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은 남수단의 평화와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창설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다.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의 일원으로, 공병, 의료 지원, 인도주의적 활동을 수행하며, 보르 지역의 사회 기반 시설 재건과 주민 지원에 기여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도로 및 공항 건설, 의료 지원, 난민 보호소 운영 등이 있으며, 문화 교류를 통해 현지 주민과의 유대감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평화 유지군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평화 유지군 -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은 2010년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파견되어 도로 및 교량 복구, 학교 및 병원 건설,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2012년 철수한 대한민국 군 부대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사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군사사 - 불곰사업
    불곰사업은 1990년대 대한민국이 러시아 경제난으로 제공한 차관을 현물로 상환받아 T-80U 전차, BMP-3 장갑차, 이글라 미사일 등 러시아제 무기를 도입한 사업으로, 국군 전력 증강과 국방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품질 문제, 기술 이전 제한, 뇌물 스캔들 등의 논란도 있었다.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기본 정보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기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기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휘장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 휘장
한빛부대 지휘권 교대식 (2014년)
한빛부대 지휘권 교대식 (2014년)
원어 이름Republic of Korea Sudanese Reconstruction Assistance Force
大韓民國 南蘇丹 再建支援團
활동 기간2013년 3월 1일 ~ 현재
소속합참
종류유엔 평화유지군
역할남수단 재건 및 의료지원
규모290명
본부종글레이 주 보르
별명한빛부대(한빛部隊, Hanbit Unit)
표어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
참전UNIMISS
영어 명칭
영어 명칭Republic of Korea South Sudanese Reconstruction Assistance Force - UNMISS
Hanbit Unit

2. 파병 배경 및 경과

남수단수단과 인종·종교 문제로 오랜 내전을 겪고 2011년 7월 9일 수단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UN 회원국 중 193번째로 가입한 신생 독립국이다. 남수단의 평화 건설을 지원하고 신생 국가로서 국제사회가 요망하는 형태로 발전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UN 안보리 결의안 1996호(2011년 7월 8일)에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7월 26일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파병 요청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2012년 9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군부대의 국제연합 남수단 임무단 파견 동의안'을 최종 의결하고 2013년 1월 7일 280여 명 규모의 대한민국 남수단 재건지원단(한빛부대)을 정식 창설하였다.[2][3]

2. 1. 남수단 독립과 UNMISS 창설

1956년 수단이 독립한 후에도 북부와 남부는 두 차례 내전을 치렀다.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남부가 수단에서 분리되어 독립 국가인 남수단이 탄생되었다. 국제 연합은 남수단의 평화와 안보 및 개발 여건 지원을 위해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을 창설하였다. 2011년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대한민국 정부에 파병을 요청하였고, 정부는 2012년 9월 27일에 부대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켜 2013년 1월 한빛부대를 창설했다.

제1차 수단 내전 (1955–1972)과 제2차 수단 내전 (1983–2005)이 그것이다.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남부 지역은 수단으로부터 분리되었고, 2011년 7월 남수단은 독립 국가가 되었다. 유엔은 2011년 남수단의 평화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을 창설했다. 2011년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대한민국 정부에 유엔 평화 유지 임무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육군 부대를 남수단에 파병해 줄 것을 요청했다.[2] 대한민국은 2012년 9월 27일, 전담 평화 유지군을 창설하고 파병하는 데 합의했고, 그 결과 2013년 1월 한빛부대가 창설되었다.[3]

2. 2. 대한민국 한빛부대 파병

1956년 수단 독립 이후 북부와 남부는 두 차례의 내전을 겪었다.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남부가 수단에서 분리되어 독립 국가인 남수단이 탄생되었다. 국제 연합은 남수단의 평화와 안보 및 개발 여건 지원을 위해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을 창설하였다. 2011년 반기문 UN사무총장이 대한민국 정부에 파병을 요청하였고, 정부는 2012년 9월 27일에 부대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켜 2013년 1월 한빛부대를 창설했다.[2]

