을 회외시키고 첫 번째 중족골을 들어 올려 정렬을 개선한다.
  • 이후 깁스는 목말뼈에서 측면 압력을 가하여 앞발을 외전시키고, 주상골을 측면으로 가져와 목말주상관절의 정렬을 개선한다. 발꿈치입방관절을 제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외전은 각 깁스마다 증가하여 뒷발이 내반에서 외반으로 이동한다.
  • 깁스의 마지막 단계는 첨족(까치발)을 교정하는 것이다. 뒷발이 교정된 상태에서 앞발을 완전히 외전시킨 후 발목을 위로 올려 배굴시킨다. 발은 최소 10도까지 배굴할 수 있어야 한다.[33]
  • '''아킬레스건 절개술''' : 깁스 치료가 끝나면 대부분 오목 발, 내전, 내반 변형은 교정되지만 첨족 변형은 남는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아킬레스건 절개술을 시행한다. 국소 마취 후 작은 메스로 아킬레스건을 절개하며, 절개 부위가 작아 출혈이 적고 봉합이 필요 없다. 이후 3주간 깁스로 고정하고, 아킬레스건은 늘어난 상태로 다시 자란다.[33]
  • '''보조기 착용''' : 깁스와 아킬레스건 절개술로 교정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보조기를 착용한다. 발 벌림 보조기(FAB) 또는 부츠 앤 바(BnB)라고도 불리는 이 보조기는 두 개의 신발(또는 부츠)이 막대로 연결된 형태이다. 처음에는 24시간 착용하고, 3개월 후부터 착용 시간을 점차 줄여 1세 전후에는 하루 12~14시간 착용한다. 이후 최소 4~5세, 또는 그 이상(6~9세)까지 주로 밤에 착용한다.[35]


폰세티 치료법은 단기 성공률이 90%로 높지만,[35] 14~41%의 환자에게서 재발하며, 10년 후에는 56%가 추가 수술을 받는다.[36][37][38] 재발의 가장 큰 원인은 보조기 착용 불이행이다.[36] 재발 시에는 깁스 과정을 반복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35]

재발의 또 다른 원인은 발목 내전 근육(뒤정강근, 앞정강근)과 외전 근육(종아리근) 사이의 불균형이다. 폰세티 치료법으로 성공적인 치료를 받은 유아의 약 20%에서 나타나며, 재발 가능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폰세티 깁스로 치료하며, 4세 이상(또는 7세 이상)의 경우 앞정강근 건을 옮기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7. 2. 프렌치 방식 (French method)

프렌치 방식은 물리 치료, 테이핑, 가정 운동, 야간 부목 착용 등을 통해 발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다.[6] 이 방법은 생후 2개월 동안 매일, 그 후 4개월 동안 주 3회 물리 치료를 받으며, 공식적인 물리 치료가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가정 운동을 포함하는 보존적이고 비수술적인 족부 기형 치료 방법이다. 각 물리 치료 세션 동안 발을 조작하고, 스트레칭한 다음 테이핑하여 발의 가동 범위를 유지한다. 운동은 장기적인 교정에 기여한다고 여겨지는 비골근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다. 두 달이 지난 후, 물리 치료 세션의 빈도는 매일에서 주 3회로 줄일 수 있으며, 아이가 6개월이 될 때까지 지속된다. 물리 치료 프로그램이 끝나면, 보호자는 장기적인 교정을 유지하기 위해 가정에서 운동을 계속하고 밤에는 부목을 해야 한다.[6]

이 방법은 효과적이지만, 결과는 다양하며, 간병인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6] 단단한 석고 붕대와 보조기를 사용하는 폰세티 방식에 비해, 프렌치 방식은 발의 어느 정도 움직임을 허용하는 테이프를 사용한다. 수술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성공률은 다양하며 수술이 여전히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폰세티 방식이 프렌치 방식보다 선호된다.[6][34]

7. 3. 수술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하거나 불완전하게 교정된 경우, 때때로 수술이 필요하다.[40] 폰세티 방법이 널리 받아들여지기 전에는 수술이 더 흔했다. 수술의 범위는 변형의 심각성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수술은 생후 9~12개월에 이루어지며, 수술 시 족부 변형의 모든 구성 요소를 교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형적인 변형 구성 요소(요족, 전족 내전, 후족 내반 및 발목 첨족)를 가진 발의 경우, 전형적인 절차는 후내측 유리술(PMR) 수술이다. 이는 발과 발목의 내측을 가로질러 뒤쪽으로 연장되고, 때로는 발의 외측으로 돌아가는 절개를 통해 수행된다. 이 절차에서는 일반적으로 족저 근막, 여러 힘줄 및 관절 피막/인대를 유리(절개)하거나 연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중요한 구조가 노출된 다음 발을 적절한 보행 자세로 가져올 수 있을 때까지 순차적으로 유리한다. 특히 발목을 중립으로, 뒤꿈치를 중립으로, 중족을 후족과 정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주상골을 거골과 정렬하고 입방골을 종골과 정렬). 이러한 관절을 정렬할 수 있으면 일반적으로 이러한 관절을 가로질러 얇은 와이어를 배치하여 교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이 와이어는 일시적이며 3~4주 후에 제거하기 위해 피부를 통해 밖으로 둔다. 관절이 정렬되면 힘줄(일반적으로 아킬레스건, 후경골근 및 장무지 굴근)을 적절한 길이로 복구한다. 절개(또는 절개)는 흡수성 봉합사로 봉합한다. 그런 다음 발을 교정된 위치에 6~8주 동안 석고 고정한다. 3~4주 후에 핀을 제거하고 맞춤형 AFO 보조기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만들 수 있도록 마취를 사용하여 석고를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새로운 석고는 AFO를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제자리에 둔다. 석고를 제거하면 AFO를 착용하여 발이 이전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30]

