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불어시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불어시민당은 2020년 3월 18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비례대표 연합 정당이었다.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 창당에 대한 반발로 시민을위하여가 더불어민주당과 연합하여 결성되었으며, 2020년 4월 15일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 17석을 얻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과의 합당을 거쳐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불어민주당 - 열린민주당
    열린민주당은 더불어민주당의 중도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창당되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의 정신을 계승하며 비례대표 의석 확보에 집중, 21대 총선에서 3석을 확보했으나 더불어민주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고, 진보적 성향을 드러냈으며, 이후 새로운 열린민주당이 창당되었다.
  • 더불어민주당 - 민주당 (2014년 대한민국)
    민주당(2014년 대한민국)은 새정치민주연합과의 합당에 반대한 당원들이 결성한 정당으로, 더불어민주당과의 유사 당명 논란 속에 결국 더불어민주당과 합당했다.
더불어시민당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더불어시민당
한자 표기더불어市民黨
로마자 표기Deobureo-simindang
약칭PP
창당일2020년 3월 8일
등록일2020년 3월 16일
해산일2020년 5월 13일
본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대로
후신민주당 (사실상)
창립자우희종
최배근
회원 년도2020년
이념자유주의 (한국)
주요 연합 정당민주당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상징 색상파랑
웹사이트더불어시민당
기타 정보
다른 이름(영어)
지도자공동대표: 우희종
공동대표: 최배근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6
스펙트럼중도 - 중도좌파
이념자유주의
진보주의
국회 의석17/300석 (2020년 4월 15일)
광역단체장0/17석 (2020년 3월 23일)
광역의회0/824석 (2020년 3월 23일)
기초단체장0/226석 (2020년 3월 23일)
기초의회3/2927석 (2020년 3월 23일)
개명 전 이름시민을위하여 (~2020년 3월 17일)
상징 색상파란색
당 지도부
대표우희종
최고위원호사카 유지
조만행
정도상
정은해
김인규
사무총장정은혜
선거 연합
연합 정당민주당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이미지
더불어시민당 로고
더불어시민당 로고

2. 역사

2020년 3월 2일우희종, 최배근에 의해 '''시민을위하여''' 창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우희종과 최배근은 창당 선언문을 통해 미래통합당(현재의 국민의힘)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새로운 선거법의 취지를 훼손시키고 국회의원 의석을 약탈하기 위하여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한 것을 비난했다.[41] 우희종과 최배근은 2020년 3월 8일에 시민을위하여를 창당했다.[42]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3월 17일에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대표 연합 정당을 형성하기로 결의했고[43][44][45][46] 2020년 3월 18일에는 당명을 '''더불어시민당'''으로 변경했다.[47] 그러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은 소속 당원들이 더불어시민당의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서 탈락하자 비례대표 후보를 독자 공천하기로 결정했다.[48]

녹색당은 원래 75%가 넘는 당원들이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비례대표 연합 정당에 참여하기로 결의했으나 나중에 번복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성소수자 후보를 출마시켰던 녹색당은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성소수자 문제와 관련된 정당과는 연합 정당에 참여하기에 문제가 있다."고 발언한 사실을 지적했다.[49] 2020년 3월 25일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던 이훈, 이종걸, 신창현, 이규희, 제윤경, 심기준, 정은혜가 더불어민주당의 제명 절차를 거쳐 더불어시민당에 합류했다.[50] 2020년 3월 27일에는 윤일규 국회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하고 더불어시민당에 합류했다.

더불어시민당은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 17석을 차지했다. 2020년 5월 12일에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간의 합당이 양당 중앙위원회의 투표를 통한 의결 절차를 통해 통과되었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찬성 97.7%, 더불어시민당에서는 찬성 100%를 기록했다. 양당 최고위원회는 2020년 5월 13일에 합동회의를 열고 합당 절차를 마무리했다.