3. 부대의 구성 및 임무

'한빛' 부대 명칭은 순우리말로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 빛"을 의미하며, "남수단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밝은 빛"이 되라는 뜻을 담고 있다. 부대 상징은 푸른 바탕에 태극 문양과 망고로 구성되어 있다. 푸른 바탕은 남수단의 푸른 미래, 즉 평화와 희망을 상징하고, 가운데 태극 문양은 남수단을 지원하는 대한민국을 의미한다. 망고는 대한민국의 재건 지원을 통한 남수단의 희망과 번영을 상징한다.[24]

한빛부대의 상징 해설


부대가는 2014년 4월 한빛부대 3진 공보과장 박진완 소령이 직접 작곡/작사했으며, 레바논 동명부대에 이어 두 번째 해외 파병 부대가로 제정, 사용되고 있다. 부대 구호는 '남수단의 태양처럼! 뜨거운 열정으로!'이다.[24]

한빛부대가

3. 1. 부대 구성

Horizontal Military Engineering Company영어 공병부대로 편성된 한빛부대는 재건임무 및 책임지역 기반시설 공사와 건축물 시공을 전담하는 공병대를 주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난민구호 및 의료지원, 정보통신·수송·정비·급양지원 및 경호 임무 등 전투근무를 지원하는 직할대로 편성되어 있다.[24]

한빛부대는 280여 명 규모로, 이 중 3/4은 공병과 의료부대원이고, 1/4은 이들을 보호하는 경비병력 70여 명이다. 2012년 1진 때는 경비병력으로 특공여단의 병사들을 보냈으나, 2진부터는 특전사 대원들을 보냈다.[24] 이 부대는 의료 지원 및 공병 지원을 제공하여 남수단의 재건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4]

3. 2. 부대 임무

남수단 한빛부대는 오랜 내전으로 낙후된 남수단의 조기 안정과 평화 건설을 위해 재건 지원, 대민 의료 지원, 인도주의적 활동을 통한 민군작전을 수행한다.[24] 한빛부대는 280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3/4은 공병과 의료 부대원이고, 이들을 보호하는 경비 병력은 1/4인 70여 명이다. 2012년 1진은 경비 병력으로 특공여단 병사들을 보냈으나, 2진부터는 특전사 대원들을 파견했다.[24]

한빛부대는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 예하 11개 파병 국가 중 하나로, 중국, 일본, 방글라데시와 함께 남수단의 사회 기반 시설 재건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남수단 재건지원단'(HMEC: Horizontal Military Engineering Company) 공병부대로 편성되었다. 재건 임무 및 책임 지역 기반 시설 공사와 건축물 시공을 전담하는 공병대가 주축이며, 난민 구호 및 의료 지원, 정보통신·수송·정비·급양 지원, 경호 임무 등 전투 근무를 지원하는 직할대가 있다.[24]

2013년 11월 28일 새벽, 남수단의 NGO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사무실에 AK 소총으로 무장한 강도단이 침입하여 한인 근무자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빛부대 특전사 대원들은 긴급신고를 받고 즉각 출동하여 무장강도들을 제압하고 재외국민들을 무사히 구출했다. 유엔 연락장교인 마이크 채드윅 호주군 대령은 이를 "구출작전의 정석을 보였으며 남수단임무단(UNMISS)의 성공적인 작전사례가 될 것이다.”라고 칭찬했다.[24]

4. 주요 활동 및 성과

2013년 8월 15일, 한빛부대는 유엔평화유지군으로서 100일 동안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여 UN으로부터 UN메달을 수여받았다.

한빛부대는 20여 년간의 내전을 딛고 독립한 남수단 정부의 조기 안정과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종글레이주 보르시에 위치한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 보르 기지에서 재건 지원 및 다양한 인도적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현지인들로부터 '신이 내린 축복'이라는 칭송을 받으며, 과거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6.25 전쟁의 상흔을 극복하고 경제 강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남수단 국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고 있다.

