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련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련종은 1253년 니치렌이 "나무묘법연화경"을 외친 것을 시작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다. 법화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삼고, "나무묘법연화경"을 외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일련종은 니치렌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었으며, 일치파와 승열파, 수불시파와 부수불시파 등 교리적 차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3대 비법, 오종수행 등을 수행하며, 대만다라, 일탑양존사사, 일존사사 등 다양한 형태의 본존을 숭배한다. 일본, 미국, 한국 등 전 세계적으로 사찰과 신도를 두고 있으며, 정치 및 사회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불교 - 히가시혼간지
    히가시혼간지는 1602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분리되어 설립된 정토진종 사찰로, 에도 시대 대화재를 겪었으나 재건되었고, 창건당과 아미타당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세기 정치적 갈등과 종파 분쟁 후 현재는 진종본묘로 운영되고 있다.
  • 일본의 불교 - 고야산
    고야산은 승려 쿠카이가 819년에 개창한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이며, 해발 800미터 평원에 위치하며 단상가람 등 여러 사찰과 부속 사찰을 갖추고 있으며, 철도 등으로 접근 가능하고 고야두부 등의 특산품이 있으며, 2020년 일본유산으로 인정받았다.
  • 불교의 종파 - 경종 (불교)
  • 불교의 종파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일련종

2. 역사

1253년(겐초 5년) 4월 28일, 니치렌이 아침 해를 향해 "나무묘법연화경"이라고 제목을 외친 것(입교개종)을 시작으로 한다. 중세근세에는 법화종으로 자칭했으며, 특히 중세에는 '''니치렌종'''은 멸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니치렌은 단일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고, 자신을 계승할 동등한 지위의 6명의 수제자(육로승)를 지정했다고 알려져 있다.[7] 이들은 각자 몬류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비전과 법문을 상속했으며, 때로는 몬류 간의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 니치렌이 지정한 6명의 수제자는 다음과 같다.


  • 닛쇼 (1221–1323)
  • 니치로 (1245–1320)
  • 닛코 (1246–1333)
  • 민부 니코 (1253–1314)
  • 닛초 (1252–1317)
  • 니치지 (1250–unknown)


에도 시대에는 승려 양성 기관인 단린이 창설되었고, 단린에서의 학계는 "법류"(법연·법권) 제도로 이어졌다. 메이지 시대에 단린은 폐지되었고, 1941년에는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이 삼파 합동으로 대등 합병하여 새로운 "니치렌종"으로 재편되면서 본말 제도와 법류 관계가 해소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길러져 온 본산·법류 관계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2024년 현재에도 주지 이동은 기본적으로 법류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쇼 시대에는 현본법화종 혼다 닛쇼를 중심으로 문하 각 파 통합 운동이 전개되었다. 1914년 니치렌 문하 7종파 관장이 이케가미 혼몬지에서 '각 교단 통합 대회의'를 개최하고, 1915년에는 일치파 '''니치렌종'''을 제외한 승열파 6종파 통합이 성립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 니치렌슈(일련종)는 일본 불교의 한 종파로서, 일제의 조선 불교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한국 불교계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 니치렌슈는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 불교의 영향을 받았던 것에서 벗어나 한국 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독자적인 발전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 1. 니치렌의 생애와 가르침

2월 16일 니치렌 쇼닌의 탄생 기념일을 맞아 비단 옷을 입고 숭배하는 니치렌 쇼닌의 거대한 조각상. 야마나시현의 미노부산 구온지 절.


일련종은 미노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미노부 종"이라고도 불린다. 이 종파의 본산인 구온지는 니치렌이 은둔 생활을 하고 묻히기를 원했던 미노부 산에 있다.[5][6] 또 다른 중요한 사찰은 니치렌이 사망한 이케가미 혼몬지이다. 따라서 니치렌의 가장 중요한 유물과 저술, 일본의 국보로 여겨지는 것들이 이 종파의 보호 아래 있다.

니치렌 본인을 물리적으로 표현한 조각상을 포함한 다양한 조각상으로 양쪽이 둘러싸인 일반적인 니치렌슈 제단. 다른 문화적 동화 국가에서는 다른 종교적 인물들의 혼합도 허용될 수 있다. 구온지 절, 미노부 산.


이 종파는 다른 불교 전통에 대해 개방적이고 관대한 견해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혼합된 불교 신념과 신토 관행을 자신들의 니치렌 불교 미학에 혼합하거나 통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교적 조각상 사용, 신기함을 위한 슈인의 붉은 도장 관행, 불교 점술 민속 관행과 신토 마법 의식의 밀교적 결합, 관대한 사진 촬영 및 서예 고혼존의 완만한 배포 등이 있다.

니치렌슈는 니치렌이 단일 후계자를 지정했다고 믿지 않는다. 니치렌 쇼슈에서 가르치는 것과는 달리, 그는 자신을 계승할 동등한 지위의 6명의 수제자를 지정했다고 주장한다. 니치렌이 지정한 6명의 수제자는 닛쇼, 니치로, 닛코, 민부 니코, 닛초, 니치지이다.[7]

니치렌슈는 법화경 제16장의 석가모니불을 영원한 부처로 지정하는 반면, 니치렌은 제21장의 사명을 가진 상행보살로 간주한다.[8] 그는 "법의 말세"에서 진정한 을 옹호하는 "사자(使者)"이다. 이 종파는 석가모니를 "원래 부처"로 지정하며, 석가모니만이 니치렌슈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니치렌(니치렌 쇼닌, "성 니치렌")은 다른 불교 종파가 다른 부처나 밀교적 수행만을 강조하거나, 법화경을 무시하거나 조롱했기 때문에 석가모니에게 다시 주목하도록 한 성인이다.

니치렌슈는 니치렌 자신의 저술(''고쇼'' 또는 ''고이분'')을 불교 교리에 대한 해설 또는 지침으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교리, 신념 및 수행을 확립한 니치렌의 5대 저작과 그가 추종자들에게 보낸 많은 목회 서신이 포함된다. 이 종파는 어떤 ''고쇼'' 저술을 진본으로 간주할지에 대해 매우 신중하며, 니치렌 쇼슈에서 받아들여지는 많은 ''고쇼'' 저술은 학자들이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본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일련은 1253년(겐초 5년) 4월 28일, 아침 해를 향해 "나무묘법연화경"이라고 제목을 외친 것을 시작(입교개종)으로 한다. 중세근세에서의 자칭은 법화종이며, 특히 중세에는 '''니치렌종'''은 멸칭으로 여겨지는 경향도 있었다.

일련이 설한 본존(대만다라)·제목·계단을 3대 비법으로 삼고,[27] 여러 경전 중 법화경을 최고의 가르침으로 삼았다. 개조인 일련의 주요 저작 『입정안국론』의 제목에서 유추하여, 국가주의 경향이 강한 가르침이라고 보는 사람이 있다.[28]

일련은 불법(佛法)과 왕법(王法)이 일치하는 왕불명합(王佛冥合)을 이상으로 삼고, 올바른 법에 근거하지 않으면 올바른 정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한, 왕법(정치)의 주체를 천황으로 삼고, 천황이라 하더라도 불법에 거스르면 벌을 받게 되며, 종교상에서의 천황의 권위를 일절 부정하는 불법 절대의 입장에 섰다.

2. 1. 1. 천태종의 영향

일련은 천태종의 교관이문(교상문·지관문)을 교학의 기본으로 삼았다.[28]

  • 법화경에 대해서는 천태 지의의 본적분문에 따라 방편품의 개권현실, 수량품의 개근현원을 이문의 교의로 삼았다.
  • 이승작불과 구원실성을 법화경의 두 가지 큰 일로 삼았다.


위와 같은 내용은 천태 교학을 따르면서도, "법화경의 행자"라는 자각과 말법관을 바탕으로 독자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일련의 시대는 말법이며, 천태종의 종조가 설한 법화경에는 중생을 구제할 힘이 없다고 여겨, 나무묘법연화경이야말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다.

일련은 가마쿠라 시대를 이미 말법에 들어선 시대로 보았고, 아미타여래 신앙, 선종, 밀교의 성행으로 사법이 퍼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법화경을 멸후 말법의 세상을 위해 설해진 경전으로 여겼으며, 특히 "여래수량품"을 재세의 중생이 아닌 멸도 후의 중생 구제를 위해 설해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법화경에 설해진

# 구원본불의 상주

# 견사환고의 비유

# 권지품 20행의 게송

등을 "말법 악세의 상"을 설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당시 현실 (가마쿠라 막부 내부 권력 투쟁, 천변지이, 몽골의 일본 침략)을 일본에서 법화경이 소홀히 여겨진 결과로 보았다.

