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독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엘르아살과 아론의 후손이며 대제사장 직을 수행했다. 그는 다윗 왕을 도왔으며, 압살롬의 반란 당시 다윗을 지지하고 솔로몬의 왕위 등극에도 참여했다. 사독의 후손들은 제1성전 파괴 때까지 대제사장직을 유지했으며, 사독의 이름은 사두개파의 기원과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한다. 또한, 사독이 예루살렘 정복 이후에 등장한다는 점을 근거로 여부스인 사제였을 것이라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사장 - 이가봇
    이가봇은 히브리어에서 유래하여 "영광이 없다"라는 뜻으로, 사무엘상에 이스라엘의 패배와 하나님의 영광이 떠나감을 상징하는 인물의 이름이며, 현대 사회에서도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아히마아스
    아히마아스는 사독의 후임으로 이스라엘 대제사장이 되었으며, 그의 후임은 아사랴이고 구약성경의 사독 가문 대제사장 계보에 속한다.
  • 이스라엘 왕국 사람 - 후새
    후새는 구약성경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다윗 왕의 측근으로, 압살롬의 반역 당시 다윗을 도와 반란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지략과 충성심을 갖춘 인물이다.
  • 인명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인명 - 호 (이름)
    호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본명이나 자 외에 사용하는 별칭으로, 아호나 당호 등으로 나뉘며, 문인, 예술가, 정치인 등이 자신의 철학, 출신, 거주지 등을 반영하여 지었고 현대에는 필명이나 종교적인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사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사독
다른 이름차도크 (צדוק)
직업제사장
종교유대교
주요 인물
관련된 인물다윗, 솔로몬
성경 정보
출신아론의 후손
역할다윗 시대의 제사장
솔로몬을 왕으로 기름 부음
성전 재건에 기여
등장 위치사무엘하
열왕기상
역대기상
역대기하
기타 정보
사독 계열사독의 후손들은 제2성전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2. 성경 속 사독

타나크(히브리 성경)는 사독이 엘르아살아론의 아들인 대제사장의 직계 후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6] 사독의 계보는 그의 후손인 에스라의 족보에 엘르아살의 아들인 비느하스로부터 9대째 직계로 이어진다고 묘사되어 있다.[7]

요세푸스는 헤브론에서 다윗과 함께하여 그가 모든 이스라엘의 왕관을 차지하도록 도왔으며, 그의 집에는 당시 22명의 대장이 있었다고 하는 사독을[8] 같은 이름의 대제사장과 동일 인물로 간주한다.[9]

사독은 기브온의 높은 곳에 있는 주님의 성막 앞에서 섬기는 제사장들의 지도자로 언급되었지만, 나중에 다윗이 예루살렘 성전 건축을 준비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아히멜렉과 함께 제사장 봉사 일정을 계획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0]

사독의 아들들은 아히마아스와 아사랴였다. 그의 후손들은 제1 성전 파괴 때까지 대제사장 직을 수행했으며, 제2 성전이 건축된 후 여호수아 대제사장 (및 에스라)이 사독파 계보에 따라 대제사장 직을 다시 시작했다.

성경에는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독이 언급된다.


  • 웃시야 왕의 아내 여루샤의 아버지. (열왕기하 15:33; 역대하 27:1).
  • 바아나의 아들, 예루살렘 성벽의 재건을 도움. (느헤미야 3:4).
  • 느헤미야가 재건한 성경의 필사가. 레위사람들과 제사장과 함께 개혁 언약식에 참여했다. (느헤미야 10:21, 13:13).
  • 대제사장 계통의 제사장 중 한 사람인 살룸의 부친이다. 그는 두 번째 아히둡의 자손이다(대상 6:8,12,스 7:2).
  • 제2성전기의 사제 계급인 사두개파를 이르는 히브리어 용어. 이 이름은 대제사장 사독에서 나왔다.[38]
  • 갈릴레아의 유대 지방 열심당(Zealot)의 설립자.
  • 예수의 조상으로서 스룹바벨의 고손자이다(마 1:14).

