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타 로켓은 미국에서 개발된 우주 발사체로, 초기에는 PGM-17 토르 미사일을 개조하여 제작되었다. 델타 로켓은 다양한 개량형을 거쳐 NASA의 통신, 기상, 과학 위성 및 달 탐사에 사용되었으며, 1972년에는 4자리 숫자 시스템을 도입하여 모델을 세분화했다. 이후 델타 II, 델타 III, 델타 IV 시리즈로 발전하며,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델타 로켓은 일본의 액체 연료 로켓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1969년부터 1978년까지 NAS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발사체였으나, 궤도 폭발로 인해 우주 쓰레기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델타 로켓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 델타 로켓 - 델타 II
델타 II는 맥도넬 더글러스(후에 보잉)에서 제작한 일회용 발사체로, 토르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미국 공군의 GPS 위성 발사를 주 임무로 1989년부터 2018년까지 총 155회 발사되었으며, NASA의 화성 탐사 임무에도 기여했다. -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의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의 우주발사체 - 아틀라스 V
아틀라스 V는 록히드 마틴과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가 개발한 발사체로, 다양한 구성으로 위성 및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며 보잉 스타라이너 유인 캡슐 발사를 통해 유인 우주 비행에도 활용되고 있고, ULA는 벌컨 센타우르 로켓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 로켓 계열 - 뮤 로켓
뮤 로켓은 일본의 우주 개발을 위해 개발된 고체 연료 로켓 시리즈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일본의 인공위성 발사에 기여했으며 과학 연구에도 활용되었다. - 로켓 계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델타 로켓 | |
---|---|
개요 | |
![]() | |
유형 | 일회용 발사 시스템 |
제조사 | 더글러스 항공 (1960–1967) 맥도넬 더글러스 (1960–1997) 보잉 (1997–2006)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 (2006–2024) |
첫 비행 | 1960년 5월 13일 (에코 1) |
퇴역 | 2024년 4월 9일 (NROL-70) |
상태 | 퇴역 |
2. 역사
델타 로켓의 역사는 미국 최초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인 PGM-17 토르에서 시작된다. 1950년대 중반, 영국 등의 동맹국 기지에서 모스크바를 공격하기 위해 설계된 토르 미사일은 1957년 9월에 첫 성공적인 발사를 기록했다. 이후 토르 미사일의 1단을 개량하여 우주 로켓으로 활용하면서 델타 로켓 개발이 시작되었다.[2][3]
NASA는 초기 델타 로켓을 통신, 기상, 과학 위성 및 달 탐사에 사용할 "임시 일반 목적 차량"으로 계획했다. 초기 델타 로켓은 성능보다는 신뢰성을 강조하여 설계되었으며, 문제가 많았던 부품들을 교체하고 유도 시스템을 개선했다.
1986년 1월 28일, 챌린저 호 폭발 사고로 우주왕복선 운용이 중단되면서,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민간 위성 발사도 중단되었다. 이에 따라 델타 로켓의 개발과 생산이 재개되었고, 델타 II 시리즈가 탄생하여 1989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했다.
델타 로켓은 여러 차례 개량을 거듭하며 발전해왔다. 1960년부터 1단 엔진은 LR79-7, MB3-1, MB3-3, RS-27(A/C) 순으로 변경되었지만, 액체 산소/케로신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일관되게 사용했다. 1단의 직경은 2.4m였지만, 연료 탱크 증량에 따라 길이가 여러 번 연장되었다.
1969년부터 1978년까지 델타 로켓은 NAS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발사체였으며, 84번의 발사 시도 중 7번을 제외하고 91.6%의 성공률을 기록했다.[4][5] 그러나 1970년대에 사용된 일부 델타 로켓은 궤도 폭발을 일으켜 궤도 파편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6]
일본의 N-I, N-II은 델타 로켓의 기술을 도입하여 제작되었으며[12][13], H-I 역시 1단에 델타용 주 엔진과 고체 연료 로켓 부스터를 사용하는 등[14] 미국 기술의 비율이 높다.