일련에게 "말법에서의 전도의 중생" · "말법 중병의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는 유일 최상의 양약은 "법화경"뿐이었다. "진언 망국·선천마·염불 무간·율 국적"이라고 격렬하게 타종을 공격하는 "[사개격언]"은, 법화경만이 말법에서 중생을 구제하는 유일한 가르침이며, 다른 가르침은 오히려 중생을 구제에서 멀어지게 한다는 확신에 근거한 것이었다.[27]

2. 1. 2. 말법사상과 법화경

일련은 여러 경전 중에서도 묘법연화경(법화경)을 최고의 가르침으로 삼고, 제목(나무묘법연화경)을 외는 것(창제)을 중시했다.[27] "나무묘법연화경"은 "묘법연화경(법화경)에 귀의한다"는 뜻이다.

일련은 천태의 교학을 따르면서도, "묘법연화경(법화경)의 행자"라는 자각과 말법사상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가르침을 펼쳤다. 그는 자신이 살던 시대를 말법(末法) 시대로 보았고, 천태종의 종조가 설한 법화경으로는 중생을 구제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법화경을 유일한 정법으로 삼은 니치렌은, 교(敎)·기(機)·시(時)·국(國)·서(序)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법화경이 최고의 진리라고 하는 '오강의 교판'을 제시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가르침)법화경의 전반 14장을 적문, 후반 14장을 본문으로 하여, 본문이 사람들을 구제하는 핵심 가르침이라고 보았다.
(소질, 능력)말법 시대의 사람들에게는 법화경이 가장 적합한 가르침이라고 보았다.
(시대)말법 시대에는 법화경이 정법으로 여겨진다고 보았다.
(나라)대승불교가 유포된 일본에는 법화경이 가장 어울린다고 보았다.
(순서)마지막으로 유포될 가르침은 법화경 본문의 가르침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오강의 교판'에서 '시'(말법의 시대)와 '국'(일본)을 중요하게 내세웠기 때문에, 니치렌종 계열 종파들은 다른 종파에 비해 정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2. 1. 3. 오강교판(五綱教判)

일련은 천태종의 교관이문(敎觀二門)을 교학의 기본으로 삼아, 법화경에 대해 천태 지의의 본적분문(本迹分文)에 따라 방편품(方便品)의 개권현실(開權顯實), 수량품(壽量品)의 개근현원(開近顯遠)을 이문의 교의(敎意)로 삼았다.[27] 이승작불(二乘作佛)과 구원실성(久遠実成)을 법화경의 두 가지 큰 일로 보았다.[27] 이는 천태 교학을 따르면서도, "묘법연화경(법화경)의 행자"로서의 자각과 말법관(末法觀)을 바탕으로 한 독자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련은 자신이 살던 시대가 말법(末法)의 시대이므로, 천태종의 종조(宗祖)가 설한 법화경에는 중생을 구제할 힘이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이야말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다.

일련은 천태종의 가르침을 "적문(迹門)의 묘법연화경(法華經)"이며 "이(理)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고 칭하며, 그 사변성(思辨性)과 관념성(觀念性)을 비판했다. 대신 자신의 교의를 본문(本門)으로 삼아 "사(事)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을 주장하며, 실천적·종교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법(진리)을 의지해야 하며, 사람(권력)을 의지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다.

2. 1. 4. 일념삼천(一念三千)

일련은 천태종의 교관이문(教觀二門)을 교학의 기본으로 삼아, 지의의 법화경 해석을 따랐다. 그는 법화경의 방편품(方便品)의 개권현실(開權顯實)과 수량품(壽量品)의 개근현원(開近顯遠)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승작불(二乘作佛)과 구원실성(久遠実成)을 법화경의 두 가지 큰 일로 보았다.[27]

일련은 "법화경의 행자"라는 자각과 말법(末法) 사상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가르침을 펼쳤다. 그는 말법 시대에는 천태종이 설한 법화경으로는 중생을 구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27]

가마쿠라 시대를 말법의 시대로 본 일련은, 아미타 신앙, 선종, 밀교 등이 퍼져 사법(邪法)이 만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법화경을 말법의 세상을 위해 설해진 경전으로 여겼으며, 특히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이 멸도(滅度) 후의 중생 구제를 목적으로 한다고 보았다. 그는 법화경에 나타난 구원본불(久遠本佛)의 상주, 견사환고(遣使還告)의 비유, 권지품(勧持品) 20행의 게송 등을 "말법 악세(悪世)의 상(相)"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당시 가마쿠라 막부 내부의 권력 투쟁, 천변지이, 몽골의 일본 침략과 같은 현실의 문제들을 일본에서 법화경이 소홀히 여겨진 결과로 보았다.

일련은 "말법에서의 전도(顛倒)의 중생"과 "말법 중병(重病)의 중생"을 구제할 수 있는 유일한 가르침은 "법화경"뿐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진언 망국(真言亡国)·선천마(禅天魔)·염불 무간(念仏無間)·율 국적(律国賊)"이라는 "[사개격언(四箇格言)]"을 통해 다른 종파를 비판하며, 법화경만이 중생을 구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7]

2. 2. 니치렌 사후의 분파

니치렌슈는 니치렌이 단일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고, 자신을 계승할 동등한 지위의 6명의 수제자(육로승)를 지정했다고 믿는다.[7] 이들은 각자 몬류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비전과 법문을 상속했으며, 때로는 몬류 간의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

니치렌이 지정한 6명의 수제자는 다음과 같다:

  • 닛쇼 (1221–1323)
  • 니치로 (1245–1320)
  • 닛코 (1246–1333)
  • 민부 니코 (1253–1314)
  • 닛초 (1252–1317)
  • 니치지 (1250–unknown)


니치렌 사후, 그의 제자들은 교리적, 실천적 차이로 인해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니치렌슈는 미노부 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종종 "미노부 종"이라고도 불린다. 이 종파의 본산은 구온지이며, 이케가미 혼몬지 또한 중요한 사찰이다.[5][6]

에도 시대에는 승려 양성 기관인 단린이 창설되었고, 단린에서의 학계는 "법류"(법연·법권) 제도로 이어졌다. 메이지 시대에 단린은 폐지되었고, 1941년에는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이 삼파 합동으로 대등 합병하여 신 "니치렌종"으로 재편되면서 본말 제도와 법류 관계가 해소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길러져 온 본산·법류 관계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2024년 현재에도 주지 이동은 기본적으로 법류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쇼 시대에는 현본법화종 혼다 닛쇼를 중심으로 문하 각 파 통합 운동이 전개되었다. 1914년 니치렌 문하 7종파 관장이 이케가미 혼몬지에서 '각 교단 통합 대회의'를 개최하고, 1915년에는 일치파 '''니치렌종'''을 제외한 승열파 6종파 통합이 성립되기도 했다.

메이지 이후의 분파 과정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현재의 니치렌종은 다양한 몬류와 사상적 조류를 포함하고 있다.

2. 2. 1. 육로승(六老僧)

니치렌 입멸 후, 교단은 육로승(六老僧)을 중심으로 확대되었다. 육로승은 니치렌의 주요 제자 6인을 말한다.

  • 닛쇼
  • 니치로
  • 닛코
  • 니코
  • 닛초
  • 니치지


이들은 각자 몬류(門流)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비전과 법문을 상속했으며, 때로는 몬류 간의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36]

2. 2. 2. 문류(門流)

일련 입멸 후, 교단은 육로승을 중심으로 확대되었지만, 사제 간의 연결에 따라 하마몬류(닛쇼), 이케가미몬류(니치로), 시조몬류(니치조), 로쿠조몬류(니치조), 미노부몬류(니치코), 후지몬류(닛코), 나카야마몬류(니치조) 등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비전·법문을 상속받았고, 때로는 몬류 간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

에도 시대에는 각지에 승려 양성 기관인 단린이 창설되었다. 단린 강당은 고대지에, 학료는 골짜기에 세워졌는데, 이이다카 지방에서는 "골짜기"를 "사쿠"라고 불러 "곡명(사쿠메이)"이 학료의 이명이 되었다. 제자는 스승이 나온 학료에 들어가 학계가 고정되면서 절 주지는 특정 학료 출신으로 한정되거나, 수행 계단에 따른 출세 사격이 정해져 학료마다 "지닌 절", "출생 차례", "출세 절"이 고정되는 "법류"(법연·법권) 제도가 확립되었다. 이처럼 몬류 의식에 학계 의식이 더해져 법류 제도는 매우 강력해졌다.

