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웨이의 숲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의 숲》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로, 비틀즈의 노래 "노르웨이의 숲"에서 제목을 차용했다. 1960년대 후반 일본을 배경으로, 주인공 와타나베 토오루가 친구 기즈키의 죽음과 연인 나오코의 정신 질환, 그리고 동급생 미도리와의 관계를 겪으며 겪는 방황과 상실을 그린다. 한국에서는 유유정 번역의 《상실의 시대》를 비롯하여 여러 번역으로 출간되었으며, 2010년에는 쩐 안 훙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울증을 소재로 한 책 -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의 1998년 소설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출신의 24세 여성 베로니카가 자살 시도 후 정신 병원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 광기와 정상의 경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미디어로 각색되었다.
  • 우울증을 소재로 한 책 - 보이는 어둠
    《보이는 어둠》은 윌리엄 스타이런이 심각한 우울증을 겪으며 경험한 고통, 치료 과정, 자살 충동과의 싸움, 그리고 병원 입원을 통해 회복하게 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묘사한 회고록으로, 출간 당시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교토부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참마죽
    참마죽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소설로, 하급 관리인 오위가 마죽에 대한 욕망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욕망의 허무함, 권력과 욕망, 소외된 인간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교토부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울려라! 유포니엄
    타케다 아야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울려라! 유포니엄은 쇠퇴한 키타우지 고등학교 취주악부가 전국 대회를 목표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오마에 쿠미코를 중심으로 청춘을 바치는 학생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고민, 갈등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청소년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무라카미 하루키의 데뷔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1970년 고베를 배경으로 21세 대학생 ‘나’의 경험을 통해 청년들의 고독과 방황,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글쓰기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군조 신인문학상을 수상했다.
  •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 해변의 카프카
    무라카미 하루키의 2002년 장편소설 《해변의 카프카》는 15세 소년 카프카 타무라와 지적 장애 노인 나카타 사토루의 평행적인 이야기가 교차하며 현실과 초현실을 넘나드는 미스터리한 사건, 음악, 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등의 주제를 다루는 마법적 사실주의 소설이다.
노르웨이의 숲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르웨이의 숲 초판본 표지
초판 영어판 표지
원제(노루웨이노 모리, "노르웨이 숲")
저자무라카미 하루키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장르문학 소설
로맨스 소설
출판사고단샤
출판일1987년
영어 출판일1989년 (Alfred Birnbaum 번역)
2000년 (Jay Rubin 번역)
미디어 유형인쇄 (페이퍼백)
식별 정보
ISBN0-375-70402-7 (미국판)
(영국판)
(일본판)
관련 정보
영화영화
노래노르웨이의 숲

2. 제목

소설 《노르웨이의 숲》의 제목은 비틀즈의 노래 "노르웨이의 숲 (This Bird Has Flown)"에서 따왔다.[9] 일본어 제목 "ノルウェイの森"는 이 노래 제목을 번역한 것이다.[9] 여기서 'Mori'는 "wood"(목재)가 아닌 "forest"(숲)를 의미하며, 소설 속에서 숲은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한다.[9]

원래 이 소설은 "비 속의 정원"이라는 제목으로 집필되기 시작했다. 이 제목은 클로드 드뷔시의 피아노 곡집 《판화》 중 한 곡인 "비 내리는 정원"(''Jardins sous la pluie'')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출판사에 원고를 넘기기 이틀 전, 무라카미 하루키는 아내에게 의견을 구했고, 아내는 "노르웨이의 숲이 좋지 않아?"라고 답했다. 비틀즈의 곡 제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내키지 않았지만, 주변의 의견에 따라 현재의 제목으로 결정되었다.[27]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 제목이 오역인지에 대한 논쟁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28]

3. 집필 시기 및 배경

무라카미 하루키는 1986년 일본을 떠나 아내와 함께 그리스이탈리아 등지를 여행하며 이 소설을 집필했다.[20][21][24] 소설 집필은 미코노스 섬에서 대학교 노트에 볼펜으로 써내려가는 방식으로 시작되었으며,[22][23] 1987년 1월부터 시칠리아팔레르모를 거쳐[25] 3월 7일 로마에서 초고를 완성했다.[25]