2. 1. 창당 배경 (2020년)

2020년 3월 2일, 우희종 서울대학교 교수와 최배근 건국대학교 교수는 '시민을위하여'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41][23] 이들은 미래통합당(현재의 국민의힘)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새로운 선거법의 취지를 훼손하고 국회의원 의석을 약탈하기 위해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한 것을 비난했다.[41][16] 3월 8일, 우희종과 최배근은 시민을위하여를 창당하고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42][4]

당초 더불어민주당은 자유한국당의 위성정당 창당에 대해 "부정한 투표 청소 행위"라며 비판적인 입장이었다.[16] 그러나 조국의 비리 혐의 발각과 경제 정책 부진으로 인한 중도층 및 젊은층 지지율 하락이 우려되자,[18][19] "국회 제1당 수성"을 위해 비례대표 정당 활용을 모색하기 시작했다.[20]

더불어민주당은 민생당, 녹색당 등과의 연합도 모색했으나,[21] 3월 17일, 문재인을 지지하는 플랫폼 정당인 '시민을 위하여'를 연합 대상으로 결정하고,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대표 연합 정당을 형성하기로 결의했다.[43][44][45][46][22] 이에 따라 '시민을 위하여'는 3월 18일 당명을 '''더불어시민당'''으로 변경했다.[47][26]

녹색당은 당초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비례대표 연합 정당에 참여하기로 결의했으나,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성소수자 문제와 관련된 정당과는 연합 정당에 참여하기에 문제가 있다."고 발언한 사실을 지적하며 번복했다.[49][10]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은 소속 당원들이 더불어시민당의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서 탈락하자 독자 공천하기로 결정했다.[48] 이후 가자!평화인권당은 비례 연합에서 탈퇴했다.[28]

더불어민주당과 시민을위하여의 연합 결정은 정의당 등 진보계 소수 정당들의 지지율 급락을 초래했다.[29] 한겨레는 칼럼을 통해 "정치의 후퇴"이며 "선거법을 무력화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31]

2. 2. 비례대표 연합 정당 구성

2020년 3월 2일우희종, 최배근에 의해 '''시민을위하여''' 창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우희종과 최배근은 창당 선언문을 통해 미래통합당(현재의 국민의힘)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새로운 선거법의 취지를 훼손시키고 국회의원 의석을 약탈하기 위하여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한 것을 비난했다.[41] 이후 3월 8일에 시민을위하여를 창당했다.[42]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3월 17일에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대표 연합 정당을 형성하기로 결의했고[43][44][45][46], 3월 18일에는 '시민을위하여'가 당명을 '''더불어시민당'''으로 변경했다.[47] 그러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은 소속 당원들이 더불어시민당의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서 탈락하자 비례대표 후보를 독자 공천하기로 결정했다.[48]

녹색당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의 성소수자 차별 발언을 지적하며 비례대표 연합 정당 참여를 번복했다.[49]

2. 3.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

2020년 3월 2일 우희종, 최배근에 의해 '''시민을위하여''' 창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미래통합당(현재의 국민의힘)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새로운 선거법의 취지를 훼손시키고 국회의원 의석을 약탈하기 위하여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한 것을 비난했다.[41] 2020년 3월 8일 시민을위하여가 창당되었고[42], 이후 더불어민주당과의 비례대표 연합 정당 논의를 거쳐 3월 18일 당명을 '''더불어시민당'''으로 변경했다.[47]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3월 17일에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가자환경당, 가자!평화인권당과 함께 비례대표 연합 정당을 형성하기로 결의했고[43][44][45][46], 이후 더불어시민당에 합류하기 위해 이훈, 이종걸, 신창현, 이규희, 제윤경, 심기준, 정은혜 의원이 제명 절차를 거쳤다.[50] 윤일규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더불어시민당에 합류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시민당은 더불어민주당과 공약이 완전히 같다는 비판을 받아 수정하기도 했다.[32] 또한, 선거법상 공동 선거운동이 금지되었음에도 실질적으로 하나의 팀으로 선거운동을 진행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경고를 받았다.[33]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더불어시민당의 목표였던 비례대표 의석 확보가 완료됨에 따라, 2020년 5월 12일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간의 합당이 양당 중앙위원회의 투표를 통한 의결 절차를 통해 통과되었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찬성 97.7%, 더불어시민당에서는 찬성 100%를 기록했다.[12] 양당 최고위원회는 2020년 5월 13일에 합동회의를 열고 합당 절차를 마무리했다.[13]