2. 1. 토르-델타 (초기 델타)
초기 델타 로켓은 미국 공군(USAF)이 배치한 최초의 탄도 미사일인 PGM-17 토르의 개조 버전을 1단계로 사용했다. 토르는 1950년대 중반에 영국이나 그와 유사한 동맹국 기지에서 모스크바를 공격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최초의 완전한 성공적인 토르 발사는 1957년 9월에 있었다. 이후 여러 개의 다른 상단을 갖춘 토르 1단 로켓을 사용하여 위성과 우주 탐사선 발사가 곧 이어졌다. 토르의 네 번째 상단 조합은 그리스 문자의 네 번째 글자를 반영하여 토르 "델타"로 명명되었다. 결국 전체 토르-델타 발사체는 간단히 "델타"로 불리게 되었다.[2][3]NASA는 델타를 "1960년과 1961년 동안 통신 위성, 기상 위성, 과학 위성 및 달 탐사에 사용될" "임시 일반 목적 차량"으로 의도했다. 계획은 다른 로켓 디자인이 출시되면 델타를 대체하는 것이었다. 이 시점부터 발사체 제품군은 델타라는 이름을 가진 케ープ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된 민간용 변종과, 더 호전적인 토르라는 이름을 사용한 반덴버그 공군 기지(VAFB)에서 발사된 군사용 변종으로 나뉘었다. 델타 설계는 초기 토르 비행에서 문제를 일으켰던 부품을 교체하여 성능보다는 신뢰성을 강조했다. 특히 문제가 많았던 관성 유도 장치는 AC 스파크 플러그에서 제작되었으며, 1단이 아닌 2단에 장착된 무선 지상 유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NASA는 1959년 4월 이 설계의 12개 차량에 대한 최초의 델타 계약을 더글러스 항공사에 체결했다.
- 1단계: Block I MB-3 엔진 그룹이 장착된 개조된 토르 IRBM으로, 1개의 로켓다인 LR-79 주 엔진과 2개의 로켓다인 LR-101 버니어 추력기로 구성되어 롤 제어를 제공하며, LOX/RP1 터보 펌프 배기를 포함하여 총 683kN의 추력을 생산한다.
- 2단계: 개조된 에이블. 압력 공급 UDMH/질산 기반 Aerojet AJ-10-118 엔진은 34kN을 생성한다. 이 신뢰할 수 있는 엔진을 제작하는 데 400만달러가 들었고, 오늘날에도 개조된 형태로 비행하고 있다. 가스 제트 우주선 자세 제어 시스템.
- 3단계: 알타이르. 분리 전에 두 개의 고체 로켓 모터로 100 rpm으로 회전 안정화(에이블 상단에 턴테이블을 통해). 하나의 ABL X-248 고체 로켓 모터는 28 초 동안 12kN의 추력을 제공했다. 이 단계의 무게는 230kg이었고, 주로 권선 유리 섬유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차량은 240km에서 370km 저궤도에 290kg을 배치하거나 정지 천이 궤도에 45kg을 배치할 수 있었다. 초기 12번의 델타 발사 중 11번이 성공했으며, 1968년까지 발사 처음 2분 안에 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델타가 달성한 높은 수준의 성공은 서부 해안 토르 발사를 괴롭힌 끊임없는 실패와 대조를 이루었다. 총 프로젝트 개발 및 발사 비용은 4300만달러로, 예산을 300만달러 초과했다. 1962년 이전에 14개의 차량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졌다.

델타는 원래 토르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을 기반으로 2단 로켓으로 발전한 토르 로켓 시리즈가 모체이다. "델타"는 토르의 2단 (중 하나)의 명칭으로, 원래는 "토르-델타"였지만, 미국 항공 우주국 (NASA)이 비군사용 발사에 사용하면서 델타로 개칭했다. 제조는 더글러스 항공사 (후의 맥도넬 더글러스사. 현재는 보잉사에 흡수)였다.
