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문비나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문비나무속은 전 세계에 약 50종이 분포하는 상록 침엽수이며, 전나무와 유사하나 구과가 아래로 처지는 특징을 갖는다. 원뿔형 수형과 엽침으로 쉽게 구별되며, 구과 인편의 형태가 종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가문비나무는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며, 목재, 펄프, 악기 재료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어린 싹은 비타민 C의 공급원이며, 전통적으로 가문비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묘목의 취약성, 곰팡이 감염, 해충 피해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4년 기재된 식물 - 아세롤라
    아세롤라는 말피기아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붉은색 체리와 유사한 과실을 식용하며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북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브라질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 1824년 기재된 식물 - 물대족
    물대족은 여러 속으로 구성된 식물 분류군이며, 물대속을 포함하여 PACMAD 분지군에 속하고 아리스티다아과, 기장아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
  • 소나무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 소나무과 -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가을에 단풍이 들며 방풍림, 목재 등으로 이용되고,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가문비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Picea abies)
학명Picea Mill.
원명 발표Frankis
모식종노르웨이 가문비나무
모식종 명명자(L.) H. Karst.
영어 이름Spruce
일본어 이름トウヒ (토우히)
중국어 이름云杉属 (Yúnshān shǔ)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아문마츠아문
마츠강
마츠목
소나무과
아과가문비나무아과 (Piceoideae)
아과 명명자Frankis
가문비나무속
생물학적 특징
화석 범위발랑진절 - 현재
약 35종 (본문 참조)
이명
이명Veitchia Lindley

2. 특징

가문비나무속 식물은 전 세계에 약 50종이 있으며, 구과를 만드는 식물 중에서는 전나무에 가장 가깝다. 전나무 구과는 위로 곧추서는 반면, 가문비나무 구과는 아래로 처지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잔가지에는 전나무에 없는 목질성 돌기(엽침 또는 소병자[75])들이 있고, 여기에 바늘잎이 달린다. 가문비나무속은 가지에 있는 말뚝 모양의 소형 상록성 구조(엽침 또는 소병자[75])에 4면으로 단독으로 붙어 있는 침엽(잎)과 수분된 후 아래로 늘어진 (포린이 돌출되지 않은) 구과[76]가 특징이며, 대부분 원추형으로 자란다. 침엽은 가지가 생긴 지 4~10년이 되면 벗겨지고 이가 나 거칠어진다. 비슷한 다른 속에서는 가지가 상당히 매끄럽다.

2. 1. 형태

가문비나무속 식물은 전 세계에 약 50종이 있으며, 전나무와 가장 가깝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전나무 구과는 위로 향하는 반면, 가문비나무 구과는 아래로 처진다. 또한, 가문비나무 잔가지에는 전나무에는 없는 목질성 돌기(엽침 또는 소병자[75])가 있으며, 여기에 바늘잎이 달린다. 가문비나무속 식물들은 대부분 원추형으로 자란다. 가문비나무속이 가문비나무과의 다른 속들과 구별되는 것은 가지에 있는 말뚝 모양의 소형 상록성 구조(엽침 또는 소병자)에 4면으로 단독으로 붙어 있는 침엽(잎)과 수분된 후 아래로 늘어진 (포린이 돌출되지 않은) 구과이다.[76]

노르웨이 가문비나무(''Picea abies'')의 바늘 밑 부분, 즉 엽침


바늘이 떨어진 후에도 엽침이 남아있다 (흰 가문비나무(''Picea glauca''))


가문비나무는 사각형에 가까운 상록수 잎과 엽침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종을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코츠 등(1994)에 따르면, 더글러스(1975)는[5] 구과 인편의 형태가 가문비나무 종을 구별하는 데 가장 유용한 특징임을 보였다. 특히 인편의 길이, 너비, 길이:너비 비율, 자유 인편의 길이(종자 날개의 흔적에서 인편 끝까지의 거리), 자유 인편의 비율(전체 인편 길이에서 자유 인편 길이의 백분율)이 유용하다. 다우벤마이어(1974)[7]는 이미 자유 인편 길이와 비율 두 가지 특징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테일러(1959)[8]는 전형적인 ''Picea glauca''와 전형적인 ''P. engelmannii'' 사이의 가장 뚜렷한 형태적 차이가 구과 인편에 있다고 언급했으며, 호턴(1956, 1959)[9][10]은 두 가문비나무의 가장 유용한 진단적 특징이 구과에 있으며, 꽃, 가지, 잎에도 차이가 있지만 "구과에서의 차이가 가장 쉽게 평가된다"고 밝혔다. 쿠페 등(1982)[11]은 다섯 그루의 나무 각각에서 열 개의 구과의 중간 부분에서 채취한 표본을 기반으로 구과 인편 특징을 결정할 것을 권장했다.

구과가 없을 때는 가문비나무 종과 그 잡종 간의 형태적 구별이 더 어렵다. 흰 가문비나무와 가문비나무(''P. sitchensis'') 사이의 침입적 잡종화가 발생했을 수 있는 가문비나무 숲에서 채취한 종자에 대한 종 분류는 묘목장에서 적절한 재배 관리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Yeh and Arnott (1986)[14]은 흰 가문비나무와 가문비나무 간의 침입 정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어려움을 지적했다.

수형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크리스마스 트리"형의 전형적인 침엽수이며, 원뿔형으로 성장하는 것이 많다. 가지는 같은 높이에서 사방으로 뻗는다(윤생).

수고는 생육 환경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조건이 좋은 곳에서는 상당한 거목이 된다. 북미 태평양 연안에는 수고 95미터의 가문비나무가 있으며, 세계 최고 거목 중 하나이다.

수피는 갈색으로 비늘 모양으로 갈라지고, 잎의 끝이 뾰족하며, 가지에 "잎침"이라고 불리는 돌기가 있어 거기에서 잎이 뻗어 나오는 점이 전나무속과 다르다. 잎의 단면은 가로로 편평(가문비나무절)한 종류와 마름모꼴(가문비나무절과 오모리카문비나무절)인 종류가 있다.

전나무류에서는 구과 (솔방울)가 가지 위에 직립하여 생기는 데 반해 가지에서 아래로 늘어지는 것, 둥근 종자 인편 아래에서 바늘 모양으로 뾰족한 포린편이 얼굴을 내밀지만, 가문비나무속에서는 포린편이 매우 작아서 밖에서 보이지 않는 것, 종자 산포 후에 전나무속에서는 인편이 탈락하지만 가문비나무속에서는 남는 것 등이 크게 다르다.

