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안 교육은 19세기 이후 표준화된 교육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으며, 기존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 방식을 모색하는 시도이다. 전인적 발달을 강조하는 교육 선구자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학교 선택, 대안 학교 통학, 사립 학교 통학, 홈스쿨링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캐나다, 일본, 대만, 영국,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며, 각 국가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적 배경에 따라 특징적인 발전 양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안 교육 - 오픈 대학교
오픈 대학교는 원격 교육을 통해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1969년 영국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로, 다양한 학습 방식과 폭넓은 분야의 교육 과정, 활발한 연구 활동, 그리고 전 세계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대안 교육 - 환경 교육
환경 교육은 인간과 환경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 있는 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 활동으로, 유네스코와 UNEP의 국제적인 주도하에 모든 계층의 시민 참여를 목표로 여러 관련 분야와 연관되어 현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여러 장애물에 직면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자료에 기반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 대안 교육 | |
|---|---|
| 대안 교육 | |
| 정의 | 기존의 주류 교육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교육적 접근 방식. 학습자의 개별적인 필요와 흥미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교육. |
| 특징 | |
| 학생 중심 학습 | 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주도성과 자율성을 강조. |
| 개별화된 교육 | 학생의 능력, 흥미, 학습 스타일에 맞춘 교육 제공. |
| 체험 학습 | 실제 경험과 활동을 통한 학습 강조. |
| 공동체 중심 | 학교와 지역 사회의 연계를 강화. |
| 창의성 및 비판적 사고 |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
| 유형 | |
| 홈스쿨링 (Homeschooling) | 부모 또는 보호자가 자녀를 가정에서 직접 교육하는 방식. |
| 몬테소리 교육 (Montessori education) | 어린이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 교육 방법. |
| 발도르프 교육 (Waldorf education) | 인지적, 예술적, 실천적 능력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교육 방법. |
| 서머힐 학교 (Summerhill School) | 학생의 자유와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교육 철학을 가진 학교. |
| 자유 학교 (Free School) | 학생의 선택과 자유를 존중하는 교육 방식. |
| 대안학교 (Alternative School) |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교육적 실험을 시도하는 학교. |
| 역사 | |
| 기원 | 19세기 후반 진보주의 교육 운동에서 비롯됨. |
| 발전 | 20세기 후반, 주류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다양한 대안 교육 모델 등장. |
| 현대 |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대안 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 |
| 장점 | |
| 학습 효과 | 학생의 흥미와 필요에 맞는 교육으로 학습 효과 증진. |
| 사회성 발달 | 다양한 활동과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성 발달 촉진. |
| 창의성 향상 |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창의적 사고 능력 향상. |
|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강화 |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능력 강화. |
| 단점 | |
| 학력 인정 문제 | 일부 대안 교육 기관의 경우, 학력 인정이 어려울 수 있음. |
| 사회적 인식 부족 | 대안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아직 부족한 부분 존재. |
| 교육 비용 부담 | 일부 대안 교육 기관의 교육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 정보 접근성 | 관련 정보 및 자료 접근이 어려울 수 있음. |
| 논쟁점 | |
| 교육 효과 검증 | 대안 교육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 필요성 제기. |
| 교육의 질 유지 | 대안 교육 기관의 교육 질 유지 및 관리 방안 필요. |
| 공교육과의 관계 | 대안 교육과 공교육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 설정 필요. |
| 기타 | |
| 관련 단체 | 대안교육연대 한국몬테소리교육학회 한국발도르프교육협회 |
| 참고 자료 | 《대안 교육: 이론과 실제》 《대안 교육 운동의 역사》 |
| 관련 용어 | |
| 관련 용어 | 홈스쿨링 몬테소리 교육 발도르프 교육 대안학교 |
2. 역사
대안 교육은 지난 2~3세기 동안 교육이 표준화되고 의무 교육 제도가 확립되면서 등장했다. 장 자크 루소를 비롯한 여러 교육자들과,[3]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랄프 왈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존 듀이, 프랜시스 웨이랜드 파커, 프리드리히 프뢰벨, 마리아 몬테소리, 루돌프 슈타이너와 같은 교육 선구자들은 학생들의 지성뿐만 아니라 도덕, 영성, 감정, 심리, 신체 등 전인적 발달을 강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이 로리스 말라구치에 의해 유아 교육의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존 칼드웰 홀트, 폴 굿맨, 프레데릭 마이어, 조지 데니슨 등은 개인주의, 아나키즘, 자유지상주의 관점에서 교육을 연구했다. 파울로 프레이리, 허버트 콜, 조너선 코졸 등은 자유주의와 급진 정치 관점에서 서구 주류 교육을 비판했다.[18]
19세기에는 레프 톨스토이나 프란세스크 페레르 이 과르디아(Francesc Ferrer i Guàrdia)와 같은 아나키스트들은 "교육이란 정치적 자유를 얻고, 종교와 분리하며, 계급 차이를 없애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론 밀러는 대안 교육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다섯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5]
# 인격 존중
# 균형
# 권한 분산
#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 영역 간의 불간섭
# 전인 교육적 세계관
현대에는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학교에 다녀야 하는 아동에게 교육을 제공할 의무 교육과 더불어 교육의 대안을 제공할 법적 권리가 확립되었다.