1872년 메이지 5년, 태정관 정부가 학제를 제정·공포하면서 단린은 폐지되었다. 1941년 구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이 삼파 합동으로 대등 합병하여 신 "니치렌종"으로 재편되면서 본말 제도가 해체되고 법류 관계도 해소되었다. 행정부 종무원이 본산 대신 주지 임면, 종비 과금을 징수하는 등 조직 제도가 개정되었으나, 오랫동안 길러져 온 본산·법류 관계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각 법류는 법류 내 결속을 도모하며, 2024년 현재에도 주지 이동은 기본적으로 법류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쇼 시대 현본법화종 혼다 닛쇼를 중심으로 문하 각 파 통합 운동이 전개되었다. 1914년 니치렌 문하 7종파[36] 관장이 이케가미 혼몬지에서 '각 교단 통합 대회의'를 개최하고, 같은 해 12월 '니치렌 문하 통합 후원회'가 조직되었다. 1915년 6월, 일치파 '''니치렌종'''을 제외한 승열파 6종파[37] 통합이 성립, 1917년 문하 합동 강습회, 같은 해 11월 통합 수학림이 개교했다.[38] 당시 문하 9종파[39]는 종조 니치렌의 '대사'호 수여 운동을 전개, 1914년 11월 궁내성으로부터 니치렌에게 '립정대사' 시호 선하가 이루어졌다.[38]

메이지 이후 동향은 다음 표와 같다.[40]

미노부산구원사나카야마법화경사교토묘만사교토 묘만사 말사 약 200개 사찰교토 묘만사 말사 180개 사찰기타야마 혼몬지와 그 말사 36개 사찰, 이즈 지쓰조지, 교토요호지 말사 34개 사찰, 호다 묘혼지 말사 9개 사찰 외교토 요호지와 그 말사 50개 사찰교토 요호지 말사 30개 사찰미야자키현 내 닛코몬류 8개 사찰미야자키현 내 닛코몬류 1개 사찰휴가 묘코쿠지사이잔 혼몬지호다 묘혼지히치야마조젠지시모조 묘렌지와 그 말사 6개 사찰사누키혼몬지후지다이세이지에치고혼조지교토혼류지교토혼노지오사카 혼인묘지후쿠시마 쇼후쿠지교토묘렌지유세이지오카야마묘가쿠지오카야마혼가쿠지사이조 이나리세이초지세키토지
1872년(메이지 5년)니치렌종
1874년(메이지 7년)니치렌종 일치파니치렌종 승열파
1876년(메이지 9년)(명칭 변경)니치렌종 묘만사파니치렌종 흥문파법화종 혼조지파법화종 혼류지파니치렌종 8품파니치렌종 후쇼후세파
1882년(메이지 15년)니치렌종니치렌종 후쇼후세 강문파
1898년(메이지 31년)(명칭 변경)(명칭 변경)(명칭 변경)(명칭 변경)
1899년(메이지 32년)겐폰 법화종(명칭 변경)법화종혼묘 법화종혼몬 법화종
1900년(메이지 33년)혼몬종니치렌종 후지파
1912년(메이지 45년)(명칭 변경)
1941년 (쇼와 16년)colspan="2" |rowspan="2" |니치렌종colspan="11" |rowspan="5" |colspan="7" |혼케 쇼종
1946년 (쇼와 21년)니치렌종나카야마 묘종


2. 2. 3. 일치파와 승열파

니치렌 입멸 후, 교단은 육로승을 중심으로 확대되었지만, 사제 간의 연결에 따라 여러 몬류로 나뉘어 서로 다른 비전과 법문을 상속받았고, 때로는 몬류 간의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35]

오늘날 종교법인 일련종(日蓮宗)은 미노부산 구원사(久遠寺)를 중심으로 하는 본적(本迹) 일치파(一致派)이며, 다이세키지(大石寺)를 중심으로 하는 일련정종(日蓮正宗) 및 일련정종계 신종교인 창가학회(創価学会)와 후지다이세키지겐쇼카이(冨士大石寺顕正会)는 본적 승열파(勝劣派)에 속하며, 전혀 다른 계통이다.

1914년(다이쇼 3년), 니치렌 문하 7종파[36]의 관장이 이케가미 혼몬지에 모여 '각 교단 통합 대회의'를 개최했다. 같은 해 12월, '니치렌 문하 통합 후원회'가 조직되었다. 1915년(다이쇼 4년) 6월, 일치파의 '''니치렌종'''이 이탈한 것을 제외한 승열파 6종파[37]의 통합이 성립되었다. 1917년(다이쇼 6년), 문하 합동 강습회가 개최되었고, 같은 해 11월에는 통합 수학림을 개교하기에 이르렀다.[38]

  • 일치파
  • 승열파

2. 2. 4. 수불시파와 부수불시파

일련종은 미노부산 구원사를 중심으로 하는 본적(本迹) 일치파와, 다이세키지를 중심으로 하는 일련정종 및 일련정종계 신종교인 창가학회, 후지다이세키지겐쇼카이로 대표되는 본적 승열파로 나뉜다.[36] 니치렌 입멸 후, 교단은 육로승을 중심으로 확대되었지만, 몬류로 나뉘어 서로 다른 비전과 법문을 상속했으며, 때로는 몬류 간 대립으로 분파되기도 했다.[37]

1914년(다이쇼 3년), 니치렌 문하 7종파[38] 관장들이 이케가미 혼몬지에 모여 '각 교단 통합 대회의'를 개최했고, 같은 해 12월 '니치렌 문하 통합 후원회'가 조직되었다. 1915년(다이쇼 4년) 6월, 일치파인 '''니치렌종'''이 이탈한 것을 제외한 승열파 6종파[39] 의 통합이 성립되었다.

수시(受施)와 불수불시(不受不施)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수시파
  • 불수불시파: 일련종 불수불시파, 불수불시 일련강문종

2. 3. 일본 근현대의 니치렌슈

일련은 본존(대만다라), 제목, 계단을 3대 비법으로 삼고,[27] 묘법연화경(법화경)을 석가의 본회로 하여 최고 무상으로 삼았다. 제목(나무묘법연화경)을 외는 것(창제)을 중시했는데, "나무묘법연화경"은 "묘법연화경(법화경)에 귀의한다"는 뜻이며, "제목"은 경전의 표제를 외는 것에서 유래한다.

일련의 주요 저작 『입정안국론』의 제목 때문에 국가주의적 경향이 강한 가르침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28]

1872년 메이지 5년, 태정관 정부가 학제 (일본 최초의 근대적 학교 제도)를 제정·공포하면서 니치렌슈 각 분파의 승려 양성 기관이었던 단린은 잇따라 폐지되었다. 1941년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은 삼파 합동으로 대등 합병하여 신 "니치렌종"으로 재편되면서 본말 제도와 법류 관계를 해소하고, 행정부인 종무원이 본산 대신 주지 임면과 종비 과금을 징수하는 등 조직 제도를 대폭 개정했다. 그러나 오랫동안 길러져 온 본산·법류 관계는 완전히 씻겨지지 않고, 각 법류는 법류 내 결속을 도모하고 있으며, 2024년(레이와 6년) 현재에도 주지 이동은 기본적으로 법류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2. 3. 1. 단림(檀林)과 법류(法類)

현재 일련종 종제에서는 사찰을 조산, 영적 사찰, 유서 깊은 사찰, 일반 사찰로 분류하고 있다. 에도 시대의 본말 제도에서 시작된 사찰 격은 1941년(쇼와 16년)의 본말 해체로 소멸되어 실질적인 것은 없지만, 일련종 종제에서는 총본산·대본산·본산의 칭호를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조산은 니치렌의 유언에 따라 유골이 매장된 조묘가 있는 미노부산 구온지(니치렌의 영산으로 여겨짐)이며, 관주법주라고 칭한다. 영적 사찰은 니치렌 일대의 중요한 사적, 유서 깊은 사찰은 종문상 현저한 연혁이 있는 사찰로, 주지(법률상의 대표 임원)를 관주라고 칭한다.

