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윗의 용사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윗의 용사들은 사무엘기 하권과 역대기 상권에 기록된 다윗 왕의 뛰어난 용사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세 용사, 삼십 인, 그리고 아비새와 브나야 등으로 구분되며, 각기 뛰어난 용맹과 업적을 통해 다윗 왕을 보좌했다. 세 용사는 블레셋 진영을 돌파하여 다윗에게 물을 길어오는 등 특별한 활약을 펼쳤으며, 브나야는 뛰어난 전사로 왕의 호위병을 지휘했다. 다윗의 용사들은 단순히 용맹함뿐만 아니라, 개인의 명예와 충성심을 통해 다윗 왕국을 굳건히 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윗의 용사들 - 브나야
    브나야는 히브리어 동사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타나크에 등장하는 다윗의 용사이자 솔로몬 군대의 사령관인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를 포함하여 언약궤 운반에 참여한 레위인 음악가, 제사장, 이방 아내를 내쫓은 인물 등 여러 명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 다윗의 용사들 - 아비사이
    아비샤이는 "나의 아버지는 선물이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이름으로, 성경 속 다윗 왕의 조카이자 용맹한 군사 지도자로서 다윗을 보호하고 그의 명령을 수행했으며, 다윗 군대의 지휘관으로서 공헌했으나 과감한 성격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고, 중부 이집트 비문에 등장하는 셈족 족장의 이름이기도 하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사독
    사독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다윗 왕을 도왔으며 솔로몬의 왕위 등극에 참여했고, 사두개파의 기원과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한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아히마아스
    아히마아스는 사독의 후임으로 이스라엘 대제사장이 되었으며, 그의 후임은 아사랴이고 구약성경의 사독 가문 대제사장 계보에 속한다.
다윗의 용사들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다윗의 용사들
개요
창설기원전 1010년
해체기원전 970년
국가통일 왕국
소속이스라엘 민족
다윗
규모37명
역할특수 작전
충격 보병
별칭다윗의 용맹한 전사들
지휘관다윗
주요 전투(정보 없음)
상세 정보
특징기브보림 (용사들)이라고도 불림
다윗 왕의 정예 부대
참고 성경 구절사무엘하 23:8–38
사무엘하 23:8 (ISV)

2. 세 용사 (The Three)

세 용사는 다윗을 위해 특별한 업적을 세운 용사들이다. 이들의 이름은 구약성경사무엘기 하 23장 8~39절, 역대상 11장 10~19절에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블레셋 진영을 돌파하여 적진에 있는 우물에서 물을 길어왔다. 다윗은 그 행동에 감동하여 그 물을 마시지 않고 하나님께 드렸다.[14]

2. 1. 세 용사의 명단

세 용사는 타흐케모니 사람 이스바알, 아호히 사람 도도의 아들 엘르아살, 하랄 사람 아게의 아들 삼마라고 불린다.

역대기에도 이 세 명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한 구절에 따르면 세 명 중 첫 번째는 야쇼브암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같은 구절의 칠십인역 버전에서는 이스보셋으로 음역된 이름이 나오는데, 이는 성경 일부에서 이스바알이라는 이름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세 명의 첫 번째는 사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이스바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본문은 의도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손상되었을 수 있다.[5] 맛소라 본문을 더 면밀히 따르는 다른 번역본에 따르면 야쇼브암은 "서른 명" 또는 "장교"의 수장이자 세 명의 일원이 아니다.

이스바알은 지도자로 묘사되며, 단독 교전에서 800명을 죽였다고 한다. 이스바알은 또한 타흐케모니 사람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역대기에서 그를 묘사하는 방식인 하크모니 사람의 변형일 가능성이 높다.

엘르아살은 나머지 히브리인들이 도망갔을 때 에베스담밈에서 블레셋에 맞서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성공적으로 그들을 물리쳤다고 묘사된다. 마찬가지로 삼마는 동료들이 흩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블레셋이 "잘 익은 렌즈 밭"을 공격했을 때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공격자들을 물리쳤다고 묘사된다.

1860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나무 조각, 다윗이 물을 쏟는 모습.