2. 1. 대한민국의 대안 교육
대한민국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 제도와 학벌주의 사회 풍토로 인해 학교 붕괴, 청소년 비행, 사교육 의존도 증가 등 공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1990년대부터 대안 교육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대안 교육은 제도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대안 학교는 학교마다 서로 다른 철학적 배경을 가지며, 철학과 영성을 중시하고 소규모로 운영된다. 학생, 학부모, 교사 간의 친밀감을 증대시키고, 직접 체험을 통한 교육을 실시하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조한다.
대안 학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인간적인 관계 형성과 인격적인 대면이 가능하다.
- 학부모가 교육 활동의 주체로 참여한다.
- 학생들은 소속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 직접 체험을 통해 지식 편중의 단편적인 교육을 지양한다.
- 학습 활동의 다양성, 선택권, 자율권을 확대하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한다.
- 유관 기관과의 협조 관계를 통해 학교 교육이 지역 사회에서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 각 학교의 교육 철학에 따라 개별 학교마다 독특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여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에 대한 기호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대안 교육은 '얼터너티브 학교(alternative school)'라고도 불리며, 공립 또는 사립에 관계없이 유연한 학습 계획을 가진 학교를 의미한다.[19]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대안 교육'''이라고 불리며, 대안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을 '''대안 학교'''라고 부른다.
3. 지역별 현황
대안 교육은 초등학교, 중등 교육 등 모든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대안 교육은 크게 일반 공립 학교에서의 학교 선택, 대안 학교(공립 또는 사립) 통학, 인디펜던트 스쿨 등 사립 학교 통학, 홈스쿨링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3. 1. 캐나다
캐나다의 대안 교육은 진보주의와 자유주의라는 두 가지 철학적 교육 관점에서 비롯되었다.[8] 공립학교 시스템 내에서 선택권을 강조하며, 학문, 예술, 직업 연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8] 1980년대에는 학문적으로 뛰어나거나 예술적 재능이 있는 학생, 또는 학교와 직장을 연계하는 협력적 사업을 통해 학교 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 학교 및/또는 프로그램이 나타났다.[8]캐나다는 미국의 차터 스쿨 운동을 따라 앨버타주에서 최초로 차터 스쿨 모델을 채택했다.[8] 이는 미국 특정 주에서 교육부 또는 지역 교육 위원회가 자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개별 학교에 직접 "차터"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것에서 영향을 받았다.[8]
3. 2. 일본
일본의 대안 교육은 학교교육법 등의 법적 근거를 갖지 않는 비정규 교육 기관과 거기서 실시되는 교육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리스쿨, 데모크라틱 스쿨, 서포트교, 인터내셔널 스쿨 등의 미인가교, 홈스쿨링 등이 있다.1980년대 학생 폭력, 괴롭힘, 등교 거부, 사회 불안 장애, 자살 등의 문제로 대안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세계화된 경제에 발맞춰 젊은이들이 따라갈 수 있도록 하려는 열망도 இதற்கு 힘을 실었다.
1985년에는 학교 환경을 피하는 아이들을 위한 쉼터로 최초의 민주주의 학교가 설립되었고, 1987년에는 일본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 중 하나가 설립되었다. 홈스쿨링 운동도 성장하고 있다.
