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기 전력은 가전제품 등이 꺼져 있거나 주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으로, 주로 리모컨으로 작동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전력은 기기 내부의 전원 공급 장치, 리모컨 수신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소비되며, 기기의 종류와 사용 상태에 따라 대기 전력으로 간주하는 범위는 다르다. 대기 전력은 에너지 낭비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플러그를 뽑거나 멀티탭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기 전력을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국제적으로는 대기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대기 전력 저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너지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은 재생 가능한 자원인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폐식용유 등을 에스터교환반응시켜 생산하는 석유계 디젤 대체 연료로,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지만 원료 확보, 환경 문제, 엔진 호환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에너지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는 경제 성장,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 접근을 보장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 포집 기술 개발, 정부 정책 지원을 통해 화석연료와 핵에너지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목표하는 에너지 생산 및 소비 방식이다. - 전력 - 직류
직류(DC)는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전력 시스템으로, 전지나 정전기에 의해 발생하며, 초기에는 발전 사업에 사용되었으나 교류에 밀려났다가 고압 직류 송전 기술 개발로 장거리 송전 분야에서 다시 활용된다. - 전력 - 애자
애자는 전기 절연성, 내후성,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장치로, 고압 전선을 지지하고 장력을 유지하며, 도자기, 유리, 폴리머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 에너지 절약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 에너지 절약 - 지역 난방
지역 난방은 열을 생산하여 건물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열병합 발전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는 장점이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1세대부터 5세대까지의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운영되고 있다.
대기전력 | |
---|---|
개요 | |
용어 | 대기 전력 (待機電力) 유휴 전력 (遊休電力) 팬텀 부하 (Phantom load) 전기 흡혈귀 (Electricity vampire) 흡혈 부하 (Vampire load) 숨은 전력 (Hidden electricity) |
정의 | 전원 스위치를 끈 상태 또는 대기 모드에서 전기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 |
관련 용어 | 대기 전류 (Idling current) 누설 (Leakage) 비용 편익 분석 |
기술적 측면 | |
원인 | 전원 공급 장치 원격 제어 수신기 디지털 시계 기타 기능 (전원 끄기 후에도 활성 상태 유지) |
측정 방법 | 전력 측정기 사용 |
영향 | 에너지 낭비 온실 기체 배출 증가 전기 요금 상승 |
절약 방법 | |
일반적인 방법 | 사용하지 않는 전기 기기 플러그 뽑기 에너지 효율적인 제품 사용 멀티탭 사용 절전 기능 활용 |
고급 방법 | 스마트 플러그 사용 전력 관리 시스템 구축 |
법규 및 정책 | |
국제 | 에너지 스타 (Energy Star) 프로그램 1와트 이니셔티브 (1-Watt Initiative) |
대한민국 | 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 |
기타 | |
참고 |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력을 소비 대기 전력은 가정 및 기업의 에너지 소비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 대기 전력 절감은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에 기여 |
2. 정의
대기 전력은 가전 제품이 꺼져 있거나 주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전력으로, 종종 리모컨으로 작동하기를 기다리는 상태를 말한다. 이 전력은 내부 또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 리모컨 수신기, 텍스트 또는 조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러그에 꽂혀 있을 때 전원이 공급되는 회로에서 소비되며, 심지어 꺼져 있을 때도 소비된다.[2]
이 정의는 기술적인 목적으로는 부적절하지만, 공식적인 정의는 없다. 국제 표준 위원회가 정의와 시험 절차를 개발하고 있다.[2]
자동 응답 전화기는 항상 전화를 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끄는 것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타이머, 전원이 공급되는 온도 조절기 등도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 예시이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보호하는 컴퓨터가 꺼져 있을 때만 대기 전력을 낭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2]
대기전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전기 제품의 사용 상태에 따라 대기전력으로 간주하는 범위는 크게 다르다. 또한 같은 종류의 전기 제품이라도 기종에 따라 대기전력이 크게 다르다.
일반적으로 대기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는 다음과 같다.
- 변압기: 전압 변환을 위해 사용된다.
- 벽면 콘센트: 꺼져 있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 "즉시 켜짐" 기능이 있는 장치: 예열 지연 없이 사용자의 조작에 즉시 반응한다.
- LED 스트립 및 유사한 저전력 가정용 조명.
