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기러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닭기러기류는 닭목과 기러기목을 포함하는 조류의 한 그룹으로, 생태적, 형태학적으로 다양성을 보인다. 닭기러기류는 다산하며 잡종이 흔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새끼들은 조숙하다. 계통 분류상으로는 신악류에 속하며, 화석 증거를 통해 백악기 말부터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닭목과 기러기목은 여과 섭식 등 각자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며, 닭기러기류는 인간에게 고기와 알을 제공하는 가금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닭기러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Galloanserae |
이름 | Fowl |
화석 범위 | 마스트리흐트절 - 현세 |
![]() | |
상위 분류군 표시 | 2 |
명명자 | Sclater, 1880 |
하위 분류군 계급 | 하위 그룹 |
동의어 | Anatophasianae |
하위 분류군 | |
추가 정보 | |
비고 | 분자 시계에 따른 더 이른 기원 가능성 |
2. 용어
"가금류"(poultry)는 고기, 알 또는 깃털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모든 종류의 조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타조는 때때로 가금류로 사육되지만, 닭목이나 기러기목에 속하지는 않는다. 반면 "가금"(fowl)은 주로 닭목과 기러기목 조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 두 목이 단계통 그룹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가금"과 "가금류"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가금"이라는 용어가 종종 "가금류"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많은 언어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다.
생태적으로 매우 다양하며, 따라서 서로 다른 생활 방식에 대한 적응으로 형태학적으로 및 행동학적으로도 다양하지만, 수조류와 육조류를 여전히 하나로 묶는 특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 중 상당수는 신조류 전체에 걸쳐 원시형질이며, 고대조류와도 공유된다.
영어에서 'fowl'과 'poultry'라는 두 단어가 존재하는 것은 중세 영어 시기 게르만어 계통 어휘와 라틴어 계통 어휘가 공존했던 역사적 배경 때문이다. 'fowl'은 게르만어 기원으로, 고대 영어 fugol|푸골ang, 서프리지아어 fûgel|퓌겔fy, 네덜란드어 vogel|포헐nl, 독일어 Vogel|포겔de, 스웨덴어 fågel|포겔sv, 덴마크어/노르웨이어 fugl|풀da 등과 관련이 있다. 반면 'poultry'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노르망디 프랑스어를 통해 영어로 들어온 단어이다.[6][7] 'poultry'의 첫소리 /p/와 'fowl'의 첫소리 /f/의 차이는 그림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인간이 식용하는 많은 조류는 가금에 속한다. 여기에는 닭이나 칠면조와 같은 가금류, 꿩이나 메추라기와 같은 사냥 조류, 기니fowl이나 공작과 같은 다른 야생 조류, 그리고 오리나 거위와 같은 수금류가 포함된다.
3. 특징
4. 계통 분류
2020년 쿨(Kuhl) 등의 연구에 따르면, 조류는 크게 고악류와 신악류로 나뉘며, 신악류는 다시 닭기러기류와 신조류로 분류된다. 이 연구에서 닭기러기류는 닭목과 기러기목으로 구성된다.[14]
해킷(Hackett) 등의 분자생물학 연구는 닭기러기류 내의 계통 관계를 더 자세히 보여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닭목 내에서는 메거포드과가 가장 먼저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보관조과가 분기한다. 나머지 닭목 조류들은 뿔닭과와, 꿩과 및 신대륙메추라기과로 구성된 분기군으로 나뉜다.[15]
화석 증거와 분자 시계 연구를 종합하면, 닭기러기류는 백악기 말에 이미 널리 퍼져 있었으며, 약 8500만 년 전에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9] 베가비스(Vegavis)와 같은 화석은 비록 현재는 멸종한 계통에 속하지만, 본질적으로 현대적인 형태의 수조류(水鳥類)가 비조류 공룡과 같은 시대에 살았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중생대의 주요 조류 그룹이었던 엔항티오르니테스(Enantiornithes)는 다른 비조류 공룡들과 함께 대멸종 때 사라졌지만, 닭기러기류는 이 시기를 살아남아 이후 가장 먼저 성공적으로 번성한 현대 조류 그룹이 되었다.