첫 비행은 1960년이었는데, 이때는 실패했지만 이후 순조롭게 성공을 거두어 델타 A-N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1960년 이래 델타의 1단 엔진은 LR79-7→MB3-1→MB3-3→RS-27 (A/C)로 바뀌었지만, 일관적으로 추진제로 액체 산소/케로신을 사용한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1단의 직경은 2.4m이지만, 길이는 연료 탱크의 증량에 따라 여러 번 연장되었다.
델타의 파생형 (델타 A-N)
- 1단은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 토르를 전용 (엔진은 로켓다인 LR79).
- 델타는 2단으로, 질산/UDMH 계열 에어로젯 AJ10-118 엔진을 탑재.
- 델타 A-N: MB-3 블록 II 엔진을 탑재했다. 추력이 기존 680 kN에서 760 kN으로 증강되었다.
- 13호기에서 EPE2, 14호기에서 EPE3를 발사했다.
- 상단이 AJ10-118D로 갱신되었다. 약 0.91m 탱크가 연장되었고, 보다 고에너지의 산화제가 사용되었으며,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유도 장치가 탑재되었다.
- 델타 계획은 '잠정'에서 '운용' 상태가 되었다.
- 91kg을 정지 천이 궤도로 투입하는 능력을 갖는다.
- 15호기에 의해 1962년 12월 13일 NASA의 두 번째 통신 위성인 ''릴레이 1''이 발사되었다. NASA에게 있어서 최초의 능동적인 위성이었다.
- 16호기에 의해 1963년 2월 13일 17b 발사장에서 ''신콤 1호''가 발사되었다. 티오콜제 스타 13B 고체 연료 로켓이 궤도 진입에 사용되었다.
- 1963년 7월 26일, 신콤 2호가 태양 동기 궤도로 투입되었지만 델타 로켓의 성능 제약으로 인해 궤도가 33° 기울어졌다.
- 3단은 기존의 알타이르에서 스카우트 로켓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ABL X-258을 갖춘 알타이르 2로 교체했다. 76mm 길어졌고 10% 무거워졌지만 추력은 총 65% 증가했다.
- 시험적으로 태양 관측 위성 OSO-4를 발사했다.
- 추력 증강형 델타 로켓으로 알려져 있다.
- 추력 증강형 델타 C에 캐스터 1 고체 연료 보조 로켓 3개를 장착했다.
- 25호기는 1964년 8월 19일, 최초의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인 신콤 3호를 발사했다.
- 30호기는 1965년 4월 6일에 인텔샛 1호를 발사했다.
- 추력 증강형 델타 로켓으로 알려져 있다.
- 1965년
- 델타 D보다 45kg 더 무거운 정지 천이 궤도에 투입할 수 있다.
- 캐스터 2는 캐스터 1 고체 연료 보조 로켓과 비교하여 동등한 규모의 추력으로 연소 시간이 더 길다.
- MB-3 블록 III 코어 엔진은 추력이 8.9 kN 더 크다.
- 2단에 AJ10-118E를 채용하여 직경이 기존 0.84m에서 1.4m로 확대되었다. 엔진 연소 시간은 2배가 되었다.
- 재점화 횟수를 무제한으로 하기 위해 가압용 헬륨 탱크가 추가되었다.
- 3단은 알타이르 2 또는 FW-4D의 2기종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후 델타 E1으로 추가되었다.
- 아제나에서 새로운 페어링이 도입되었다.
- 1965년 11월 6일에 첫 번째 델타 E에 의해 기상 위성 GEOS 1이 발사되었다.
- 델타 F: 제작되지 않았다.[15]
- 델타 G: 델타 E의 파생 기종으로 2단식이다.
- 생물 위성 1호와 2호 발사에 사용되었다.
- 1호기는 1966년 12월 14일 생물 위성 1호 발사에 사용되었다.
- 2호기는 1967년 9월 7일 생물 위성 2호 발사에 사용되었다.