- 리모컨으로 켤 수 있는 대기 모드의 전자 및 전기 장치 (예: 텔레비전 수신기).
- 전기 타이머를 사용하여 꺼져 있을 때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및 전기 장치 (예: 원격 부팅 기능이 있는 컴퓨터).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UPS)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가전 제품들의 대기 전력은 다음과 같다.
2. 1. 기기 유형에 따른 분류
대기전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전기 제품의 사용 상태에 따라 대기전력으로 간주하는 범위는 크게 다르다. 또한 같은 종류의 전기 제품이라도 기종에 따라 대기전력이 크게 다르다.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의 장치들이 대기 전력을 소비한다.
- 변압기: 전압 변환을 위해 사용된다.
- 벽면 콘센트: 꺼져 있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 "즉시 켜짐" 기능이 있는 장치: 예열 지연 없이 사용자의 조작에 즉시 반응한다.
- LED 스트립 및 유사한 저전력 가정용 조명.
- 리모컨으로 켤 수 있는 대기 모드의 전자 및 전기 장치 (예: 텔레비전 수신기).
- 전기 타이머를 사용하여 꺼져 있을 때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및 전기 장치 (예: 원격 부팅 기능이 있는 컴퓨터).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UPS)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가전 제품들의 대기 전력은 다음과 같다.
기기 종류 | 대기 전력 (W) |
---|---|
충전식 청소기 | 4.1 |
HDD/DVD 레코더(녹화 재생기) | 3.4 |
데스크톱 컴퓨터 | 2.0 |
공기 청정기 | 1.7 |
비디오 게임기 | 1.4 |
노트북 | 1.2 |
전화기 자가기/충전기 | 1.1 |
전기밥솥 | 1.1 |
가습기 | 0.9 |
식기세척 건조기 | 0.8 |
파쇄기 | 0.7 |
이불 건조기 | 0.6 |
전기 스토브 | 0.2 |
프린터(레이저 방식) | 0.0 |
세탁 건조기 | 0.0 |
세탁기 | 0.0 |
전기 카펫 | 0.0 |
전기 담요 | 0.0 |
전기 난로 | 0.0 |
전자레인지 | 0.0 |
커피 메이커 | 0.0 |
믹서기 | 0.0 |
푸드 프로세서 | 0.0 |
2. 1. 1. 주 전원 스위치가 없는 기기
선풍기, 드라이어, 충전기 본체, 전등과 같이 기기 본체에 주 전원 스위치가 없는 기기에서 사용을 중지하거나, 주 전원 스위치가 있는 경우 이를 끈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간주한다.다음은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2. 1. 2. 주 전원 스위치가 있는 기기
리모컨으로 조작하여 사용을 중지한 상태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들(예: 텔레비전, 오디오, 에어컨)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최근 전기 제품은 에너지 절약화가 진행되어 사용 시 전력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도 상당히 억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TV는 리모컨으로 사용을 중지했을 때 10W 정도의 대기 전력을 소비했지만, 현재의 액정 TV는 거의 대기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가전 제품 중 대기 전력이 큰 기기 중 하나는 HDD를 내장한 DVD 레코더였다. 1초 정도로 녹화가 시작될 수 있는 설정(퀵 스타트 모드 등)에서는 10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고, 이를 해제해도 수 와트의 대기 전력을 소비했다.
다음은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서 발췌한 주요 기기별 대기 전력량이다.
2. 1. 3.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기기
사람이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면 기능하지 않거나, 사용 편의성을 크게 해치는 기기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시 전원을 켜두는 기기들이 있다. 예를 들어 온수기, 냉장고, 전화기, 비데, 경보기, 전기 포트, 다양한 기기의 타이머 예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기들은 최소한의 영구 전력 소비를 가진 장치를 선택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다음은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기기들의 대기전력 예시이다 (단위: W).
대기 전력은 과거에는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지만, 종종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소비된다.