2. 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합당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은 비례대표 17석을 차지했다.[34] 이는 미래한국당의 19석(득표율 33.8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이며, 더불어시민당은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미래한국당에 이어 국회 제4당이 되었다.

선거 직후인 4월 20일,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과 통합할 방침을 밝혔다.[35] 2020년 5월 12일에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간의 합당이 양당 중앙위원회의 투표를 통한 의결 절차를 통해 통과되었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찬성 97.7%, 더불어시민당에서는 찬성 100%를 기록했다. 양당 최고위원회는 2020년 5월 13일에 합동회의를 열고 합당 절차를 마무리했으며,[36] 더불어시민당은 더불어민주당에 흡수되는 형태로 해산되었다.

기본소득당시대전환 소속으로 당선된 2명은 의원직 유지를 위해 합당에 앞서 5월 12일에 제명된 후 원래 정당으로 복귀했다.[37]

3. 이념 및 성향

더불어시민당은 문재인 대통령 지지 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지지 성향으로 묘사되며, 조국 전 장관의 법무부 장관 임명을 지지했다.[6][7] 협력 협약 당시, 민중당을 포함한 여러 중도좌파 정당들은 문재인 대통령 지지 인사들이 이끄는 선거 연합에 참여하고 싶지 않아서 합류를 거부했다.[7]

더불어시민당의 동성결혼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지 않았는데, 더불어민주당이 명시적으로 LGBT 옹호 정당을 연합에 포함시키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7]

4. 비판 및 논란

5. 역대 지도부

우희종, 최배근 공동창당준비위원장 체제로 2020년 3월 2일부터 3월 7일까지 운영되었다.[38]

우희종, 최배근 공동대표와 호사카 유지, 조민행, 정도상, 구본기, 서대원 최고위원, 정은혜 사무총장으로 구성된 지도부이다.[38]

공동대표는 禹希宗崔培根이 선출되었다.[38] 최고위원은 보사카 유지(日系韓国人), 조민행, 정도상, 구본기, 서대원이 선출되었다.[38] 이후 우희종 공동대표 체제로 변경되었다.

5. 1. 창당준비위원회 (2020.03.02 ~ 2020.03.07)

우희종, 최배근 공동창당준비위원장 체제로 2020년 3월 2일부터 3월 7일까지 운영되었다.[38]

5. 2. 1기 지도부 (2020.03.08 ~ 2020.05.18)

우희종, 최배근 공동대표와 호사카 유지, 조민행, 정도상, 구본기, 서대원 최고위원, 정은혜 사무총장으로 구성된 지도부이다.[38]

공동대표는 禹希宗崔培根이 선출되었다.[38] 최고위원은 보사카 유지(日系韓国人), 조민행, 정도상, 구본기, 서대원이 선출되었다.[38] 이후 우희종 공동대표 체제로 변경되었다.

6. 주요 선거 결과

최배근colspan="3" bgcolor="lightgrey" |9,307,11233.361717/3002위여당


6. 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은 비례대표 후보만 공천하였다. 비례대표 득표율 33.35%를 기록하여 17석을 획득하였다. 지역구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으로 출마하였다.