조산, 영적 사찰, 유서 깊은 사찰은 "일련종 전국 본산회"를 조직하고 있다. 총재는 미노부산 구온지 내노 니치소 법주, 회장은 기타노 릿폰지 우에다 니치즈이 관주, 사무국장은 사카이 묘코쿠지 오카베 닛소 관주이다.

본산 묘쿄지는 2009년(헤이세이 21년) 7월에 일반 사찰로 일련종에 귀일했지만, 객원으로 오랫동안 일련종 전국 본산회에 참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 본산으로 언급해 둔다.

2. 3. 2. 메이지 시대 이후의 통합 운동

1872년 메이지 5년, 태정관 정부에 의한 학제 (일본 최초의 근대적 학교 제도) 제정·공포와 함께 (니치렌슈 각 분파의 승려 양성 기관이었던) 단린은 잇따라 폐지되었다. 1941년 구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은 삼파 합동으로 대등 합병하여 신 "니치렌종"으로 재편하면서 본말 제도와 법류 관계를 해소하고, 행정부인 종무원이 본산 대신 주지 임면과 종비 과금을 징수하는 등 조직 제도를 대폭 개정했다. 그러나 오랫동안 길러져 온 본산·법류 관계는 완전히 씻겨지지 않고, 각 법류는 법류 내 결속을 도모하고 있으며, 2024년(레이와 6년) 현재에도 주지 이동은 기본적으로 법류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2. 3. 3. 삼파 합동

1941년, 니치렌종, 겐폰홋케종, 혼몬종의 3파는 삼파 합동으로 대등하게 합병하여 새로운 "니치렌종"으로 재편되었다.[3] 이때, 본말 제도와 법류 관계를 해소하고, 행정부인 종무원이 본산을 대신하여 주지 임면과 종비 과금을 징수하는 등 조직 제도를 크게 바꾸었다.[3]

2. 4. 한국의 니치렌슈

니치렌슈(일련종)는 일본 불교의 한 종파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에 전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니치렌슈는 일본의 조선 불교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한국 불교계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해방 이후 한국의 니치렌슈는 한국 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독자적인 발전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 4. 1. 일제강점기 니치렌슈의 활동

일제강점기에 니치렌슈(일련종)는 한국 불교계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니치렌슈는 일본 불교의 한 종파로서, 일제의 조선 불교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니치렌슈는 조선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니치렌슈의 가르침 중 일부는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으며, 이는 당시 억압받던 조선인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니치렌슈가 일제의 식민 통치에 협력한 측면을 간과한 것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니치렌슈의 주요 사찰들은 다음과 같다.

본산위치
광명산 효승사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보광산 묘국사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시
정정산 구창사이바라키현 히타치오타시
개본산 묘현사도치기현 사노시
광영산 묘각사지바현 가쓰우라시
상재산 조원사지바현 모바라시
묘고산 정법사지바현 오아미시라사토시
정동산 일본사지바현 가토리군 다코마치
장숭산 묘흥사지바현 지바시 와카바구
진간산 홍법사지바현 이치카와시
장곡산 본토사지바현 마쓰도시
장숭산 본행사도쿄도 오타구
일원산 묘법사도쿄도 스기나미구
자운산 즈이린사도쿄도 다이토구
법화산 본흥사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이즈미구
묘엄산 본각사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묘성산 묘순사가나가와현 아쓰기시
경왕산 묘법화사시즈오카현 미시마시
대성산 본립사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
동광산 실성사시즈오카현 이즈시
후지산 구원사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룡수산 해장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
정송산 련영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청룡산 본각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
본립산 현묘사시즈오카현 이와타시
연겸산 묘립사시즈오카현 고사이시
덕영산 묘법사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
대야산 본원사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법왕산 묘법사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련화왕산 묘선사니가타현 사도시
금영산 묘성사이시카와현 하쿠이시
즈이류사몬제키시가현 오미하치만시
법경산 묘덴사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문법산 정묘사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예창산 본법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광포산 본만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구족산 묘각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구족산 립본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광보산 묘국사오사카부 사카이시 사카이구
백운산 보은사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자창산 국전사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
송미산 광승사사가현 오기시



유서 깊은 사찰·본산 일원산 묘법사

2. 4. 2. 해방 이후 한국 니치렌슈의 변화

해방 이후 한국에서 니치렌슈는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 불교의 영향을 받았던 한국 니치렌슈는 해방을 맞이하여 한국 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독자적인 발전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다음은 일본의 주요 일련종(니치렌슈) 사찰 목록이다.

산 이름사찰 이름위치
光明山|코묘잔일본어효승사(こうしょうじ)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宝光山|호코잔일본어묘국사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시
正定山|세이테이잔일본어구창사이바라키현 히타치오타시
開本山|카이혼잔일본어묘현사도치기현 사노시
光栄山|코에이잔일본어묘각사지바현 가쓰우라시
常在山|조자이잔일본어조원사지바현 모바라시
妙高山|묘코잔일본어정법사지바현 오아미시라사토시
正東山|쇼토잔일본어일본사지바현 가토리군 다코마치
長崇山|초소잔일본어묘흥사지바현 지바시 와카바구
真間山|마마산일본어홍법사지바현 이치카와시
長谷山|초코쿠잔일본어본토사지바현 마쓰도시
長崇山|초소잔일본어본행사도쿄도 오타구
日円山|니치엔잔일본어묘법사도쿄도 스기나미구
慈雲山|지운산일본어즈이린사도쿄도 다이토구
法華山|홋케잔일본어본흥사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이즈미구
妙厳山|묘곤잔일본어본각사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妙盛山|묘조산일본어묘순사가나가와현 아쓰기시
経王山|쿄오잔일본어묘법화사시즈오카현 미시마시
大乗山|다이죠잔일본어본립사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
東光山|토코잔일본어실성사시즈오카현 이즈시
富士山|후지산일본어구원사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龍水山|류스이잔일본어해장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
正松山|쇼세이잔일본어련영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青龍山|세이류잔일본어본각사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
本立山|혼류잔일본어현묘사시즈오카현 이와타시
円兼山|엔켄잔일본어묘립사시즈오카현 고사이시
徳栄山|토쿠에이잔일본어묘법사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
大野山|오노산일본어본원사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法王山|호오잔일본어묘법사니가타현 나가오카시
蓮華王山|렌게오잔일본어묘선사니가타현 사도시
金栄山|킨에이잔일본어묘성사이시카와현 하쿠이시
즈이류사 몬제키시가현 오미하치만시
法鏡山|호쿄잔일본어묘덴사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文法山|몬포잔일본어정묘사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叡昌山|에이쇼잔일본어본법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広布山|코후잔일본어본만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具足山|구소쿠잔일본어묘각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具足山|구소쿠잔일본어립본사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広普山|코후잔일본어묘국사오사카부 사카이시 사카이구
白雲山|하쿠운잔일본어보은사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慈昌山|지쇼잔일본어국전사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
松尾山|마쓰오잔일본어광승사사가현 오기시
稲荷山|이나리잔일본어묘교사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



3. 주요 교리와 수행

일련종은 미노부 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미노부 종"이라고도 불린다. 이 종파의 본산인 구온지는 니치렌이 은둔 생활을 하고 묻히기를 원했던 미노부 산에 위치해 있다.[5][6] 또 다른 중요한 사찰은 니치렌이 사망한 이케가미 혼몬지이다. 니치렌의 가장 중요한 개인 유물과 저술, 일본의 국보로 여겨지는 것들이 이 사찰들에 보관되어 있다.

이 종파는 다른 불교 전통에 대해 개방적이고 관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불교 신념과 신토 관행을 자신들의 니치렌 불교 미학에 통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교적 조각상을 사용하고, 슈인의 붉은 도장 관행을 따르며, 불교 점술과 신토 마법 의식을 결합하고, 고혼존을 사진 촬영하거나 서예로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니치렌슈는 니치렌이 단일 후계자를 지정했다고 믿지 않는다. 니치렌 쇼슈와 달리, 니치렌은 자신을 계승할 동등한 지위의 6명의 수제자를 지정했다고 주장한다. 6명의 수제자는 닛쇼, 니치로, 닛코, 민부 니코, 닛초, 니치지이다.[7]

니치렌슈는 법화경 제16장의 석가모니불을 영원한 부처로 지정하고, 니치렌은 제21장의 사명을 가진 상행보살로 간주한다.[8] 그는 "법의 말세"에서 진정한 을 옹호하는 "사자(使者)"이다. 이 종파는 석가모니를 "원래 부처"로 지정하며, 석가모니만이 니치렌슈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니치렌은 다른 불교 종파가 다른 부처나 밀교적 수행만을 강조하거나, 법화경을 무시하거나 조롱했기 때문에 석가모니에게 다시 주목하도록 한 성인으로, "니치렌 쇼닌"("성 니치렌")이라고 불린다.