1992년 전 오사카 시립 대학교 교육학 교수 호리 신이치로 박사는 와카야마현에 최초의 대안 민주주의 학교인 키노쿠니 어린이 마을을 설립했다.[9] 그는 A.S. 니일의 친구이자 일본어 번역가로서 그의 작품은 서머힐 학교에서 영감을 받았다.
2003년 일본은 중국의 경제 특구 정책을 기반으로 한 구조 개혁 특별 구역 (구조개혁특별구역)을 도입하여 대안 교육을 제공하는 정부 인가 학교 개교를 가능하게 했다. 2년 후, 최초의 그러한 학교가 설립되었다.
일부 학부모는 외국어(일반적으로 영어) 유창성을 얻기 위해 자녀를 국제학교에 보낸다. 국제학교는 일본 정부의 인증을 받지 않지만, 많은 학교가 해당 국가(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한국 및 중국)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일부 학교는 국제 바칼로레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본에서는 대안 교육만으로는 정규 과정 졸업 자격을 인정받지 못하므로 상위 학교 입학 자격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통신제나 정시제 등에 의한 정규 과정 이수를 병행하거나 문부과학성에 의한 졸업 자격 인정 시험 응시가 필요하다.
3. 3. 대만
대만에서는 계엄령 해제 이후 森林小學|삼림소학중국어이 설립되어 대만 최초의 대안 교육 학교가 되었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중국식 교육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며, 학부모에게 자녀를 체벌하거나 꾸짖지 않도록 요구한다. '숲 학교'라는 용어는 대안 교육 접근 방식을 가진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숲 학교와 마찬가지로, 비전형적인 캠퍼스에 위치하며 창의적이고 유연한 커리큘럼을 따르는 캐터필러 학교도 있다.[10] 이 두 학교는 학비가 비싸지만,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한다.[10]타이베이 현의 씨앗 초등학교(1994년 개교)와 같이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대안 교육도 있다.[11] 이 학교는 스트레스가 적은 학습 환경이 필요한 원주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전통적인 과정과 함께 학생들의 자연 및 원주민 문화와의 유대감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 교육을 제공한다.[11]
3. 4. 영국
영국에는 주류 교육법과 다른 철학에 기반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가 약 70개 있었으며, 그중 절반가량이 슈타이너-발도르프 학교였다.[20] 1921년 A.S. 닐이 설립한 서머힐 학교는 최초의 민주주의 학교였으며, 이후 대부분 문을 닫았지만 서머힐 학교, 샌즈 학교, 헵던 브리지 학교,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민주주의 학교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안 학교는 최근까지 학비를 받는 곳이었지만, 2011년 국비 지원을 받는 프리 스쿨이 도입되었으며, 이 중 서머셋 주 프롬의 슈타이너 아카데미와 헤리퍼드 슈타이너 아카데미 두 곳은 대안 교육을 제공한다.영국에는 주류 학교에서의 퇴학을 방지하거나 학생들의 행동 문제를 개선하여 주류 교육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안 교육 시설과 센터도 있다. 1993년 이후 일부 센터는 학습 부진 학생 지원 센터(PRU)라고 불리며, 지방 자치 단체에서 운영한다.