2. 1. 다윗 왕과의 관계

압살롬의 반란 당시, 사독 제사장은 레위인들과 함께 도망치는 다윗을 따라 언약궤를 가져가려 했다. 그러나 다윗 왕은 사독에게 예루살렘에 남아 아비아달과 함께 자신을 섬기라고 지시했다.[10] 사독의 아들 아히마아스는 아비아달의 아들 요나단과 함께 도망치는 다윗 왕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했다.[11] 히브리 성경에서 사독은 아론 자손들의 수장이었으며,[13] 다윗이 예루살렘에서 급히 떠날 때, 사독과 아비아달은 함께 제사장 직을 수행했다. 다윗이 처음 내각을 구성했을 때, 사독과 아히멜렉의 아들 아비아달이 제사장으로 임명되었다.[15]

압살롬의 반란이 진압된 후, 다윗 왕은 사독과 아비아달을 유다 장로들에게 보내 왕을 속히 모셔오도록 했다.[16] 이후 아도니야가 왕위를 차지하려 했을 때, 아비아달은 아도니야를 지지했으나, 사독은 나단 예언자와 함께 솔로몬의 왕위 등극을 지지했다.[17] 솔로몬 왕은 아비아달을 예루살렘에서 추방하고 사독을 단독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여 그의 지위를 강화했다.[18] 사독은 솔로몬의 왕 즉위식에서 직무를 수행했다.[19]

타나크(히브리 성경)에 따르면, 사독은 엘르아살아론의 아들인 대제사장의 직계 후손이다.[6] 헤브론에서 다윗과 함께하여 그가 모든 이스라엘의 왕관을 차지하도록 도왔으며, 당시 그의 집에는 22명의 대장이 있었다고 한다.[8]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옮겨 언약궤를 성막에 안치한 후, 사독은 높은 곳에서 형제들과 함께 제사장의 직무를 수행했다. 후에 다윗 왕의 측근으로 섬겼다. 다윗 왕의 만년 무렵, 압살롬의 반란으로 왕이 예루살렘에서 쫓겨났을 때, 사독은 후새와 함께 언약궤와 함께 예루살렘에 머물도록 명령받았다. 후새에 의해 다윗은 압살롬의 손에서 벗어났다. 압살롬의 반란 진압 후 사독의 아들 아히마아스는 압살롬의 죽음과 반란의 결말을 다윗에게 전했다. 다윗 왕의 죽음 직전에 아도니야의 왕위 계승에 있어 제사장 아비아달이 반역했으나, 사독은 솔로몬 측에 섰다. 그 결과 아비아달은 실각했고, 이후 아론 가문의 대제사장의 계통은 엘르아살의 흐름이 되었다.

2. 2. 솔로몬 왕 시대의 역할

압살롬의 반란이 진압된 후, 다윗 왕은 사독과 아비아달을 유대의 장로들에게 보내 왕을 속히 모셔오라고 촉구했다.[16] 이후 아도니야가 왕위를 차지하려 했을 때, 아비아달은 아도니야를 지지했다. 이로 인해 솔로몬 왕(다윗의 아들)은 아비아달을 예루살렘에서 추방하고 사독을 단독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여 사독의 대제사장직을 강화했다.[17] 사독은 나단 예언자와 함께 솔로몬의 왕위 등극을 지지했으며,[17] 솔로몬은 감사의 표시로 사독을 유일한 대제사장으로 임명했다.[18] 사독은 또한 솔로몬의 왕 즉위식에서 직무를 수행했다.[19]

2. 3. 사독의 자손

사울 왕 사후, 헤브론에서 다윗에게 고대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가 모여 다윗을 왕으로 추대했다. 이때 다윗에게 합류한 사람들 중 레위인 츠아독(사독)이 있었다.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이동하여 언약궤를 성막에 안치한 후, 츠아독은 형제들과 함께 제사장 직무를 수행했고, 이후 다윗 왕의 측근으로 섬겼다.

다윗 왕 만년에 압살롬의 반란으로 왕이 예루살렘에서 피신했을 때, 츠아독은 후새와 함께 언약궤를 가지고 예루살렘에 남으라는 명령을 받았다. 후새의 도움으로 다윗은 압살롬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압살롬의 반란이 진압된 후, 츠아독의 아들 아히마아스는 다윗에게 압살롬의 죽음과 반란의 종결을 알렸다.

다윗 왕이 죽기 직전, 아도니야의 왕위 계승 시도에 제사장 아비아달은 반역했으나, 츠아독은 솔로몬을 지지했다. 그 결과 아비아달은 실각하고, 이후 아론 가문의 대제사장 계보는 엘르아살 계통으로 이어졌다. 이 계보에서 바빌론 유수에서 귀환한 지도자 여호수아와 에스라가 나왔다.

