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학교는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국제적인 교육을 받는 학교를 의미한다. 1924년 설립된 제네바 국제학교가 최초의 국제학교로 여겨지며, 외교관, 선교사, 주재원 자녀들을 위해 설립되었다. 국제학교는 학생들의 이동성, 다국적 구성, 국제 교육과정, 국제 인증, 영어 사용 등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바칼로레아(IB)와 같은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학교와 교육부 인가 국제학교로 구분되며, 입학 자격과 학비에 차이가 있다. 국제학교는 교육 불평등 심화, 정체성 혼란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하며, 중국, 싱가포르, 미얀마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학교 - 기숙학교
기숙학교는 학생들이 학교 내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교육을 받는 형태로, 교직원들이 학생들을 관리하고 하우스 시스템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특징을 가진다. - 유형별 학교 - 문법학교
문법학교는 중세 시대 유럽에서 라틴어 교육을 위해 설립되어 대학교 설립 이후 리버럴 아츠 교육의 입구가 되었으며, 종교 개혁과 기금립 학교법 개혁을 거쳐 학문적 지향의 중등 학교로 발전했고,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서 각 지역의 교육 시스템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 국제학교 - 중화학교
중화학교는 일본 내 중국계 학교들을 가리키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계열의 학교들이 재일 중국인 및 한국인 사회에서 중국 문화 보존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국제학교 - 조선학교
조선학교는 재일조선인을 위해 조총련 산하에서 운영되는 민족학교로, 국어강습소에서 시작되었으나 탄압과 재정 지원 제한, 사회적 차별, 북한과의 관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독자적인 교육과정으로 인해 일본 대학 진학에 어려움이 있고 교육 내용과 운영 방식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국제학교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종류 | 학교 |
| 교육 수준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 특징 | |
| 학생 구성 | 다양한 국적의 학생 |
| 교육 과정 | 국제적인 교육 과정 (예: 국제 바칼로레아) |
| 언어 |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 사용 |
| 문화 | 다문화적 환경 |
| 설립 목적 | 외국인 자녀 교육 또는 국제적인 인재 양성 |
| 역사 | |
| 기원 | 해외 거주 외국인 자녀 교육 요구 증가 세계화 및 국제 교류 증가 |
| 발전 | 20세기 중반 이후 급속한 성장 국제학교 인증 기관 설립 |
| 교육 과정 | |
| 주요 교육 과정 | 국제 바칼로레아 (IB) 캠브리지 국제 교육 (CIE) 미국 대학 입학 시험 (AP) 기타 국가별 교육 과정 |
| 언어 교육 | 모국어 및 제2외국어 교육 영어 몰입 교육 |
| 교사진 | 국제적인 경험을 가진 교사 |
| 학생 | |
| 학생 구성 |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학생 |
| 학업 | 국제적인 학업 성취도 평가 |
| 기타 | |
| 관련 기관 | 국제학교 협의회 (CIS)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 (IBO) 기타 국제 교육 기관 |
| 특징 | 다양한 국적 학생 비율 국제적인 교육 과정 외국어 습득 기회 제공 국제적인 인맥 형성 가능성 국제적인 대학 진학 기회 확대 |
| 논란 | 높은 학비 특정 계층 자녀 중심 교육 교육 과정의 획일화 가능성 |
| 종류 | 외국인 학교 국제 학교 |
2. 역사
국제학교의 역사는 1924년 아서 스위트서와 루드빅 라이히만이 영어와 프랑스어 이중언어 교육을 중시하여 설립한 제네바 국제학교와 같은 해 일본 요코하마 야마테에 설립된 요코하마 국제학교에서 시작되었다.[3] 이 학교들은 외교관, 선교사, 군인, 해외 지사로 파견된 사업가 등 외국인 가족들의 자녀들을 위한 교육 기관이었다. 미군 군인 자녀들이 미 국방부 교육기관(DoDDS)에 다니는 것이 그 예이다.
일본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학교는 1872년(메이지 5년) 설립된 세인트 모어이며, 1902년(메이지 35년)에 개교했으나 2000년(헤이세이 12년)에 폐교된 세인트 조세프 인터내셔널 칼리지 등 메이지 시대에 개교한 오랜 역사를 가진 학교들이 있다. 1990년대 이후 설립된 신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만으로 운영되는 프리스쿨 등이 있다.