3. 5. 미국
미국의 대안 교육은 크게 학교 선택, 사립 학교, 가정 기반 교육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공립학교 내에서의 대안으로는 별도의 학교, 수업, 프로그램, 그리고 반자율적인 "학교 내 학교" 등이 있다. 이러한 공립학교 선택은 모든 학생에게 열려 있지만, 일부 학교는 대기자 명단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는 사립의 주도와 주 정부의 재정 지원을 결합한 차터 스쿨과 특정 프로그램(예: 공연 예술)으로 학생들을 유치하는 마그넷 스쿨이 포함된다.[13]
사립 학교는 교직원 선정과 교육 방식에 있어 유연성을 가진다. 많은 사립 학교가 몬테소리 학교와 발도르프 학교(창립자 루돌프 슈타이너의 이름을 따서 슈타이너 학교라고도 함)이다. 이 외에도 민주주의 학교, 클론라 학교와 같은 자유 학교 (클론라 학교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K-12 대안 학교), 서드버리 학교, 열린 교실 학교, 체험 학습 기반 학교, 국제 바칼로레아 및 라운드 스퀘어 학교와 같은 국제 커리큘럼을 사용하는 학교들이 있다.[13]

가정 기반 교육은 교육적, 철학적, 종교적 이유, 또는 근처에 교육적 대안이 없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언스쿨링은 소규모 분과로, 교육 과정보다는 흥미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다른 가정들은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엄브렐러 스쿨에 등록하기도 한다. 홈스쿨링 과정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거나 뛰어난 모든 과목에서 심층적이고 개인적인 관심을 제공한다. 일부 홈스쿨링 가족은 협동 조합을 형성하여 특정 과목에 전문 지식을 가진 부모가 다른 부모에게 자녀를 가르치는 동안 여러 가족의 자녀를 가르칠 수 있다. 홈스쿨링을 하는 가족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집 안에 "교실"을 만들고 매일 정해진 시간 동안 수업을 진행하는 부모부터, 경험적 학습 기회에 중점을 두는 가족까지 다양하다.[15]
4. 대안 교육의 형태 및 접근법
대안 교육은 표준화된 의무 교육이 확립되면서 등장했다. 장 자크 루소를 비롯한 교육자들,[3] 스위스의 인도주의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초절주의의 에이머스 브론슨 올컷, 랄프 왈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교육 진보주의의 창시자인 존 듀이와 프랜시스 웨이랜드 파커, 그리고 프리드리히 프뢰벨, 마리아 몬테소리, 루돌프 슈타이너와 같은 교육 선구자들은 교육이 발달하는 아이를 지성뿐만 아니라 도덕, 영성, 감정, 심리, 그리고 신체적으로도 길러야 한다고 믿었다.
문화 비평가인 존 칼드웰 홀트, 폴 굿맨, 프레데릭 마이어, 조지 데니슨 등은 개인주의, 아나키즘, 자유지상주의 관점에서 교육을 연구했다. 파울로 프레이리에서 미국의 교육자인 허버트 콜과 조너선 코졸에 이르기까지 다른 작가들은 자유주의와 급진 정치의 관점에서 서구 주류 교육을 비판해 왔다.
론 밀러는 대안 교육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다섯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5]
# 인격 존중
# 균형
# 권한 분산
#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 영역 간의 불간섭
# 전인 교육적 세계관
현대에는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학교에 다녀야 하는 아동에게 교육을 제공할 의무 교육과 더불어 교육의 대안을 제공할 법적 권리가 확립되었다.
대안 교육의 형태 및 접근법은 다음과 같다:
- 아나키즘 자유 학교
- 예술 학습
- 민주적 교육
- 탈학교 운동
- 자유 학교 운동
- 숲 유치원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학교
- 서드버리 학교
- 토머스 제퍼슨 교육
- 모던 스쿨 운동
- 몬테소리 교육
- 직업 교육
- 총체적 교육
- 프레네 교육
- 서드베리 교육
- 영재 교육
- 슈타이너 교육
- 유아 교육
- 등교 거부
세계적으로는 캐나다의 세퍼레이트 스쿨 (공립), 미국 차터 스쿨, 마그넷 스쿨 (초중고등 연계 학교, 몰입 학교, 영재 교육 등) 등이 있다. 또한, 공립 학교에서 대안 학교 (특수 교육 등)라는 학교나, 영국의 퍼블릭 스쿨 (명문 진학 학교)을 포함하는 인디펜던트 스쿨 (사립) 등은 대안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 여겨진다.
뉴에이지의 흐름을 잇는 대안 교육의 경우, 종래와는 현저히 다른 철학 사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 수법에 종사하는 사람은, "학생의 입장에 섰다"는 의미를 담아, 진정한 (authentic), 전체적 시야의 (홀리스틱 holistic), 진보적인 (Progressive) 교육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
5. 주요 교육자
장 자크 루소를 비롯한 교육자들,[3] 스위스의 인도주의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초절주의의 에이머스 브론슨 올컷, 랄프 왈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교육 진보주의의 창시자인 존 듀이와 프랜시스 웨이랜드 파커, 그리고 프리드리히 프뢰벨, 마리아 몬테소리, 루돌프 슈타이너와 같은 교육 선구자들은 교육이 발달하는 아이를 지성뿐만 아니라 도덕, 영성, 감정, 심리, 그리고 신체 등 여러 수준에서 길러야 한다고 믿었다.