미선나무속은 잎은 전나무속에 가깝지만 구과의 성질은 가문비나무속에 가깝다. 단, 구과는 훨씬 작다는 점에서 구별할 수 있다. 낙우송속이나 납작삼나무속은 그 점에서 가문비나무속에 가깝지만 포린편이 잘 발달한다.

2. 2. 생태

가문비나무는 보통 산자락 모퉁이에서 많이 자라고, 낮은 곳에서는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가문비나무속은 나비목 곤충의 먹이식물이며, 잎과 구과는 아델게스속 깍지벌레(`Adelges`) 충영의 재료 겸 먹이로 쓰이기도 한다.

가문비나무 묘목은 발아 직후부터 이듬해 봄까지 매우 취약하다.[15] 묘목 사망률의 절반 이상은 첫 생장기 동안 발생하며, 묘목이 얼거나 서리가 융기되는 피해, 침식, 낙엽과 눈에 눌린 식생에 질식되는 첫 겨울 동안에도 매우 높다.[15] 생장기 후반에 발아하는 묘목은 작고 완전히 내한성을 갖출 시간이 없어 특히 취약하다. 사망률은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지만, 종종 수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생장은 수년 동안 매우 느리게 유지된다. 앨버타의 아고산대에서 부분 벌채 후 3년이 지난 시점에 우점 재생은 표토 훼손 블록에서 평균 5.5 cm, 비표토 훼손 블록에서 7.3 cm의 키를 보였다.[18]

가문비나무 숲에서 Dendroctonus micans(가문비나무바구미) 딱정벌레의 존재는 가문비나무의 건강과 생명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컷 딱정벌레는 영역 행동을 보이며, 암컷이 짝짓기를 위해 매력적으로 느끼는 지역을 부지런히 방어한다.

수동으로 수피를 제거한 줄기는 나무껍질벌레로부터 보호한다


가문비나무 세포의 구조


가까운 관련 종인 ''Sirococcus conigenus''와 ''Sirococcus piceicola''는 북미, 유럽, 북아프리카에서 구과식물에 싹 마름병과 묘목 사망을 유발한다.[28] 묘목장의 가문비나무 ''Sirococcus'' 마름병은 곰팡이가 오염된 종자에서 전염된 묘목에서 무작위로 나타난다.

''Rhizosphaera kalkhoffi''는 온타리오주 전역의 가문비나무, 푸른 가문비나무 (''Picea pungens''), 노르웨이 가문비나무를 감염시켜 심각한 잎 떨어짐을 유발하며, 때로는 작고 스트레스를 받은 나무를 죽게 한다. 가문비나무는 중간 정도의 감수성을 보인다.

가문비나무 곁가지 및 줄기 궤양은 곰팡이 ''Valsa kunzei'' Fr. var. ''picea''와 관련이 있으며, 온타리오[31]와 퀘벡[32]의 흰가문비나무와 노르웨이 가문비나무에서 보고되었다.

페테르호프 공원의 가문비나무


작은 포유류들은 침엽수 씨앗을 섭취하며, 묘목도 소비한다. 사슴쥐(''Peromyscus maniculatus'')와 붉은배밭쥐(''Myodes gapperi'')는 하루 최대 2000개의 흰가문비나무 씨앗과 1000개의 늪지대 소나무 씨앗을 섭취했다.[33]

씨앗이 떨어지면 사슴쥐, 붉은배밭쥐, 산쥐(''Microtus montanus''), 얼룩다람쥐(''Eutamias minimus'') 등 작은 포유류의 먹이가 된다. 가문비나무 정착에 대한 중요하지만 간접적인 생물적 제약은 다람쥐에 의한 씨앗 포식이다. 빨간 다람쥐는 솔방울의 90%나 수확했다.[36] 알래스카의 빨간 다람쥐도 마찬가지로 솔방울의 90%를 수확했다.[36]

Porcupine(''Erethizon dorsatum'' L.)은 가문비나무를 손상시킬 수 있지만,[40] 붉은 소나무를 더 선호한다.[41]

동부잎벌레(''Choristoneura fumiferana'')는 캐나다 및 미국 동부의 숲에서 가문비나무의 주요 해충이다.[44] 가문비나무 딱정벌레(''Dendroctonus rufipennis'')는 알래스카에서 와이오밍에 이르는 북아메리카 서부의 가문비나무 숲을 파괴했다.

다른 소나무과 나무와 마찬가지로 가문비나무속 나무의 뿌리도 균류와 공생하여 균근을 형성한다.

가문비나무속 뿌리에 형성된 균근


번식은 종자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가문비나무속의 종자는 그냥 지표면에 떨어진 때보다 고목이나 그루터기 등에 떨어진 때가 생존하기 쉽다는 고목 갱신(nurse log)이라는 사례가 종종 보고된다. 또한 지표면에 가까운 가지가 접지되어 거기에서 뿌리를 내어 번식하는 취목적인 영양 번식인 복조 갱신을 하는 종이 알려져 있다.[71]

3. 분포

북반구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약 40종이 분포한다.[64] 북쪽 한계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북극권이며, 남쪽 한계는 유라시아에서는 미얀마와 히말라야, 북미에서는 멕시코 북부의 고산 지대에 이른다. 타이가와 중위도 산악 지대의 아고산대에서 중요한 수종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혼슈 중부 산악 지대의 산지대 상부에서 아고산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규슈의 산지까지 분포한다.

아시아산 종이 가장 많으며, 분포의 중심은 히말라야,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걸친 지역이다.[64] 변종 중에서는 유럽가문비나무가 가장 많아 100종 이상이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64]

4. 분류

DNA 분석 결과, 잎과 구과의 형태에 따른 전통적 분류는 인위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9][20] 2006년 연구에서는 브루어가문비나무가 기저에 위치하고, 시트카가문비나무가 그 다음이며,[19] 나머지 종들은 세 분지로 나뉘어 가문비나무속이 북아메리카 기원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37종을 인정했다.[24] 이 분류는 Ran 외(2006)에 기반한다.[19]

가문비나무속 식물은 다음과 같다.

