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급 호위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2,800톤급 호위함으로,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포항급 초계함의 후속으로 개발되었다. 인천급 호위함(FFG-I)을 기반으로 길이와 배수량을 늘리고,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를 탑재하여 대공 및 대잠 능력을 강화했다.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를 적용하여 수중 소음을 감소시킨 것이 특징이며, 국산 함대공 미사일, 대잠 미사일, 순항 미사일 등을 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추진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여러 차례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급 호위함 - FFG-818 대구
대구급 호위함 1번함인 FFG-818 대구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며 울산급과 포항급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고, SPS-550K 3차원 레이다, 해궁 미사일, 홍상어 어뢰 등을 탑재했으며, 대한민국 해군 수상함 최초로 CODLOG 방식의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 대구급 호위함 - FFG-822 동해
FFG-822 동해는 대한민국 해군의 대구급 호위함으로, TB-250K 예인형 소나, K-SAAM, 홍상어 어뢰, 해룡 미사일 등의 무장을 갖추고 헬리콥터 갑판이 확대된 인천급 호위함 개량형이다.
| 대구급 호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 종류 | 유도 미사일 프리깃함 |
| 건조 |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
| 건조 기간 | 2016년 - 현재 |
| 취역 기간 | 2018년–현재 |
| 계획 수량 | 8척 |
| 건조 완료 수량 | 8척 |
| 현재 운용 수량 | 8척 |
| 특징 | |
| 배수량 | 3,100 톤 (빈 적재) 3,600 톤 (만재) |
| 길이 | 122 m (400 ft 3 in) |
| 폭 | 14 m (45 ft 11 in) |
| 흘수 | 4 m (13 ft 1 in) |
| 추진 방식 | 복합 디젤-전기 또는 가스 (CODLOG) |
| 엔진 | 1 × 롤스로이스 MT30 가스 터빈 4 × MTU 12V 4000 M53B 디젤 엔진 2 × 레오나르도 DRS 전기 모터 |
| 속도 | 30 노트 (최대) 18 노트 (순항) |
| 항속 거리 | 4,500 해리 (8,300 km) |
| 승무원 | 140명 |
| 센서 및 처리 시스템 | |
| 레이더 | SPS-550K 대공 탐색 3차원 레이더 SPG-540K 사격 통제 레이더 |
| 소나 | SQS-240K 함수 장착 소나 SQR-250K 예인형 소나 시스템 |
| 전자 광학 추적 장비 | SAQ-540K EOTS |
|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비 | 한화 시스템 SAQ-600K IRSTs |
| 전투 관리 시스템 | Naval Shield 통합 전투 관리 시스템 |
| 전자전 및 기만 | |
| 전자전 장비 | LIG 넥스원 SLQ-200(V)K "소나타" 전자전 장비 |
| 어뢰 음향 대응 장비 | SLQ-261K 어뢰 음향 대응책 |
| 기만체 발사기 | MASS 기만체 발사기 |
| 무장 | |
| 함포 | 1 × 5인치 (127 mm)/L62 구경 Mk 45 Mod 4 함포 |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1 × 20 mm 팰렁스 CIWS |
| 어뢰 | 6 × K745 청상어 어뢰 (3연장 어뢰 발사관) |
| 대함 미사일 | 8 × SSM-700K 해성 대함 미사일 |
| 수직 발사 시스템 | 16-셀 K-VLS |
| 미사일 | 해궁 K-SAAM (셀당 4개) 해룡 VL-전술 육상 공격 미사일 K745A1 홍상어 |
| 항공 전력 | |
| 탑재 항공기 | Super Lynx 또는 AW159 헬리콥터 |
| 항공 시설 | 비행 갑판 및 중형 헬리콥터 1대를 위한 격납고 |
2. 개발
1998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차기 호위함 사업(Frigate eXperimental, FFX) 계획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1단계 사업(Batch-I)으로 2,300톤급 인천급 호위함 6척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순차적으로 취역했다. 이어진 2단계 사업(Batch-II)으로 건조된 것이 바로 대구급 호위함이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부터 이어져온 스텔스 설계를 채용하였으며, 현대적인 대공 및 대잠 능력이 부족했던 울산급 호위함, 포항급 초계함과 비교하여 방공 및 대잠 능력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룬 것이 특징이다.
특히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격침 사건은 대구급 호위함 사업에 영향을 미쳤다. 침몰한 포항급 초계함 천안함은 배수량 1,200톤급이었는데, 대구급은 이를 대체하는 성격도 가지며 '차기 천안함 사업'으로 불리기도 했다. 2,800톤급 대구급이 배치되면서 기존의 1,200톤급 포항급 초계함들은 퇴역하게 된다.
대구급 호위함 1번함인 대구함은 2016년 6월 2일 진수식을 가졌다.[24] 대구급은 인천급 호위함과 비교했을 때, 길이는 8m 늘어나고 배수량은 600톤 증가한 2,800톤급이다. 또한 스텔스 성능이 강화되었으며, 건현이 낮은 주 선체 형태는 유지되었다.