한빛부대는 남수단 파병 2년 동안, 주야와 휴일을 가리지 않고 평화유지지원활동을 펼쳐 남수단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해주고, 대한민국 대표 군사 외교관으로서 남수단 정부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조성하는 등 국위선양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4. 1. 재건 지원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 보르기지에서 재건지원 임무를 수행 중인 한빛부대는 보르공항 주기장 및 활주로 보수공사와 헬리패드 신설공사, 보르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대한 긴급 복구공사를 완료하였다. 현재는 남수단 정부의 숙원사업인 보르시와 수도 주바 간 194km 도로 중 보르~망겔라 125km 구간의 도로 보수공사(희망로 작전)를 진행 중이다. 주바에서 보르에 이어지는 유일한 교통로로 2014년 12월 공사가 완료될 예정이다. 도로 보수공사가 완료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현지 주민들의 생활여건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돼 남수단의 새로운 '희망의 동맥' 역할을 하게 된다.[5][6]

한빛부대는 나일강 상류의 집중호우로 수위가 상승해 보르시가 침수될 위기에 처하자 유실된 제방을 긴급 복구하여 20만 보르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했다. 하지만 매년 우기(4월∼11월)가 되면 고질적인 범람으로 인해 보르시 대부분이 침수되는 현상을 반복하며 주민들의 생활은 피폐하게 되었다. 2014년 6월, 보르시의 요청에 따라 한빛부대는 백나일강 차수벽 공사를 시작했고 2개월여 간의 공사 끝에 보르시 시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해 주었다. 이를 계기로 니알(Nhial) 보르 시장이 한빛부대가 이룬 차수벽 공사 완공에 감사의 마음을 담은 자필 편지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해 해외파병부대의 귀감이 되기도 했다.

2013년 12월, 보르시에서 정부군과 반정부 간 대규모 교전으로 수많은 사상자와 난민이 발생하게 되자 한빛부대는 즉시 UNMISS 보르기지 내에 피난민보호소를 확장하고 화장실과 급수시설 설치, 쓰레기 수거, 오물 처리, 방역지원을 통해 전염병 예방활동을 펼쳤다. 이 밖에도 피난민보호소에 있던 남수단 거주 외국인 1,678명의 자국이송작전을 지원하고, 세계식량계획(WFP) 식량창고에서 2회에 걸쳐 식량 65톤과 생필품 15톤을 수송하는 등 난민들의 식량부족 사태 방지를 지원했다. 한빛부대의 헌신적인 인도적 활동을 유엔은 '성공적인 난민보호 작전 사례'로 평가했으며, 남수단 국방부 장관(꼬올 마냥 주크)은 '한국군의 헌신적인 지원과 국민들의 생명 보호'에 감사를 전하기도 했다. 특히, 2014년 7월에는 보르기지 외곽에 보르 POC(난민보호소)를 새로 신설해 난민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한빛부대는 재건지원 임무와 함께 한국군 특유의 '정'을 바탕으로 한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을 다각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014년 5월 7일에는 보르시 유일의 병원인 종글레이 주립병원에 75kW 발전기 1대를 공여하여 전력부족으로 의료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던 문제를 해결해 주었고, 낙후된 농업기술과 기근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남수단 주민들에게 농업 기술을 전수하고 주민들의 자립과 식량수급 해결을 위해서 종글레이주 정부와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새마을 운동을 모델로 한 '한빛농장'을 운영해 오고 있다. 또한, 2014년 11월 처음으로 남수단 현지 농업기술자 및 정부 인사 15명을 방한연수 목적으로 초청해 '한강의 기적'의 원동력이 된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대한민국의 눈부신 발전을 알리는데 기여했다.