문화 비평가인 존 칼드웰 홀트, 폴 굿맨, 프레데릭 마이어, 조지 데니슨 등은 개인주의, 아나키즘, 자유지상주의 관점에서 교육을 연구해 왔다. 파울루 프레이리에서 미국의 교육자인 허버트 콜과 조너선 코졸에 이르기까지 다른 작가들은 자유주의와 급진 정치의 관점에서 서구 주류 교육을 비판해 왔다.
요약에 언급된 주요 교육자는 다음과 같다.
6. 관련 단체
- 유럽 민주 교육 공동체(EUDEC)
- 홈스쿨 법률 옹호 협회(HSLDA)
7. 관련 자료
- 금지된 교육(The Forbidden Education): 대안 교육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alternative educatio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9-21
[2]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Educational Alternatives
http://www.education[...]
Paths of Learning
2000-11
[3]
문서
Jean Jacques Rousseau
http://plato.stanf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4]
논문
Natur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ttps://marketing.wh[...]
[5]
서적
Self-Organizing Revolution
Holistic Education Press
2008
[6]
웹사이트
Trille des Bois
https://trille-des-b[...]
2022-10-22
[7]
웹사이트
Types of Private Schools
http://www.ourkids.n[...]
[8]
웹사이트
Alternative Education
http://www.thecanadi[...]
2007-02
[9]
웹사이트
Kinokuni Children's Village
https://libed.org.uk[...]
Liberation Education, 2015
2019-04-04
[10]
서적
Taiwan: A New History
M.E. Sharpe
2007
[11]
서적
Taiwan Education at the Crossroad: When Globalization Meets Localization
Springer
2012
[12]
서적
The Changing Landscape of International Schooling: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2014
[13]
문서
State Regulation of Private Schools
http://www2.ed.gov/a[...]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9
[14]
웹사이트
Alternative Education Outside the Traditional 4-Year Path
https://advancingadm[...]
2017-06-06
[15]
웹사이트
Advantages of homeschooling
http://www.schoolmon[...]
2013-02-25
[16]
간행물
Self-University
[17]
문서
ラーマーとイリイチが、メキシコの研究所CIDOCにて「deschooling(脱学校(化)、非学校化)」を提起し、フレイレもそこに参画し、世界中へ広がった。
[18]
문서
日本では周郷博がオルターナティブ教育にいち早く関心を示し(『周郷博教育著作集』柏樹社)、イリイチに師事した山本哲士が教育批判を徹底して理論化している。山本哲士『教育の幻想 学校の幻想』(ちくま学芸文庫)、『教育の政治 子どもの国家』『<私>を再生産する共同幻想国家・国家資本』(共に文化科学高等研究院出版局)、山本は大学教師になる前に「オルターナティブ学習塾」を実行している(『学ぶ様式』新曜社)。フレイレは、小沢有作、里見実らが翻訳導入し、シュタイナーは子安美知子らが紹介した。
[19]
웹사이트
Dictionary.com: alternative school
http://dictionary.re[...]
[20]
웹사이트
Amazon.co.uk Alternative Approaches to Education: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Introduction P.3
http://www.amazon.co[...]
[21]
뉴스
"Alternative Schools Adapt," by Fannie Weinstein
The New York Times
1986-06-08
[22]
웹사이트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ducation: About Alternative Education
http://www.doemass.o[...]
[23]
웹사이트
国立教育政策研究所 社会教育実践研究センター:社会教育主事講習 生涯学習概論『外国の社会教育の歴史と動向』澤野由紀子
http://www.nier.go.j[...]
[24]
웹사이트
ノルウェー国公式サイト:教育と研究『ノルウェーのフォルケホイスコーレ』
http://www.norway.or[...]
[25]
웹사이트
国立特殊教育総合研究所 知的障害教育研究部 平成13年度「生涯学習施策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ノルウェーにおける障害のある人の生涯学習』
http://www.nise.go.j[...]
[26]
웹사이트
韓国の代案教育の歩みと今後の課題 ―日本の代案教育との交流を通して―
http://www.shotok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