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와 미치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가와 미치야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무장이다. 1567년 우키타 가문의 가신 도가와 히데야스의 적자로 태어났으며, 우키타 가문을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1600년 오이에 소동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어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활약하고, 이후 도쿠가와 가문에서 중용되었다. 1628년 사망했으며, 차남 도가와 마사야스가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와세번주 - 구제 시게유키
구제 시게유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막부 로주로, 여러 번의 전봉을 거쳐 세키야도 번, 니와세 번, 가메야마 번, 요시다 번을 통치했으며, 지샤 봉행, 와카도시요리를 거쳐 로주를 역임하며 쇼토쿠 금화 및 교호 은화 주조를 담당하다 1720년에 사망했다. - 니와세번주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676년)
마쓰다이라 노부미치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빗추 니와세 번주와 데와 가미야마 번주를 지냈으며, 마쓰다이라 노부유키의 차남으로 태어나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아 3만 석 영지를 다스렸다. - 비젠국 사람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비젠국 사람 - 우키타 히데이에
우키타 히데이에(1572-1655)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신임을 얻어 고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유배된 인물이다.
도가와 미치야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도가와 미치야스 |
다른 이름 | 오모쿠 (유명) 다쓰야스 조시치로 (가명) 에토 다쓰야스 (혼명) 규안 |
시호 | 없음 |
계명 | 후헨인 가쿠뇨 거사 |
묘소 | 도쿄도오타구이케가미의 영수원 오카야마현오카야마시미나미구세오 지역의 세이류지 |
관위 | 종5위하・히고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생애 |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에이로쿠 10년 (1567년) |
사망 | 간에이 4년 12월 25일 (1628년1월 31일) |
가문 | |
씨족 | 도가와 씨 |
부모 | 아버지: 도가와 히데야스 어머니: 이시카와 하루키요 딸 |
형제자매 | 본인: 도가와 다쓰야스 사카자키 나오모리 정실 도가와 마사야스 도가와 가쓰야스 |
배우자 | 오사후네 기이노카미의 딸 오카 이에토시의 딸 |
자녀 | 헤이스케 히오키 사몬 실 호리 나오카게 정실 도가와 마타자에몬 실 하나후사 유키쓰구 정실 도가와 마사야스 도가와 노리야스 도가와 야스토모 도가와 야스토시 도가와 야스요시 도가와 다쓰미 손로쿠 무라카미 미쓰마사 실 등 |
관직 및 봉록 | |
주군 | 우키타 나오이에 히데이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
번 | 비추니와세 번 번주 |
기타 | |
특이 사항 | 휘는 ‘규안’이라고도 쓰며, 에도 중기에 편찬된 막부 공식 계도집인 『간세이 중수 제가보』 게재의 도가와 씨 계도에서 보인다. 또한 자손이 ‘규’의 글자를 통자로 하고 있다. |
직위 | |
도가와 가 당주 | 대수: 2 임기: 1586년 ~ 1628년 전임자: 도가와 히데야스 후임자: 도가와 마사야스 |
니와세 번 번주 (도가와 가) | 대수: 1 임기: 1600년 ~ 1628년 후임자: 도가와 마사야스 |
2. 생애
에이로쿠 10년(1567년), 우키타 씨 가신 토가와 히데야스의 아들로 태어났다.[1] 어린 나이에 첫 출진하여 무공을 세운[2] 이후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가독을 상속받고, 우키타 히데이에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3], 오다와라 정벌[4] 및 임진왜란(분로쿠·게이쵸의 역)에 우키타 군의 주력으로 참전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5]
한때 우키타 가문의 국정을 책임지기도 했으나, 주군 히데이에와의 갈등과 가문 내 분쟁(오이에 소동)을 겪었다. 결국 게이초 5년(160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를 받아들여 우키타 가문을 떠나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
같은 해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전공을 세웠으며[6], 이 공으로 비츄 니와세(庭瀬) 지역에 3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 이후 오사카 전투에도 참전하였고, 에도 막부에서는 쇼군의 말상대가 되어주는 오토기슈(御伽衆)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등 도쿠가와 가문의 신임을 받았다. 겐나 5년(1619년)에는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영지를 몰수당했을 때 히로시마성 인수 및 사후 처리를 담당하는 봉행 중 한 명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간에이 4년(1628년) 6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가독은 차남 마사야스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와 우키타 가문에서의 활약
에이로쿠 10년(1567년), 우키타 씨 가문의 가신 토가와 히데야스의 적자로 태어났다. 토가와 가문은 비젠 스가 씨(菅氏)의 일족으로 알려져 있다.[1]덴쇼 7년(1579년), 13세의 나이로 비젠 신카와(新川) 전투에 처음 출진하여 모리 군의 코바야카와 타카카게 부대를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2] 이후 아버지 히데야스가 은거하자 가독을 상속받아 비젠의 토코야마성 성주가 되었다.