니치렌슈는 니치렌 자신의 저술(''고쇼'' 또는 ''고이분'')을 불교 교리에 대한 해설 또는 지침으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교리, 신념 및 수행을 확립한 니치렌의 5대 저작과 그가 추종자들에게 보낸 많은 목회 서신이 포함된다. 이 종파는 어떤 ''고쇼'' 저술을 진본으로 간주할지에 대해 매우 신중하며, 니치렌 쇼슈에서 받아들여지는 많은 ''고쇼'' 저술은 학자들이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본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일련종은 니치렌의 가르침을 따르며, 법화경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한다. 일련은 가마쿠라 시대를 말법 시대로 여겼고, 아미타 신앙, 선종, 밀교의 성행으로 사법(邪法)이 퍼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법화경을 멸후(滅後) 말법의 세상을 위해 설해진 경전으로 여겼으며, 특히 "여래수량품"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말법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는 유일한 가르침은 "법화경"뿐이라고 보았으며, "진언 망국·선천마·염불 무간·율 국적"이라는 사개격언을 통해 타 종파를 비판했다.

니치렌은 법화경을 절대적인 진리로 삼고, '오강의 교판'을 통해 법화경이 최고의 진리라고 주장했다. '오강의 교판'은 '교'(가르침), '기'(소질, 능력), '시'(시대), '국'(나라), '서'(순서)의 다섯 가지 측면을 말하며, 일본에 가장 적합한 가르침이 법화경이라고 주장했다.

니치렌천태종의 가르침을 비판하고, 자신의 가르침은 실천적이고 종교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불법(佛法)과 왕법(王法)이 일치하는 왕불명합(王佛冥合)을 이상으로 삼았다.

3. 1. 삼대비법(三大秘法)

일련종의 3대 비법은 니치렌의 가르침의 핵심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 즉 본존(本尊), 제목(題目), 계단(戒壇)을 말한다.

일련종은 니치렌 정종에서 숭배하는 ''다이-고혼존''이 다른 ''고혼존''보다 우월하다고 믿지 않으며, 니치렌이 진정으로 새겼다는 주장을 사기라고 거부한다.[14][15][16][17] 닛렌슈는 창가학회와 유사하게 대(大)고혼존을 포함한 모든 고혼존의 힘은 오직 믿음의 힘을 통해서만 발휘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19]

일련(日蓮)은 천태의 교관이문(教觀二門)을 교학의 대강으로 삼아, 법화경에 대해서는 천태 지의의 본적분문(本迹分文)에 따라 방편품(方便品)의 개권현실(開權顯實), 수량품(壽量品)의 개근현원(開近顯遠)을 이문의 교의(教意)로 삼았다. 이승작불(二乘作佛)과 구원실성을 법화경의 두 가지 큰 일로 삼았다.

일련은 가마쿠라 시대를 말법에 들어선 시대로 여겼고, 아미타 신앙, 선종, 밀교의 성행으로 사법(邪法)이 퍼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법화경을 멸후(滅後) 말법의 세상을 향해 설해진 경전으로 여겼으며, 특히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일련에게 있어서 "말법 중생"을 제도(済度)할 수 있는 유일 최상의 양약은 "법화경"뿐이었다. "진언 망국(真言亡国)·선천마(禅天魔)·염불 무간(念仏無間)·율 국적(律国賊)"이라는 사개격언을 통해 타 종파를 비판하고, 법화경만이 중생을 구제하는 유일한 교의라고 주장했다.

니치렌은 '오강의 교판' 중에서, 신앙에 있어서 중요한 계기로서 '시'(말법 시대)·'국'(일본)을 내세웠다. 니치렌종 계열 종파에서는 다른 종파와 달리 정치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

일련은 천태종의 가르침을 "적문(迹門)의 묘법연화경"이며 "이(理)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고 비판하고, 자신의 교의를 본문(本門)으로 삼아 "사(事)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을 설하며, 실천적·종교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불법(佛法)과 왕법(王法)이 일치하는 왕불명합(王佛冥合)을 이상으로 삼았다.

3. 1. 1. 본존(本尊)

멸도도시 고호존(Rinmetsu Doji Gohonzon), 1280년 니치렌이 새긴 불교 만다라. 중앙 글자는 묘법연화경을 나타낸다.


니치렌슈는 신도들에게 서예로 쓴 고호존을 제공하지만, 불상 형태를 고호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니치렌슈에서 숭배하는 대상인 본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10]

  • 석가모니불을 영원한 부처로 조각한 불상, 때로는 네 명의 지용보살이 함께 조각되기도 함.
  • 탑에 ''나무묘법연화경''이 새겨져 있고,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 부처가 함께 있는 경우.
  • 오다이모쿠(Ippen Shudai)가 단독으로 새겨진 경우.
  • 니치렌의 ''린메츠'' ''고호존'', 현재 니치렌슈의 슈테이 고호존으로 여겨짐[11]


니치렌슈의 모든 정식 승려들은 만다라를 새기고 봉헌할 수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니치렌이 새긴 만다라의 사본, 즉 ''슈테이 고호존''[11]을 신도들에게 수여한다.

일련종은 니치렌 정종에서 숭배하는 ''다이-고혼존''이 다른 ''고혼존''보다 우월하다고 믿지 않으며, 니치렌이 진정으로 새겼다는 주장을 사기라고 거부한다.[14][15][16][17]

2024년 현재 종교 법인인 니치렌종은 중세 시대부터 각각 독자적인 전통을 키워온 승열파, 일치파의 다양한 문류가 참여하고 있다.

사찰 본당에 모셔지는 본존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이 있다.

  • 대만다라 : 중앙부에 제목(나무묘법연화경)이 크게 쓰여 있으며, 그 주변에 석가여래, 다보여래 등 여러 부처와 보살, 여러 천신들의 명칭을 기록한 것.
  • 일탑양존사사 : 중앙에 제목탑. 제목탑의 왼쪽에 연화좌에 앉은 석가여래, 오른쪽에 연화좌에 앉은 다보여래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오른쪽에 상행보살, 무변행보살이, 왼쪽에 정행보살, 안립행보살이 배치된다.
  • 일존사사 : 중앙에 석가여래상. 석존상의 오른쪽에는 상행보살, 무변행보살이, 왼쪽에 정행보살, 안립행보살이 배치된다.


어떤 형식의 경우라도, 본존 앞에 다시 니치렌 좌상, 법화경 8권을 올려놓은 경상을 앞쪽에 둔다.

단신도의 각 가정에서의 불단에서는 뒤쪽에서 앞쪽 순서로 대만다라, 일탑양존, 니치렌 좌상을 배치하고, 경우에 따라 그 양 옆에 칠면천녀, 귀자모신, 대흑천, 묘견보살 등 법화경 수호의 제천, 선신을 모신다.

(관련 항목 : 법화만다라, 일탑양존, 삼보존)

3. 1. 2. 제목(題目)

題目일본어은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을 뜻하며, 법화경의 핵심 가르침을 담고 있는 중요한 어구이다. 니치렌(日蓮)은 천태종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말법(末法) 시대에는 법화경 중에서도 "나무묘법연화경"이라는 제목이 중생을 구제하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라고 강조했다.[34]

니치렌은 법화경을 유일한 정법이자 절대적인 진리로 여겼으며, '교(敎)', '기(機)', '시(時)', '국(國)', '서(序)'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법화경이 최고의 진리라는 '오강의 교판(五綱의 敎判)'을 제시했다. 특히 '시(時)'와 '국(國)'을 강조하여, 말법 시대인 현재의 일본에 가장 적합한 가르침이 법화경이라고 주장했다.

니치렌은 천태종의 가르침을 "적문(迹門)의 묘법연화경"이며 "이(理)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고 비판하고, 자신의 가르침을 "본문(本門)의 묘법연화경"이며 "사(事)의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고 주장하며 실천적인 종교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법(佛法)과 왕법(王法)이 일치하는 왕불명합(王佛冥合)을 이상으로 삼았으며, 올바른 법에 근거한 정치를 강조했다.