- 델타 J: 더 대형인 티오콜 스타 37D 고체 연료 로켓을 3단에 사용.
- 1968년 7월 4일; 익스플로러 38호 발사에 사용되었다.
- 델타 K: 제작되지 않았다.[15]
- 델타 L: 1단 추진제의 탱크를 연장하고, 직경을 약 2.44m로 확대하여 동체에 허리가 없는 형태이다.
- 3단에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FW-4D 고체 연료 모터를 채용했다.
- 델타 M
- 3단
- 연료 탱크 연장형인 소 (MB-3 블록 III)에 캐스터 2 부스터 3기를 증설
- 3단에 아포지 킥 모터로 스타 37D를 탑재
- 1968년부터 1971년에 걸쳐 12기의 발사에 성공[16]
- 델타 N: 델타 M의 파생 기종으로 2단식
- 1968년부터 1972년에 걸쳐 9번 델타 N이 발사되었고, 8번 발사에 성공했다.[17]
2. 2. 델타 A, B, C, D, E, G, J, L, M, N
델타 A, 델타 B, 델타 C, 델타 D, 델타 E, 델타 G, 델타 J, 델타 L, 델타 M, 델타 N은 모두 PGM-17 토르 미사일의 1단 로켓다인 LR79 엔진을 사용한다. 이 엔진은 이후 로켓다인 RS-27, 로켓다인 H-1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각 파생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파생형 | 주요 특징 및 발사 기록 |
---|---|
델타 A | MB-3 블록 II 엔진 탑재. 추력 680 kN → 760 kN 증강. 13호기: EPE2 발사, 14호기: EPE3 발사. |
델타 B | |
델타 C | 3단: 알타이르 → ABL X-258 (스카우트 로켓용) 갖춘 알타이르 2로 교체 (길이 76mm 증가, 무게 10% 증가, 추력 총 65% 증가). 시험적 태양 관측 위성 OSO-4 발사. |
델타 D | 추력 증강형 델타 로켓. 델타 C + 캐스터 1 고체 연료 보조 로켓 3개. 25호기: 1964년 8월 19일, 최초 정지 궤도 통신 위성 신콤 3호 발사. 30호기: 1965년 4월 6일, 인텔샛 1호 발사. |
델타 E | |
델타 G | 델타 E 파생, 2단식. 생물 위성 1호, 2호 발사. 1호기: 1966년 12월 14일, 생물 위성 1호 발사. 2호기: 1967년 9월 7일, 생물 위성 2호 발사. |
델타 J | 3단: 티오콜 스타 37D 고체 연료 로켓 (대형). 1968년 7월 4일, 익스플로러 38호 발사. |
델타 L | 1단: 추진제 탱크 연장, 직경 2.4m 확대 (동체 허리 없음). 3단: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FW-4D 고체 연료 모터. |
델타 M | 3단. 연료 탱크 연장형 소 (MB-3 블록 III) + 캐스터 2 부스터 3기. 3단: 아포지 킥 모터 스타 37D. 1968년~1971년, 12기 발사 성공.[16] |
델타 N | 델타 M 파생, 2단식. 1968년~1972년, 9회 발사, 8회 성공.[17] |
슈퍼 식스 | 델타 M 또는 델타 N + 고체 연료 부스터 로켓 3개. 정지 궤도 투입. |
2. 3. 4자리 숫자 모델 (초기 델타)
1972년, 맥도넬 더글러스는 기존의 문자 명명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4자리 숫자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델타 로켓의 다양한 변화와 개선 사항을 더 잘 수용할 수 있었고, 빠르게 고갈되는 알파벳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7] 각 숫자는 (1) 탱크 및 주 엔진 유형, (2) 고체 로켓 부스터의 수, (3) 2단계, (4) 3단계를 지정했다.[22]숫자 | 첫 번째 숫자 (1단/부스터) | 두 번째 숫자 (부스터 수) | 세 번째 숫자 (2단계) | 네 번째 숫자 (3단계) |
---|---|---|---|---|
0 | 롱 탱크 토르 MB-3 엔진 캐스터 2 SRB | SRB 없음 | 델타 F*, 에어로젯(Aerojet) AJ-10-118F 엔진 포함. *개선된 에어로젯 AJ-10-118 엔진 참조 | 3단계 없음 |