한빛농장에서 채소 수확


방한연수단 방문


2014년 12월에는 보르시 마을에 르왈딧 초등학교를 건립하고 교육에 필요한 책상, 의자 등을 지원하여 열악한 환경으로 학업을 포기해야 했던 아이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민의료지원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특히, 의료 혜택이 전무한 현지 주민들에게 최소한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험과 불편을 무릅쓰고 현지 10개 마을에 대해 방문진료를 계속해왔다. 이러한 한빛부대의 헌신적인 대민의료지원은 2014년 9월, 환자진료 1만 명을 돌파하며 내전으로 인해 상처받은 주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돌보는데 기여했다. 더불어 보르 UN기지 내 2천 500여 명을 수용하고 있는 난민보호소(POC) 환자들과 UNMISS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료와 방역, 수질검사, 백신접종 등의 예방의무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르왈딧 초등학교 신축


현지 마을방문 의료지원


그밖에도 남수단 어린이·고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태권도·축구·음악교실을 열고, 난타·마술·사물놀이 공연을 펼치는 등 한국문화 교류 활동을 통해 현지 주민과의 친한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보르-망겔라 도로는 남수단의 보르와 남수단의 수도인 주바를 연결하는 유일한 간선 도로이며, 주바는 남수단의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다. 과거 2~3일이 걸리던 이 도로는 약 5시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운송 비용 절감을 통해 공산품 가격을 낮춰 경제 여건을 개선하고 지역 간 교류를 확대하여 주민 통합에 기여했다.[5][6]

백나일강은 한빛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보르 시를 관통하는 강이다. 이 강은 식수, 관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주요 수원이다. 매년 우기 때 보르는 만성적인 홍수 피해를 겪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빛부대는 2014년에 백나일강을 따라 약 17km의 인공 제방을 건설했다. 보르의 홍수를 막는 것 외에도, 이 건설 프로젝트는 도시의 주택 및 도로 건설을 활성화하여 보르의 주거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한빛부대는 향후 KOICA와 협력하여 나일강 제방에 배수 펌프를 설치할 예정이다.

한빛 직업 훈련 학교는 남수단을 위한 인적 자원 개발 프로그램이다. 이 학교는 2016년 4월에 개교했으며, 학생들이 기술을 배우는 것을 돕는다. 이 학교는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해온 사람들에게 농업, 목공, 전기, 용접, 건축, 제빵 등의 기술을 소개했다. 식량 부족이 해소되면서 지역 사회의 자립도가 향상되었고, 남수단 사업체의 수익도 증가했다. 한빛 부대는 또한 재건 노력을 통합하기 위한 기지를 설립하여 다양한 남수단 부족 간의 협력을 촉진했다.[9][10]

4. 2. 인도주의적 지원

한빛부대는 20여 년 간의 내전을 딛고 수단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남수단 정부의 조기 안정과 재건 지원을 돕고있다. 유엔남수단임무단(UNMISS) 보르 기지에서 재건 지원 임무와 다양한 인도적 지원활동을 펼치며 현지인들로부터 '신이 내린 축복'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다.[11] 과거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6.25 전쟁의 상흔을 딛고 성장한 대한민국이 남수단에 국제사회 일원으로 참여하며 남수단 국민들에게 '우리도 할 수 있다. 대한민국처럼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 주고 있다.[11]

한빛부대는 보르공항 주기장 및 활주로 보수공사와 헬리패드 신설공사, 보르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대한 긴급 복구공사를 완료하였다.[11] 현재는 남수단 정부의 숙원사업인 보르시와 수도 주바 간 194km 도로 중 보르~망겔라 125km 구간의 도로 보수공사(희망로 작전)를 진행 중이다.[11] 2014년 12월 완공 예정이었던 이 도로는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현지 주민들의 생활여건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11]

나일강 상류의 집중호우로 보르시가 침수될 위기에 처하자, 한빛부대는 유실된 제방을 긴급 복구하여 20만 보르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했다.[11] 2014년 6월에는 보르시의 요청에 따라 백나일강 차수벽 공사를 시작, 2개월 여 간의 공사 끝에 보르시 시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위한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해 주었다.[11] 이를 계기로 니알(Nhial) 보르 시장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자필 편지를 보내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11]