3. 장점과 단점
대기 전력의 범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을 할 수 있다.[1]
# 기기 본체에 주 전원 스위치가 없는 기기에서 사용을 중지하거나, 주 전원 스위치가 있는 경우 이를 끈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간주하는 경우 (예: 선풍기, 드라이어, 충전기 본체, 전등)
# 주 전원 스위치가 있어도 이를 켜둔 채 리모컨 조작으로 사용을 중지한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대기 전력으로 간주하는 경우 (예: TV, 오디오, 에어컨)
# 사람이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면 기능하지 않거나, 사용 편의성을 크게 해치는 기기로,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시 전원을 켜두는 기기의 소비 전력도 대기 전력으로 포함하는 경우 (예: 온수기, 냉장고, 전화기, 비데, 온수 변좌, 경보기, 전기 포트, 다양한 기기의 타이머 예약)
최근 전기 제품은 에너지 절약화가 진행되어 사용 시 전력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도 상당히 억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TV는 리모컨으로 사용을 중지한 경우 10W 정도 소비했지만, 현재의 액정 TV는 거의 대기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1]
3. 1. 장점
3. 2. 단점
대기 전력의 단점은 주로 에너지 낭비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관련이 있다. 1W의 대기 전력은 연간 약 9kWh의 전력을 소비한다.[1] 1 와트 이니셔티브를 채택하기 전에는 장치가 종종 10W 이상을 사용하기도 했다.[1]
개별 대기 전력은 작지만, 상시 전원을 켜두면 장기간에 걸쳐 상당량의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1W의 대기 전력으로 1년 동안 기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8.76kWh를 소비하고, 전기 요금으로는 연간 약 193원(1kWh=22원 환산)의 손실이 발생한다.[1] 가정 내에 다수의 대기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가 있다면 전체적으로 상당한 소비량이 된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기술 발전으로 대기 전력이 많이 억제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가전제품은 대기 전력을 많이 소비한다. 예를 들어, HDD 내장 DVD 레코더는 퀵 스타트 모드에서 10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며, 이 모드를 해제해도 수 W의 대기 전력을 소비한다.[1]
품목 | 대기 전력 (W) |
---|---|
온수기(가스 온돌 포함) | 11.0 |
온수기(가스 온돌 미포함) | 6.4 |
모뎀 | 6.0 |
충전식 청소기 | 4.1 |
HDD/DVD 레코더(녹화 재생기) | 3.4 |
전화기(FAX 포함) | 3.4 |
오디오(일체형) | 2.9 |
전화기(FAX 미포함) | 2.8 |
비디오 데크 | 2.6 |
비데 | 2.6 |
에어컨 | 2.4 |
데스크톱 컴퓨터 | 2.0 |
공기 청정기 | 1.7 |
비디오 게임기 | 1.4 |
노트북 | 1.2 |
전화기 자가기/충전기 | 1.1 |
전기밥솥 | 1.1 |
TV(브라운관) | 0.9 |
가습기 | 0.9 |
식기세척 건조기 | 0.8 |
파쇄기 | 0.7 |
이불 건조기 | 0.6 |
선풍기 | 0.5 |
전기 스토브 | 0.2 |
TV(액정) | 0.2 |
TV(플라즈마) | 0.1 |
프린터(레이저 방식) | 0.0 |
세탁 건조기 | 0.0 |
세탁기 | 0.0 |
전기 카펫 | 0.0 |
전기 담요 | 0.0 |
전기 난로 | 0.0 |
전자레인지 | 0.0 |
커피 메이커 | 0.0 |
믹서기 | 0.0 |
푸드 프로세서 | 0.0 |
드라이어 | 0.0 |
따라서 지구 환경 보전과 금전 절약을 위해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기기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거나, 스위치가 있는 멀티탭을 사용하여 대기 전력을 줄이는 것이 좋다.[1]
4. 규모
1 와트 이니셔티브 이전에는 장치당 10W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4] 현재는 1W 이하 (2013년부터는 0.5W 이하)로 규제되고 있다. 2000년대 초, 대기 전력은 국가별 전체 가전 제품 소비량의 8~22% (약 3~10%)를 차지했다.[5] 2004년,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는 영국 전체 주거 전력의 8%를 차지했으며,[6] 2000년 프랑스에서 실시된 유사한 연구에 따르면 대기 전력이 전체 주거 소비량의 7%를 차지했다.[7]
2019년 미국 가정은 연평균 10,649 kWh의 전력을 사용했는데, 이는 2008년의 11,040 kWh에서 감소한 수치이다.[9][10] 장치가 지속적으로 소비하는 각 와트의 전력은 연간 약 9 kWh(1 W × 365.25 일/년 × 24 시간/일)를 소비하며, 이는 미국 가구의 연간 소비량의 천 분의 1보다 약간 적다.[11]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 따르면, 가전제품별 대기전력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
가전제품 | 대기전력 (W) |
---|---|
온수기(가스 온돌 포함) | 11.0 |
온수기(가스 온돌 미포함) | 6.4 |
모뎀 | 6.0 |
충전식 청소기 | 4.1 |
HDD/DVD 레코더(녹화 재생기) | 3.4 |
전화기(FAX 포함) | 3.4 |
오디오(일체형) | 2.9 |
전화기(FAX 미포함) | 2.8 |
비디오 데크 | 2.6 |
비데 | 2.6 |
에어컨 | 2.4 |
데스크톱 컴퓨터 | 2.0 |
공기 청정기 | 1.7 |
비디오 게임기 | 1.4 |
노트북 | 1.2 |