학명한국어 이름분포 지역
P.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ère가문비나무동북아시아, 캄차카 반도 남부, 일본
P. jezoensis subsp. hondoensis (Mayr) P. A. Schmidt혼도가문비나무일본
P. jezoensis var. komarovii (V. N. Vassil.) W. C. Cheng & L. K. Fu
P. mariana (Mill.) Britton et al.검은가문비나무북아메리카 북부
P. glauca (Moench) Voss글라우카가문비나무북아메리카 북부
P. glehnii (F. Schmidt) Mast.글렌가문비나무일본 북부, 사할린
P. morrisonicola Hayata대만가문비나무대만 (고산)
P. abies (L.) H. Karst.독일가문비나무유럽
P. breweriana S. Watson브루어가문비나무클라마트 산맥, 북아메리카
P. brachytyla (Franch.) E. Pritz.사전트가문비나무중국 남서부
P. omorika (Pančić) Purk.세르비아가문비나무세르비아, 보스니아
P. koyamae Shiras.소산가문비나무일본 (산)
P. schrenkiana Fisch. & C. A. Mey.슈렌크가문비나무중앙아시아 산
P. schrenkiana subsp. tianschanica (Rupr.) Bykov
P. spinulosa (Griff.) A. Henry시킴가문비나무인도 북동부 (시킴), 동부 히말라야 산맥
P. sitchensis (Bong.) Carrière시트카가문비나무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P. engelmannii Engelm.엥겔만가문비나무북아메리카 서부 산
P. engelmannii var. mexicana (Martínez) Silba
P. likiangensis (Franch.) E. Pritz.여강가문비나무중국 남서부
P. likiangensis var. montigena (Mast.) W. C. Cheng몬티게나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var. rubescens Rehder & E. H. Wilson붉은여강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var. hirtella (Rehder & E. H. Wilson) W. C. Cheng
P. likiangensis var. linzhiensis W. C. Cheng & L. K. Fu
P. orientalis (L.) Link오리엔탈가문비나무코카서스, 터키 북동부
P. asperata Mast.용가문비나무중국 서부
P. wilsonii Mast.윌슨가문비나무중국 서부
P. pungens Engelm.은청가문비나무로키 산맥, 북아메리카
P. alcoquiana (Veitch ex Lindl.) Carrière일본가문비나무일본 중부 (산)
P. alcoquiana var. acicularis (Maxim. ex Beissn.) Fitschen
P. alcoquiana var. reflexa (Shiras. & Koyama) Fitschen
P. maximowiczii Regel ex Carrière일본좀가문비나무일본 (희귀종, 산)
P. purpurea Mast.자주가문비나무중국 서부
P. koraiensis Nakai종비나무한국, 중국 북동부
P. koraiensis var. pungsanensis (Uyeki ex Nakai) Farjon풍산가문비
P. smithiana (Wall.) Boiss.히말라야가문비나무서부 히말라야 산맥, 동부 아프가니스탄, 북부 및 북서부 인도
P. chihuahuana Martínez치와와가문비나무멕시코 북서부 (희귀종)
P. crassifolia Kom.칭하이 가문비나무중국
P. laxa (Ehrh.) Sarg.
P. martinezii T. F. Patt.마르티네즈가문비나무멕시코 북동부 (매우 희귀, 멸종 위기)
P. meyeri Rehder & E. H. Wilson메이어가문비나무중국 북부 (내몽골에서 간쑤까지)
P. neoveitchii Mast.베이치가문비나무중국 북서부 (희귀종, 멸종 위기)
P. obovata Ledeb.시베리아가문비나무북부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P. obovata var. alpestris (Brügger) A. Henry
P. polita (Siebold & Zucc.) Carrière바라모미일본
P. rubens Sarg.붉은가문비나무북아메리카 북동부
P. × hurstii De Hurst
P. × lutzii Little
P. × mariorika Boom



가장 오래된 가문비나무 화석 기록은 캐나다 서부 초기 백악기(발랑지니아절)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1억 36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1]

4. 1. 계통 분류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37종을 인정했다.[24] 이 분류는 Ran 외(2006)에 기반한다.[19] 가문비나무속은 5개의 계통으로 나뉘며,[73][74] 기저 계통은 모두 북아메리카산으로, 가문비나무속이 북미 기원임을 시사한다. 구대륙에 산출되는 것은 파생적인 Clade IV와 Clade V에 한정된다.

다음은 가문비나무속의 계통 분류이다.

  • 기저 종:
  • 브루어 가문비나무 (클라마트 산맥, 북아메리카; 지역 고유종)
  • 시트카 가문비나무 (시트카,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최대 종, 높이 95m; 임업에서 중요)

  • 분지 I (북부 및 서부 북아메리카, 타이가 또는 높은 산)
  • 엥겔만 가문비나무 (북아메리카 서부 산; 임업에서 중요)
  • 흰 가문비나무 (북아메리카 북부; 임업에서 중요)

  • 분지 II (아시아 전역, 대부분 산악 지역, 멕시코의 고지대에서 몇몇 고립된 개체군)
  • 사젠트 가문비나무 (중국 남서부)
  • 치와와 가문비나무 (멕시코 북서부, 희귀종)
  • 버마 가문비나무 (버마 북동부, 중국 남서부, 산)
  • 리키앙 가문비나무 (중국 남서부)
  • 마르티네즈 가문비나무 (멕시코 북동부, 매우 희귀, 멸종 위기)
  • 막시모비치 가문비나무 (일본, 희귀종, 산)
  • 대만 가문비나무 (대만, 고산)
  • 베이치 가문비나무 (중국 북서부, 희귀, 멸종 위기)
  • 코카서스 가문비나무 또는 오리엔탈 가문비나무 (코카서스, 터키 북동부)
  • 호랑이 꼬리 가문비나무 (일본)
  • 자주색 원뿔 가문비나무 (중국 서부)
  • 슈렌크 가문비나무 (중앙아시아 산)
  • 모린다 가문비나무 (서부 히말라야 산맥, 동부 아프가니스탄, 북부 및 북서부 인도)
  • 시킴 가문비나무 (인도 북동부 (시킴), 동부 히말라야 산맥)
  • 윌슨 가문비나무 (중국 서부)