이 텍스트에는 "30인의 세 명"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이 구절이 세 명을 지칭하는지, 아니면 다른 세 명의 개인을 지칭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것이 세 용사의 업적이었다"로 끝나는 이 이야기는 텍스트 학자들이 세 사람에 관한 더 큰 일화에서 발췌되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 유려한 서술 방식은 세 명과 30인의 개별 구성원에 대한 더 갑작스러운 소개와는 스타일이 다르며, 텍스트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원래 다른 문서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11]

이야기에서 30인 중 세 명은 다윗이 아둘람 굴에 있을 때 그를 방문한다. 그곳에서 다윗은 베들레헴 근처의 우물에서 물을 간절히 원하는데, 그곳은 블레셋 사람들이 점령하고 있었다. 그래서 30인 중 세 명은 블레셋 사람들을 뚫고 들어가 우물에서 물을 길어 다윗에게 가져갔다. 다윗은 그 물을 마시기를 거부하고, 대신 "야훼 앞에서" 쏟아버리며, 그것이 목숨을 걸었던 사람들의 '피'라고 주장했다.[12] 성경 학자들은 다윗이 물을 쏟는 묘사가 다윗이 야훼에게 물을 관정으로 바치는 것을 언급한 것이라고 주장한다.[6]

2. 2. 베들레헴 우물가의 일화

다윗이 아둘람 굴에 있을 때, 30인 중 세 명이 그를 방문했다. 다윗은 베들레헴 근처 우물물을 간절히 원했는데, 그곳은 블레셋이 점령하고 있었다. 이에 세 용사는 블레셋 진영을 뚫고 들어가 우물물을 길어왔다. 그러나 다윗은 물을 마시지 않고 야훼 앞에 쏟아 부으며, "목숨을 걸었던 사람들의 피"와 같다고 말했다.[12] 성경 학자들은 이를 다윗이 야훼에게 물을 관정으로 바친 것이라 해석한다.[6]

3. 삼십 인 (The Thirty)

삼십 인은 다윗 왕의 정예 용사들로, 사무엘기 하권 23장 8-39절과 역대기 상권 11장 10-47절에 그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다윗의 통치 기간 동안 큰 공을 세웠다.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등 고대 사본에 따라 명단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학자들은 대체로 칠십인역을 더 신뢰한다.[6] 특히 역대기의 마소라 본문이 사무엘서의 칠십인역 및 마소라 본문과 더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몇몇 용사들의 경우, 한 사람을 지칭하는지, 아니면 두 사람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 '브에롯 사람 나하래'와 '요압의 무기 담당자'가 동일인인지 여부
  • '소바 사람 나단의 아들 이갈'과 '하그리(또는 하가디)라는 이름의 남자의 아들'의 동일인 여부


사무엘서에는 '아렉 사람 바라'가 언급되지만, 역대기에는 '엑스배의 아들 나아래'가 등장한다. 목록 마지막에 나오는 '아라드 출신 삼마의 아들 요나단'은 칠십인역에서 '요나단, [그리고] 아라드 출신 삼마'로 기록되어 있어, 사울의 아들 요나단을 지칭하는 것인지, 아니면 동명이인인지 논란이 있다.

3. 1. 삼십 인의 명단 (일부)