1924년 요코하마 국제 비즈니스 커뮤니티에 의해 설립된 요코하마 인터내셔널 스쿨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내셔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학교이며, 간토 지방에서는 고등학교 부문에서 유일하게 남녀 공학, 무종교 국제학교였다.
21세기에 들어와 문부과학성이 인터내셔널 스쿨이나 외국인 학교 졸업자에 대해 일본 대학의 입시 자격을 인정하는 등의 흐름이 있다. 최근에는 지바현 가이힌마쿠하리 지역에 2009년(헤이세이 21년) 4월에 개교한 마쿠하리 인터내셔널 스쿨이나 2021년 아이치현에 개교한 국제고등학교(전교생 기숙사제, 국제 바칼로레아)처럼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인터내셔널 스쿨이면서도, 일조학교로서의 인가를 받은 학교도 있다.
2. 1. 한국의 국제학교 역사
제공된 원본 소스는 국제학교의 일반적인 역사와 일본의 국제학교에 대한 내용만을 담고 있으며, '한국의 국제학교 역사' 섹션에 포함될 내용은 존재하지 않아 작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에서 변경된 내용은 없다.3. 자격 및 조건
교육자들은 국제학교의 정확한 기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국제적인 역사, 문화, 관점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학교를 "국제적"으로 만드는 요소라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학생들의 국적뿐만 아니라 교육이 전달되는 방식 또한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5]
APIS, 청라달튼외국인학교(한국에서 유일하게 한국 학력 인증 가능), 서울외국인학교, 서울국제학교를 포함한 여러 국제학교가 한국에 있다.
3. 1. 국제학교의 일반적인 기준 (국제학교도서관협회, 2009)
2009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국제학교도서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 회의에서는 국제학교를 설명하기 위한 기준 목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4]- 학생 교육 과정의 다른 국제학교로의 이동성
- 높은 학생 이동률 (국립학교 또는 공립학교보다 높음)
- 다국적, 다언어 학생 구성
- 국제 교육 과정
- 국제 인증 (예: 국제학교협의회(Council of International Schools),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서부학교협회(Western Association of Schools and Colleges), 캠브리지 국제시험(Cambridge International Education) 등)
- 유동적이고 다국적 교원 구성
- 비선발적 학생 입학
- 일반적으로 영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추가 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의무화
그러나 교육자들은 정확한 기준이 무엇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국제적인 역사, 문화 및 관점이 교육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 학교를 "국제적인" 학교로 만드는 요소이다. 학생들의 국적이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교육이 전달되는 방식 또한 중요하다.[5]
3. 2. 한국의 국제학교 입학 조건
한국의 국제학교는 크게 외국인학교와 교육부 인가 국제학교로 나뉜다. 외국인학교는 주로 외교관이나 국제기업 주재원 자녀들을 위한 교육을 목적으로 하며, 내국인의 입학 조건은 까다로운 편이다. 부모의 국적, 비자 상태, 거주 목적, 직업 등을 고려하여 입학 순위를 정하며, 내국인은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한 경험을 증명해야 한다.[28] 다만, 청라달튼외국인학교는 예외적으로 국내 학력이 인정된다.교육부 인가를 받은 국제학교는 총 7곳으로, 제주특별자치도와 경제자유구역 등에 설립되어 있다. 이들 학교는 내국인이 국적이나 해외 거주 조건 없이 입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지역 | 학교명 | 비고 |
|---|---|---|
| 제주특별자치도 |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NLCS), 브랭섬홀아시아 (BHA),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제주 (SJA),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 (KISJ) | FSAA풀턴 사이언스아카데미 애서튼(Fulton Science Academy Atherton) 설립 확정 |
| 이시아폴리스 | 대구국제학교 (DIS) | 국내 최초 인가 국제학교 |
| 송도 | 채드윅송도국제학교 (CI) | 수도권 최초 인가 국제학교 |
| 송도 |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 (CMIS) | 수도권 두 번째 인가 국제학교 |
대구국제학교, 채드윅송도국제학교,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는 내국인 입학 비율에 제한이 있어 경쟁률이 매우 높고, 입학을 위한 사교육을 받기도 한다.