우키타 가문의 주요 장수로서 여러 전투에 참전하며 무용과 지략을 떨쳤다. 오다 군과 함께한 비츄 다카마츠성 공격에서는 모리 측의 지성인 칸잔성, 미야지야마성, 가모성 등을 공략했다. 이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네고로(根来) 공격, 시코쿠 정벌(이치노미야성 공격), 규슈 정벌[3](이와이시성, 마스토미성, 휴가 타카조성 공격), 오다와라 정벌[4](야마나카성, 오다와라성 공략)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분로쿠·게이쵸의 역)에도 우키타 군의 주력으로 참전했다. 가토 기요마사를 오랑카이(오랑캐) 경계 지역에서 지원했으며, 벽제관 전투[5], 행주산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 남원성 전투 등 조선 각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활약했다. 특히 네지레자카 전투에서는 용맹하기로 이름난 시마즈 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며 이치반노리(一番乗り, 가장 먼저 적진에 돌격함)의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우키타 가문은 당주 우키타 나오이에 사후, 아버지 히데야스를 포함한 '우키타 삼로'(宇喜多三老)라 불리는 중신들이 어린 당주 우키타 히데이에를 보좌하는 체제였다. 그러나 덴쇼 19년(1591년) 나가후네 사다치카가 암살되고, 분로쿠 원년(1592년)에는 미치야스의 장인이기도 한 오카 이에토시마저 병사하면서 나오이에 시대의 중신들이 사라지자, 미치야스가 국정을 책임지게 되었다.
하지만 분로쿠 3년(1594년), 히데이에는 돌연 미치야스를 국정 담당에서 해임했다. 히데이에가 미치야스보다 나가후네 츠나나오를 더 총애하여 그에게 국정을 맡기려 했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이 일로 미치야스는 나가후네 츠나나오와 대립하게 되었고, 주군 히데이에게도 불만을 품게 되었다. 이후 마에다 씨 가문에서 고히메가 히데이에게 시집올 때 새로 발탁된 나카무라 지로베에가 히데이에의 신임을 얻으면서 미치야스와 히데이에 사이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또한 히데이에와 고히메가 기리시탄에 관심을 보이자, 일련종 신자가 대부분이었던 우키타 가신들 사이에서는 동요가 일어났다. 이런 상황 속에서 나가후네 츠나나오마저 급사하면서 가문의 긴장은 극에 달했다.
결국 게이초 5년(1600년) 1월, 우키타 가문 내에서 오이에 소동(집안 분쟁)이 발생했다(우키타 소동). 전년에 사망한 나가후네 츠나나오의 뒤를 이어 국정을 맡은 나카무라 지로베에에 대해 미치야스가 사카자키 나오모리, 오카 엣젠노카미 등과 함께 강한 반감을 드러내며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치달았다. 이 사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일단락되었고, 미치야스는 우키타 가문을 떠나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
2. 2. 우키타 가문과의 갈등과 오이에 소동
나오이에 사후, 우키타 씨는 아버지 토가와 히데야스를 포함한 우키타 삼로(三老)라 불리는 중신들이 당주 히데이에를 후견하는 체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텐쇼 19년(1591년)에 중신 나가후네 사다치카가 암살되고, 분로쿠 원년(1592년)에는 장인이기도 한 오카 부젠노카미(이에토시)마저 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나오이에 시대의 중신들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치야스가 국정을 책임지게 되었다.하지만 분로쿠 3년(1594년), 히데이에는 갑작스럽게 미치야스를 국정 담당 자리에서 해임했다. 이는 히데이에가 미치야스보다 나가후네 키노카미를 더 총애하여 그에게 국정을 맡기려 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일로 미치야스는 나가후네 키노카미와 대립하게 되었고, 주군인 히데이에에게도 불만을 품게 되었다. 이후 마에다 씨 가문에서 고히메가 히데이에에게 시집올 때 새로 발탁된 나카무라 지로베에가 히데이에의 신임을 얻자, 미치야스와 히데이에 사이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설상가상으로 히데이에와 고히메가 기리시탄에 관심을 보이자, 가신단의 다수를 차지하던 일련종 신자들 사이에서 동요가 일어났다. 또한 나가후네 키노카미가 급사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우키타 가문 내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결국 게이초 5년(1600년) 1월, 우키타 가문 내에서 큰 내분인 오이에 소동(우키타 소동)이 발생했다. 이는 전년에 사망한 나가후네 키노카미의 뒤를 이어 국정을 맡은 나카무라 지로베에에 대해, 미치야스가 우키타 아키이에, 오카 엣젠노카미 등과 함께 강한 반감을 품고 충돌 직전까지 갔기 때문이다. 이 사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겨우 수습되었고, 그 결과 미치야스는 우키타 가문을 떠나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 같은 해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전공을 세웠다.[6]