일련종에서는 본존(本尊)으로 중앙에 題目일본어(나무묘법연화경)이 크게 쓰여 있고, 그 주변에 여러 부처와 보살, 천신들의 이름이 적힌 대만다라를 사용한다.

3. 1. 3. 계단(戒壇)

일련종에서 '계단'(戒壇)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일련종의 신앙과 수행에서 중요한 개념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련종은 니치렌의 가르침을 따르며, 법화경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한다. 일련종은 다이-고혼존을 포함한 모든 고혼존의 힘은 믿음을 통해서만 발휘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19] 즉, 특정한 고혼존만이 특별한 힘을 가진 것이 아니라, 모든 고혼존이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일련은 천태종의 가르침을 비판하고, 자신의 가르침이 실천적이고 종교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불법(佛法)과 왕법(王法)이 일치하는 왕불명합(王佛冥合)을 이상으로 삼고, 올바른 법에 근거해야 올바른 정치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일련종은 닛코 쇼닌을 닛렌의 유일한 정통 계승자로 보는 니치렌 정종의 주장을 반박하며,[23] 닛렌의 저작으로 주장되는 일부 문서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일련종 신앙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법화경 중심 신앙:''' 법화경을 멸망 이후 말법 시대를 위해 설해진 경전으로 여기며, 특히 "여래수량품"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사개격언:''' "진언 망국(真言亡国)·선천마(禅天魔)·염불 무간(念仏無間)·율 국적(律国賊)"이라는 사개격언을 통해 타 종파를 비판하고, 법화경만이 중생을 구제하는 유일한 가르침이라고 주장한다.
  • '''오강의 교판:''' 교(敎)·기(機)·시(時)·국(國)·서(序)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법화경이 최고의 진리임을 강조한다.
  • '''실천적 신앙:''' 천태종의 가르침을 비판하고, 실천적이고 종교적인 신앙을 강조한다.
  • '''정치 참여:''' '오강의 교판'에서 '시'와 '국'을 중요하게 여기는 방식에서 나타나듯이, 정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일련종에서 '계단'은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깨달음을 얻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자, 신앙생활의 중심이 되는 법화경과 니치렌의 가르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3. 2. 오종수행(五種修行)

일련종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수행 방식을 권장한다.[30]

종류내용
수지(受持)경전을 마음과 몸으로 받아들이고 지킨다.
독(讀)경전을 눈으로 읽는다.
송(誦)경전을 소리 내어 암송한다.
해설(解說)다른 사람에게 경전을 설명한다.
서사(書寫)신앙 행위로서 경전을 베낀다.



신자가 따르는 수행 방식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30]


  • 주된 수행: 오다이모쿠를 염송한다.
  • 부수적인 수행: 법화경 제2장과 제16장을 암송하거나, 원하는 다른 법화경의 장을 암송한다.


이 외에도, 쇼다이교(불교의 묵상), 찬송가 부르기, 다이모쿠를 예술적인 방식으로 베끼는 사쿄, 사성제, 삼학, 팔정도, 귀의와 같은 기본적인 불교 개념을 연구하는 것도 보조적인 수행 방식으로 활용된다.[30]

3. 3. 기타 수행

일련종에서는 주된 수행으로 오다이모쿠를 염송하고, 부수적인 수행으로 법화경 제2장과 제16장을 암송하거나 다른 법화경의 장을 암송한다.[30] 그 외에도 쇼다이교, 찬송가 부르기, 샤쿄, 사성제, 삼학, 팔정도, 귀의와 같은 기본적인 불교 개념을 연구하는 것도 보조적인 수행 방식으로 사용된다.[31]

4. 현대의 니치렌슈

니치렌슈는 다른 불교 전통에 대해 개방적이고 관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불교 신념과 신토 관행을 혼합하여 자신들의 불교 미학에 통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교적 조각상 사용, 신기함을 위한 슈인의 붉은 도장 관행, 불교 점술과 신토 마법 의식의 밀교적 결합, 사진 촬영 허용, 서예 고혼존의 배포 등이 있다.

니치렌슈는 법화경 제16장의 석가모니불을 영원한 부처로 지정하는 반면, 니치렌은 제21장의 사명을 가진 상행보살로 간주된다.[8] 그는 "법의 말세"에서 진정한 을 옹호하는 "사자(使者)"이다. 니치렌슈에서 석가모니는 "원래 부처"이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니치렌(니치렌 쇼닌, "성 니치렌")은 다른 불교 종파가 다른 부처나 밀교적 수행만을 강조하거나, 법화경을 무시하거나 조롱했기 때문에 석가모니에게 다시 주목하도록 한 성인이다.

니치렌슈는 니치렌 자신의 저술(''고쇼'' 또는 ''고이분'')을 불교 교리에 대한 해설 또는 지침으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교리, 신념 및 수행을 확립한 니치렌의 5대 저작과 그가 추종자들에게 보낸 많은 서신이 포함된다. 어떤 ''고쇼'' 저술을 진본으로 간주할지에 대해 매우 신중하며, 니치렌 쇼슈에서 받아들여지는 많은 ''고쇼'' 저술은 학자들이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일본 이민자들과 함께 미국, 하와이 왕국, 브라질 등 해외로 처음 전파되었다. 현재 미국, 일본, 캐나다, 멕시코, 코스타리카, 남아메리카 대부분, 인도, 대한민국,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유럽에 니치렌슈 사찰과 승가가 있다.[12] 니치렌슈는 일본인이 아니거나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는 남녀를 승려로 임명하며 해외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다른 니치렌 종파 및 니치렌 종파가 아닌 종파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00개의 사찰, 8,000명의 승려, 380만 명의 신도로 구성된 종교 단체라고 스스로 묘사했다.[13]

4. 1. 일본의 니치렌슈

미노부산 구원사를 총본산으로 하고, 종무원을 이케가미 혼몬지(도쿄도 오타구 이케가미)에 두는, 니치렌계 여러 종파 중 최대 종파이다. 중세에 성립한 문류의 대부분과 사상적 조류의 상당 부분을 포함한다. 조산 1(총본산), 영적 사찰 14(대본산 7, 본산 7), 유서 깊은 사찰 42(본산 42), 사찰 수 5,200개 사찰, 직계 신도 330만 명이다.[70]

영적 사찰・대본산 고미나토산 탄생사


닛주 몬류, 닛코 몬류는 문류에 소속된 사찰의 일부가 니치렌종에 귀속되어 있다.[70] 자세한 내용은 니치렌종 십사회 · 흥통법연회를 참조.

대본산 및 본산은 다음과 같다.

구분명칭통칭소재지외부 링크
대본산고미나토산 탄생사고미나토 탄생사지바현 가모가와시[http://www.maap.com/tanjoh-ji/]
대본산센코잔 세이초지세이초 세이초지지바현 가모가와시
대본산쇼츄잔 호케쿄지나카야마 호케쿄지지바현 이치카와시[http://www.hokekyoji.com/]
대본산후지산 혼몬지 근원주스 혼몬지, 기타야마 혼몬지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http://park16.wakwak.com/%7Ehonmonji/]
대본산조에이산 혼몬지이케가미 혼몬지도쿄도 오타구
대본산구소쿠산 묘켄지켄잔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대본산다이코잔 혼코쿠지코잔교토부 교토시 야마시나구
본산고마츠바라산 쿄닌지고마츠바라 쿄닌지지바현 가모가와시
본산쵸코잔 묘혼지히키가야 묘혼지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본산쟈코잔 류코지카타세 류코지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
본산카이코잔 부츠겐지이토 부츠겐지시즈오카현 이토시
본산간포잔 짓소지간폰 짓소지시즈오카현 후지시
본산츠카하라산 콘폰지츠카하라 콘폰지니가타현 사도시
본산묘홋케잔 묘쇼지이치야 묘쇼지니가타현 사도시


4. 2. 세계의 니치렌슈

니치렌슈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일본 이민자들과 함께 미국, 하와이 왕국, 브라질 등 해외로 처음 전파되었다. 현재 미국, 일본, 캐나다, 멕시코, 코스타리카, 남아메리카 대부분, 인도, 대한민국,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유럽에 니치렌슈 사찰과 승가가 있다.[12]

니치렌슈는 일본인이 아니거나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는 남녀를 승려로 임명하며 해외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다른 니치렌 종파 및 니치렌 종파가 아닌 종파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00개의 사찰, 8,000명의 승려, 380만 명의 신도로 구성된 종교 단체라고 스스로 묘사했다.[13]

4. 2. 1. 정치 및 사회와의 관계

1939년 4월, 일본 정부는 종교 단체를 전쟁에 협력시키기 위해 '종교 단체법'을 제정했다.[97][98] 이 법률은 불교, 신도, 기독교 등 각 종교 교단을 국가 권력 하에 관리하고 종파 합동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1940년 9월, 정부는 이 법률 제5조[99][100]에 근거하여 각 종교계 대표를 소집하고, 1941년 3월 말까지 자율적인 합동을 마치도록 통지했다.