인가 국제학교의 학비는 기숙사비를 포함하여 1년에 약 60000USD에서 70000USD 내외로, 일반인들은 다니기 어려운 수준이다. 주로 주한 외국인, 고위층, 정계, 재계, 언론문화계, 예술계, 전문직종 등 사회 주요 계층의 상류층 자녀들이 국내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며 서양식 교육과 이중 언어 환경을 누리고자 선택한다.
졸업생들은 대부분 해외 대학으로 진학하며, 내국인의 경우 국내 학력 인증 혜택을 받아 대한민국 주요 대학에 지원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교육부 인가를 받은 7개 국제학교는 주요 외국인학교들과 스포츠 연합 활동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재학생들은 승마, 하키, 수영, 골프, 펜싱, 테니스, 농구, 축구, 야구, 배구, 스키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재학생들 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졸업생들은 ALUMNI 특유의 HONOR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편, 초중등교육법 제65조에 의거하여 경제자유구역 외국교육기관 및 제주국제학교 외 학교설립인가를 받지 않은 일반 학원 사업자가 학생을 모집하여 학교 형태로 운영하거나 국제학교 명칭을 사용하면 시설폐쇄 명령을 받을 수 있다.
4. 교육 과정
국제학교는 IB, AP, IGCSE 등 다양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국제 교육 과정은 국제주의, 세계 시민 육성, 최적의 학습 환경 제공 등을 목표로 한다.[7][8]
일반적으로 국제학교에서는 언어, 수학, 과학, 인문학, 예술, 체육, 정보 기술 등을 가르친다. 초등학교에서는 IB PYP와 IPC가, 중등 교육에서는 IB MYP와 국제 중등 교육 과정(IMYC)이 제공되기도 한다. 2016년에는 2~5세 유아를 위한 국제 유아 교육 과정(IEYC)이 출시되어 2021년까지 500개 이상의 학교 및 유아 교육 시설에서 활용되었다.
일부 국제학교는 설립 국가의 교육 과정을 따르기도 한다. 국제학교 컨소시엄(iSC) 소속 학교는 미국 학교의 표준 교육과정인 ISCED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고등학교에서는 영어, 외국어, 수학, 체육, 과학, 사회, 미술 등의 핵심 과목과 ESL 수업이 제공되며, 미국 대학 진학을 위한 AP 프로그램도 선택할 수 있다.
국제학교 학생들은 스포츠, 예술, 토론, MUN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국제학교 간 리그를 통해 축구, 농구, 배구, 배드민턴, 테니스, 럭비, 수영, 골프, 음악, 미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한다.
4. 1.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은 스위스 IBO에서 주관하는 국제 표준화된 학력 프로그램으로, 45점 만점이다.[22] DP (Diploma Programme)는 유럽, 북미, 아시아의 명문 대학들이 대입 자격으로 인정하며, 한국의 서울대, KAIST 등도 IB 디플로마 점수를 반영한다.1968년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가 설립된 목적은 국제 이해 교육 증진에 기여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대학 입학 자격을 국제학교 졸업생에게 부여하여 대학 진학의 길을 확보하는 것이다.[22]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22] 국제 바칼로레아 인증 학교에서는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가 작성한 공통 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22]
국제 바칼로레아에는 초등 교육 프로그램(PYP), 중등 교육 프로그램(MYP), 디플로마 자격 프로그램(DP)의 세 가지가 있다.[22] DP 과정을 수료하고 디플로마 자격 취득을 위한 통일 시험에 합격하면 국제 바칼로레아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22] 국제 바칼로레아 시험 실시와 자격 수여는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22] 2013년 9월 현재, 국제 바칼로레아 인증 학교는 146개국에 약 3,664개교이다.[22]