사무엘기 하권 23:8–39역대기 상권 11:10–47
야스보암의 다게몬 사람하크몬 사람 야소브암
엘르아살 벤 도다이의 아호 사람아호 사람 엘르아살 벤 도도
삼마 벤 아게의 하랄 사람
아비새 아히 요압 벤 스루야요압의 아히 압샤이
브나야 벤 여호야다브나야 벤 여호야다
아사헬 아히 요압아사헬 아히 요압
엘하난 벤 도도, 베들레헴 사람베들레헴 사람 엘하난 벤 도도
삼마의 하롯 사람하롯 사람 삼모
엘리카의 하롯 사람
헬레스의 발디 사람헬레스의 펠론 사람
드고아 사람 이래 벤 익게스드고아 사람 이래 벤 익게스
아나돗 사람 아비에셀아나돗 사람 아비에셀
후사 사람 므분내후사 사람 십브개
아호 사람 살몬아호 사람 일라이
(Umm Tuba) 사람 마하래갓 사람 마하래
(Umm Tuba) 사람 헬렙 벤 바아나갓 사람 헬렛 벤 바아나
기브아의 기브아 사람 잇대 벤 리배기브아의 기브아 사람 이대 벤 리배
브나야, 비라돈 사람비라돈 사람 브나야
가아스 골짜기 사람 힛대가아스 골짜기 사람 후래
아르바 사람 아비-알본아르바 사람 아비엘
바후림 사람 아스마벳바후림 사람 아스마벳
살본 사람 엘리아바살본 사람 엘리아바
야센의 아들 요나단
기손 사람 하셈의 아들들
삼마의 하랄 사람하랄 사람 요나단 벤 사게
아라 사람 아히암 벤 사랄하랄 사람 아히암 벤 사갈
마아가 사람 아스브의 아들 엘리벨렛엘리팔 벤 우르
길로 사람 엘리암 벤 아히도벨
메게랏 사람 헤벨
펠론 사람 아히야
갈멜 사람 헤스라이갈멜 사람 헤즈로
아르바 사람 바라에에스배의 아들 나아래
소바 사람 이갈 벤 나단나단의 아들 요엘
갓 사람 바니하그리의 아들 밉하르
암몬 사람 셀렉암몬 사람 셀렉
브에롯 사람 나하래브에롯 사람 나하래
이더라 사람 이라이더라 사람 이라
이더라 사람 가렙이더라 사람 가렙
헷 사람 우리야헷 사람 우리야
아흘라이의 아들 사밧
르우벤 사람 시사의 아들 아디나
마아가의 아들 하난
미스나 사람 요사밧
아스다롯 사람 웃시야
아로엘 사람 사마 (호담의 아들)
아로엘 사람 예이엘 (호담의 아들)
시므리의 아들 여디아엘
디스 사람 요하 (시므리의 아들)
마하위 사람 엘리엘 (엘나암의 아들)
예리배 (엘나암의 아들)
요사비야 벤 엘나암
모압 사람 이드마
엘리엘
오벳
메소바 사람 야아시엘



삼십 인은 본문에서 자세히 묘사되지 않고 단순히 나열되어 있다.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등 고대 사본 간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문헌학자들은 이 목록에 대해 마소라 본문보다 칠십인역을 더 신뢰할 만하다고 보는데, 특히 역대기의 마소라 본문이 사무엘서의 칠십인역 및 마소라 본문보다 더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한다.[6] 또한, 한 사람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두 사람을 가리키는지 불분명한 경우도 몇 군데 있다.

3. 2. 삼십 인의 구성과 특징

사무엘기 하권 23:8–39역대기 상권 11:10–47
야스보암하크몬 사람 야소브암
엘르아살 벤 도다이의 아호 사람아호 사람 엘르아살 벤 도도
삼마 벤 아게의 하랄 사람
아비새 아히 요압 벤 스루야요압의 아히 압샤이
브나야 벤 여호야다브나야 벤 여호야다
아사헬 아히 요압아사헬 아히 요압
엘하난 벤 도도, 베들레헴 사람베들레헴 사람 엘하난 벤 도도
삼마의 하롯 사람하롯 사람 삼모
엘리카의 하롯 사람
헬레스의 발디 사람헬레스의 펠론 사람
드고아 사람 이래 벤 익게스드고아 사람 이래 벤 익게스
아나돗 사람 아비에셀아나돗 사람 아비에셀
후사 사람 므분내후사 사람 십브개
아호 사람 살몬아호 사람 일라이
(Umm Tuba) 사람 마하래갓 사람 마하래
(Umm Tuba) 사람 헬렙 벤 바아나갓 사람 헬렛 벤 바아나
기브아의 기브아 사람 잇대 벤 리배기브아의 기브아 사람 이대 벤 리배
브나야, 비라돈 사람비라돈 사람 브나야
가아스 골짜기 사람 힛대가아스 골짜기 사람 후래
아르바 사람 아비-알본아르바 사람 아비엘
바후림 사람 아스마벳바후림 사람 아스마벳
살본 사람 엘리아바살본 사람 엘리아바
야센의 아들 요나단
기손 사람 하셈의 아들들
삼마의 하랄 사람하랄 사람 요나단 벤 사게
아라 사람 아히암 벤 사랄하랄 사람 아히암 벤 사갈
마아가 사람 아스브의 아들 엘리벨렛엘리팔 벤 우르
길로 사람 엘리암 벤 아히도벨
메게랏 사람 헤벨
펠론 사람 아히야
갈멜 사람 헤스라이갈멜 사람 헤즈로
아르바 사람 바라에에스배의 아들 나아래
소바 사람 이갈 벤 나단나단의 아들 요엘
갓 사람 바니하그리의 아들 밉하르
암몬 사람 셀렉암몬 사람 셀렉
브에롯 사람 나하래브에롯 사람 나하래
이더라 사람 이라이더라 사람 이라
이더라 사람 가렙이더라 사람 가렙
헷 사람 우리야헷 사람 우리야
아흘라이의 아들 사밧
르우벤 사람 시사의 아들 아디나
마아가의 아들 하난
미스나 사람 요사밧
아스다롯 사람 웃시야
아로엘 사람 사마 (호담의 아들)
아로엘 사람 예이엘 (호담의 아들)
시므리의 아들 여디아엘
디스 사람 요하 (시므리의 아들)
마하위 사람 엘리엘 (엘나암의 아들)
예리배 (엘나암의 아들)
요사비야 벤 엘나암
모압 사람 이드마
엘리엘
오벳
메소바 사람 야아시엘



