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잣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잣나무는 땅을 기는 듯한 독특한 형태로 자라는 상록 침엽수 관목으로, 극동, 동시베리아, 몽골 북동부, 중국 북동부, 일본 북부 및 한국을 포함한 지역에 분포한다. 소나무과에 속하며, 잎은 바늘 모양으로 5개씩 묶여 나고, 잣을 생산한다. 씨앗은 잣까마귀에 의해 퍼지며, 극한 환경에서 매우 느리게 성장한다. 눈잣나무는 공원이나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나무속 - 곰솔
곰솔은 흑갈색 껍질과 굵은 잎을 가진 소나무과의 상록침엽수로, 해송이라고도 불리며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지만 소나무재선충병에 취약하다. - 소나무속 - 스트로브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는 북미 동부가 원산지인 소나무속 침엽수로, 잎이 5개씩 묶여 나며 건축 자재나 가구, 돛대 재료 등으로 쓰이고 미국의 독립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진다. - 러시아의 나무 -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정자나무, 가로수 등으로 이용되고 한국에서는 마을을 지키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나무이다. - 러시아의 나무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가을의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잎 모양, 색깔, 크기 등이 다양한 1,0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있어 관상용, 정원수, 가로수, 분재 등으로 널리 재배된다.
눈잣나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inus pumila |
명명자 | Pall. Regel |
속 | 마쓰속 |
아속 | Strobus |
절 | Strobi |
한국어 이름 | 하이마츠 (해송) |
영어 이름 | Siberian Dwarf Pine |
보존 상태 | |
IUCN | LC |
IUCN 버전 | 3.1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2405/2977712 |
하위 분류 | |
변종 | () var. et (Pall.) Regel var. Ishii et Kusaka |
동의어 | |
동의어 | Pinus cembra subsp. pumila Pinus cembra var. pumila Pinus cembra var. pygmaea Pinus nana Pinus pumila var. mongolica Pinus pumila f. auriamentata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강 | 마쓰강 |
목 | 마쓰목 |
과 | 소나무과 |
눈잣나무 | |
학명 (명명자) | Pinus pumila (Pall.) Regel |
상태 | LC |
상태 기준 | iucn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강 | 구과식물강 |
목 | 구과목 |
과 | 소나무과 |
속 | 소나무속 |
종 | 눈잣나무 |
2. 명칭 및 분류
눈잣나무는 땅을 기어가듯 자라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ハイマツ일본어는 한자로 왜송(矮松)이라고 쓰며, 이자리마쓰(イザリマツ일본어), 소나레마쓰(ソナレマツ일본어), 에조하이마쓰(エゾハイマツ일본어)[9], 쿠비나가하이마쓰(クビナガハイマツ일본어)[9] 등으로도 불린다. 종소명 ''pumila''는 "작다"라는 의미이다.[12] 북일본산이나 시베리아산 눈잣나무는 수형과 침엽 내부의 수지구 수가 일본 중부 고산대의 것과 달라 아종으로 인정하는 의견도 있다.[13]
2. 1. 한국어 명칭
눈잣나무는 땅을 기어가듯 자라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소나무, 곰솔과는 아속(亞屬) 단위에서 다르며, ''Strobus''아속, 즉 오엽송(五葉松) 그룹에 분류된다.2. 2. 기타 명칭
ハイマツ일본어는 한자로 왜송(矮松)이라고 쓰며, 땅을 기어가듯 자라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9] 다른 이름으로는 イザリマツ일본어, ソナレマツ일본어, エゾハイマツ일본어,[9] クビナガハイマツ일본어 등이 있다.[9] 종소명 ''pumila''는 "작다"라는 의미이다.[12] 북일본산이나 시베리아산은 수형과 침엽 내부의 수지구 수가 일본 중부 고산대의 것과 달라 아종으로 인정하는 의견도 있다.[13]흔히 볼 수 있는 소나무와 곰솔과는 아속 단위로 다르며, ''Strobus''아속, 즉 오엽송(五葉松) 그룹에 분류된다.
2. 3. 분류
눈잣나무는 흔히 볼 수 있는 소나무나 곰솔과는 아속 단위에서 다르며, ''Strobus''아속, 즉 오엽송(五葉松) 그룹에 속한다.3. 분포 및 생육지
눈잣나무는 극동, 동시베리아, 몽골 북동부, 중국 북동부, 일본 북부, 한국 등에 분포한다.[3] 시베리아 왜소 소나무는 산맥을 따라 수목한계선 위에서 빽빽하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덤불을 형성하며 자란다. 또한 오호츠크 해, 베링 해, 타타르 해협 및 태평양 연안(쿠릴 열도)의 곶에서도 자란다.