3. 랍비 문헌과 사독

성경에 따르면, 아론과 그의 후손들은 제사장이 될 수 있는 영원한 제사장 언약을 받았다.[21] 일부 주석에 따르면, 제사장직은 아론의 제사장 의복을 상속받은 엘르아살의 후손으로,[22]열심 행위를 수행한 비느하스의 후손으로 더욱 제한되었다.[23]

이후 대제사장직은 엘르아살의 형제인 이다말의 후손 엘리가 맡았는데, 토라 주석가들은 이를 비느하스의 후기의 죄 때문이라고 본다.[24] 엘리의 아들들인 홉니와 비느하스의 죄로 인해, "하나님의 사람"은 그들의 제사장직이 멸망할 것이라고 예언했고, 이 예언은 엘르아살과 비느하스의 후손인 사독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면서 이루어졌다.[26][27]

3. 1. 사독 왕조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대제사장직은 사독 시대부터 약 기원전 167년 하스몬 왕조의 등장까지 사독의 후손들에게 유지되었다.[28] 사독의 후손들은 지위와 영향력이 커져 그의 아들 아사랴는 솔로몬의 고관 중 한 명이 되었고 솔로몬의 딸과 결혼한 아히마아스도 사독의 아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사독 자신 또는 그의 손자는 아론 계열 제사장들의 지도자였고 요담의 어머니인 여루사는 그녀의 고귀한 혈통을 강조하기 위해 사독의 딸이라고 불린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아버지는 첫 번째 사독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사독의 집안은 바빌론 유수 이후 여호수아 벤 여호사닥부터 시몬 2세 (시몬 정의로운 자, 벤 시라 50장에 크게 칭송됨), 그의 맏아들 오니아스 3세, 그리고 결국 마카베오 혁명으로 이어진 헬레니즘 프로그램을 도입한 그의 찬탈자 둘째 아들 야손까지 제2성전 시대의 대부분을 대제사장직을 차지했다.

요세푸스는 오니아스 4세가 많은 추종자들과 함께 이집트 헬리오폴리스 현의 레온토폴리스로 가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파라오에게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여 예루살렘 성전에 필적하는 사원을 지을 땅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요세푸스는 또한 이를 오니아스 3세의 탓으로 돌리며, 그 프로젝트의 시기를 오니아스 2세의 시기로 추정한다.) 오니아스 또는 그의 사독 가문의 구성원들이 쿰란의 공동체를 설립했을 수도 있다고 제안되었다.

3. 2. 사두개파와의 연관성

아브라함 가이거는 유대교사두개파(미쉬나 발음으로 "Tzadoki")가 그들의 이름을 사독에서 따왔으며, 종파의 지도자들이 사독의 아들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31] 그러나 랍비 유대교 문헌은 사두개파와 보에투스파가 동일한 시기에 기원했으며, 그 창시자인 ''사독''과 ''보에투스''는 모두 소코의 안티고누스(대략 기원전 3세기)의 제자였다고 설명한다.[32]

제2성전기의 사제 계급인 사두개파를 이르는 히브리어 용어가 대제사장 사독에서 나왔다.[38]

4. 기타 사독


  • 웃시야 왕의 아내 여루샤의 아버지이다. (열왕기하 15:33; 역대하 27:1).
  • 바아나의 아들로, 예루살렘 성벽 재건을 도왔다. (느헤미야 3:4).
  • 느헤미야가 재건한 성경의 필사가이다. 레위사람들과 제사장과 함께 개혁 언약식에 참여했다. (느헤미야 10:21, 13:13).
  • 대제사장 계통의 제사장 중 한 사람인 살룸의 부친이다. 그는 두 번째 아히둡의 자손이다(대상 6:8,12,스 7:2).
  • 제2성전기의 사제 계급인 사두개파를 이르는 히브리어 용어이다. 이 이름은 대제사장 사독에서 나왔다.[38]
  • 갈릴레아의 유대 지방 열심당(Zealot)의 설립자이다.
  • 예수의 조상으로서 스룹바벨의 고손자이다(마 1:14).