1 | 확장 롱 탱크 토르 MB-3 엔진 캐스터 2 SRB | 해당 없음 | 델타 P*, 더글러스 항공기 회사(Douglas Aircraft Company)가 TRW TR-201 엔진으로 제작. *예외: 아닉-A1 발사를 위한 AJ-10-118F 엔진.[8] | 해당 없음 |
2 |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 엔진 캐스터 2 SRB | 2 SRB (또는 델타 IV 헤비의 경우 CBC) | 델타 K*, AJ-10-118K 엔진 포함. *개선된 에어로젯 AJ-10-118 엔진 참조 | FW-4D (미비행) |
3 |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 엔진 캐스터 4 SRB | 3 SRB | 델타 III 극저온 상단, RL-10B-2 엔진 | 스타 37D |
4 | 확장 롱 탱크 토르 MB-3 엔진 캐스터 4A SRB | 4 SRB | 델타 IV 4m 직경 극저온 상단, RL-10B-2 엔진 | 스타 37E |
5 |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 엔진 캐스터 4A SRB | 해당 없음 | 델타 IV 5미터 직경 극저온 상단, RL-10B-2 엔진 | 스타 48B / PAM-D |
6 | 추가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 엔진 캐스터 4A SRB | 6 SRB | 해당 없음 | 스타 37FM |
7 | 추가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A 엔진 GEM 40 SRB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GEM 46 SRB |
8 | 강화 추가 확장 롱 탱크 토르 RS-27A 엔진 GEM 46 SRB | 해당 없음 | ||
9 | 델타 IV 공통 부스터 코어 (CBC) RS-68 엔진 | 9 SRB | 2개의 추가 CBC 병렬 1단계 |
이 숫자 시스템은 2005년에 도입된 새로운 시스템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9],[23] 실제로는 새로운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았으며, 델타 II를 제외한 모든 로켓이 퇴역했다.
이후 4자리 숫자로 구성을 나타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000의 자리: 1단 코어 스테이지 구성
: 100의 자리: 1단 고체 부스터 개수 (0/3/6/9)
: 10의 자리: 2단 구성
: 1의 자리: 3단 구성
- 델타 0000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사용)
: 0300, 0900
- 델타 1000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사용)
: 1604, 1900, 1910, 1913, 1914
- 델타 2000 (1974년 1월부터 1981년경까지 사용)
: 2310, 2313, 2410, 2910, 2913, 2914
- 델타 3000 (1975년 12월부터 1989년경까지 사용)
: 3910, 3913, 3914, 3920, 3924
: 4925, 5920
1972년 7월 23일, 랜드샛 1호 발사에서 처음으로 고체 연료 보조 로켓 9개를 장착하고, 2단에는 개량된 AJ10-118F를 장착한 사양으로 발사되었다. 이 델타 기종은 904로 식별된다.
2. 4. 델타 II (6000/7000 시리즈)
1986년 챌린저호 폭발 사고 이후 델타 로켓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델타 6000 시리즈는 약 3.66m 더 긴 엑스트라 익스텐디드 롱 탱크 1단과 캐스터 4A 부스터를 도입했다. 6개의 고체 로켓 부스터(SRB)가 이륙 시 점화되었고, 3개는 공중에서 점화되었다.델타 7000 시리즈는 RS-27A 주 엔진을 도입했는데, 이 엔진은 저고도 성능을 일부 희생하여 고고도 효율을 위해 개조되었으며, 허큘리스의 더 가볍고 더 강력한 GEM-40 고체 부스터를 도입했다. 델타 II Med-Lite는 3단이 없고 스트랩온이 적은(대개 3개, 때로는 4개) 7000 시리즈로, 일반적으로 소규모 NASA 임무에 사용되었다. 델타 II 헤비는 델타 III의 확장된 GEM-46 부스터가 장착된 델타 II 792X였다.