  • 분지 III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대부분 아한대림 또는 산악 지역)
  •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유럽; 임업에서 중요, 최초의 크리스마스 트리)
  • 알코크 가문비나무 (일본 중부, 산)
  • 용 가문비나무 (중국 서부; 여러 품종)
  • 칭하이 가문비나무 (중국)
  • 글렌 가문비나무 (일본 북부, 사할린)
  • 예조 가문비나무 (동북아시아, 캄차카 반도 남부, 일본)
  • 한국 가문비나무 (한국, 중국 북동부)
  • 코야마 가문비나무 (일본, 산)
  • 검은 가문비나무 (북아메리카 북부)
  • 메이어 가문비나무 (중국 북부, 내몽골에서 간쑤까지)
  • 시베리아 가문비나무 (북부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종종 'P. abies'의 변종으로 취급, 이와 교잡됨, 하지만 독특한 구과를 가짐)
  • 세르비아 가문비나무 (세르비아보스니아; 지역 고유종; 원예에서 중요)
  • 푸른 가문비나무 또는 콜로라도 가문비나무 (로키 산맥, 북아메리카; 원예에서 중요)
  • 녹색 용 가문비나무 (중국)
  • 붉은 가문비나무 (북아메리카 북동부; 임업에서 중요, 악기 제조에서 애디론댁으로 알려짐)

  • 기타
  • Picea aurantiaca
  • Picea austropanlanica
  • Picea linzhiensis
  • 잡종
  • ''Picea'' × ''albertiana''
  • ''Picea'' × ''fennica''
  • ''Picea'' × ''lutzii''
  • ''Picea'' × notha''

4. 2. 종 목록

학명한국어 이름
가문비나무 P.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ère가문비나무
혼도가문비나무 P. jezoensis subsp. hondoensis (Mayr) P. A. Schmidt혼도가문비나무
P. jezoensis var. komarovii (V. N. Vassil.) W. C. Cheng & L. K. Fu
검은가문비나무 P. mariana (Mill.) Britton et al.검은가문비나무
글라우카가문비나무 P. glauca (Moench) Voss글라우카가문비나무
글렌가문비나무 P. glehnii (F. Schmidt) Mast.글렌가문비나무
대만가문비나무 P. morrisonicola Hayata대만가문비나무
독일가문비나무 P. abies (L.) H. Karst.독일가문비나무
브루어가문비나무 P. breweriana S. Watson브루어가문비나무
사전트가문비나무 P. brachytyla (Franch.) E. Pritz.사전트가문비나무
세르비아가문비나무 P. omorika (Pančić) Purk.세르비아가문비나무
소산가문비나무 P. koyamae Shiras.소산가문비나무
슈렌크가문비나무 P. schrenkiana Fisch. & C. A. Mey.슈렌크가문비나무
P. schrenkiana subsp. tianschanica (Rupr.) Bykov
시킴가문비나무 P. spinulosa (Griff.) A. Henry시킴가문비나무
시트카가문비나무 P. sitchensis (Bong.) Carrière시트카가문비나무
엥겔만가문비나무 P. engelmannii Engelm.엥겔만가문비나무
P. engelmannii var. mexicana (Martínez) Silba
여강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Franch.) E. Pritz.여강가문비나무
몬티게나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var. montigena (Mast.) W. C. Cheng몬티게나가문비나무
붉은여강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var. rubescens Rehder & E. H. Wilson붉은여강가문비나무
P. likiangensis var. hirtella (Rehder & E. H. Wilson) W. C. Cheng
P. likiangensis var. linzhiensis W. C. Cheng & L. K. Fu
오리엔탈가문비나무 P. orientalis (L.) Link오리엔탈가문비나무
용가문비나무 P. asperata Mast.용가문비나무
윌슨가문비나무 P. wilsonii Mast.윌슨가문비나무
은청가문비나무 P. pungens Engelm.은청가문비나무
일본가문비나무 P. alcoquiana (Veitch ex Lindl.) Carrière일본가문비나무
P. alcoquiana var. acicularis (Maxim. ex Beissn.) Fitschen
P. alcoquiana var. reflexa (Shiras. & Koyama) Fitschen
일본좀가문비나무 P. maximowiczii Regel ex Carrière일본좀가문비나무
자주가문비나무 P. purpurea Mast.자주가문비나무
종비나무 P. koraiensis Nakai종비나무
풍산가문비 P. koraiensis var. pungsanensis (Uyeki ex Nakai) Farjon풍산가문비
히말라야가문비나무 P. smithiana (Wall.) Boiss.히말라야가문비나무
P. chihuahuana Martínez치와와가문비나무
P. crassifolia Kom.칭하이 가문비나무
P. laxa (Ehrh.) Sarg.
P. martinezii T. F. Patt.마르티네즈가문비나무
P. meyeri Rehder & E. H. Wilson메이어가문비나무
P. neoveitchii Mast.베이치가문비나무
P. obovata Ledeb.시베리아가문비나무
P. obovata var. alpestris (Brügger) A. Henry
P. polita (Siebold & Zucc.) Carrière바라모미
P. rubens Sarg.붉은가문비나무
P. × hurstii De Hurst
P. × lutzii Little
P. × mariorika Boom



2022년 4월,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Ran 외(2006)의 연구[19][24]에 기반하여 가문비나무속에 속하는 37종을 인정했다.


  • 기저 종:
  • 브루어가문비나무 ''Picea breweriana'' - 클라마트 산맥 (북아메리카) 고유종
  • 시트카가문비나무 ''Picea sitchensis'' -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최대 95m, 임업 중요

  • 분지 I (북부 및 서부 북아메리카, 타이가 또는 높은 산):
  • 엥겔만가문비나무 ''Picea engelmannii'' - 북아메리카 서부 산, 임업 중요
  • 글라우카가문비나무 ''Picea glauca'' (syn. ''Picea laxa'') - 북아메리카 북부, 임업 중요

  • 분지 II (아시아, 대부분 산악 지역, 멕시코 고지대 일부 고립 개체군):
  • 사전트가문비나무 ''Picea brachytyla'' - 중국 남서부
  • 치와와가문비나무 ''Picea chihuahuana'' - 멕시코 북서부 (희귀종)
  • 버마가문비나무 ''Picea farreri'' - 버마 북동부, 중국 남서부 (산)
  • 여강가문비나무 ''Picea likiangensis'' - 중국 남서부
  • 마르티네즈가문비나무 ''Picea martinezii'' - 멕시코 북동부 (매우 희귀, 멸종 위기)
  • 일본좀가문비나무 ''Picea maximowiczii'' - 일본 (희귀종, 산)
  • 대만가문비나무 ''Picea morrisonicola'' - 대만 (고산)
  • 베이치가문비나무 ''Picea neoveitchii'' - 중국 북서부 (희귀종, 멸종 위기)
  • 오리엔탈가문비나무 ''Picea orientalis'' - 코카서스, 터키 북동부
  • 바라모미 ''Picea polita'' (syn. ''Picea torano'') - 일본
  • 자주가문비나무 ''Picea purpurea'' - 중국 서부
  • 슈렌크가문비나무 ''Picea schrenkiana'' - 중앙아시아 산
  • 히말라야가문비나무 ''Picea smithiana'' - 서부 히말라야 산맥, 동부 아프가니스탄, 북부 및 북서부 인도
  • 시킴가문비나무 ''Picea spinulosa'' - 인도 북동부 (시킴), 동부 히말라야 산맥
  • 윌슨가문비나무 ''Picea wilsonii'' - 중국 서부