전화기 자가기/충전기 | 1.1 |
전기밥솥 | 1.1 |
TV(브라운관) | 0.9 |
가습기 | 0.9 |
식기세척 건조기 | 0.8 |
파쇄기 | 0.7 |
이불 건조기 | 0.6 |
선풍기 | 0.5 |
전기 스토브 | 0.2 |
TV(액정) | 0.2 |
TV(플라즈마) | 0.1 |
프린터(레이저 방식) | 0.0 |
세탁 건조기 | 0.0 |
세탁기 | 0.0 |
전기 카펫 | 0.0 |
전기 담요 | 0.0 |
전기 난로 | 0.0 |
전자레인지 | 0.0 |
커피 메이커 | 0.0 |
믹서기 | 0.0 |
푸드 프로세서 | 0.0 |
드라이어 | 0.0 |
5. 정책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1999년 국제 협력을 통해 2010년까지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규 가전제품의 대기 전력을 1W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1와트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는 2010년까지 OECD 국가에서만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5천만 톤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다.[14]
2001년 7월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는 연방 기관에 "대기 전력 소비 모드에서 1W 이하를 사용하는 제품을 구매"하도록 지시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14]
2007년 7월 캘리포니아의 2005년 가전제품 표준이 발효되어 외부 전원 공급 장치의 대기 전력을 0.5W로 제한했다.[15]
2010년 1월 6일,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EC)의 규정 1275/2008이 발효되었다. 이 규정은 전기 및 전자 가정 및 사무실 장비의 "꺼짐 모드" 및 대기 전력이 1W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대기 플러스" 전력(재활성화 기능 외에 정보 또는 상태 표시 제공)이 2W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했다. 장비는 주 전원에 연결될 때 적절한 경우 꺼짐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 수치는 2013년 1월 6일에 절반으로 줄었다.[16]
6. 대기 전력 측정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은 와트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저렴한 플러그인 와트미터(에너지 모니터)는 약 10USD부터 구매할 수 있으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더 비싼 모델도 있다. 미국에서는 와트미터를 지역 전력 당국[19]이나 지역 공공 도서관[20][21]에서 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낮은 교류 전류 및 전력 측정 정확도가 낮을 수 있지만,[22] 대기 전력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22]
실험실 등급의 정밀 측정 장비는 훨씬 크고 수백 달러부터 시작하며, 매우 낮은 값까지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미국 IEC 62301의 유효 전력 측정 권장 사항에 따르면, 0.5W 이상의 전력은 2%의 불확실성으로, 0.5W 미만의 측정은 0.01W의 불확실성으로 측정해야 한다. 전력 측정 기기는 0.01W 이상의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25][26]
6. 1. 측정 방법
가정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와트미터를 사용하여 에너지 사용량과 대기 전력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저렴한 플러그인 와트미터(에너지 모니터)는 약 10USD부터 구매할 수 있으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더 비싼 모델도 있다. 미국에서는 와트미터를 지역 전력 당국[19]이나 지역 공공 도서관[20][21]에서 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낮은 교류 전류 및 전력 측정 정확도가 낮을 수 있지만,[22] 대기 전력을 등록할 만큼 민감하다면 대기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22] 일부 가정용 전력 모니터는 오차 수치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23] 2010년경부터 사용된 낮은 대기 전력(몇 와트 미만)에서는 측정 오류가 실제 값의 매우 큰 비율을 차지할 수 있어 정확도가 좋지 않다.[22]실험실 등급의 정밀 측정 장비는 훨씬 크고 수백 달러부터 시작하며, 매우 낮은 값까지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미국 IEC 62301의 유효 전력 측정 권장 사항에 따르면, 0.5W 이상의 전력은 2%의 불확실성으로, 0.5W 미만의 측정은 0.01W의 불확실성으로 측정해야 한다. 전력 측정 기기는 0.01W 이상의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25][26]
6. 2. 측정 시 유의 사항