인천급 호위함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기술이 적용되었다. 대표적으로 16셀의 한국형수직발사체계(KVLS)를 탑재하여 국산 해궁 함대공 미사일과 K-ASROC 대잠수함 로켓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 이 KVLS에는 국산 순항 미사일 탑재도 고려되고 있다.
추진 방식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기존 울산급 호위함 이래로 한국 해군 함정은 주로 MTU 956 디젤 엔진과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을 조합한 CODOG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대구급은 한국 해군 전투함 최초로 전기 추진을 도입한 하이브리드 추진체계(CODLOG)를 채택했다.[16] 이 방식은 추진전동기(전기모터)와 가스터빈 엔진을 결합하여 수중 방사 소음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3. 특징
대구급은 인천급 호위함의 개량형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호위함 사업(FFX)의 제2차 사업(Batch-II)에 해당한다. 인천급과 비교하여 전장이 약 8m 길어졌고 배수량은 2,800톤으로 증가했으며, 스텔스 성능도 강화되었다. 건현이 낮은 주 선체 형태는 유지되었다.
주요 개량 사항으로는 K-VLS 16셀을 기본으로 탑재하여 해궁 함대공 미사일, K745A1 홍상어 대잠 미사일, SSM-700K 해성 기반의 전술 함대지 미사일 등 다양한 유도탄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2] 또한, 한화시스템의 SQS-250K TASS와 SQS-240K 선체 고정 소나(HMS)를 탑재하여 대잠전(ASW)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5][2]
선체 설계는 기본적으로 인천급을 기반으로 하지만, 무기 체계 변경에 따라 상부 구조물이 크게 바뀌었다. 격납고와 선미의 헬리콥터 갑판은 10톤급 헬리콥터 운용을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3][4]
추진 체계로는 대한민국 해군 함정 최초로 CODLOG(Combined Diesel-Electric Or Gas)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롤스로이스 MT30 가스터빈 엔진 1기와 4개의 고속 디젤 발전기, 2개의 전기 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울산급 호위함 이후 사용되어 온 CODOG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도이다.[1][16]
3. 1.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
인천급 호위함 batch-1은 예산 및 일정 문제로 KVLS를 탑재하지 못하여 방공 능력에 제한이 있었다. 반면, 대구급 호위함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KVLS 16셀을 기본으로 장착한다.[2]
대구급의 KVLS 16셀에는 다양한 유도탄을 탑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8셀에는 해궁 함대공 미사일 32발(쿼드팩 방식)을, 나머지 8셀에는 K745A1 홍상어 대잠 미사일을 탑재한다. 또한, SSM-700K 해성 기반의 전술 함대지 순항 미사일도 탑재 가능하다.[2]
현재 KVLS를 통해 발사할 수 있는 사거리 최대 200km의 단거리 전술함대지유도탄이 개발 중이다. 이 유도탄은 대함미사일 발사관을 이용하는 경사 발사형과 KVLS를 이용하는 수직 발사형 두 가지로 개발되고 있으며, 경사 발사형은 개발이 완료되어 2016년부터 배치되었다.
3. 2. 추진 체계
대구급은 디젤-전기 또는 가스 복합 (CODLOG) 추진 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한국 해군 군함이다. 이는 한국 최초의 국산 대형 수상 전투함인 울산급 호위함 이래로 MTU 956 디젤 엔진과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에 의한 CODOG 방식을 주로 사용해왔던 것과 달리, 처음으로 전기 추진을 도입한 하이브리드 방식 시스템이다.[16]
이 추진 시스템은 가스터빈 직결 방식과 전기 추진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 4개의 고속 디젤 발전기가 2개의 레오나르도 DRS 영구 자석 전기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가스터빈 엔진으로는 롤스로이스 MT30 터빈 엔진 1기를 탑재하여, 이전 인천급 호위함의 쌍발 가스터빈 구성을 대체하였다.[1]
3. 3. 탐지 체계
대구급은 전작인 인천급 호위함보다 향상된 대잠전(ASW) 능력을 갖추고 있다.[5] 이는 한화시스템에서 개발한 SQS-250K 예인형 선배열 음파 탐지기(TASS)와 SQS-240K 선체 장착 소나(HMS)를 탑재하여 대잠 탐지 능력을 강화했기 때문이다.[2][5]
4. 함명 목록
함명은 대한민국의 지방 행정 구역에서 따왔다.
| 함번 | 함명 | 건조 | 진수 | 취역 | 상태 |
|---|---|---|---|---|---|
| FFG-818 | ROKS 대구 | 대우조선해양 | 2016년 6월 2일[17] | 2018년 3월 6일[18] | 취역 |
| FFG-819 | ROKS 경남 | 대우조선해양 | 2019년 6월 21일 | 2021년 1월 4일 | 취역 |
| FFG-821 | ROKS 서울 | 현대중공업 | 2019년 11월 11일[19] | 2021년 7월 | 취역 |
| FFG-822 | ROKS 동해 | 현대중공업 | 2020년 4월 29일 | 2021년 11월 10일 | 취역 |
| FFG-823 | ROKS 대전 | 대우조선해양 | 2021년 5월 3일[20] | 2023년 2월 27일 | 취역 |
| FFG-825 | ROKS 포항 | 대우조선해양 | 2021년 9월 8일 | 2023년 2월 28일 | 취역 |
| FFG-826 | ROKS 천안 | 현대중공업 | 2021년 11월 9일 | 2023년 5월 19일 | 취역 |
| FFG-827 | ROKS 춘천 | 현대중공업 | 2022년 3월 22일 | 2023년 10월 26일 | 취역 |
5. 문제점 및 논란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간결성을 위해 본문을 비워둡니다.)