선거지도자지역구비례대표의석 수순위지위
득표수%의석 수득표수%의석 수
2020우희종
최배근
colspan="3" bgcolor="lightgrey" |9,307,11233.3617172위여당


7. 비례대표 순번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시민당 후보 목록 참고

8. 역대 정당 당원 및 당내 관련 사안

분류:더불어시민당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문서 共同市民黨, 共に市民党
[2] 웹사이트 null http://www.thebriefi[...] 2024-04-13
[3] 뉴스 창당선언문 http://platformparty[...] 2020-03-02
[4] 뉴스 [세계타임즈TV] 시민을 위하여 플랫폼 정당 창당대회 http://m.thesegye.co[...] 2020-03-08
[5] 뉴스 [속보]민주, 비례연합당 '시민을위하여'에 합류 https://www.nocutnew[...] 2020-03-17
[6] 뉴스 "'시민을위하여'와 연합"…'친 조국' 비례정당과 손잡은 민주당 https://www.hankyung[...] 2020-03-17
[7] 뉴스 與, 범여 원로 주축 '정치개혁연합' 대신 親조국 '시민을위하여'와 비례당 꾸리기로 https://news.chosun.[...] 2020-03-17
[8] 뉴스 민주, 비례연합 플랫폼 '시민을위하여' 선택 https://www.yonhapne[...] 2020-03-17
[9] 뉴스 민주당 비례정당은 '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은 유사품" https://news.joins.c[...] 2020-03-18
[10] 뉴스 녹색당, 비례연합정당 합류 제안에 "참여 않는다" 재확인 https://www.vop.co.k[...] 2020-03-22
[11] 뉴스 민주당 "현역 의원 7명, 더불어시민당에 파견" http://www.sisajourn[...] 2020-03-25
[12] 웹사이트 Election law should be revised before integration with proportional parties http://www.donga.com[...] 2020-04-25
[13] 뉴스 민주당-더불어시민당 합당 마무리…민주당, 177석으로 21대 국회 시작 https://world.kbs.co[...] 2020-05-13
[14] 뉴스 범진보 비례연합 윤곽..'시민을 위하여' 첫 합류 "주내 후속통합"(종합) https://news.v.daum.[...]
[15] 뉴스 韓国国会で公選法改正案可決 「準連動型比例代表制」初導入=最大野党は猛反発 https://jp.yna.co.kr[...] 2019-12-27
[16] 뉴스 比例制を突き崩すか、自由韓国党が崩れるか http://japan.hani.co[...] 2020-01-05
[17] 뉴스 미래한국당 창당대회…초대 당 대표 한선교 만장일치 추대 https://newsis.com/v[...] 2020-02-05
[18] 뉴스 韓国・文政権、正念場 4月総選挙、敗北なら死に体に https://www.nishinip[...] 2020-01-04
[19] 뉴스 韓国総選挙へ政党再編 投票まで2カ月 大統領選「前哨戦」対決も https://www.sankei.c[...] 2020-02-17
[20] 뉴스 現実論を追った「比例連合政党」、民主党の前に「3つの沼」 http://japan.hani.co[...] 2020-03-10
[21] 뉴스 「議席要求された」「していない」…見苦しい「比例連合政党」 http://japan.hani.co[...] 2020-03-19
[22] 뉴스 結局民主党が牛耳る比例連合党…親文団体と連携 http://japan.hani.co[...] 2020-03-18
[23] 뉴스 플랫폼 정당 '시민을 위하여' 창당 기자회견 https://www.yna.co.k[...] 2020-03-02
[24] 뉴스 [세계타임즈TV] 시민을 위하여 플랫폼 정당 창당대회 http://m.thesegye.co[...]
[25] 뉴스 시민을위하여 "정의당 빼고 비례연합 할 수도...최후통첩" https://www.ytn.co.k[...] 2020-03-10