저전력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정 방법 및 장비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저렴한 와트미터는 낮은 전류에서 부정확할 수 있다.[22]와트미터는 전력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저렴한 플러그인 와트미터는 때때로 에너지 모니터라고 하며, 약 10USD부터 시작하는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가정용으로 더 비싼 모델 중 일부는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추고 있다. 미국에서는 와트미터를 지역 전력 당국[19] 또는 지역 공공 도서관[20][21]에서 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낮은 교류 전류 및 전력과 같은 파생 수량의 측정 정확도가 종종 낮지만, 대기 전력을 등록할 만큼 충분히 민감하다면 대기 전력을 나타낸다.[22] 일부 가정용 전력 모니터는 오차의 대상이 되는 매개변수(예: 전압)를 지정하지 않고 0.2%와 같은 오차 수치를 단순히 지정한다.[23] 2010년경부터 사용된 낮은 대기 전력(몇 와트 미만)에서 측정 오류는 실제 값의 매우 큰 비율일 수 있으며, 정확도가 좋지 않다.[22]
낮은 전력 측정을 (특정하게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할 수 있는 전문 장비는 일반적으로 오차가 '전체 규모' 값의 백분율 또는 판독값에 고정된 양을 더한 백분율이며, 특정 한도 내에서만 유효하다는 것을 명확히 한다.
실제로 낮은 전력 수준에서 성능이 좋지 않은 미터의 측정 정확도는 백열 전구와 같은 고정 부하에서 전력을 측정하고, 대기 장치를 추가한 다음 전력 소비의 차이를 계산하여 개선할 수 있다.[22]
저렴한 와트미터는 낮은 전류(전력)에서 상당한 부정확성이 있을 수 있으며, 작동 방식 때문에 다른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 부하가 매우 반응성이 있는 경우, 일부 미터에 표시되는 전력은 부정확할 수 있다. 역률을 표시할 수 있는 미터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 많은 교류 미터는 일반적인 교류 전력의 정현파에 대해서만 의미 있는 판독값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많은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파형은 정현파에서 크게 벗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미터의 전력 판독값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RMS 전력"을 읽도록 지정된 미터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간단한 가정용 미터보다 훨씬 크고 수백 US 달러부터 시작하는 실험실 등급의 낮은 전력 측정용 장비는 이러한 효과 없이 매우 낮은 값까지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미국 IEC 62301의 유효 전력 측정 권장 사항은 0.5W 이상의 전력은 2%의 불확실성으로, 0.5W 미만의 측정은 0.01W의 불확실성으로 측정해야 한다. 전력 측정 기기는 0.01W 이상의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25][26]
실험실 등급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대기 전력 측정에는 문제가 있다.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비를 연결하는 데는 두 가지 기본 방법이 있다. 하나는 정확한 전압을 측정하지만 전류가 잘못된 경우이다. 오류는 비교적 높은 전류의 경우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대기 상태의 일반적인 작은 전류의 경우 커진다. 전형적인 경우 100mW의 대기 전력은 50% 이상 과대 평가된다. 다른 연결은 전압에 작은 오류를 제공하지만 정확한 전류를 제공하며, 낮은 전력에서 오류를 5000배 줄인다. 더 높은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실 미터는 이 오류에 취약할 수 있다.[27] 또 다른 문제는 몇 밀리암페어를 측정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범위에 있는 경우 측정 장비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측정 중인 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벗어나 몇 암페어를 소비하는 경우, 보호되지 않으면 미터가 손상될 수 있다.[27]
7. 대기 전력 감소 방안
대기전력 절약을 위해 플러그를 뽑는 것이 권장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플러그를 뽑으면 시계나 타이머 설정이 초기화되거나, 디지털 TV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받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잦은 플러그 탈착은 전압 변동으로 제품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콘센트 연결부가 느슨해져 화재, 누전, 감전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대기전력 유무를 미리 확인하고, 스위치 달린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7. 1. 사용자 측면
일부 장비는 퀵 스타트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비디오 게임 콘솔은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전력을 사용하지만, 올바른 옵션을 설정하면 대기 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ii 콘솔은 WiiConnect24 및 대기 연결 옵션을 끄면 18와트에서 8와트, 심지어 1와트까지 전력을 줄일 수 있다.[28][29]충전식 배터리가 있고 항상 연결되어 있는 장치는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어도 대기 전력을 사용한다. 전기 면도기와 같은 유선 기기 및 일반 전화기는 대기 모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무선 장치와 같은 대기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크고 만졌을 때 따뜻한 구형 전원 어댑터는 수 와트의 전력을 사용한다. 가볍고 만져도 따뜻하지 않은 최신 전원 어댑터는 1W 미만을 사용할 수 있다.