2013년 12월, 보르시에서 정부군과 반정부 간 대규모 교전으로 수많은 사상자와 난민이 발생하자, 한빛부대는 UNMISS 보르기지 내에 피난민보호소를 확장하고 화장실과 급수시설 설치, 쓰레기 수거, 오물 처리, 방역지원을 통해 전염병 예방활동을 펼쳤다.[11] 피난민보호소에 있던 남수단 거주 외국인 1,678명의 자국이송작전을 지원하고, 세계식량계획(WFP) 식량창고에서 식량 65톤과 생필품 15톤을 수송하는 등 난민들의 식량부족 사태 방지를 지원했다.[11] 2014년 7월에는 보르기지 외곽에 보르 POC(난민보호소)를 새로 신설해 난민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했다.[11]

한빛부대는 2014년 5월 7일 종글레이 주립병원에 75kw 발전기 1대를 공여하여 전력부족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11] 또한, 종글레이州 정부와 협력하여 새마을 운동을 모델로 한 '한빛농장'을 운영하며 남수단 주민들에게 농업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11] 2014년 11월에는 남수단 현지 농업기술자 및 정부 인사 15명을 방한연수 목적으로 초청해 대한민국의 발전 노하우를 전수했다.[11]

2014년 12월에는 보르시 마을에 르왈딧 초등학교를 건립하고 교육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했다.[11] 또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민의료지원활동을 펼쳐왔다.[11] 2014년 9월, 환자진료 1만 명을 돌파했으며, 보르 UN기지 내 난민보호소(POC) 환자들과 UNMISS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료와 방역, 수질검사, 백신접종 등의 예방의무활동을 병행하고 있다.[11]

그밖에도 남수단 어린이·고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태권도·축구·음악교실을 열고, 난타·마술·사물놀이 공연을 펼치는 등 한국문화 교류 활동을 통해 현지 주민과의 친한화에도 기여하고 있다.[11]

한빛부대는 의료 지원이 필요한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의료진은 4명의 장교, 3명의 간호 장교, 1명의 군의관을 포함하여 약 20명의 군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1][12]

4. 3. 문화 교류

2013년, 한빛 부대는 남수단 주민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16년 리우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 참가한 선수들 중 일부를 포함하여, 2016년 기준으로 약 1,000명이 주바와 보르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었다.[13]

한빛 부대는 유엔의 날과 같은 다양한 문화 교류 행사에 참여했다. 이 행사에서 부대는 태권도와 한국 전통 타악기인 사물놀이 공연을 펼치는 등 한류를 알렸다.[14]

또한, 남수단 어린이, 고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축구, 음악 교실을 열고, 난타, 마술 공연을 하는 등 한국 문화 교류 활동을 통해 현지 주민과의 친선을 도모하고 있다.

4. 4. 일본 자위대 탄약 지원 논란

2013년 12월부터 남수단 내전에서 남수단 정부와 싸우는 반군 세력이 유엔 평화유지군 주둔지에 접근했다. 대한민국 육군은 남수단 지원단을 통해 반군과의 전쟁을 위해 총기를 비축했다. 2013년 12월 22일, 대한민국 육군미 육군아프리카 사령부로부터 약 5,000발의 탄약을 받았고, 다음 날에는 K-2 소총과 호환되는 5.56mm 소총탄 10,000발을 일본 자위대에게 지원받았다.[15]

이는 대한민국 육군과 일본 자위대가 창설 이후 군수 물자를 지원한 첫 번째 사례이다.[15] 그러나 관련 기사는 일본 자위대의 지원만 보도했다. 이는 한국 내 일본 군대의 감정이나 일본의 무기 수출 3원칙과 같은 한일 교류와는 별개의 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한 남한 정당은 자위대에서 탄약을 빌린 것은 대한민국 육군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한빛부대가 공병으로 구성된 재건 부대이므로 유엔의 규정에 따라 적절한 무장과 탄약을 갖추고 있으며, 유엔군 사령부의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16]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에 과민 반응을 보였고, 일본 총리 아베 신조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한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자, 대한민국 국방부는 탄약이 도착하면 반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2014년에 모든 탄약을 반환했다.[17]