이 통지에 따라 1940년 12월, 본문법화종, 법화종, 일련종, 본묘법화종, 현본법화종, 본문종, 일련종 부수불시파, 부수불시 일련강문종 등 일련 문하 8개 종파가 참여하는 문하 합동 준비회의 제1회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위원회는 합동에 찬성하고 종명, 교의, 본존은 특별 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이후 3개월 동안 교의나 관장 추대와 관련하여 비교적 비슷한 주장을 하는 종파들이 합동하는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그러나 특별 위원인 카리야 니치닌이 본적 문제로 합동에 반대하여 8파 모두의 합동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결국 1941년 3월, 일련종 제37 종회는 일련종, 현본법화종, 본문종이 각 교단 해산 후 대등 합병하는 3파 합동을 승인하고, 종명을 '''일련종'''으로 결정했다.

같은 해, 본문법화종, 법화종, 본묘법화종은 '''법화종'''이 되었으며, 부수불시파, 부수불시파 강문파는 '''본화정종'''으로 개칭했다. 이러한 종교계의 변화는 당시 일본 사회가 전쟁으로 향하는 시대적 분위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국가 권력의 통제 강화와 종교의 자율성 제약이라는 측면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Myoken-Ji Temple http://nichiren-shu.[...]
[2] 웹사이트 Nichiren Shu https://web.archive.[...] 2010-12-20
[3] 웹사이트 Nichiren Order of North America https://web.archive.[...] 2012-01-15
[4] 웹사이트 Nichiren Buddhism - religionfacts.com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Nichiren Shu Portal http://nichiren-shu.[...]
[6] 웹사이트 Things to do in Japan | Travel Japan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https://www.japan.tr[...]
[7] 웹사이트 On October 8, 1282 at the house of Munenaka Ikegami, Nichiren Shonin designated the Six Senior Disciples (Roku Roso) to carry on his work after his death. These six were: Nissho (1221-1323), Nichiro (1245-1320), Nikkō (1246-1333), Niko (1253-1314), Nitcho (1252-1317), and Nichiji (1250-1305?) http://nichirenscoff[...]
[8] 웹사이트 Nichiren Shu Portal https://www.nichiren[...]
[9] 서적 Dharma, Nichiren Shu Service Book, Nichiren Buddhist International Center
[10] 웹사이트 Dai Mandala Kaigen Shiki Great Mandala Eye Opening Ceremony http://nichirenscoff[...]
[11] 웹사이트 Who's Who on the Gohonzon? The Buddhas of Past Present & Future http://nichirenscoff[...] 2004-07-09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Nichiren Shu Temples | Nichiren Shu Portal https://www.nichiren[...]
[13] 웹사이트 History of Nichiren Shū, Nichiren Buddhist International Center, The Bridge 53, p.1 http://www.nichiren-[...]
[14] 웹사이트 The Lineage of Nichiren Buddhism http://nichiren-shu.[...] Nichiren Shū Houston Sangha
[15] 웹사이트 The Six Major Disciples of Nichiren http://www.nichirens[...]
[16] 웹사이트 A response to questions from Soka Gakkai practitioners regard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Nichiren Shu, Nichiren Shōshū and the Soka Gakkai http://nichiren-shu.[...]
[17] Youtube Choeizan Enkyoji Nichiren Shu (Series1/Part 4/4) Difference Between Nichiren Shu and Shoshu-SGI https://www.youtube.[...] 2012-11-14
[18] 웹사이트 Nbic Online Store http://nichiren-shu.[...]
[19] 웹사이트 About the Dai-Gohonzon — Soka Spirit https://web.archive.[...] 2012-03-01
[20] 서적 Lotus Seeds: The Essence of Nichiren Shu Buddhism Nichiren Buddhist Temple of San Jose 2000
[21] 웹사이트 Glossary {{!}} NST Nichiren Shoshu Temple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Jogyo-Shindoku (Traditional Auxiliary Practice), Lexington, Kentucky, p. 20 http://www.triplewor[...] Lexington Nichiren Buddhist Community
[23] 서적 Fire in the Lotus, The Dynamic Religion of Nichiren London: Mandala 1991
[24] 웹사이트 The Three Great Hidden Dharmas http://www.nichiren-[...]
[25] 서적 Lotus Seeds: The Essence of Nichiren Shu Buddhism Nichiren Buddhist Temple of San Jose 2000
[26] 문서 その自称や一宗派を立てたという自覚(有無両説あり)に関しては、[[日蓮#立宗感]]を参照。
[27] 문서 『今日から役立つ仏教』91頁正木晃執筆
[28] 문서 "[[中村元 (哲学者)|中村元 ]]、「東洋人の思惟方法」ウィリアム・ウッダード、「天皇と神道 GHQの宗教政策」(1988年(昭和63年)、サイマル出版会、238ページ、Alan Macfarlane,[[アラン・マクファーレン]],Japan Through the Looking Glass,2007,Profile Books,page199、G.B.Sansom,Japan : A Short Cultural History,1931 first published,Stanford University Press,1978・page334)"
[29] 문서 所依の妙法蓮華経を構成する二十八品(28章)を前半の「迹門」(しゃくもん)、後半の「本門」に二分し、本門に法華経の極意があるとする[[勝劣派]]と、二十八品全体を一体のものとして扱うべきとする[[一致派]]。
[30] 문서 "{{harv | 日蓮宗事典刊行委員会 | 1981 | p = 20 }}や{{harv | 創価学会教学部 | 1968 | p = 146 }}には、一致とある。"
[31] 문서 小泉久遠寺(日蓮宗)、北山本門寺(日蓮宗)、洛中三条要法寺(日蓮本宗)は、日蓮本仏はあくまで富士門流派祖滅後に権力闘争や派閥原理主義から派生した異流教学であると退け、派祖日興の本義は釈尊本仏と主張している。一方、上条大石寺、下條妙蓮寺、讃岐本門寺、日向定善寺(以上、日蓮正宗)は、「開目抄」「諸法実相抄」「富士一跡門徒存知事」「五人所破抄」「日興遺戒置文」などの遺文を根拠に、宗祖本仏論を主張している。
[32] 문서 [[保田妙本寺]]の項目には日蓮本仏勝劣派とある。
[33] 문서 [[富士門流#教義|富士門流]]の項目には、釈尊本仏、勝劣派とある。
[34] 문서 日蓮宗の檀信徒ではない時の権力者からの布施を受けることが是か非かという問題である。
[35] 문서 現在[[顕本法華宗]]および[[日蓮宗什師会]]など
[36] 문서 一致派の日蓮宗と勝劣派の顕本法華宗・本門宗・法華宗・本門法華宗・本妙法華宗・日蓮正宗
[37] 문서 顕本法華宗・本門宗・法華宗・本門法華宗・本妙法華宗・日蓮正宗
[38] 웹사이트 日蓮宗三派合同と分離独立 http://otowatid.u.cn[...] 一般財団法人 本多日生記念財団 2014-08-29