대기 모드를 사용하는 장치가 현재 사용되지 않는 경우, 플러그를 뽑거나 완전히 끄면 대기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여러 장치를 함께 사용하거나 방에 사람이 있을 때만 사용하는 경우, 필요하지 않을 때는 끌 수 있는 단일 멀티탭에 연결할 수 있다.
타이머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장치의 대기 전원을 끌 수 있다. 연결된 장치가 대기 상태로 전환될 때 전원을 끄거나,[30] 장치가 켜지거나 꺼질 때 다른 콘센트를 켜거나 끄는 스위치도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는 센서로 활성화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센서, 스위치 및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더 복잡한 감지 및 스위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장치 자체가 대기 모드에서 제어 장비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한 순 전력 절감을 가져온다.[31]
일부 컴퓨터의 대기 전력 소비는 대기 모드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구성 요소를 끄면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ake-on-LAN(WoL),[32] "모뎀으로 깨우기", "키보드로 깨우기" 또는 "USB로 깨우기"를 비활성화하면 대기 시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은 컴퓨터의 BIOS 설정에서 비활성화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2010년에 도입된 장치를 사용하면 장비의 리모컨으로 멀티탭에 연결된 모든 장치의 전원을 완전히 끌 수 있다. 영국에서는 이를 통해 1년 동안 30파운드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해당 장치의 가격보다 더 많은 금액이다.[33]
최근 전기 제품은 에너지 절약화가 진행되어 사용 시 전력뿐만 아니라 대기전력도 상당히 억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의 주 전원을 끄지 않고 리모컨으로 사용을 중지한 경우의 대기전력은, 브라운관 TV에서는 10W 정도 소비했지만, 현재의 액정 TV에서는 거의 대기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가전제품 중 대기전력이 큰 것 중 하나가 HDD를 내장한 DVD 레코더이다. 1초 정도로 녹화가 시작될 수 있는 설정(퀵 스타트 모드 등)에서는 10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를 해제해도 수 와트의 대기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개별 대기전력은 상당히 작지만, 상시 전원을 켜두면 장기간에 걸쳐 상당량의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1W의 대기전력으로 1년 동안 기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 8.76kWh를 소비하고, 전기 요금으로는 연간 약 193원(1kWh=22원 환산)의 손실이 발생한다. 가정 내에 다수의 대기전력을 소비하는 기기가 있다면 전체적으로 상당한 소비량이 된다. 이 때문에 지구 환경 보전과 금전 절약의 관점에서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기기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는 에너지 절약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전기 기기가 모여 있는 곳에서는 스위치가 있는 멀티탭도 권장되며, 콘센트를 뽑았다 꽂았다 할 필요 없이 원하는 곳만 끌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 절약에 효과적이다.