코르넬리스 드 보스의 ''솔로몬의 기름 부음''. 열왕기상 1장 39절에 따르면, 사독은 기름 부음을 통해 솔로몬을 왕으로 삼았다.
사독이 예루살렘 정복 이후에야 사무엘서에 등장한다는 점을 들어, 그가 실제로는 이스라엘국교에 편입된 여부스인 사제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하버드 신학대학의 프랭크 무어 크로스 교수는 이 이론을 "여부스 가설"이라고 칭하며 광범위하게 비판했지만,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견해라고 말한다.[29]

성경의 다른 곳에서, 여부스인들은 멜기세덱의 경우처럼, 이스라엘인들과 동일한 신(엘 엘리온)을 숭배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이론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는, 이스라엘 이전의 예루살렘의 다른 여부스인 또는 거주자들이 제덱(''Tzedek'')이라는 원리 또는 신을 언급하는 이름을 지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예: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의 이름 참조). 이 이론에 따르면, 사독에게 부여된 아론의 계보는 후대의 시대착오적인 삽입이다.[30]

5. 여부스 족속 기원설



사독이 예루살렘 정복 이후에야 사무엘서에 등장한다는 점을 들어, 그가 실제로는 이스라엘국교에 편입된 여부스인 사제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하버드 신학대학의 프랭크 무어 크로스 교수는 이 이론을 "여부스 가설"이라고 칭하며 광범위하게 비판했지만,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견해라고 말한다.[29]

성경의 다른 곳에서, 여부스인들은 멜기세덱의 경우처럼, 이스라엘인들과 동일한 신(엘 엘리온)을 숭배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이론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는, 이스라엘 이전의 예루살렘의 다른 여부스인 또는 거주자들이 제덱(''Tzedek'')이라는 원리 또는 신을 언급하는 이름을 지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예: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의 이름 참조). 이 이론에 따르면, 사독에게 부여된 아론의 계보는 후대의 시대착오적인 삽입이다.[30]

참조

[1] 웹사이트 Douay-Rheims Bible, 3 Kings (1 Kings) Chapter 1 http://www.drbo.org/[...]
[2] 성경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문서 Antiquities of the Jews 7:2, § 2
[10] 문서 2 Samuel 15:24–29; comp. v. 35
[11] 문서 ib. 17:21
[12] 성경
[13] 성경
[14] 성경
[15] 문서 See 1 Samuel 22:20; 23:6; 30:7, where Abiathar is consistently the son of Ahimelech. And so it is in 2 Samuel 8:17 with Syriac and Ethiopic. The MT and all other versions however have the corrupted text "Ahimelech son of Abiathar" (and so in 1 Chronicles 18:16; 24:6. In the former though it is "Abimelech" in the place of "Ahimelech"). See 2 Samuel AB, P. Kyle McCarter, 1984, p. 253
[16] 성경
[17] 문서 Books of Kings 1 Kings 2:27, 35; 1 Chr. 29:22
[18] 성경
[19] 성경
[20] 성경
[21] 성경
[22]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The Book of Number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3] 문서 Yosef Karo, Maggid Meisharim, p. 55b; Rashi to Zevachim 101b interpreting the "covenant of eternal priesthood"
[24] 문서 Yalkut Shimoni, 19,19; Genesis Rabbah 60:3
[25] 성경
[26] 문서 See "Torath HaKohanim", Mnachem Risikoff, Minor Chap. 200
[27] 서적 The David Story W. W. Norton
[28] 웹사이트 Zadok https://www.jewishvi[...]
[29] 문서 See Frank Moore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Essays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Scholars supporting the Jebusite Hypothesis include H. H. Rowley, "Zadok and Nehushtan",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58:113–141 (1939); H. H. Rowley, "Melchizedek and Zadok", Festschrift Alfred Bertholet, pp. 461–472 (1950); Rainer Albertz, A History of Israelite Religion in the Old Testament Period 1:295 (1994); and G. H. Jones, The Nathan Narratives 20–25, 40–42, 131–135.
[30]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31] 문서 Geiger, Urschrift und Uebersetzungen der Bibel, pp. 20 etc.
[32] 문서 Avoth deRabbi Nathan 5:2; Maimonides, commentary to Pirkei Avot 1:3
[33] 문서 Talmud Bavli Gittin 56b
[34] URL http://www.drbo.org/[...]
[35] 문서 See section below Other theories for a different view.
[36] Bible
[37] Bible
[38] 웹사이트 SADDUCEES http://jewishencyc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