4. 5. 참수부대 장비 한빛부대 전용 논란

2019년 6월 26일, 유사시 북한 지휘부를 제거하기 위해 창설된 참수부대에 보급될 예정이었던 소음기, 조준경, 확대경, 야간투시 장비 등 60세트를 한빛부대 훈련용으로 가져갔다. 당초 예산 집행 후 구매한 장비도 참수부대에 보급하지 않았는데, 타 부대로 보급하면서 참수부대 해체 관측이 나왔다. 한빛부대는 공병부대로 활주로 건설, 제방 복구 등을 담당하며, 경비 병력은 전체의 1/4이다. 이 경비 병력에게 한국군 특수부대에도 없는 최신형 전투 장비를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1]

참조

[1] 뉴스 Korean PKO troops install street lamps in South Sudan http://english.yonha[...] 2017-12-16
[2] 뉴스 반기문 '남수단 비전투병력 파병 검토해 달라' http://www.asiae.co.[...] 2011-07-26
[3] 뉴스 아프리카 남수단 재건에 한국군이 앞장선다 http://www.segye.com[...] 2013-01-07
[4] 웹사이트 "한빛부대 남수단 안정화 지원 감사" http://kookbang.dema[...] 2017-11-06
[5] 웹사이트 경제 중심축 '희망로' 뚫고 매년 범람 백나일강 차수벽 설치…남수단의 '미래'를 건설하다 http://kookbang.dema[...] 2017-11-06
[6] 뉴스 남수단 '희망의 길' 닦는다…한빛부대 9진 280명 파병 http://www.edaily.co[...] 2018-03-05
[7] 웹사이트 Security Check Required http://kookbang.dema[...] 2017-11-06
[8] 웹사이트 빛난 한빛부대 백나일 강 범람 막았다 http://kookbang.dema[...] 2017-11-06
[9] 웹사이트 남수단 한빛부대 '한빛직업학교' 현지 주민에 '호평' http://kookbang.dema[...] 2017-11-06
[10] 웹사이트 Security Check Required https://www.facebook[...] 2017-11-06
[11] 웹사이트 남수단 장애 어린이 한빛부대 도움으로 한국서 다리 고친다 http://kookbang.dema[...] 2017-11-06
[12] 웹사이트 Security Check Required https://www.facebook[...] 2017-11-06
[13] 웹사이트 남수단에 태권도 씨앗을 http://kookbang.dema[...] 2017-11-06
[14] 웹사이트 Security Check Required https://www.facebook[...] 2017-11-06
[15] 뉴스 한빛부대 실탄 지원 놓고 韓·日 '소리 없는 총성' http://m.news.naver.[...] 2017-12-11
[16] 뉴스 국방부 "한빛부대, UN 규정에 따라 탄약 가져가" http://m.news.naver.[...] 2017-12-11
[17] 뉴스 "한빛부대 군수지원 받으면 日자위대 실탄 즉시 반환" http://m.news.naver.[...] 2017-12-11
[18] 뉴스 남수단 한빛부대 300m에 박격포탄 2발 '쾅' http://m.news.naver.[...] 2017-12-11
[19] 뉴스 유엔, 한국에 남수단 추가파병 요청…한빛부대 '실탄 장전' http://mbn.mk.co.kr/[...] 2017-12-12
[20] 뉴스 [단독]한빛부대, 식량·탄약 보급 끊겨 '사실상 고립' http://news.naver.co[...] 2017-12-11
[21] 뉴스 남수단 정부군, 한빛부대 주둔 보르 탈환 주장 http://news.kbs.co.k[...] 2017-12-12
[22] 뉴스 박 대통령, 에티오피아서 한빛부대 장병 격려 http://www.hani.co.k[...] 2016-05-27
[23] 웹사이트 한국군 해외파견현황(2014.11.27 기준) http://www.peacekeep[...] 대한민국 국방부
[24] 간행물 한빛부대, 남수단서 무장강도 제압 국위 선양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