삼십 인은 텍스트에 상세히 묘사되지 않고 단순히 열거되어 있으며,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등 고대 사본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6] 문헌학자들은 이 목록에 관해 마소라 본문보다 칠십인역을 더 신뢰할 만한 것으로 간주한다.[6]

명확하게 식별된 개인들은 다음과 같다.


  • 베들레헴 출신 도도의 아들 엘하난
  • 아라드 출신 삼마
  • 벳-발렛 출신 헬레스
  • 드고아 출신 잌게스의 아들 이라
  • 아나돗 출신 아비에셀
  • 후사 출신 므분내 (또는 십브개)
  • 아호아의 후손, 아호히 사람 일라이
  • 느도바 출신 마하래
  • 느도바 출신 바아나의 아들 헬렙[7]
  • 기브아 출신 리배의 아들 이대
  • 비라돈 출신 브나야
  • 가아스 산 계곡 출신 히대 (또는 후래)
  • 벳-아라바 출신 아비-알본
  • 바후림 출신 아스마벳
  • 사알빔 출신 엘리아바
  • 기손 출신 하셈 (또는 야센)의 아들들
  • 아라드 출신 아히암, 그의 아버지는 사랄 (또는 사갈)
  • 마아가 출신 엘리벨렛[8], 그의 아버지는 아하스배 (또는 우르)
  • 길로 출신 아히도벨의 아들 엘리암
  • 갈멜 출신 헤스라
  • 암몬 출신 셀렉
  • 얏딜 출신 이라
  • 얏딜 출신 가렙
  • 우리야 (히타이트)


그 외에, 한 개인의 이름이 언급된 후, 그들을 지칭하는지 아니면 또 다른 이름 없는 사람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 브에롯 출신 나하래, (그리고/또는) 요압의 무기 담당자
  • 소바 출신 나단의 아들 이갈, (그리고/또는) 하그리 (또는 하가디)라는 이름의 남자의 아들


목록의 나머지 이름들에 관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텍스트 문제가 있다. 사무엘서에 ''아렉 사람 바라''가 언급되어 있지만 역대기에는 ''엑스배의 아들 나아래''가 언급되어 있다.

목록 자체의 마지막 이름은 마소라 본문에서는 '아라드 출신 삼마의 아들 요나단'으로, 칠십인역에서는 '요나단, [그리고] 아라드 출신 삼마'로 되어 있다. 칠십인역은 그 구절이 더 이상의 자격이 필요 없는 충분히 중요한 요나단을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되었음을 암시하므로, 아마도 다른 곳에서 사울의 아들로 묘사된 요나단을 지칭할 것이며, 삼마의 아들인 요나단은 이것과 모순된다.

문헌학자들에 따르면 요나단은 사무엘서의 다른 부분에서 히브리인과 뚜렷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울은 이스라엘인과 뚜렷하게 연관되어 있다.[9]

역대기 20:7에 언급된 "다윗의 형제, 스메아의 아들 요나단"이 빌레셋 거인을 물리친 것일 가능성이 더 높다.