''P. pumila''는 매우 느리게 자라며, 300년에서 어떤 경우에는 1,000년까지 살 수 있다.[6] 시베리아의 더 추운 지역에서는 250년 이상 된 표본도 있다.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 사할린, 중국 동북부, 한반도, 일본 등 냉온대에 분포한다.
3. 1. 한국 내 분포
눈잣나무는 극동, 동시베리아, 몽골 북동부, 중국 북동부, 일본 북부, 한국에 분포한다.[3]3. 2. 일본 내 분포
일본은 눈잣나무 분포의 남쪽 끝에 해당한다. 빙하기에 북쪽에서 남하해 와서 온난화와 함께 일본에 남아 고산으로 피난한 빙하 유존종이다. 일본 국내에서는 홋카이도(北海道)에서 중부지방(中部地方)의 고산대(高山帯)에 분포하며, 그 남쪽 끝은 아카이시 산맥(赤石山脈)의 고자쿠(光岳), 서쪽 끝은 가가(加賀)의 하쿠산(白山)이다.[3] 혼슈(本州)에서는 중부 북부의 일부 산지 상부에서 볼 수 있지만, 비교적 고도가 높은 후지산(富士山)이나 남체산(男体山)(도치기현(栃木県)) 등에서는 볼 수 없다.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산대의 식물로, 고목 한계 이상의 중부 산악 지대에서 대략 해발 2,500~3,000미터 이상, 아오모리현(青森県) 하치만타 산(八甲田山)에서는 해발 1,500미터 이상, 홋카이도(北海道)에서는 대략 해발 1,000미터 이상에 자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홋카이도(北海道)의 시레토코 반도(知床半島)나 레분 섬(礼文島)에서는 해안 가까운 저지대에도 자생하는 예가 있다. 도토(道東), 굿샤로호(屈斜路湖) 근처에 있는 아토사누푸리(アトサヌプリ)(유황산(硫黄山))은 정상의 높이가 512m에 불과하지만, 산록의 낮은 고도의 장소에서도 눈잣나무가 보인다. 이것은 이 산이 항상 유황 증기를 분출하는 활화산이기 때문에 토양이 산성화되어 평지에 보통 자라는 식물이 자랄 수 없기 때문이다.
4. 형태
눈잣나무는 키가 1m에서 3m 정도이고, 드물게 5m까지 자라는 상록 침엽관목이다. 땅 위로 더 멀리 뻗어나가는 가지를 가질 수도 있다. 일본 북부 산악 지대에서는 비슷한 종인 섬잣나무(''Pinus parviflora'')와 때때로 자연 교잡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잡종(''Pinus'' × ''hakkodensis'')은 눈잣나무보다 크며, 경우에 따라 8m에서 10m까지 자란다.
눈잣나무는 수고 1~2미터 정도의 소형종인 경우가 많다. 그 수형은 이름처럼 땅을 기는 독특한 것으로, 일본의 다른 소나무 종류에서는 거의 예를 찾아볼 수 없다. 주간이 명확하지 않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을 기듯이 자라며, 땅에 닿은 부분에서 뿌리를 내린다. 고산의 능선 등에서는 말 그대로 땅을 기는 낮은 수형이지만, 분포역 하한의 아고산대 숲에 접하는 부근에서는 수고 2미터 정도의 관목형이 된다.
4. 1. 잎
잎은 바늘 모양이며, 5개씩 묶여 나고 길이는 4~6cm이다. 구과는 2.5cm에서 4.5cm 길이이며, 큰 견과 모양의 종자(잣)를 가지고 있다.[5] 침엽은 5개이며, 침엽 단면의 유관속은 1개이고, 잎 밑동의 엽초는 떨어지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4. 2. 구과 및 종자
잎은 바늘 모양이며, 5개씩 묶여 나고 길이는 4~6cm이다. 구과(솔방울)는 2.5cm~4.5cm 길이이며, 큰 견과 모양의 종자(잣)을 가지고 있다.[5] 성숙하는 데 2년이 걸린다. 구과 내부에 형성되는 종자는 날개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동물 산포형으로 누에찌르레기, 라이초 등이 먹이로 한다.5. 생태
눈잣나무는 극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리다. 줄기 지름이 몇 센티미터에 불과해도 수령이 100년 이상인 경우가 흔하며,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찾아 굴지갱신(伏条更新)과 고사를 반복하며 100미터 가까이 이동하기도 한다.