원래 소설은 "비 속의 정원"이라는 제목으로 집필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클로드 드뷔시의 피아노 곡집 《판화》의 "비 내리는 정원"(''Jardins sous la pluie'')에서 유래했다.[26] 이후 제목은 비틀즈의 노래 "Norwegian Wood"에서 따온 "노르웨이의 숲"으로 변경되었는데, 무라카미는 아내의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한다.[27]

4. 등장인물

소설 《노르웨이의 숲》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와타나베''': 주인공. 도쿄의 사립 대학 문학부에 재학 중이며, 기숙사 생활을 한다. 레코드점 아르바이트를 한다.
  • '''기즈키''': 와타나베의 고등학교 시절 유일한 친구. 17세에 N360[77] 배기가스로 자살한다.
  • '''나오코''': 기즈키의 소꿉친구. 도쿄 대학 입학 후 와타나베와 재회하나, 정신병으로 교토 요양 시설 '아미료'에 입원한다.
  • '''고바야시 미도리''': 와타나베와 같은 대학, 같은 수업을 듣는 활발한 여성.
  • '''이시다 레이코''': '아미료'에서 나오코와 같은 방을 쓰는 피아노 연주자 출신 환자.
  • '''나가사와''' 선배: 와타나베가 사는 기숙사의 선배. 도쿄 대학 법학부 재학생.
  • '''하쓰미''': 나가사와 선배의 애인.
  • '''돌격대''': 와타나베와 같은 방을 쓰는 기숙사생. 국립대에서 지도학 전공.


이 외에도 와타나베가 기숙사 이사 후 만난 미술 학생 '''이토''', 미도리의 언니 '''고바야시 모모코''', 미도리의 홀아비 아버지 '''고바야시 씨''' 등이 등장한다.

4. 1. 주요 등장인물


  • 와타나베 토오루|ワタナベトオル|Watanabe Tōru일본어: 이 소설의 주인공이자 화자이다. 도쿄의 사립 대학에서 연극을 전공하며, 고독하고 내성적인 성격이다. 고베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로 상경하여 대학교 1~2학년은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3학년 이후 기치조지로 이사한다. 고등학생 때 여자친구가 있었지만, 상경과 함께 헤어졌다. 기즈키의 죽음 이후 나오코와 관계를 맺고, 미도리에게도 끌리지만, 결국 나오코의 자살로 큰 상실감을 겪는다. 독서나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며 레코드점이나 레스토랑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35]

  • 나오코|直子|Naoko일본어: 기즈키의 소꿉친구이자 연인. 아름답지만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인물로, 기즈키의 자살 이후 정신 요양원에 들어간다. 고베에 있는 미션계 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도쿄 무사시노 변두리에 있는 여자 대학교에 진학했다. 와타나베와 재회하여 관계를 맺지만,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자살한 언니가 있다.

  • 고바야시 미도리|小林 緑|Kobayashi Midori일본어: 와타나베의 대학 동급생. 활발하고 외향적인 성격으로, 나오코와는 정반대의 매력을 지녔다. 도요시마구기타오쓰카 초등학교에서, 요쓰야역 부근의 사립 여자 중학교·고등학교에 진학했으며 재수를 거쳐 대학교에 진학했다. 와타나베에게 호감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다가가지만, 나오코를 향한 와타나베의 마음 때문에 갈등한다. 친가는 서점을 운영하며, "모모"라는 언니가 있다.

  • 기즈키|キズキ|Kizuki일본어: 와타나베의 고등학교 시절 유일한 친구이자 나오코의 연인. 야마하 125cc 빨간색 오토바이를 탔다.[36] 17세에 자살하며, 그의 죽음은 와타나베와 나오코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77] 와타나베는 나오코와 자신 외에는 친구가 없었고, 세상과 격리되어 있었다고 평했다.

  • 이시다 레이코|石田 玲子|Ishida Reiko일본어: 나오코가 있는 요양소 "아미료"의 룸메이트. 38세로, 과거 피아노 연주자를 꿈꿨지만 좌절하고, 3번에 걸쳐 정신 병원에 입원했다. 아미료에는 8년 동안 입소해 있으며, 환자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다. 기타도 잘 친다. 요코하마시에 이혼한 남편과 장녀가 있다. 작품 마지막에 아사히카와에 있는 친구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기 위해 도쿄의 와타나베를 방문한다.