목록이 ''...다윗이 그를 그의 경호대장으로 삼았다. 요압의 형제 아사헬. 삼십 인 중에...''로 시작되므로, 요압의 형제인 아사헬이 사라진 구절의 시작이 아니라 잘못 배치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10]

4. 아비새

귀스타브 도레의 판화, 블레셋의 거인 이스비브놉으로부터 다윗의 목숨을 구하는 아비새


다윗의 갈증에 대한 이야기로 중단되었던 셋에 대한 설명에서 이어지는 추가적인 설명은 요압의 형제 아비새에 대해 묘사한다. 본문에 따르면 그는 창으로 300명을 죽였고, 그리하여 셋에 속한 자들 사이에서 유명해졌지만, 셋만큼 유명하고 존경받지는 못했다.[1] 본문은 그가 명성과 존경을 받았음에도 셋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셋의 일원이 되는 것이 단순히 유명한 사람들의 집단이 아니라, 개인의 명성과 명예 이상의 기준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든 자격을 얻을 수 있는 무언가임을 시사한다.[1]

대부분의 마소라 본문에 따르면, 아비새는 셋의 지휘관이 되었지만, 시리아어 페쉬타와 몇몇 마소라 본문에서는 아비새가 대신 서른 명의 지휘관이 되었다고 한다.[1] 본문은 아비새가 셋에 속하지 않았음에도 그들의 지휘관이 되었다고 명시하지만, 이것이 그가 그들의 지휘관이었기 때문인지(마소라 본문과 같이), 아니면 그가 서른 명의 지휘관이었고 셋이 서른 명의 하위 그룹이었는지(칠십인역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는 불분명하다.[1]

5. 브나야

브나야는 셋(The Three)만큼 유명하고 삼십 인(The Thirty)보다 훨씬 존경받는 위대한 전사로 묘사되며, 왕의 호위병을 지휘했다. 아비새와 마찬가지로, 본문은 브나야가 이러한 자질을 갖추었음에도 셋의 일원이 아니었음을 강조한다. 본문은 브나야의 "위대한 업적" 목록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그가 명성과 영예를 얻었음을 시사한다. 텍스트에서 아비새와 셋의 구성원에게 귀속된 업적과 비교하면, 브나야의 업적은 다소 사소하지만 학자들은 더 현실적이라고 여긴다.

브나야의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모압의 가장 뛰어난 전사 두 명을 죽임
  • 오는 날 구덩이에서 사자를 죽임
  • 키가 약 2.29m나 되는 이집트인을 몽둥이로 공격하여, 이집트인이 사용하던 창을 빼앗아 그 창으로 이집트인을 죽임.

6. 다윗 용사들의 의의

다윗의 용사들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세 명은 타흐케모니 사람 이스바알, 아호히 사람 도도의 아들 엘르아살, 하랄 사람 아게의 아들 삼마였다.[5]

이스바알은 혼자서 800명을 죽일 정도로 뛰어난 지도자였다.[5] 엘르아살은 에베스담밈에서 블레셋에 맞서 싸울 때 다른 히브리인들이 도망갔음에도 불구하고 홀로 남아 블레셋을 물리쳤다. 삼마 역시 블레셋이 "잘 익은 렌즈 밭"을 공격했을 때 동료들이 흩어졌지만 혼자 남아 공격자들을 물리쳤다.[5]

이들 세 명의 용맹함은 다윗이 아둘람 굴에 있을 때 있었던 일화에서도 잘 드러난다. 다윗베들레헴 근처 우물의 물을 간절히 원하자, 세 용사는 블레셋 진영을 뚫고 들어가 물을 길어왔다. 그러나 다윗은 목숨을 걸고 물을 가져온 용사들의 용기에 감탄하며 그 물을 마시지 않고 야훼께 바쳤다.[12]

요압의 형제 아비새는 창으로 300명을 죽여 세 명의 용사들만큼 유명해졌지만, 그들만큼 존경받지는 못했다. 본문은 아비새가 명성과 존경을 받았음에도 세 명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세 명의 일원이 되는 것이 단순한 명성 이상의 기준을 통해 결정되었음을 시사한다.[11]

브나야는 셋만큼 유명하고 삼십 인보다 훨씬 존경받아 왕의 호위병을 지휘하게 되었지만, 아비새와 마찬가지로 셋의 일원은 아니었다. 브나야는 모압의 뛰어난 전사 두 명을 죽이고, 눈 오는 날 구덩이에서 사자를 죽이고, 키가 7피트 반이나 되는 이집트인을 몽둥이로 공격하여 창으로 죽이는 등 뛰어난 업적을 세웠다.[11]

참조

[1] 성경
[2] 성경
[3] 서적 Textual Criticism of the Hebrew Bible: Third Edition, Revised and Expanded Fortress Press
[4] 성경구절
[5]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6]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7] 문서
[8] 문서
[9] 서적 Jewish Encyclopedia,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10] 문서
[11] 서적 Jewish Encyclopedia
[12] 성경
[13] 성경
[14] 성경구절
[15]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