2. 3. 도쿠가와 가문에서의 활약과 말년
게이초 5년(1600년) 1월, 히데이에의 총애를 받던 나카무라 지로베에에 대한 반감으로 오이에 소동(우키타 소동)이 일어났다. 타츠야스는 우키타 아키이에, 오카 엣젠노카미 등과 함께 나카무라에 맞서며 가문 내 갈등이 극에 달했으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를 받아들여 우키타 가문을 떠나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같은 해 발발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활약했다. 전투의 서전 격인 기소강·아와도강 전투에서 선봉에 서서 공을 세웠으며(이치반야리), 본 전투에서도 전공을 세웠다[6]. 이때 가토 요시아키의 진지를 빌려 싸웠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또한, 하야시마 토가와 가문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시다 미츠나리의 핵심 가신이었던 시마 키요오키를 직접 죽였다고 하며, 이때 노획한 것으로 추정되는 키요오키의 투구가 쿠노잔 토쇼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7].
전투 후, 그 공로를 인정받아 비츄 니와세 지역에 3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 이후 오사카 전투에도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중용되어 에도성 내에서 쇼군의 말상대가 되어주는 오토기슈(御伽衆)의 일원이 되었으며, 자신의 풍부한 전투 경험을 젊은 하타모토(막부 직속 무사)들에게 전수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겐나 5년(1619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영지를 몰수당하고 개역되었을 때, 히로시마성으로 파견되어 나가이 나오카츠, 안도 시게노부와 함께 세 명의 봉행으로서 성의 인수 및 사후 처리를 담당했다.
간에이 4년(1628년) 12월 25일,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가독은 차남인 마사야스가 이었다. 장남 헤이스케(잇사이)는 폐적되어 가문을 잇지 못했다. 다른 아들들인 삼남 레안, 사남 야스유, 오남 야스토시는 각각 하타모토 신분으로 분가를 이루었다 ([https://web.archive.org/web/20030714173550/http://homepage.mac.com/miyao380/isai.html 토가와 씨 분가 정보 (웹 아카이브)]).
순서 | 이름 | 비고 |
---|---|---|
장남 | 헤이스케 (잇사이) | 폐적됨 |
차남 | 토가와 마사야스 | 니와세 번 2대 번주 |
삼남 | 토가와 레안 | 하타모토 분가 (하야시마 토가와 가문) |
사남 | 토가와 야스유키 | 하타모토 분가 (오비토케 토가와 가문) |
오남 | 토가와 야스토시 | 하타모토 분가 (무라타 토가와 가문) |
신장이 크고 튼튼하며, 힘은 보통 사람들을 훨씬 뛰어넘었다고 전해진다. 늙어서는 마치 인왕과 같은 모습이었다고 한다.
또한, 도쿠가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명한 단도인 "토가와 시즈"는 그가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평가
4. 계보
참조
[1]
웹사이트
戸川氏系譜
http://www2.harimaya[...]
[2]
서적
日本戦史‧中国役(補伝 第八十二戸川達安の戦功)
https://dl.ndl.go.jp[...]
[3]
서적
日本戦史‧九州役(補伝 第七十五戸川達安の武功)
https://dl.ndl.go.jp[...]
[4]
서적
日本戦史‧小田原役(補伝 第九十戸川達安兄弟の意氣)
https://dl.ndl.go.jp[...]
[5]
서적
日本戦史‧朝鮮役(補伝 第七十八戸川達安碧蹄の戦功)
https://dl.ndl.go.jp[...]
[6]
서적
日本戦史‧関原役(第五篇 第二章 本戦)
https://dl.ndl.go.jp[...]
[7]
뉴스
島左近の遺品公開 久能山東照宮博物館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