[26] 뉴스 民主党、共に市民党に「議員貸し出し」開始 http://japan.hani.co[...] 2020-03-23
[27] 뉴스 더불어시민당 비례후보 34명 확정…소수정당 두군데는 탈락(共に市民党 比例候補34名確定・・・少数政党2個は脱落) https://news.joins.c[...] 2020-03-23
[28] 뉴스 「共に市民党」公認漏れ団体が李容洙さんをけしかけたって? http://www.chosunonl[...] 2020-05-09
[29] 뉴스 巨大二党の「衛星政党」の横暴で、少数政党の居場所むしろ狭まる http://japan.hani.co[...] 2020-03-26
[30] 웹사이트 【日韓経済戦争】疑惑のタマネギ男「検察が捜査すると反乱が起こる?」「追及記者56人の実名がネットでさらされる」韓国紙で読み解く https://www.j-cast.c[...] 2019-09-07
[31] 뉴스 [コラム]「チョ・グクの教訓」忘れた危うい民主党 http://japan.hani.co[...] 2020-03-19
[32] 뉴스 与党の比例党が公約を修正、「共に民主党」の公約の書き写し http://www.donga.com[...] 2020-04-02
[33] 뉴스 選挙法を作った韓国与党、「法を守れ」と言った選管を攻撃 https://news.chosun.[...] 2020-04-04
[34] 뉴스 比例で最大野党系が19議席獲得 与党系17=韓国総選挙 https://jp.yna.co.kr[...] 2020-04-16
[35] 뉴스 [社説]与党の「衛星交渉団体」作り放棄、野党も倣うべき http://japan.hani.co[...] 2020-04-21
[36] 뉴스 韓国最大野党が比例政党と合併合意 103議席に=与党は177議席 https://jp.yna.co.kr[...] 2020-05-14
[37] 뉴스 민주, 시민당 합당 가결…용혜인·조정훈 원적복귀(民主、市民党合同可決・・・ユヘイン・チョジョンフン原籍復帰) https://www.yna.co.k[...] 2020-05-12
[38] 뉴스 더불어시민당 공관위 구성…시민단체·검찰개혁 지지 교수 등(共に市民党の公認管理委員会構成・・・市民団体・検察改革支持教授など) https://www.yna.co.k[...] 2020-03-20
[39] 뉴스인용 [세계타임즈TV] 시민을 위하여 플랫폼 정당 창당대회 http://m.thesegye.co[...]
[40] 뉴스인용 민주당-더불어시민당 합당 마무리..민주당, 177석으로 21대 국회 시작 https://news.v.daum.[...]
[41] 뉴스인용 창당선언문 http://platformparty[...] 2020-03-02
[42] 뉴스인용 [세계타임즈TV] 시민을 위하여 플랫폼 정당 창당대회 http://m.thesegye.co[...] 2020-03-08
[43] 뉴스인용 [속보]민주, 비례연합당 '시민을위하여'에 합류 https://www.nocutnew[...] 2020-03-17
[44] 뉴스인용 "'시민을위하여'와 연합"…'친 조국' 비례정당과 손잡은 민주당 https://www.hankyung[...] 2020-03-17
[45] 뉴스인용 與, 범여 원로 주축 '정치개혁연합' 대신 親조국 '시민을위하여'와 비례당 꾸리기로 https://news.chosun.[...] 2020-03-17
[46] 뉴스인용 민주, 비례연합 플랫폼 '시민을위하여' 선택 https://www.yonhapne[...] 2020-03-17
[47] 뉴스인용 민주당 비례정당은 '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은 유사품" https://www.joongang[...] 2020-03-18
[48] 뉴스인용 가자평화인권당, 시민당 비례배제 반발…"아베보다 나쁜 민주당"(종합) https://www.yna.co.k[...] 2020-03-23
[49] 뉴스인용 녹색당, 비례연합정당 합류 제안에 “참여 않는다” 재확인 https://www.vop.co.k[...] 2020-03-22
[50] 뉴스인용 민주당 “현역 의원 7명, 더불어시민당에 파견” http://www.sisajourn[...] 2020-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