  • 나가사와|永沢|Nagasawa일본어: 와타나베가 사는 학생 기숙사의 선배. 도쿄 대학 법학부에 재학 중이며, 친가는 나고야에서 병원을 운영한다. 후에 외무성에 입성한다. 기숙사에서는 돋보이는 존재로 와타나베를 우대해준다. 와타나베의 인상을 "만난 사람 중에서 가장 제대로 된 인간"이라고 말한다. 와타나베를 꾀어 둘이서 걸헌트를 한다.

  • 하쓰미|ハツミ|Hatsumi일본어: 나가사와의 연인. "특출난 아가씨가 다니는" 도쿄의 여자 대학교에 다닌다. 눈에 띄는 미인은 아니지만, 품위 있는 옷차림에, 지적이고 유머가 있으며 온화한 인품으로, 나가사와가 "나에게는 과분한 여자"라고 말하게 한다. 포켓볼을 잘 친다. 그 후, 나가사와와 헤어지고 다른 남성과 결혼하지만 자살한다.

  • "돌격대"|突撃隊|Totsugekitai일본어: 와타나베가 사는 학생 기숙사의 룸메이트. 국립 대학에서 지도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원 취업을 희망한다. 성실하고 결벽증으로 인한 여러 에피소드로 와타나베와 나오코를 즐겁게 하지만, 예고 없이 퇴거한다.

4. 2. 주변 등장인물


  • 永沢|나가사와일본어: 와타나베의 기숙사 선배. 도쿄 대학 법학부에 재학 중이며 부모는 나고야시에서 병원을 경영하고 있다. 머리가 매우 비상하고 공부도 잘하는터라 외무성 외교관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77] 기숙사에서는 돋보이는 존재로 와타나베를 우대해준다. 와타나베의 인상을 "만난 사람 중에서 가장 제대로 된 인간"이라고 말한다. 와타나베를 꾀어 여자 헌팅을 한다.
  • ハツミ|하쓰미일본어: 나가사와의 애인. 이쁘장한 얼굴은 아니지만, 남을 매료시키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77] 도쿄의 "특출난 아가씨가 다니는" 여자 대학교에 다니고 있다. 품위 있는 옷차림에, 지적이고 유머가 있으며 온화한 인품으로, 나가사와가 "나에게는 과분한 여자"라고 말하게 한다. 포켓볼을 잘 친다. 나가사와와 헤어진 후 다른 남성과 결혼하지만 자살한다.
  • 突撃隊|돌격대일본어: 와타나베의 기숙사 룸메이트. 국립 대학에서 지도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원에 들어가 지도를 만들고 싶어한다.[77] 고지식하고 결벽증이 심하다. 갑자기 기숙사에서 나간다.
  • 石田 玲子|이시다 레이코일본어: 나오코가 입원한 ‘아미료’의 환자이자 나오코의 룸메이트. 피아노 연주자가 되고 싶어했지만, 좌절하고 정신병원에 3번 입원했다. ‘아미료’에는 8년 차이고,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다. 요코하마시에 헤어진 남편과 딸이 있다.[77]

5. 줄거리

37세의 와타나베는 함부르크 공항에서 비틀즈의 "노르웨이의 숲"을 듣고 격렬한 혼란과 함께 과거를 회상한다.[9] 고등학교 시절, 와타나베는 친구 기즈키, 그리고 기즈키의 연인 나오코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기즈키는 고등학교 3학년 때인 5월에 아무런 예고도 없이 자택 차고에서 자살하고,[36] 와타나베와 나오코는 큰 상실감에 빠진다.

도쿄의 대학에 진학한 와타나베는 주오선 전철 안에서 우연히 나오코와 재회하고, 둘은 데이트를 하며 가까워진다. 그러나 나오코는 정신적인 문제로 교토의 요양소 "아미료"에 들어가고,[17] 와타나베는 대학에서 연극 수업 동료인 미도리를 만나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와타나베는 나오코와 미도리 사이에서 갈등하고, 나오코의 병세는 악화된다.