  • 분지 III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대부분 아한대림 또는 산악 지역):
  • 독일가문비나무 ''Picea abies'' - 유럽, 임업 중요, 최초의 크리스마스 트리
  • 일본가문비나무 ''Picea alcoquiana'' ("''P. bicolor''") - 일본 중부 (산)
  • 용가문비나무 ''Picea asperata'' - 중국 서부, 여러 품종
  • 칭하이 가문비나무 ''Picea crassifolia'' - 중국
  • 글렌가문비나무 ''Picea glehnii'' - 일본 북부, 사할린
  •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 동북아시아, 캄차카 반도 남부, 일본
  •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 한국, 중국 북동부
  • 소산가문비나무 ''Picea koyamae'' - 일본 (산)
  • 검은가문비나무 ''Picea mariana'' - 북아메리카 북부
  • 메이어가문비나무 ''Picea meyeri'' - 중국 북부 (내몽골에서 간쑤까지)
  • 시베리아가문비나무 ''Picea obovata'' - 북부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P. abies'' 변종으로 취급 (교잡), 독특한 구과
  • 세르비아가문비나무 ''Picea omorika'' - 세르비아 및 보스니아, 지역 고유종, 원예 중요
  • 은청가문비나무 ''Picea pungens'' - 로키 산맥 (북아메리카), 원예 중요
  • 녹색용가문비나무 ''Picea retroflexa'' - 중국
  • 붉은가문비나무 ''Picea rubens'' - 북아메리카 북동부, 임업 중요, 악기 제조 시 애디론댁으로 알려짐

  • 기타:
  • ''Picea aurantiaca'' Mast.
  • ''Picea austropanlanica'' Silba
  • ''Picea linzhiensis'' (W.C.Cheng & L.K.Fu) Rushforth

  • 잡종:
  • ''Picea'' × ''albertiana'' S.Br.
  • ''Picea'' × ''fennica'' (Regel) Kom.
  • ''Picea'' × ''lutzii'' Little
  • ''Picea'' × ''notha'' Rehder


화석 증거를 통해 확인된 멸종된 종도 다수 존재한다.

5. 인간과의 관계

가문비나무는 건축, 제지, 악기 제작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유용한 나무이다.

가문비나무는 건축 목재로 유용하며, 북미에서는 'SPF (가문비나무, 소나무, 전나무)' 또는 '백목' 등으로 불린다.[47] 캐나다 목재 표준 등급 목재로 사용되며,[48] 일반 건축 작업부터 목제 항공기 제작까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49]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기인 ''플라이어''도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졌다.[50] 그러나 가문비나무는 곤충이나 부패에 약해 실내 사용에 적합하며, 외부 사용 시 수명이 짧다.[51]

가문비나무는 종이 제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긴 목재 섬유는 강한 종이를 만들기에 적합하며, 쉽게 표백되어 기계적 펄프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북부 소나무와 함께 NBSK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펄프재로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재배된다.

가문비나무속 목재는 소나무속이나 낙엽송속처럼 변재와 심재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담색 심재' 또는 '숙재'로 불린다. 전나무속과 함께 가볍고 가공이 쉽지만 내구성이 낮아 주로 악기가구 제작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 건조, 방부 가공, 접착제집성재 기술 발달로 건축 구조재로도 사용이 늘고 있다. 특히 북유럽 등에서는 저비용 목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스프루스, 북양 에조 가문비, 화이트 우드 등의 이름으로 시베리아, 북미, 북유럽 등에서 대량 수입되어 건축, 토목, 현악기 표면판, 가구 등에 사용된다. '독일 가문비나무'는 독일가문비나무 또는 기타 가문비나무속 목재를 의미한다.

바이올린 제작에 사용


북이탈리아 피엠메 계곡산 가문비나무(ABETE ROSSO)는 바이올린, 첼로 등 현악기 앞판이나 피아노 향판에 사용된다. 피엠메 계곡산은 지역 주민에게만 벌채가 허용되며, 악기용으로는 Ciresa사가 취급한다.[72]

가문비나무(''Picea mariana'') 에센셜 오일


가문비나무 어린 싹은 비타민 C의 천연 공급원이다.[52] 제임스 쿡 선장은 선원들의 괴혈병 예방을 위해 알코올 기반 설탕 가문비 맥주를 만들었다.[53][54] 잎과 가지, 에센셜 오일은 가문비 맥주 양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어린 가문비나무 새싹을 향신료로 사용하거나 설탕과 끓여 시럽을 만들기도 한다.[55][56] 생존 상황에서는 잎을 직접 섭취하거나 차로 끓여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으며, 잎에 저장된 물은 수분 공급원이 된다.

가문비나무는 기타, 만돌린, 첼로, 바이올린, 피아노 울림판, 하프 등 악기 울림판에 사용되는 표준 재료이며, 톤우드라고 불린다. 삼나무와 함께 어쿠스틱 기타 울림판/상판에 자주 사용되며, 시트카 가문비나무, 엥겔만 가문비나무, 애디론댁 가문비나무, 유럽 가문비나무 등이 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수지가 피치 제조에 사용되었으며, 학명 ''Picea''는 '피치 소나무'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57]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일부 종의 뿌리를 바구니 제작이나 카누 제작에 사용했다. 하이더족에게 신성한 황금색 가문비나무인 키드야스도 있다.

가문비나무는 원예에서 인기 있는 관상수이며,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널리 사용된다. 가문비나무 가지는 리버풀 에인트리 경마장 그랜드 내셔널 코스 울타리 제작에도 사용되며, 목재는 조각품 제작에도 사용된다.