대기전력 절약을 위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는 것이 권장되지만, 기기에 따라서는 플러그를 뽑으면 시계나 타이머 등의 설정이 초기화되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디지털 TV에서는 제조사에서 전송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 그 외, 플러그를 자주 꽂았다 빼는 것을 반복하면 전압 변동 등으로 제품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 전원을 끄지 않고 플러그를 뽑거나, 주 전원을 끈 후 기기의 동작이 완전히 정지되기 전에 플러그를 뽑으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자주 꽂았다 빼는 것을 반복하면 콘센트와의 연결부가 느슨해져 플러그가 빠지기 쉬워지고,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나 누전, 감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이 경우 스위치 달린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7. 2. 기기 효율성 향상 (제조사 측면)
에너지 사용자들과 정부 당국이 에너지 낭비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장치의 전기적 효율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대기 전력을 포함한 장비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회로 설계를 개선하고 기술을 향상시켜 대기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34] 가전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제조업체가 많은 제품에서 대기 전력 사용을 줄이도록 유도했다. 전체적으로 대기 전력을 75% 줄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대부분의 절감량은 1와트 미만이겠지만, 10와트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34]예를 들어, Wake-on-LAN 대기 상태의 시판 중인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2~8와트의 대기 전력을 소비했지만, 2011년 기준으로 훨씬 더 효율적인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했다. 특수 설계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전체 시스템 전력을 0.5W 미만으로 줄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컨트롤러 자체는 42mW를 소비한다.[35]
최근 전기 제품은 에너지 절약화가 진행되어 사용 시 전력뿐만 아니라 대기전력도 상당히 억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의 주 전원을 끄지 않고 리모컨으로 사용을 중지한 경우의 대기전력은, 브라운관 TV에서는 10W 정도 소비했지만, 현재의 액정 TV에서는 거의 대기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가전제품 중 대기전력이 큰 것 중 하나가 HDD를 내장한 DVD 레코더이다. 1초 정도로 녹화가 시작될 수 있는 설정(퀵 스타트 모드 등)에서는 10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를 해제해도 수 와트의 대기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에너지 절약 센터의 "2008년도 대기 시 소비 전력 보고서"에 따르면, 가전제품별 대기전력은 다음과 같다.
제품 | 대기전력 (W) |
---|---|
온수기(가스 온돌 포함) | 11.0 |
온수기(가스 온돌 미포함) | 6.4 |
모뎀 | 6.0 |
충전식 청소기 | 4.1 |
HDD/DVD 레코더(녹화 재생기) | 3.4 |
전화기(FAX 포함) | 3.4 |
오디오(일체형) | 2.9 |
전화기(FAX 미포함) | 2.8 |
비데 | 2.6 |
비디오 데크 | 2.6 |
에어컨 | 2.4 |
데스크톱 컴퓨터 | 2.0 |
공기 청정기 | 1.7 |
비디오 게임기 | 1.4 |
노트북 | 1.2 |
전화기 자가기/충전기 | 1.1 |
전기밥솥 | 1.1 |
TV(브라운관) | 0.9 |
가습기 | 0.9 |
식기세척 건조기 | 0.8 |
파쇄기 | 0.7 |
이불 건조기 | 0.6 |
선풍기 | 0.5 |
전기 스토브 | 0.2 |
TV(액정) | 0.2 |
TV(플라즈마) | 0.1 |
프린터(레이저 방식) | 0.0 |
세탁 건조기 | 0.0 |
세탁기 | 0.0 |
전기 카펫 | 0.0 |
전기 담요 | 0.0 |
전기 난로 | 0.0 |
전자레인지 | 0.0 |
커피 메이커 | 0.0 |
믹서기 | 0.0 |
푸드 프로세서 | 0.0 |
드라이어 | 0.0 |
8. 화재 위험
대기 모드 상태의 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텔레비전의 경우 대기 모드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12]
현대적인 반도체 전자 제품이 개발되기 전에는, 텔레비전 수신기와 같은 기기가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전원이 꺼져 있을 때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13] 이는 대기 모드가 아닌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도 발생했다. 오래된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비(텔레비전 및 컴퓨터 디스플레이)는 고전압 및 전류를 사용했기 때문에 얇은 패널 LCD 및 기타 디스플레이보다 화재 위험이 더 컸다.
대기전력 절약을 위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는 것이 권장되지만, 플러그를 뽑으면 시계나 타이머 등의 설정이 초기화되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제조사에서 전송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 또한, 플러그를 자주 꽂았다 빼는 것을 반복하면 전압 변동 등으로 제품 자체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며, 주 전원을 끄지 않고 플러그를 뽑거나 주 전원을 끈 후 기기의 동작이 완전히 정지되기 전에 플러그를 뽑으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플러그를 자주 꽂았다 빼면 콘센트와의 연결부가 느슨해져 플러그가 빠지기 쉬워지고,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 누전, 감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이 경우 스위치 달린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대기전력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 전기 제품도 많으므로, 불필요하게 플러그를 뽑지 않도록 사전에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해 두는 것이 좋다.