결국 나오코는 1970년 8월 26일에 자살하고,[16] 와타나베는 큰 슬픔에 잠긴다. 방황하던 와타나베는 나오코의 룸메이트였던 레이코의 도움으로 미도리와의 관계를 회복하려 한다. 소설은 와타나베가 미도리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의 사랑을 고백하며 "지금 어디에 있어?"라는 미도리의 질문에 와타나베가 생각하는 장면으로 끝맺는다.

6. 한국어 번역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1989년 문학사상사에서 유유정 번역의 《상실의 시대》가 출간되었는데,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제목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75][76] 2013년에는 민음사에서 양억관 번역의 《노르웨이의 숲》이 출간되었다. 이 외에도 노병식, 이미라, 김난주, 허호, 임홍빈 등 다양한 번역가들이 이 소설을 번역했다.

번역가제목출판사출간 연도ISBN
노병식노르웨이의 숲삼진기획1988년
유유정상실의 시대문학사상사1989년, 1997년
이미라노르웨이의 숲동하1993년
김난주노르웨이의 숲모음사1993년
김난주노르웨이의 숲한양출판1994년
허호노르웨이의 숲열림원1997년
임홍빈노르웨이의 숲문사미디어2008년
양억관노르웨이의 숲민음사2013년


7. 평가

ノルウェイの森일본어는 출간 당시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이 작품은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컴플리트 리뷰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매우 열광적이다(하지만 완전히는 아니다)."라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했다.[12]

요시모토 타카아키는 "우리 근대 문학 작품에서 남녀의 성기와 성교의 첨단에서 기관애의 불가능성과 정애의 농밀함의 모순으로 사랑의 불가능한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은 이 작품이 처음이 아닌가 생각된다. (중략) 성기를 만지는 것에 얽힌 젊은 남녀의 성애의 모습을 이토록 서정적으로, 이토록 애정을 담아, 또한 이토록 노골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하나의 청춘 소설이 그려진 것은 지금까지 우리 문학에는 없었다."라고 말했다.[69]

8. 영화

2010년쩐아인훙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마츠야마 켄이치가 와타나베 역, 키쿠치 린코가 나오코 역, 미즈하라 키코가 미도리 역을 맡았다.[13] 제67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으며[14], 조니 그린우드가 영화 음악을 작곡했다.[14]