엥겔만가문비나무, 시트카가문비나무, 캐나다 가문비나무 등 북미, 캐나다산 가문비나무류는 베이토우히(미국가문비나무), 호쿠요우에조마츠(북양가문비나무), 아라스카히노키(알래스카 노송나무) 등으로 불린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직전 건축 수요 급증 시기 히노키 대체 목재로 수입되어 목재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건축 자재 외에도 악기, 가구, 경주용 보트 선체, 도마 등에 사용되며, 장기판이나 바둑판에 '신 가야'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지만 가야보다 부드럽고 내구 연한이 낮다.

목조 틀 벽 구조 구조재(디멘션 럼버)에는 스프루스(S), 파인(P), 퍼(F)로 구성된 SPF재가 사용되며, 목재는 크림색에서 옅은 황색이다.

가문비나무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이 있다.

  • †백악기 가문비나무
  • †가시가문비나무
  • †코르프가문비나무
  • †라혼텐 가문비나무
  • †모로소바 가문비나무
  • †나카우치 가문비나무
  • †고생모리카 가문비나무
  • †킬첸시스 가문비나무
  • †트랑퀼렌시스 가문비나무

5. 1. 목재

가문비나무는 건축 목재로 유용하며, 북미 목재, SPF (가문비나무, 소나무, 전나무) 및 백목 (가문비나무 목재의 총칭) 등 여러 다른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불린다.[47] 이는 캐나다 목재 표준 등급 목재에 사용된다.[48] 가문비나무 목재는 일반적인 건설 작업과 상자에서부터 목제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전문적인 용도로 사용된다.[49] 라이트 형제의 최초 항공기인 ''플라이어''는 가문비나무로 제작되었다.[50]

가문비나무는 벌목 후 곤충이나 부패에 대한 저항성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설 목적으로는 실내 사용(예: 실내 석고보드 프레임)에만 권장된다. 외부에 방치하면 노출된 기후 유형에 따라 12~18개월 이상 지속될 수 없다.[51]

가문비나무는 강한 종이를 만드는 데 함께 묶이는 긴 목재 섬유를 가지고 있어 종이 사용에 가장 중요한 목재 중 하나이다. 섬유는 얇은 벽을 가지고 있으며 건조 시 얇은 띠로 붕괴된다. 가문비나무는 쉽게 표백되기 때문에 기계적 펄프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북부 소나무와 함께 북부 가문비나무는 NBSK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가문비나무는 펄프재로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재배된다.

가문비나무속 목재는 소나무속(''Pinus'')이나 낙엽송속(''Larix'')처럼 변재와 심재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으며, 특히 건조한 상태에서는 구별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목재는 담색 심재, 혹은 숙재 등으로 불리며, 가문비나무속 외에 전나무속 (''Abies'') 수목 등에서도 알려져 있다. 전나무속과 함께 부드럽기 때문에 가공성은 좋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내구성은 상당히 낮다고 평가되는 경우가 많아 구조재가 아닌 악기나 가구를 중심으로 이용되어 왔다. 일본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측백나무과 침엽수에 밀려 구조재로는 드물었다. 하지만 인공 건조, 방부 가공, 접착제의 개량, 집성재 등의 기술 발전으로 결점을 극복하여 건축용 구조재로 사용되는 경우도 늘어났다. 특히 북유럽 등에서는 인건비가 가장 많이 드는 하벌 작업을 거의 하지 않고, 식재 후에는 거의 방치 상태로 가문비나무속 인공림을 조성하여 수확할 수 있는 지역도 있어,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목재 자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스프루스, 북양 에조 가문비, 화이트 우드 등의 명칭으로 시베리아나 북미, 북유럽 등에서 대량으로 수입되어 건축용재나 토목용재로 사용되며, 품질이 좋은 것은 현악기의 표면판이나 가구 등에도 사용된다. 현악기 표면판의 재료로 자주 표기되는 "독일 가문비나무"는 독일가문비나무 또는 기타 가문비나무속의 재목을 의미한다.

북이탈리아의 피엠메 계곡산 가문비나무(ABETE ROSSO)는 바이올린, 첼로와 같은 현악기의 앞판이나 피아노의 향판으로 사용된다. 피엠메 계곡산은 지역 사회 구성원에게만 벌채가 허용되며, 악기용으로는 Ciresa사가 취급하고 있다.[72]

5. 2. 기타 용도



많은 가문비나무의 어린 싹은 비타민 C의 천연 공급원이다.[52] 제임스 쿡 선장은 선원들의 괴혈병을 예방하기 위해 항해 중에 알코올 기반의 설탕 가문비 맥주를 만들었다.[53][54] 잎과 가지 또는 에센셜 오일은 가문비 맥주를 양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어린 가문비나무 새싹을 향신료로 사용하거나 설탕과 함께 끓여 가문비나무 새싹 시럽을 만들기도 한다.[55][56] 생존 상황에서는 가문비나무 잎을 직접 섭취하거나 차로 끓여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물은 가문비나무 잎에 저장되어 있어 수분 공급의 대안을 제공한다. 가문비나무는 육류가 유일한 주요 식량 공급원인 환경에서 괴혈병 예방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문비나무는 기타, 만돌린, 첼로, 바이올린, 피아노의 핵심인 울림판과 하프를 포함한 많은 악기의 울림판에 사용되는 표준 재료이다. 이 목재는 톤우드라고 불린다. 가문비나무는 삼나무와 함께 어쿠스틱 기타의 울림판/상판에 자주 사용된다. 이 용도로 사용되는 주요 가문비나무 종류는 시트카 가문비나무, 엥겔만 가문비나무, 애디론댁 가문비나무 및 유럽 가문비나무이다.

과거에는 수지가 피치 제조에 사용되었다(석유화학 물질 사용 이전). 학명 ''Picea''는 "피치 소나무"(스코틀랜드 소나무를 지칭)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57] 이는 "피치"를 뜻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형용사에서 유래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북아메리카에서 일부 종의 가늘고 유연한 뿌리를 바구니를 짜거나 자작나무 껍질 조각을 카누에 꿰매는 데 사용한다. 하이더족에게 신성한 특이한 황금색 가문비나무인 키드야스도 참조하라.