2. 5. 델타 III (8000 시리즈)
맥도넬 더글러스/보잉은 위성 질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델타 III (델타 3)를 개발했다. 델타 III는 대형화되는 인공위성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외형 4m의 페어링을 장착했으며, 전장을 억제하기 위해 1단 로켓의 연료 탱크를 4m로 대형화한 뚱뚱한 외관이 특징이다.[10]- 저성능 연료를 사용하는 두 개의 상단 로켓 단계를 단일 극저온 단계로 교체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반복 비용과 발사대 작업량을 줄였다. 엔진은 센타우르 상단 로켓에서 가져온 단일 프랫 & 휘트니 RL10이었다. 주황색 단열재로 덮인 지름 4미터의 수소 연료 탱크는 노출되어 있으며, 더 좁은 산소 탱크와 엔진은 로켓 단계 점화 전까지 덮여 있다. 연료 탱크는 미쓰비시에 위탁 제작되었으며 일본 H-II 발사체의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었다.[10]
- 스택의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횡풍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1단 케로신 탱크의 폭을 넓히고 길이를 줄여 상단 로켓 단계와 페어링 직경에 맞췄다.
- 9개의 확대된 GEM-46 고체 부스터가 부착되었다. 세 개는 추력 벡터링 노즐을 가지고 있다.
1998년 8월과 1999년 5월 발사에 실패하여 상업 위성을 잃었지만, 2000년 8월에 다시 발사를 실시하여 시험용 페이로드를 중고도 궤도에 투입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실패가 거듭되면서 신뢰를 쌓을 수 없었고, 후속 델타 IV의 완성이 가까워져 델타 III를 존속시킬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에 3호기 발사를 끝으로 퇴역하게 되었다.[10]
2. 6. 델타 IV (9000 시리즈)



미국 공군의 발전형 소모성 발사체(Evolved Expendable Launch Vehicle: ''EELV'') 계획에 따라 맥도넬 더글러스/보잉은 델타 IV를 제안했다. 이 계획은 기존 발사체의 부품과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보잉과 록히드 마틴이 각각 EELV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델타 IV는 앨라배마주 디케이터의 신규 공장에서 생산된다.
델타 IV는 델타 III까지 사용된 직경 2.4m의 액체산소/케로신 연료 1단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했다. 직경 5.1m의 새로운 1단 코어 스테이지(공통 코어 부스터, CBC)는 1970년대 우주왕복선의 주 엔진 이후 미국에서 처음으로 신규 개발된 액체 산소/액체 수소 추진 RS-68형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한다. 이 엔진은 비용 절감을 위해 저압 연소실과 단순한 구조의 노즐을 특징으로 하며, 연소실과 노즐 상부는 소련에서 개발된 채널 월 구조를 도입했다. 노즐 하부는 어블레이션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2단은 델타 III와 동일한 RL10B-2형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한다. 발사탑 배관 및 전기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델타 IV는 페이로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CBC만 사용하는 미디엄, 델타 III보다 대형화된 직경 60인치 고체 연료 부스터(GEM-60G)를 장착하는 미디엄-플러스, 그리고 1단에 CBC 3개를 묶은 헤비 모델이 있다. 이를 통해 정지 천이 궤도(GTO)로 4210kg에서 13130kg까지의 페이로드를 운반할 수 있다.