8. 1. 화재 원인
대기 모드 상태의 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특히 텔레비전의 경우 대기 모드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12] 현대 장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훨씬 덜 발생하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전기 화재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습한 환경
- 건물 배선에 영향을 미치는 낙뢰
- 기기의 노후화 — 오래된 기기는 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부족하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ampire Power - The Ghost In The Machine
https://powerdensity[...]
2021-09-07
[2]
웹사이트
U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Frequently-asked questions
https://standby.lbl.[...]
2024-09-01
[3]
웹사이트
Home Office and Home Electronics,
http://www1.eere.ene[...]
US Department of Energy
2008-01-15
[4]
간행물
Energy cost of PCs on standby
http://news.bbc.co.u[...]
London: BBC 7
2006-04
[5]
웹사이트
Standby power – you're paying for it
http://www.energy.un[...]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09
[6]
웹사이트
Energy review 2006,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UK
http://www.berr.gov.[...]
[7]
웹사이트
Standby Power Use: How Big is the Problem? What Policies and Technical Solutions Can Address It?
http://standby.lbl.g[...]
[8]
뉴스
Pulling the plug on standby power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6-03-09
[9]
간행물
How much electricity does an American home use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0-10
[10]
간행물
Frequently Asked Questions – Electricity
http://www.eia.doe.g[...]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0-06
[11]
웹사이트
The Price Of Electricity In Your State
https://www.npr.org/[...]
2011-10-28
[12]
간행물
Causes of fires involving television sets in dwellings.
http://www.dti.gov.u[...]
London: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01-04
[13]
뉴스
"Unplug the TV set before going to bed"
https://news.google.[...]
Free Lance-Start newspaper
1974-04-29
[14]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 Energy Efficient Standby Power Devices
https://georgewbush-[...]
The White House
2001-07
[15]
웹사이트
Flex Your Power Energy News - Power Plug » California Slays "Energy Vampires"; More Stringent Regulations Took Effect July 1
http://www.fypower.o[...]
2010-09-16
[16]
문서
BIS department, UK: Standby and off leaflet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Measuring Standby Power in Your Home
http://standby.lbl.g[...]
2008-09-20
[18]
웹사이트
Kouba-Cavallo Associates: Phantom Load Calculation
http://www.kouba-cav[...]
[19]
웹사이트
Austin Utilities – Residential – Home Energy Audit – Watts Up
http://www.austinuti[...]
[20]
웹사이트
Portable Energy Meter
http://www.mge.com/h[...]
2008-03-13
[21]
웹사이트
Watts up? Support: FAQs
https://wattsupmeter[...]
2008-03-13
[22]
웹사이트
U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Standby Power, measuring standby
http://standby.lbl.g[...]
2011-09-21
[23]
웹사이트
Kill a Watt Meter - Electricity Usage Monitor | P3
http://www.p3interna[...]
[24]
문서
Measuring standby power
http://www.eevblog.c[...]
[25]
웹사이트
Developing and Testing Low Power Mode Measurement Methods, prepared b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for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Public Interest Energy Research Program, 2004
http://www.energy.ca[...]
2011-10-11
[26]
문서
Test Method for Calculating the Energy Efficiency of Single-Voltage External Ac-Dc and Ac-Ac Power Supplies, funded by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2004
http://www.energysta[...]
[27]
웹사이트
ZES Zimmer Application Note 102: Measurement of standby power and energy efficiency
http://www.merestech[...]
[28]
간행물
WiiConnect24
https://www.nintendo[...]
Nintendo
[29]
간행물
Having the Wii turned off but in Standby Mode
http://techforums.ni[...]
Nintendo Discussions
2010-04
[30]
웹사이트
no the Standby Plug, a standby cut off switch from Scotland
http://www.nomoresta[...]
2009-01-25
[31]
웹사이트
the Standby Plug FAQ, accessed January 26, 2009
http://www.nomoresta[...]
2009-01-25
[32]
문서
LessWatts.org – Saving Power on Intel systems with Linux
http://www.lesswatts[...]
[33]
웹사이트
Standby power saver—uses device remote control to power down equipment
http://www.britishga[...]
2011-10-12
[34]
웹사이트
U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Standby Power
http://standby.lbl.g[...]
2011-10-10
[35]
웹사이트
Silicon Labs: Low Power Wake-on-LAN Challenges and Solutions
http://www.silabs.co[...]
2011-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