[39] 문서 日蓮宗・顕本法華宗・本門宗・法華宗・本門法華宗・本妙法華宗・日蓮正宗・不受不施派・不受不施興門派
[40] 문서 可能な限り掲載したが、全ての日蓮系寺院を網羅するものではない。複数説存する場合は、複数の資料に記載された説をなるべく優先し、複数記載のない場合はより高次の資料に記載された説を優先した。ウィキペディアの記事を出典とする場合は、Wikipedia:独自研究は載せない#一次資料と二次資料に従い慎重を期したが、この方針について留意願いたい。
[41]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 - ただし、京都妙満寺に追随したその末寺が約200か寺であることのみ言及。
[42]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 - ただし、京都妙満寺末のうち日蓮宗に残留した末寺が180か寺であることのみ言及。
[43]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 - ただし、京都要法寺に追随したその末寺が50か寺であることのみ言及。
[44]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 - ただし、下条妙蓮寺と行動を共にしたその末寺が6か寺であることのみ言及。
[45]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4-11-28
[46] 간행물 附録17 1979
[47] 간행물 205 1979
[48] 간행물 205 1979
[49] 간행물 427 1988
[50] 간행물 203 1979
[51] 간행물 231,241 1979
[52]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ただし、日蓮宗に残留した京都妙満寺末が日蓮宗什師会を組織していることのみ言及。
[53] 간행물 442 1988
[54] 간행물 附録18 1979
[55] 문서 定善寺 - ただし、日知屋上定善寺が1957年(昭和32年)に日蓮正宗へ帰属したことのみ言及。
[56] 문서 本門寺 (三豊市)|本門寺 - ただし、讃岐本門寺が1946年(昭和21年)に日蓮宗より日蓮正宗へ帰属したことのみ言及。
[57] 간행물 451 1988
[58] 문서 本化日蓮宗には、本化日蓮宗が日蓮宗より独立したのは1954年(昭和29年)、とある。
[59] 문서 日蓮法華宗には、日蓮法華宗は法華宗本門流より独立した、とある。
[60] 문서 日蓮宗#宗教法人・日蓮宗のあゆみ-ただし、日蓮宗に残留した京都要法寺末が興統法縁会に所属しつつ島根尊門会を組織していることのみ言及。
[61] 문서 大日蓮宗 - ただし、大日蓮宗が1957年(昭和32年)に発足したことのみ言及。
[62] 문서 興統法縁会#宮崎県内の興統法縁・日郷門流の諸寺院の動向|興統法縁会-ただし、日向妙国寺が1957年(昭和32年)に日蓮宗より日蓮正宗へ帰属したことのみ言及。
[63] 문서 日向妙国寺には、日向妙国寺は1956年(昭和31年)日蓮正宗に改宗1957年(昭和32年)離脱、とある。
[64] 문서 西山本門寺 - ただし、西山本門寺が1975年(昭和50年)に日蓮正宗帰属無効の判決がでたことのみ言及。
[65] 문서 興統法縁会#宮崎県内の興統法縁・日郷門流の諸寺院の動向|興統法縁会-ただし、日向妙国寺が1958年(昭和33年)に日蓮正宗より独立したことのみ言及。
[66] 문서 日向妙国寺 - ただし、日向妙国寺が日蓮正宗から独立後日蓮宗郷門派と称したことのみ言及。
[67] 문서 大日蓮宗 - ただし、大日蓮宗が1989年(平成元年)に8か寺が日蓮宗に復帰したことのみ言及。
[68] 문서 日向妙国寺 - ただし、日向妙国寺が1976年(昭和51年)に日蓮宗へ復帰したことのみ言及。
[69] 문서 最上稲荷 - ただし、最上稲荷教が2009年(平成21年)に日蓮宗へ復帰したことのみ言及。
[70] 문서 旧顕本法華宗、旧本門宗に属する本山、末寺には日蓮宗より独立するものもあったが、旧顕本法華宗の改革派である本山妙国寺 (会津若松市)|妙國寺、本山本興寺 (横浜市)|本興寺、本山玄妙寺、本山妙立寺 (湖西市)|妙立寺、や、旧本門宗の大本山北山本門寺|重須本門寺、本山小泉久遠寺、本山伊豆実成寺|實成寺とそれらの末寺は引き続き、日蓮宗の内部で固有の教義を維持し続けている。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1] 서적
[72] 연구 具体例としては、日蓮宗寺院大鑑編集委員会『宗祖第七百遠忌記念出版:日蓮宗寺院大鑑』(大本山池上本門寺、1981年(昭和56年)1月1日)所収の各寺院の「本尊」の項目を参照 2023-09-30
[73] 웹사이트 仏壇について https://www.nichiren[...] 日蓮宗
[73] 웹사이트 ご宗派別の飾り方 日蓮宗・法華宗 https://www.hamaya.c[...] 浜屋
[74] 연구 池上本門寺,1981の各寺の項目。花島,2008,p.2 2023-09-30
[74] 서적 本山藻原寺 本山藻原寺 2023-09-30
[75] 웹사이트 松ヶ崎大黒天 http://matugasaki-da[...] 池上本門寺
[75] 웹사이트 本鏡山妙智寺 https://temple.nichi[...] 本鏡山妙智寺
[75] 웹사이트 大黒天蓮船寺 https://temple.nichi[...] 大黒天蓮船寺
[76] 웹사이트 【町指定文化財】鬼子母神堂 https://www.town.min[...] 身延町
[76] 웹사이트 日蓮宗の守護神 http://www.nichiren-[...] 日蓮宗佐賀県宗務所
[77] 웹사이트 七面山登詣案内 https://www.kuonji.j[...] 身延山久遠寺
[77] 웹사이트 ここが知りたい七面大明神について http://owaridendou.c[...] 日蓮宗尾道伝道センター
[78] 웹사이트 お寺の紹介 三十番神 https://gyokurenzan.[...] 玉蓮山真成寺
[79] 웹사이트 お稲荷さん https://temple.nichi[...] 龍華大本山妙顕寺(京都市)
[79] 웹사이트 最上稲荷 最上稲荷
[80] 웹사이트 正伝寺大毘沙門天縁起 http://www.shoudenji[...] 松流山正伝寺(東京都)
[81] 웹사이트 柴又帝釈天縁起 http://www.taishakut[...] 柴又帝釈天(東京都)
[82] 웹사이트 能勢妙見寺 https://www.myoken.o[...]
[83] 웹사이트 正印結社を守られている仏さま https://www.shoinji.[...] 正印結社(千葉県印西市)
[84] 웹사이트 正印結社を守られている仏さま https://www.shoinji.[...] 正印結社(千葉県印西市)
[85] 문서 中山法華経寺の貫首のみ、荒行堂が設置されているのに伴い、伝主とも称する。
[86] 웹사이트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4-07-31
[87] 문서 異論噴出の源が京都要法寺であったという意。興門派の中心が京都要法寺ということではない。
[88] 문서 榎木境道『富士門流の歴史 重須編』によれば、「この上申書は身延山久遠寺・池上本門寺・中山法華経寺各山の貫主連名で、教部省に宛て1872年(明治5年)7月2日付で出されています。要するに、全国にある日蓮宗寺院について、一致派・勝劣派の区別無く、有無を言わさず七大本山の許に分割して末寺にすることをねらった、まさに陰謀と言うべき内容でした。この動きを察知した京都要法寺(興門派)では、[[1873年]](明治6年)になって(中略)日蓮宗管長・顕日琳の責任を追及し(中略)、1873年5月28日には大石寺を含めた興門派、及び八品派連署による願書を取りまとめて教部省に提出、七大本山の企てを却下するよう訴えています。(中略)同年8月には教部省より『日蓮宗には従来総本山が無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今さら七本寺などと主張する謂れはない』との(中略)布達が出され、こうして七本山の画策による上申は却下されたのです。」とある。
[89] 서적
[90] 서적
[90] 서적
[91] 웹사이트 沿革|鷲峰山妙皇寺-大覚大僧正開基の寺-(広島県福山市・みょうこうじ) https://myoukou-ji.c[...]
[92] 웹사이트 勝劣派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93] 웹사이트 現代知名人の宗教観について https://www.bukkyo-k[...]
[94] 웹사이트 近代日蓮主義の思想と運動 https://genshu.nichi[...] 日蓮宗現代宗教研究所
[95] 웹사이트 『日蓮主義とはなんだったのか 近代日本の思想水脈』(大谷 栄一)|講談社BOOK倶楽部 https://bookclub.kod[...]
[96] 웹사이트 『血盟団事件』 - 交わるはずのなかった二つの格差 - HONZ https://honz.jp/arti[...]
[97] 문서 1939年(昭和14年)4月8日法律第77号
[98] 문서 この経緯について、近江幸正は、「これより戦時新体制による新教団として戦争遂行にいっそう協力することとなった。教団合同の道筋には、 当時の国家主義的風潮への心酔と迎合があった一面、 [[政府]]・官憲によるさまざまな[[弾圧]]・[[脅迫]]があったことを忘れてはならない。 」と述べているが、日蓮門下の各派の場合、大正時代にきわめて高揚した自発的な統合運動が存在していた。
[99] 문서 教派、宗派又ハ教団ハ主務大臣ノ認可ヲ受ケ合併又ハ解散ヲ為スコトヲ得
[100] 웹사이트 宗教団体法(抄)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939-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