영화 촬영 장소로는 토노미네 고원, 미네야마 고원, 카스미 해안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xploring the map of one's inner existence http://www.taipeitim[...] 2001-01-07
[2] 웹사이트 This Bird Has Flown http://www.citypaper[...] 2000-10-05
[3] 웹사이트 Tunnel vision https://www.theguard[...] 2000-05-27
[4] 웹사이트 Japanese author's focus, flavor appeal to younger interests https://archive.seat[...] 2001-06-03
[5] 웹사이트 The loneliness of the long-distance writer https://www.theglobe[...] 2008-08-01
[6] 웹사이트 Review: Blind willow, sleeping woman http://www.iht.com/a[...] 2006-09-15
[7] 웹사이트 Convergence of separate odysseys https://www.sfgate.c[...] 2005-02-06
[8] 웹사이트 The lone wolf http://www.theage.co[...] 2006-06-24
[9] 웹사이트 Rubber Souls https://www.nytimes.[...] 2000-09-24
[10] 서적 Encyclopedia of Literary Translation Into English Taylor & Francis
[11] 웹사이트 Norwegian Wood - Waterstone's Exclusive (Book) by Haruki Murakami (2010): Waterstones.com http://www.waterston[...]
[12] 웹사이트 Norwegian Wood https://www.complete[...] 2023-10-04
[13] 웹사이트 Norwegian Wood https://variety.com/[...] 2010-09-02
[14] 웹사이트 Jonny Greenwood to score Norwegian Wood http://filmscoremont[...] 2010-02-28
[15] 웹사이트 『ノルウェイの森(上)』(村上春樹)|講談社BOOK倶楽部 https://bookclub.kod[...]
[16] 웹사이트 『ノルウェイの森(上)』(村上春樹):講談社文庫|講談社BOOK倶楽部 https://bookclub.kod[...]
[17] 문서 『レキシントンの幽霊』「めくらやなぎと、眠る女」〈めくらやなぎのためのイントロダクション〉、文藝春秋、1996年
[18] 문서 『村上春樹全作品 1979〜1989』第6巻、付録「自作を語る」
[19] 문서 ジェイ・ルービン 『ハルキ・ムラカミと言葉の音楽』 新潮社、畔柳和代訳、2006年9月30日、180-181頁
[20] 문서 『遠い太鼓』講談社、1990年6月、28-30頁
[21] 문서 『遠い太鼓』前掲書、67頁
[22] 문서 『遠い太鼓』前掲書、141頁
[23] 문서 『職業としての小説家』スイッチ・パブリッシング、2015年9月10日、164頁
[24] 문서 『遠い太鼓』前掲書、162頁
[25] 문서 『遠い太鼓』前掲書、209-210頁
[26] 문서 『村上ラヂオ』新潮文庫、102頁
[27] 문서 村上朝日堂ホームページ、読者&村上春樹フォーラム9(2006年3月24日〜25日)
[28] 문서 村上春樹『「そうだ、村上さんに聞いてみよう」と世間の人々が村上春樹にとりあえずぶっつける282の大疑問に果たして村上さんはちゃんと答えられるのか?』朝日新聞社、2000年8月
[29] 웹사이트 "「ノルウェイの森」映画化"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8-07-31
[30] 웹사이트 『ノルウェイの森』の発行部数1000万部突破 https://life.oricon.[...] オリコン 2009-08-05
[31] 웹사이트 中国的“村上春樹熱”「ノルウェイの森」100万部突破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4-11-22
[32] 문서 『遠い太鼓』前掲書、353頁
[33] 뉴스 装丁にみる出版文化 時代を映す「鏡」として高まる役割/「装丁の勝利」と喧伝された『ノルウェイの森』 http://www.yurindo.c[...]
[34] 문서 『夢のサーフシティー』朝日新聞社、1998年7月、読者&村上春樹フォーラム93(1997年10月27日〜10月30日)
[35] 문서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119頁
[36]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
[37]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46頁
[38]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58頁
[39]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59頁
[40]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208頁
[41]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203-204頁
[42] 서적 騎士団長殺し 第2部 遷ろうメタファー編 新潮社 2017-02-24
[43]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68-69頁
[44]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253頁
[45]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92頁
[46]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97頁
[47]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114頁
[48]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115頁
[49]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124-125頁
[50]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151頁
[51]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254頁
[52]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184頁
[53]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228頁
[54] 서적 スメルジャコフ対織田信長家臣団 朝日新聞社 2001-04
[55] 서적 本書、上巻、講談社文庫、旧版、269頁
[56] 서적 海辺のカフカ 新潮文庫
[57]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32頁、238頁
[58]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42頁、135頁
[59]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44頁
[60] 서적 セロニアス・モンクのいた風景 新潮社 2014-09
[61]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47頁
[62] 서적 本書、下巻、単行本131頁文庫
[63]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196頁
[64] 서적 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 新潮文庫
[65] 서적 村上朝日堂はいかにして鍛えられたか 新潮文庫
[66]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194頁
[67] 서적 スメルジャコフ対織田信長家臣団 1999-02-01
[68] 서적 本書、下巻、講談社文庫、旧版、255頁
[69] 웹사이트 『ノルウェイの森』(講談社) - 著者:村上 春樹 - 吉本隆明による書評 | 好きな書評家、読ませる書評。ALL REVIEWS https://allreviews.j[...]
[70] 서적 スメルジャコフ対織田信長家臣団 1998-08-02
[71] 간행물 村上春樹と東アジア : 都市現代化のメルクマールとしての文学 https://doi.org/10.1[...] 東京大学文学部中国語中国文学研究室 2002-04
[72] 뉴스 2016年は韓国人の心が折れた1年に、検索ホットワードに見る崔順実事件の傷―台湾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22-03-02
[73] 서적
[74] 뉴스 20-30대가 뽑은 日소설 1위 '상실의 시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5-08
[75] 뉴스 숲과 피오르드와 백야의 나라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5-19
[76] 뉴스 (1) 서울로부터 7,730km http://media.khu.ac.[...] 경희대학교 미디어센터 2006-12-18
[77] 문서 혼다에서 생산한 경자동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