후지산에는 눈잣나무가 없고, 대신 낙엽송이 눈잣나무처럼 낮게 땅을 기는 형태로 자란다. 이는 후지산이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화산이고, 독립봉이며, 토양 문제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눈잣나무와 후지산 낙엽송은 모두 일반적인 나무보다 성장이 느리고, 줄기 단면의 나이테가 매우 조밀하다.[1]
5. 1. 생태적 상호작용
씨앗은 잣까마귀(''Nucifraga caryocatactes'')에 의해 수확되고 퍼진다.[1]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아고산대 침엽수림과 그 상부의 눈잣나무(ハイマツ)림 사이에 큰 경관 차이가 있다. 교목이 없어 시야가 트이고 고산다운 분위기로 가득한 눈잣나무림은 고산 식생의 대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분포 형태는 일본 주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눈잣나무의 분포 중심지인 동시베리아와 중국 동북부에서는 대부분 눈잣나무가 낙엽송속(구이마츠·시베리아낙엽송 등) 숲 속에 저목으로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는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는 양수이기 때문에, 일본 아고산대나 서시베리아 등의 상록침엽수림은 눈잣나무에게는 숲 속이 너무 어둡지만, 낙엽송 숲은 잎이 얇아 숲 속이 밝기 때문에 눈잣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
일본에서도 잘 관찰해 보면, 눈잣나무림에는 전나무속, 가문비나무속 등 아고산대림에 속하는 수종이 저목화되어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케칸바(다케칸바 나무)림은 낙엽송과 마찬가지로 숲 속이 밝기 때문에, 아고산대림과 눈잣나무림의 이행대에서 다케칸바가 교목층을, 눈잣나무가 저목층을 차지하여 공존하는 예가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 미루어 볼 때, 눈잣나무림은 고산대의 일부가 아니라 아고산대의 일부이며, 아마도 폭설과 강풍으로 인해 교목층이 결여된 상태일 것이라고 현재는 생각되고 있다.[1]
5. 2. 다른 식물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아고산대 침엽수림과 그 상부의 눈잣나무(ハイマツ)림 사이에 큰 경관 차이가 있다. 교목이 없어 시야가 트이고 고산다운 분위기로 가득한 눈잣나무림은 고산 식생의 대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분포 형태는 일본 주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눈잣나무의 분포 중심지인 동시베리아와 중국 동북부에서는 대부분 눈잣나무가 낙엽송속(구이마츠·시베리아낙엽송 등) 숲 속에 저목으로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는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는 양수이기 때문에, 일본 아고산대나 서시베리아 등의 상록침엽수림은 눈잣나무에게는 숲 속이 너무 어둡지만, 낙엽송 숲은 잎이 얇아 숲 속이 밝기 때문에 눈잣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일본에서도 잘 관찰해 보면, 눈잣나무림에는 전나무속, 가문비나무속 등 아고산대림에 속하는 수종이 저목화되어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케칸바(다케칸바 나무)림은 낙엽송과 마찬가지로 숲 속이 밝기 때문에, 아고산대림과 눈잣나무림의 이행대에서 다케칸바가 교목층을, 눈잣나무가 저목층을 차지하여 공존하는 예가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 미루어 볼 때, 눈잣나무림은 고산대의 일부가 아니라 아고산대의 일부이며, 아마도 폭설과 강풍으로 인해 교목층이 결여된 상태일 것이라고 현재는 생각되고 있다.
한편, 후지산에는 눈잣나무가 없고, 대신 낙엽송이 눈잣나무와 마찬가지로 낮게 땅을 기는 듯한 수형으로 자라고 있다. 이는 후지산이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화산이라는 점, 독립봉이라는 점, 토양 문제 등이 이유로 생각되고 있지만, 왜 이러한 식생이 되는지는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 눈잣나무와 후지산의 낙엽송 모두 일반적인 나무에 비해 성장이 매우 느리고, 줄기의 단면은 나이테가 매우 조밀하다.
6. 재배
이 식물은 공원과 정원에서 관상용 관목으로 재배된다. 'P. pumila' 'Glauca' 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협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의 정원 공로상(Award of Garden Merit)을 수상했다.[7]
참조
[1]
IUCN
Pinus pumila
2021-11-19
[2]
WCSP
2017-12-29
[3]
GRIN
2017-12-18
[4]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permafrost distribution and surface organic layers near Esso, central Kamchatka, Russian Far East
[5]
웹사이트
Pinus pupils (Dwarf Siberian Pine)
https://www.gardenia[...]
2024-08-11
[6]
서적 # 추정
[7]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inus pumila 'Glauca'
https://www.rhs.org.[...]
2021-02-06
[8]
웹사이트
Pinus pumila
http://www.iucnredli[...]
1998 # 추정, IUCN 2010 업데이트 정보가 있으므로 추정.
[9]
YList
2021-08-07
[10]
YList
2021-08-07
[11]
YList
2021-08-07
[12]
서적
復刻・拡大版植物学ラテン語辞典
ぎょうせい
[13]
논문
マツ属の基礎造林学的研究 特にその分類学的ならびに地理学的考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