비수술적 치료로 변형이 부분적으로 교정된 발의 경우, 수술 범위가 작을 수 있으며 발과 발목의 후방 부분만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후방 유리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더 작은 절개를 통해 수행되며 아킬레스건을 연장하는 것과 함께 발목 및 거골하 관절의 후방 관절낭만 유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은 잔류 흉터 조직을 남기고 일반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보다 더 많은 뻣뻣함과 약점을 초래한다. 발이 성장함에 따라 전족, 중족 또는 후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족부 변형의 재발로 이어질 수 있는 비대칭 성장의 가능성이 있다. 많은 환자는 잘 지내지만 일부는 보조기 또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 후 족부 변형이 있는 성인, 특히 여러 번의 수술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연구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잘 지내지 못할 수 있다.[41] 어떤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전 수술로 인한 흉터 조직의 유병률을 고려할 때 그러한 수술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다.

8. 대한민국 현황 및 정책 제안

대한민국은 폰세티 치료법 도입 및 정착으로 내반족 치료에 있어 선진국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이나 취약 계층에서는 치료 접근성이 낮을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보편적 의료 보장 강화를 통해 모든 내반족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발도상국의 내반족 치료 지원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 및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의 어린이들은 장비 접근성 제한 (특히 깁스 재료 및 외전 보조기), 의료 전문가 부족, 간병인 및 가족의 낮은 교육 수준 및 사회 경제적 지위와 같은 많은 장벽에 직면해 있다.[42]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선천성 만곡족을 가진 어린이를 발견하고 진단하며, 치료를 받게 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따르도록 간병인을 교육하고, 후속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선천성 만곡족 진단을 받은 사람 중 15%만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12]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선천성 만곡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조기 진단을 개선하고, 대규모 폰세티 깁스 센터를 조직하고, 중간 수준 실무자 및 비의사 보건 인력을 활용하고, 가족을 치료에 참여시키고, 해당 지역 사회에서 지역 후속 진료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43]