가문비나무는 상록수이며 대칭적인 좁은 원뿔형 성장 습관으로 인해 원예에서 인기 있는 관상수이다. 같은 이유로 일부(특히 ''Picea abies''와 ''P. omorika'')는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종종 이들을 본떠 인공 크리스마스 트리를 생산하기도 한다. 가문비나무 가지는 또한 리버풀의 에인트리 경마장에서 그랜드 내셔널 코스에 있는 여러 울타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가문비나무 목재는 조각품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엥겔만가문비나무(Picea engelmannii), 시트카가문비나무(Picea sitchensis), 캐나다 가문비나무(Picea glauca) 등, 주로 북미나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가문비나무류가 자주 이용된다. 일본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베이토우히(미국가문비나무), 호쿠요우에조마츠(북양가문비나무), 아라스카히노키(알래스카 노송나무)라고 부른다. 가문비나무속은 소나무과에 속하며 측백나무과는 아니지만, 1964년 도쿄 올림픽 직전 건축 수요 급증 시기에 히노키의 대체 목재로 수입되었고, 겉모습이 히노키와 비슷했기 때문에 목재 업계에서 이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양질의 것은 피아노, 기타, 바이올린 등의 악기, 가구, 나무로 만든 경주용 보트의 선체, 도마 등에 사용된다. 외관이 가야와 비슷하기 때문에 장기판이나 바둑판에 '신 가야'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지만, 가야에 비해 상당히 부드럽고 내구 연한은 낮다고 여겨진다.

목조 틀 벽 구조의 구조재(디멘션 럼버)에는 모두 침엽수인 스프루스(S)와 파인(P), 퍼(F)로 구성된 SPF재가 이용된다. 목재는 크림색에서 옅은 황색이다.

북이탈리아의 피엠메 계곡산 가문비나무(ABETE ROSSO)는 바이올린, 첼로와 같은 현악기의 앞판이나 피아노의 향판으로 사용된다. 피엠메 계곡산은 지역 사회 구성원에게만 벌채가 허용되며, 악기용으로는 Ciresa사가 취급하고 있다.[72]

5. 3. 문화적 의미

가문비나무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이 있다.

  • †백악기 가문비나무
  • †가시가문비나무
  • †코르프가문비나무
  • †라혼텐 가문비나무
  • †모로소바 가문비나무
  • †나카우치 가문비나무
  • †고생모리카 가문비나무
  • †킬첸시스 가문비나무
  • †트랑퀼렌시스 가문비나무

6. 보존

Picea columbiensis영어, Picea critchfieldii영어 등 가문비나무속의 여러 종들이 멸종되었으며, 이에 대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25]

6. 1. 위협 요인

가문비나무 숲에서 Dendroctonus micans(가문비나무바구미) 딱정벌레의 존재는 가문비나무의 건강과 생명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컷 딱정벌레는 영역 행동을 보이며, 암컷이 짝짓기를 위해 매력적으로 느끼는 지역을 부지런히 방어한다. 이러한 지역을 보호하고 적합한 기주 나무를 제공함으로써, 알을 낳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여 번식 성공을 보장한다. 이러한 영역성은 수컷의 번식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딱정벌레 개체군의 역학과 가문비나무 전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Dendroctonus micans의 활동 영역은 기주 나무의 가용성과 밀도에 따라 다르며, 개별 딱정벌레는 최적의 둥지 장소를 찾아 서식지 전체에 흩어진다.

동부잎벌레(''Choristoneura fumiferana'')는 캐나다 및 미국 동부의 숲에서 가문비나무의 주요 해충이다.[44] 주요 숙주 식물 중 두 종은 검은가문비나무와 흰가문비나무이다.[45] 개체수 수준은 진동하며, 때로는 가문비나무의 극심한 잎 손실과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극심한 발생 수준에 도달하기도 한다. 파괴를 줄이기 위해 살충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방제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46]

말벌 또는 나무벌은 이 나무를 산란에 사용하며, 유충은 나무 껍질 아래 나무 바깥쪽 약 2.54cm에서 산다.

가문비나무 딱정벌레(''Dendroctonus rufipennis'')는 알래스카에서 와이오밍에 이르는 북아메리카 서부의 가문비나무 숲을 파괴했다.

6. 2. 보존 노력

Picea columbiensis영어, Picea critchfieldii영어 등 가문비나무속의 여러 종들이 멸종되었으며, 이에 대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25]