일본에서는 1979년 4월부터 국제 바칼로레아 자격을 소지한 18세 이상의 사람에게 일본 대학 입학 자격이 주어졌다.[24]
4. 2. AP (Advanced Placement)
미국계 국제학교에서는 AP를 편성한다. AP는 대학 수준의 과목을 미리 이수하고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8] 학생들은 AP 과목 프로그램을 통해, 특히 미국 대학 교육을 준비할 수 있다.[7]4. 3. IGCSE (International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IGCSE는 영국 교육 또는 국제학교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교육과정이다.[8] 영국계 국제학교는 캠브리지IGCSE 등의 대학 예비 과정을 포함한다.[7]4. 4. 기타 교육 과정
국내외 학력 인증을 받은 국제학교들은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또는 AP(Advanced Placement)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부 국제학교는 영국, 미국 등 특정 국가의 교육 과정을 따르기도 한다. 초등 과정에서는 IB PYP, IPC 등이 제공되며, 중등 과정에서는 IB MYP, 국제 중등 교육 과정(IMYC) 등이 있다.[7][8]국제학교 컨소시엄(iSC) 소속 학교는 ISCED 교육과정을 제공하는데, 이는 미국 학교의 표준 교육과정이다. 고등학교 교육에는 영어, 외국어, 수학, 체육, 과학, 사회, 미술과 같은 핵심 과목과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ESL 수업이 포함된다. 또한 학생들은 미국 대학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AP 과목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5. 비판 및 논란
국제학교에 다니는 많은 학생들은 여러 국가와 지역을 끊임없이 이동한다.[16] 이 학생들 중에는 자신에게 뿌리내린 곳이나 배경이 되는 곳이 없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16] 이들은 제3문화권 어린이(TCK, third culture kid)라고 불리며, 특정 장소가 아닌 사람들에 의해 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현상을 경험한다.[17] 데니즌(Denizen)의 https://denizenmag.com/2011/09/infographic-the-modern-third-culture-kid/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2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9세 이전에 처음 이주했으며 평균 4개국에 거주했다.[17] 이러한 반복적인 이주는 아이들이 친구와 관계를 끊임없이 떠나게 하여 스트레스와 불안을 야기할 수 있으며, 완전히 새로운 환경과 문화로의 전환 또한 힘들 수 있다.[17] 그러나 대부분의 국제학교는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고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적응을 돕고 있다.[17]
6. 한국의 국제학교
한국의 국제학교는 교육부 인가 여부, 설립 주체, 교육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교육부 인가를 받은 국제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65조에 의거하여 설립되며, 내국인도 조건 없이 입학할 수 있고 국내 학력이 인정된다. 현재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브랭섬홀 아시아,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 대구 이시아폴리스, 송도 채드윅송도국제학교, 송도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 등 7개의 학교가 운영 중이다. 이들 학교는 학비가 매우 비싸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렵고, 주로 사회 고위층 자녀들이 재학한다. 졸업생들은 대부분 해외 대학으로 진학하며, 국내 대학 지원도 가능하다.[1]
외국인학교는 부모의 국적, 비자 상태, 거주 목적, 직업 등을 입학 순위에 반영하며, 내국인이 입학하기 위해서는 해외 3년 이상 거주 요건 등을 증명해야 한다. 아시아퍼시픽국제외국인학교, 청라달튼외국인학교(국내 학력 인정), 서울외국인학교 등이 주요 외국인학교에 해당된다.