- 미디엄 (2003년 3월 첫 비행)
- 미디엄-플러스 (4,2) (2002년 11월 첫 비행)
- 미디엄-플러스 (5,2)
- 미디엄-플러스 (5,4) (2009년 12월 첫 비행)
- 헤비 (2004년 12월 첫 비행)
3. 일본과의 관계
일본은 델타 로켓 기술을 도입하여 액체연료 로켓 개발을 시작했다.[12][13] N-I 및 N-II 로켓은 델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주요 부품은 미국에서 수입했다.[14] H-I 1단 역시 델타 로켓의 엔진과 고체 연료 부스터를 사용했다. 일본은 N1 로켓을 시작으로 LR-79 엔진을 17년간 라이선스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일본은 자체적으로 미쓰비시 LE-7 엔진을 개발했지만, 초기에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미국의 기술 지원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신뢰성
1969년부터 1978년까지 델타 로켓은 NAS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발사체였다. 총 84번의 발사 중 7번의 실패 또는 부분 실패가 발생하여 91.6%의 성공률을 기록했다.[4][5] 같은 기간 동안 스카우트는 32번 발사되어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된 발사체였다.[4] NASA는 자체 위성뿐만 아니라 다른 정부 기관이나 외국 정부의 위성도 비용 상환 방식으로 발사했으며, 총 63개의 위성이 발사되었다.[5]
1970년대에 사용된 일부 델타 로켓은 궤도 폭발을 일으켜 우주 쓰레기 문제를 야기했다.[6] 1973년부터 1981년 사이에 발사된 8기의 델타 2단 로켓은 1973년부터 1991년 사이에 파편 발생 사고에 연루되었는데, 주로 발사 후 3년 이내에 발생했지만, 다른 로켓들은 10년 이상 지난 후에 파편화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폭발은 종료 후 남은 추진제에 의해 발생했으며, 추진제의 특성과 방치된 로켓이 처한 열적 환경으로 인해 폭발은 불가피했다. 1981년에 추진제 소진 연소가 시작되면서 궤도 폭발 문제는 해결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Delta IV Heavy – NROL-70
https://nextspacefli[...]
2024-02-09
[2]
웹사이트
Ch. 1: Launch Vehicles
https://history.nasa[...]
NASA
[3]
서적
Origin of NASA Names
NASA Science and Technical Information Office
[4]
웹사이트
NASA Historical Data Book, Vol. III
https://history.nasa[...]
NASA
[5]
웹사이트
Listing of Thor-Delta Vehicles
https://history.nasa[...]
NASA
[6]
웹사이트
50-Year Old Rocket Stage Involved in Orbital Debris Event
https://spaceflight1[...]
2017-04-02
[7]
웹사이트
Vehicle Description: Four Digit Designator
http://kevinforsyth.[...]
[8]
웹사이트
Delta P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9]
encyclopedia
Delta
http://www.astronaut[...]
2008-05-07
[10]
뉴스
ドーピングには御用心 - 中型から背伸びした大型ロケット「デルタIII」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6-08-10
[11]
뉴스
スペースXとロシアによって倒された米国の基幹ロケット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6-08-24
[12]
웹사이트
JAXA N-Iロケット
https://www.jaxa.jp/[...]
日本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6-08-13
[13]
웹사이트
JAXA N-IIロケット
https://www.jaxa.jp/[...]
日本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6-08-13
[14]
웹사이트
JAXA H-Iロケット
https://www.jaxa.jp/[...]
日本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6-08-13
[15]
웹사이트
Delta beyond 1974 (incl. Delta 2)
http://www.designati[...]
Directory of U.S. Military Rockets and Missiles
2008-01-08
[16]
웹사이트
Delta M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17]
웹사이트
Delta N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18]
웹사이트
NASA Historical Data Book, Vol. III
http://history.nasa.[...]
NASA
2018-03-29
[19]
웹사이트
Listing of Thor-Delta Vehicles
http://history.nasa.[...]
NASA
2018-03-29
[20]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or-Delta Development and Operations
http://history.nasa.[...]
NASA
2018-03-29
[21]
웹사이트
Delta Chronology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08-28
[22]
웹사이트
Vehicle Description: Four Digit Designator
http://kevinforsyth.[...]
2008-05-07
[23]
웹사이트
Delta
http://www.astronaut[...]
200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