참조

[1]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2] 서적 Plants in Literature and Life: a wide-ranging dictionary of botanical terms FriesenPress 2018
[3] 웹사이트 Pine Relatives http://www.lovettpin[...] Lovett Pinetum 2018-08-27
[4] 웹사이트 Swedish Spruce Is World's Oldest Tree: Scientific American Podcast http://www.sciam.com[...] 2016-08-21
[5] 간행물 Spruce (Picea) hybridization in west-central British Columbia B.C. Min. For., Forest Science, Smithers BC 1975
[6] 간행물 Ecology and silviculture of interior spruce in British Columbia Canada/British Columbia Partnership Agreement For. Resour. Devel., Victoria BC 1994
[7] 논문 Taxonomic and ecologic relationships between Picea glauca and Picea engelmannii
[8] 논문 The taxonomic relationship between Picea glauca (Moench) Voss and P. engelmannii Parry
[9] 학위논문 A taxonomic and ecological study of Picea glauca and Picea engelmannii in North America Oxford Univ., U.K. 1956
[10]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spruce in Alberta Can. Dep. Northern Affairs National Resour., For. Branch, For. Res. Div., Ottawa ON 1959
[11] 간행물 A guide to some common plants of the Skeena area, British Columbia B.C. Min. For., Res. Branch, Victoria BC 1982
[12] 간행물 Germina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Ottawa ON 1974
[13] 논문 Effect of light intensity during extended photoperiod on growth of amabalis fir, mountain hemlock, and white and Engelmann spruce seedlings
[14] 논문 Electrophoretic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Picea sitchensis, Picea glauca, and their hybrids
[15] 간행물 Ecology, silviculture, and management of the Engelmann spruce–subalpine fir type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ocky Mountains USDA, For. Serv., Washington DC 1987
[16] 간행물 Seedfall and establishment of Engelmann spruce and subalpine fir in clearcut openings in Colorado USDA, For. Serv., Rocky Mountain For. Range Exp. Sta. 1978
[17] 논문 Establishment and early development of white spruce in the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18] 간행물 Development of a white spruce plantation Michigan State Univ., Agric. Exp. Sta., East Lansing MI 1970
[19]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icea (Pinaceae): implications for phylogeographical studies using cytoplasmic haplotypes http://lseb.ibcas.ac[...]
[20] 논문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chloroplast DNA variation in Picea
[21] 논문 A Lower Cretaceous (Valanginian) seed cone provides the earliest fossil record for Picea (Pinaceae)
[22] 논문 Gene duplications and phylogenomic conflict underlie major pulses of phenotypic evolution in gymnosperms https://www.nature.c[...]
[23] 논문 main.dated.supermatrix.tree.T9.tre https://figshare.com[...] Figshare
[24] 웹사이트 Picea A.Dietr.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04-20
[25] 논문 Late Quaternary extinction of a tree species in eastern North America 1999-11-23
[26] 웹사이트 Great Spruce Bark Beetle (D. micans) https://www.woodland[...] 2024-04-25
[27] 웹사이트 spruce - Origin and meaning of spruc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7-14
[28] 논문 Sirococcus conigenus, Sirococcus piceicola sp. nov. and Sirococcus tsugae sp. nov. on conifers: anamorphic fungi in the Gnomoniaceae, Diaporthales 2008
[29] 논문 Notes on diseases of trees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30] 뉴스 Tree talk The Sault Star 1997-09-24
[31] 논문 Branch and stem cankers of white and Norway spruces in Ontario
[32] 논문 Observations on a canker and resinosis in white and Norway spruce
[33] 논문 Notes on food habits of small mammals of the white spruce forest
[34] 간행물 Seeding as a means of reforestation in the northern Rocky Mountain Region USDA For. Serv., Washington DC 1947
[35] 간행물 Some factors affecting reproduction of Engelmann spruce and alpine fir British Columbia Dep. Lands For., For. Serv., Victoria BC 1955
[36] 간행물 Case history of an excellent white spruce cone and seed crop in interior Alaska: cone and seed production,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USDA, For. Serv., Pacific NW For. Range Exp. Sta., Portland OR 1978
[37] 논문 Small mammals and regeneration of white spruce forests in western Alberta
[38] 간행물 Small mammals and regeneration of white spruce in western Alberta 1972
[39] 간행물 Squirrel damage to white spruce Can. Dep. Resour. Devel., For. Branch, For. Res. Div., Ottawa ON 1952
[40] 간행물 Silv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spruce (''Picea glauca'') USDA, For. Serv., Lake States For. Exp. Sta., St. Paul MN 1957
[41] 보고서 Plantations of the Acadia Forest Experiment Station https://cfs.nrcan.gc[...] Can. Dep. Northern Affairs National Resour., For. Branch, For. Res. Div. 1956
[42] 논문 Damage to trees by black bears in Alaska
[43] 논문 Field mouse damage to coniferous plantations
[44] 서적 Biosystematic Studies of Conifer-Feeding Choristoneura (Lepidoptera Tortricida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45] 간행물 Results of spraying against spruce budworm in New Brunswick https://cfs.nrcan.gc[...] Can. Dep. Agric., For. Biol. Div., Ottawa ON 1954
[46] 서적 Pheromone Communication in Moths: Evolution, Behavior, and Applicatio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6
[47] 웹사이트 17 Different Types of Pine Wood https://www.homestra[...] 2021-09-07
[48] 웹사이트 What is CLS timber and what DIY projects is it good for? https://www.homebuil[...] 2023-09-03
[49] 웹사이트 Types of Wood: Guide to Choose the Best for Your Furniture https://octaneseatin[...] 2019-09-24
[50] 웹사이트 Milestones of Flight - 1903 Wright Flyer http://www.nasm.si.e[...] Smithsonian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16-04-28
[51] 웹사이트 Picea Genus (spruce) https://conifersocie[...]
[52] 웹사이트 Tree Book - Sitka spruce (''Picea sitchensis'') http://www.for.gov.b[...]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Lands and Natural Resource Operations
[53] 서적 A social history of medicines in the twentieth century: to be taken three times a day https://books.google[...] Pharmaceutical Products Press
[54] 논문 Captain Cook's beer: the antiscorbutic use of malt and beer in late 18th century sea voyages 2003-06
[55] 웹사이트 Kadoksissa ollut juomaresepti löytyi – kuusenkerkästä tehdään muutakin kuin siirappia http://yle.fi/uutise[...] 2016-06-06
[56] 논문 Sprouts and Needles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s Nordic Specialty-Consumer Acceptance, Stability of Nutrients, and Bioactivities during Storage 2020
[57] 문서 # Assuming L&S is a type of document picea
[58] 논문 Picea glauca, whole genome shotgun sequencing project https://www.ncbi.nlm[...] 2015-03-13
[59] 논문 Picea glauca, whole genome shotgun sequencing project https://www.ncbi.nlm[...] 2016-01-12
[60] 논문 Organellar Genomes of White Spruce (''Picea glauca''): Assembly and Annotation
[61] 논문 ''Picea glauca'' chloroplast, complete genome https://www.ncbi.nlm[...] 2015-12-03
[62] 논문 Assembling the 20 Gb white spruce (''Picea glauca'') genome from whole-genome shotgun sequencing data
[63] 논문 Improved white spruce (''Picea glauca'') genome assemblies and annotation of large gene families of conifer terpenoid and phenolic defense metabolism
[64]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65] 논문 菌根菌との相互作用が作り出す森林の種多様性(<特集>菌類・植食者との相互作用が作り出す森林の種多様性)
[66] 논문 境界の地下はどうなっているのか : 菌根菌群集と実生更新との関係(<特集>森林の"境目"の生態的プロセスを探る)
[67] 논문 外生菌根菌の生活様式(共生土壌菌類と植物の生育)
[68] 논문 森林生態系における外生菌根の生態と応用 (<特集>生態系における菌根共生)
[69] 논문 外生菌根菌ネットワークの構造と機能(特別講演)
[70] 논문 土壌真菌群集と植物のネットワーク解析 : 土壌管理への展望
[71] 논문 高木類および低木類にみられる伏条更新の諸事例(会員研究発表論文) 1993
[72] 웹사이트 Opere Sonore(オペレ・ソノーレ)のブログ http://ameblo.jp/ope[...]
[73]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icea'' (Pinaceae): Implications for phylogeographical studies using cytoplasmic haplotypes
[74] 간행물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chloroplast DNA variation in Picea
[75] 서적 Plants in Literature and Life: a wide-ranging dictionary of botanical terms FriesenPress
[76] 웹인용 Pine Relatives http://www.lovettpin[...] 2018-08-27
[77] 웹인용 Swedish Spruce Is World's Oldest Tree: Scientific American Podcast http://www.sciam.com[...] 2016-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