5. 1. 추진 계통 결함
1번함 대구함은 2019년 1월부터 4월 말까지 추진기 고장으로 인해 도크에 머물렀다. 이 고장이 스크루가 해저나 물 속 물체와 부딪혀 발생한 운용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설계나 건조 과정의 문제인지는 확인 중이었다.2021년 9월에는 대구급 호위함의 여러 함선에서 추진축과 베어링이 서로 부딪혀 파손되고 기름이 새는 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문제가 된 부품을 새것으로 교체해도 함선이 최대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태이며, 설계 자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다시 1번함 대구함에서 추진 계통의 진동 문제가 발생하여 모항으로 돌아오는 일이 있었다.
6. 수출
2024년 4월 16일, 현대중공업은 페루 국영 조선소인 SIMA와 대구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한 3,400톤급 호위함을 포함한 해군 함정 4척을 건조하는 6406억원(미국 달러 4.637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 함정은 계약에 따라 현지 페루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2030년 페루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olls-Royce to supply MT30 Gas Turbines to next three Korean Daegu-class frigates
http://www.rolls-roy[...]
[2]
뉴스
ROK Navy Launches New Warship Capable of Hitting Targets Inside North Korea
https://thediplomat.[...]
Thediplomat.com
2016-06-09
[3]
웹사이트
Koreas New Coastal Frigates: the FFX Incheon Class
http://www.defensein[...]
[4]
뉴스
South Korea Orders Two Daegu-class FFX-II Frigates Ahead of Schedule to Support Shipbuilder
http://navyrecogniti[...]
Navyrecognition.com
2016-12-21
[5]
웹사이트
South Korea launches fifth FFX II Daegu-class frigate ROKS Daejeon
https://www.globalde[...]
2021-07-12
[6]
웹사이트
방사청, 최신예 호위함 2번함 건조 계약 대우조선과 체결
http://news1.kr/arti[...]
2016-10-11
[7]
웹사이트
해군, 신형 호위함 '경남함' 진수식
http://mn.kbs.co.kr/[...]
2019-06-21
[8]
뉴스
S. Korea launches new frigate with improved anti-submarine capabilities
https://en.yna.co.kr[...]
Yonhap
2021-05-03
[9]
웹사이트
DSME Delivers Sixth Daegu-Class FFX Batch II Frigate To ROK Navy
https://www.navalnew[...]
2023-03-02
[10]
웹사이트
Cheonan Reborn 11 Years After Torpedo Attack by N.Korea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21-11-10
[11]
웹사이트
ROK Navy Commissions Seventh Daegu-Class FFX Batch II Frigate
https://www.navalnew[...]
2023-05-19
[12]
웹사이트
South Korea Commissions Final Daegu-Class FFX Batch II Frigate
https://www.navalnew[...]
2023-10-24
[13]
웹사이트
HD현대중공업, 페루서 함정 4척, 총 6,406억 원 수주계약 체결
https://www.hhi.co.k[...]
HD Hyundai Heavy Industries
2024-04-17
[14]
웹사이트
South Korea’s HHI inks deal to build four ships for Peru’s Navy
https://www.defensen[...]
Defense News
2024-04-19
[15]
뉴스
"[단독] 해군 신형 호위함 석 달째 고장..자체 책임 '나 몰라라'"
https://news.v.daum.[...]
KBS
2019-04-29
[16]
웹사이트
ソナーなし、エンジン不調…問題山積の韓国製兵器システム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5-06
[17]
뉴스
韓国最新のフリゲート艦が進水
http://japanese.chin[...]
中国網
2016-06-06
[18]
뉴스
対潜能力に優れた韓国の次期護衛艦「大邱」、就役式を無事終了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3-07
[19]
웹사이트
HHI launches Daegu-class frigate for RoK Navy
https://www.janes.co[...]
2019-11-11
[20]
웹사이트
韓国海軍 新型護衛艦を進水=対潜水艦作戦能力を強化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5-03
[21]
웹사이트
"[단독] 기름 새는 신형 호위함…"정상 속도 못 내""
https://news.naver.c[...]
[22]
웹사이트
韓国メディア「油漏れする新型護衛艦 ... "正常速度が出せない"」韓国の反応
http://enjoy-japan-k[...]
[23]
웹사이트
今年初めに故障したフリゲート艦「大邱」、修理完了から1カ月でまた故障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オンライン
2021-12-20
[24]
뉴스
해군, 대공·대함·대지 타격 가능한 만능 호위함 '대구함' 건조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16-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