6. 1. 교육부 인가 국제학교 (내국인 입학 가능, 국내 학력 인정)
교육부 인가 국제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65조에 의거하여 설립되며, 내국인도 조건 없이 입학할 수 있고 국내 학력이 인정된다. 현재 총 7개의 학교가 운영 중이다.[1]- 제주특별자치도
- *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NLCS)
- * 브랭섬홀 아시아 (BHA)
- *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SJA)
- *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 (KISJ)
- * FSAA풀턴 사이언스아카데미 애서튼 (Fulton Science Academy Atherton) (설립 예정)
- 대구 이시아폴리스 (DIS) (국내 최초 인가 국제학교)
- 송도 채드윅송도국제학교 (CI) (수도권 최초 인가 국제학교)
- 송도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 (CMIS) (수도권 두 번째 인가 국제학교)
이들 학교는 1년에 약 60000USD~70000USD 내외의 높은 학비가 요구되어 일반인의 진입이 쉽지 않다. 주로 주한 주재 외국인 및 한국의 고위층, 정계, 재계, 언론문화계, 예술계, 전문직종 등 사회 주요 계층의 상류층 자녀들이 재학한다.[1] 졸업생 대부분은 해외 대학으로 진출하며, 내국인의 경우 국내 학력 인증 혜택으로 국내 대학 지원도 가능하다.[1]
이들 학교는 대부분의 재학생들이 승마, 하키, 수영, 골프, 펜싱, 테니스, 농구, 축구, 야구, 배구, 스키 등 다양한 서구 엘리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재학생들만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다.[1] 졸업생들은 ALUMNI 특유의 HONOR 문화가 발달되어 있다.[1]
6. 2. 주요 외국인학교 (부모의 외국 국적 또는 내국인의 경우 3년 이상 외국 거주 조건 필요)
외국인학교는 부모의 국적, 비자 상태, 거주 목적, 직업 등을 입학 순위에 반영하며, 내국인이 입학하기 위해서는 해외 3년 이상 거주 요건 등을 증명해야 한다. 주요 외국인학교는 다음과 같다.- 서울
- 아시아퍼시픽국제외국인학교
- 청라달튼외국인학교 (국내 학력 인정)
- 서울외국인학교
- 서울국제학교
- 서울프랑스학교
- 하비에르국제학교
- 서울독일학교
- 서울용산국제학교
- 한국외국인학교 (KIS)
-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학교
- 경기
- 국제크리스쳔학교(의정부)
- 경기수원외국인학교
- 대전
- 대전외국인학교
- 부산
- 부산외국인학교
6. 3. 일조학교(一条校)인 인터내셔널 스쿨
21세기에 들어 문부과학성이 인터내셔널 스쿨이나 외국인 학교 졸업자에게 일본 대학 입시 자격을 인정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최근에는 학교교육법 제1조에 따른 학교(一条校)이면서도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인터내셔널 스쿨이 등장했다. 대표적인 예로 2009년 4월 지바현 카이힌마쿠하리 지역에 개교한 마쿠하리 인터내셔널 스쿨과 2021년 아이치현에 개교한 국제고등학교(전교생 기숙사제, 국제 바칼로레아)가 있다.7. 기타 국가의 국제학교
중국, 싱가포르, 미얀마 등에도 다양한 국제학교가 존재한다. 각 국가의 상황과 정책에 따라 운영 방식, 입학 조건, 교육 과정 등이 다르다.
중국의 학교는 공립, 사립, 외국인을 위한 학교로 나뉘며, 국제학교는 외국 국적자만 입학할 수 있다. 싱가포르는 인구의 약 3분의 1이 외국인이며 외국인 주재원이 많아 국제학교가 발달하였다. 미얀마에서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국제학교 진학이 늘고 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국내 대학 진학, 취업 또는 전문·직업계 학교 진학, 해외 대학 진학·취업의 세 가지 진로를 선택한다.
7. 1. 중국
중국의 학교는 공립, 사립, 외국인을 위한 학교 세 종류로 나뉘며, 국제학교는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만 입학할 수 있다.[29] 상하이 국제학교의 학비는 연간 300000CNY이 넘는다.[29]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재원 감소와 정부 규제 강화로 해외 진출 학교들이 폐쇄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29]7. 2.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인구의 약 3분의 1이 외국인이며 외국인 주재원이 많아 국제학교가 발달하였다.[18] 2010년 싱가포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국제학교 수는 38개교였다.[18]싱가포르의 국제학교는 외국 교육기관이 운영하는 학교와 현지 사립 국제학교로 나뉜다. 외국 교육기관이 운영하는 학교로는 싱가포르일본학교, 싱가포르 미국학교(Singapore American School), 스위스 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국제학교, 캐나다 국제학교, 글로벌 인디언 국제학교 등이 있다. 현지 사립 국제학교는 2개 언어 교육을 실시하며, 앙글로 차이니즈(Anglo-Chinese, ACS) 국제학교, 화충(Hwa Chong) 국제학교 등이 있다.[18]
7. 3. 미얀마
미얀마에서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국제학교 진학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다음 세 가지 진로를 선택한다.[30]1. 세단 시험(ثانوية عامة)에 합격하여 국내 대학에 진학
2. 취업 또는 전문·직업계 학교 진학
3. 국제학교에서 해외 대학 진학·취업
양곤에만 국제학교 수가 1,000개교를 넘는다.[30] 국제학교는 영국식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곳이 많고, 국제 바칼로레아 인증 학교도 몇몇 있다.[30]
국제학교 졸업생들은 주로 싱가포르, 태국, 호주 등지의 대학으로 진학한다.[30]
참조
[1]
웹사이트
What Makes a School International? The International Educator (TIE Online)
https://www.tieonlin[...]