9. 문화적 참조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에서 내반족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한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1856)''에 나오는 리옹 도르 여관의 마부인 이폴리트 토탱은 내반족이다. 샤를르 보바리는 이를 고치려 하지만, 수술은 실패하고 토탱은 절단을 해야 한다.
  • W. 서머셋 몸의 소설 ''인간의 굴레(1915)''의 주인공 필립 캐리는 내반족이다. 이는 작품의 중심 주제이다.
  • 영화 ''하이 시에라(1941)''의 등장인물 벨마는 내반족이다. 그녀는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받는다.
  • 다니엘 키스의 SF 단편 소설 "앨저넌에게 꽃을(1959)"의 주인공 동료 짐피는 내반족이다.
  •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금각사(1956)''의 등장인물 가시와기는 내반족이다. 그는 말더듬이인 주인공 미조구치와 대조를 이룬다.
  • 플래너리 오코너의 단편 소설 "절름발이는 먼저 들어가리라(1965)"에 나오는 등장인물 존슨은 내반족이다. 그는 이 이야기의 주요 상징이다.
  • 앨런 E. 누스의 SF 소설 ''블레이드 러너(1974)''의 주인공은 내반족이다.
  •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1985)''의 주인공은 내반족이다. 그는 절뚝거린다.
  • 데이비드 에딩스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 ''말로리온(1987~1991)''의 등장인물 센지는 내반족이다.
  • 황비홍 3 - 사왕쟁패(1993)의 등장인물 쾌각칠은 황비홍(1991~1997) 시리즈의 일부이다. 그는 "절름발이 칠 초잣"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절름발이"는 그의 발 때문에, "칠 초잣"은 초 틴 박의 제자이자 부하 중 일곱 번째 멤버이기 때문이다.
  • 버나드 콘웰의 역사 판타지 소설 시리즈 ''워로드 연대기(1995~1997)''의 등장인물인 두모니아의 왕 모드레드는 내반족이다. 그는 종종 통치자로서의 그의 약점을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 셰론 맥케이의 어린이 도서 찰리 윌콕스(2000)의 주인공 찰리 윌콕스는 내반족이다.
  • 캐롤라인 로렌스의 역사 소설 시리즈 ''로마 미스터리(2001~2009)''의 일부인 소설 ''베수비오의 비밀''(2001)에 나오는 대장장이 벌칸은 내반족이다.
  • 킴벌리 브루베이커 브래들리의 어린이 도서 ''내 인생을 구한 전쟁(2016)''의 주인공 아다는 내반족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이 때문에 그녀를 정서적, 육체적으로 학대한다.
  • 라리스 스트롱은 "절름발이"라고 불리며, 조지 R.R. 마틴의 판타지 단편 소설 ''공주와 여왕(2013)''에 처음 등장하며, 이는 ''얼음과 불의 노래''의 일부이다. 그는 비세리스 1세 타르가르옌 왕과 그의 후계자 아에곤 2세 타르가르옌 왕의 은밀하고 교활한 속삭임의 장인이다. 라리스의 캐릭터는 이후 소설 ''피와 불(2018)''과 텔레비전 각색판 ''하우스 오브 드래곤(2022)''에서 확장되었다.
  • 2024년 시리즈 펭귄에서, 오스왈드 콥은 절뚝거리게 만드는 내반족을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웨인헤드(1996)의 주인공은 제작자 데이먼 웨이언스의 어린 시절을 바탕으로 하며, 내반족으로 인해 큰 발 보호대를 착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lubfoot http://www.fpnoteboo[...] 2017-10-15
[2] 논문 Update on clubfoot 2013-09
[3] 웹사이트 Talipes equinovarus https://rarediseases[...] 2017-10-15
[4] 논문 What a paediatrician should know about congenital clubfoot 2020-06
[5] 논문 Birth prevalence of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3
[6] 논문 Update on clubfoot: etiology and treatment 2009-05
[7] 논문 What is new in idiopathic clubfoot? 2016-12
[8] 논문 Genetics of clubfoot; recent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2018-02
[9] 논문 Congenital clubfoot 2002-02
[10] 논문 Ponseti method in the management of clubfoot under 2 years of age: A systematic review 2017-06-20
[11] 논문 Results of an accelerated Ponseti protocol for clubfoot 2005-09
[12] 논문 What factors impact on the implementation of clubfoot treatment servic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narrative synthesis of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2018-03
[13] 논문 Early results of treatment for congenital clubfoot using the Ponseti method 2012-07
[14] 논문 Treatment of idiopathic clubfoot: an historical review 2000
[15] 논문 Primary subacute epiphyseal osteomyelitis: role of conservative treatment 2002-05-01
[16] 백과사전 Charles-Maurice de Talleyrand, prince de Bénévent: French statesman and diplomat https://www.britanni[...] 2024-07-15
[17] 논문 Efficacy of prenatal ultrasonography in confirmed club foot https://online.bonea[...] 2002-09
[18] 논문 Clubfoot Etiology: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and Randomized Trials 2018-09
[19] 논문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clubfoot): a disorder of the foot but not the hand 2003-01
[20] 논문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clubfoot) 2019-12
[21]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clubfoot and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2010-11
[22] 논문 Clubfoot: etiology and treatment 2008-01
[23] 논문 Review of the effect of early amniocentesis on foot deformity in the neonate 2001-09
[24] 논문 Prenatal diagnosis of clubfoot: Chromosomal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etal defects and outcome in a tertiary center 2016-02
[25] 논문 Transvaginal ultrasound diagnosis of fetal clubfeet at 13 weeks, menstrual age 1989-09
[26] 논문 Prenatal clubfoot increases the risk for clinically significant chromosomal microarray results - Analysis of 269 singleton pregnancies 2020-06
[27] 논문 Variants in genes that encode muscle contractile proteins influence risk for isolated clubfoot 2011-09
[28] 서적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2019
[29] 논문 Genetics of clubfoot 2012-01
[30] 웹사이트 Clubfoot - Symptoms and causes http://www.mayoclini[...] AskMayoExpert & et al. Can clubfoot be diagnosed in utero? Rochester, Min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2. 2014-08-13
[31] 논문 Narrative review of ring fixator management of recurrent club foot deformity 2021-07
[32] 논문 Open-Source Three-Dimensional Printable Infant Clubfoot Brace https://journals.lww[...] 2020-04
[33] 논문 Ponseti method in the management of clubfoot under 2 years of age: A systematic review 2017
[34] 논문 Interventions for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clubfoot) 2020-05
[35] 논문 The Ponseti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ongenital club foot: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2013-09
[36] 논문 Bracing following correction of idiopathic clubfoot using the Ponseti method 2010-08
[37] 논문 Gait analysis of children treated for clubfoot with physical therapy or the Ponseti cast technique 2008-07
[38] 논문 Foot function during gait and parental perceived outcome in older children with symptomatic club foot deformity 2020-07
[39] 논문 Pain and overcorrection in clubfeet treated by Ponseti method 2018-01
[40] 논문 Updates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Recurrent Clubfoot Deformity: a Scoping Review 2022-04
[41] 논문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clubfeet treated with extensive soft-tissue release https://digitalcommo[...] 2006-05
[42] 논문 Clubfoot treatment in 2015: a global perspective 2018
[43] 논문 Clubfoot care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from clinical innovation to a public health program 2014-04
[44] 웹인용 CTEV: Deformities & Correction http://mc.lifehugger[...] LifeHugger 2009-12-26
[45] 저널 Interventions for 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clubfoot). 2014-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