형태학적으로 닭목은 비교적 원시적인 특징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기러기목은 물속의 먹이를 걸러 먹는 여과 섭식에 특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생활 방식과 관련된 독특한 해부학적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초기 기러기목 화석인 프레즈비오르니스(Presbyornis)가 도요목(Charadriiformes) 조류와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이 기러기목을 도요목과 연관시키기도 했다.[10][11] 그러나 이후 분자생물학적 연구 등에서 닭기러기류라는 분류군이 강력하게 지지됨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닭목과 기러기목이 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진정한 진화적 그룹(분기군, clade)이라는 점을 받아들이고 있다.
5. 하위 분류
닭기러기류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목으로 분류된다.
- 기러기목 (Anseriformes)
- 닭목 (Galliformes)
- †가스트로르니스목 (Gastornithiformes)
- * †가스트로르니스과 (Gastornidae)
- * †드로모르니스과 (Dromornithidae)
5. 1. 닭목 (Galliformes)
Pangalliformes- † Austinornis
- † Gallinuloididae
- † Paraortygidae
- † Quercymegapodiidae
- 닭목 (Galliformes)
- * 꿩과 (Phasianidae) - 일부 학자는 칠면조과 (Meleagrididae)와 뇌조과 (Tetraonidae)를 별도의 과로 나누기도 한다.
- * 메가포드과 (Megapodiidae) - 일부 학자는 호관조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 뉴트리아과 (Odontophoridae)
- * 호관조과 (Cracidae) - 일부 학자는 호관조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 기니포울과 (Numididae)
현생 닭기러기류의 목 분류는 대부분의 분류학자들이 일치하지만, 일부(Sibley 등)는 닭목 중 호관조과와 메가포드과를 호관조목으로 독립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 분류는 측계통으로 추정된다. 닭목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한 계통에 대해서는 호관조과설과 메가포드과설이 있었지만, 분자계통 연구에 따르면 호관조과가 가장 먼저 분기한 것으로 보인다.
5. 2. 기러기목 (Anseriformes)
- 큰부리기러기과 (Anseranatidae|la)
- 오리과 (Anatidae|la) - 때로는 흰죽지오리과 (Dendrocygnidae|la)를 나누기도 한다.
- 사케비드리과 (Anhimidae|la)
- †프레즈비오르니스과 (Presbyornithidae|la)
6. 인간과의 관계
조류는 고대 문화에서 깊은 영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힌두교나 전 세계의 많은 이교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졌다. 공작은 진실, 아름다움, 명예, 힘을 나타내며, 공작에 대한 꿈은 좋은 징조로 해석되기도 한다.[12]
닭기러기류에 속하는 가금류는 주로 고기와 알을 얻기 위해 인간에 의해 사육된다. 이 중 닭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소비된다. 닭 외에도 오리, 거위, 칠면조, 메추라기 등이 식용으로 흔히 이용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닭기러기류 조류는 식용이나 스포츠를 목적으로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꿩을 들 수 있는데, 본래 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식용 및 스포츠 사냥을 위해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 다른 지역으로 널리 도입되어 성공적으로 정착(귀화)하였다.[13]
참조
[1]
저널
A Galloanserine Quadrate from the Late Cretaceous Lance Formation of Wyoming
[2]
저널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3-02-22
[7]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3-02-22
[8]
문서
[9]
저널
A new time tree reveals Earth history's imprint on the evolution of modern birds
2015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Chicken Symbolism, Dreams, and Messages
https://www.spirit-a[...]
2021-05-03
[13]
웹사이트
Game birds, facts and photos
https://www.national[...]
2022-11-23
[14]
저널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https://academic.oup[...]
[15]
저널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