2022-08-12
[2]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chools | Ambassador Michael C. Polt
https://ambassadorpo[...]
ambassadorpolt.wordpress.com
2011-10-19
[3]
웹사이트
Fundamentals of Educational Planning – 92
https://unesdoc.unes[...]
2024-05-13
[4]
웹사이트
How to Define an International School
http://www.tieonlin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 (IASL)
2017-01-12
[5]
웹사이트
What Makes a School International? The International Educator (TIE Online)
https://www.tieonlin[...]
2022-01-23
[6]
웹사이트
German schools abroad – where children from different cultures meet
https://www.auswaert[...]
Government of Germany
2022-03-29
[7]
웹사이트
IB World School statistics
http://www.ibo.org/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2013-11-29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imary Curriculum
https://fieldworkedu[...]
Fieldwork Education
2019-07-24
[9]
논문
International schools as gateways to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of North-American teachers
[10]
웹사이트
Recruitment Fairs
http://www.cois.org/[...]
Council of International Schools
[11]
뉴스
'We have been treated like criminals': South Korea abruptly closes B.C. offshore school CBC News
https://www.cbc.ca/n[...]
2018-10-30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chooling: A story of growth, growth and growth (so far…)
https://medium.com/e[...]
2022-02-06
[13]
웹사이트
Data
https://iscresearch.[...]
2022-01-23
[14]
웹사이트
The Quiet Crisis in Recruitment
https://unihousing.c[...]
Unihousing
2019-12-19
[15]
웹사이트
Continued growth for international K-12 schools with greater emphasis on mid-market segment
https://monitor.icef[...]
2022-02-06
[16]
뉴스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rootless and without a home?
https://www.theguard[...]
2013-10-29
[17]
웹사이트
Third Culture Kids: Citizens of everywhere and nowhere
https://www.bbc.com/[...]
2022-02-08
[18]
간행물
シンガポールにおける教育産業制度調査
https://www.jetro.go[...]
独立行政法人 日本貿易振興機構 シンガポール事務所
2019-10-24
[19]
일반자료
[20]
일반자료
[21]
웹사이트
人気上昇中! マレーシアの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事情:「家族で海外移住」という選択・第4回
https://www.lifehack[...]
2014-11-23
[22]
웹사이트
第III部 我が国及び各国の国際教育の動向
http://open_jicarepo[...]
JICA
2019-10-24
[23]
웹사이트
大学入学資格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4]
웹사이트
大学の国際化に対応する大学入学資格の見直し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10-24
[25]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等の現状について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1-08-20
[26]
서적
英語を子供に教えるな
中公新書ラクレ
[27]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外国人学校)
http://kotobank.jp/w[...]
朝日新聞社
2011-08-20
[28]
뉴스
キーワード「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外国人学校) 『朝日新聞』 平成23年8月10日朝刊 教育面
[29]
뉴스
〔アングル〕中国の外国系私立学校に逆風、政府の公立重視政策と内向き志向で
https://jp.reuters.c[...]
2023-11-10
[30]
웹사이트
4章 各国・地域における大学進学・留学プロセス分析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10-24
[31]
웹사이트
日本育ちの子を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に入れるのは愚の骨頂だ(西宮 凛) | FRaU
https://gendai.media[...]
[32]
웹사이트
日本育ちの子を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クールに入れるのは愚の骨頂だ(西宮 凛) | FRaU
https://gendai.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