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가와가 영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가 영묘는 도쿠가와 쇼군들의 묘소를 총칭하며, 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부터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이르기까지 각 쇼군들의 영묘 목록을 제공한다. 주요 영묘 건축으로는 닛코 동조궁과 린노지, 조죠지, 간에이지, 고야산에 위치한 영묘 등이 있으며, 닛코 동조궁과 린노지는 국보 및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쿄 대공습으로 다수의 영묘 건축물이 소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 - 고야산
    고야산은 승려 쿠카이가 819년에 개창한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이며, 해발 800미터 평원에 위치하며 단상가람 등 여러 사찰과 부속 사찰을 갖추고 있으며, 철도 등으로 접근 가능하고 고야두부 등의 특산품이 있으며, 2020년 일본유산으로 인정받았다.
  •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 - 요시노산
    요시노산은 나라현 요시노정에 위치하며 헤이안 시대부터 벚꽃 명소로 알려져 3만 그루 이상의 벚나무가 자생하고 긴푸센지, 요시노 미쿠마리 신사 등 유서 깊은 사찰과 신사가 위치한 수험도의 성지이자 오미네 오쿠가케도 트레일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기이 산지의 영지 및 순례길에 포함된 산이다.
  • 일본의 마우솔레움 - 다마우둔
    다마우둔은 1470년부터 1879년까지 류큐 왕국 제2 쇼 왕조의 역대 왕과 왕족들이 안장된 능묘로, 쇼 신 왕의 명령으로 1501년에 완공되어 동실, 중실, 서실로 나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으나 복원되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마우솔레움 - 순국칠사묘
    순국칠사묘는 일본 아이치현 가마고리시에 위치하며 태평양 전쟁 A급 전범 7인의 유골이 안치된 묘역으로, 변호사 산몬지 쇼헤이의 주도로 건설되었고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묘비명을 썼으며 야스쿠니 신사와 달리 실제 유골이 매장되어 있고 유료 도로인 미카게네 산 스카이라인 내에 위치하여 자동차로 접근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셋째 아들이자 1605년부터 1623년까지 에도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재임하며 오사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시키는 데 기여하고 막부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으며, 쇄국정책을 추진하고 강력한 반기독교 정책을 시행했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에도 막부 초대 쇼군으로, 탁월한 정치력과 군사적 재능으로 혼란기를 극복하고 에도 막부를 건설하여 일본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도쿠가와가 영묘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종류영묘
소재지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공원
좌표35°39′23.58″N 139°44′51.54″E
문화재 지정중요문화재 (쇼케츠인 문, 조쇼지 묘소문)
역사
조성 시기에도 시대
폐지 시기1958년
이유전재로 인한 소실 및 유지 곤란
구성
주요 인물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이에쓰나,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도쿠가와 이에쓰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등의 도쿠가와 쇼군 가문 인물
기타
현재 상태대부분 소실, 일부 이축 및 재건
관리 주체조쇼지
특징화려한 건축 양식
쇼군과 가족의 묘소
에도 막부의 권위를 상징

2. 도쿠가와 역대 쇼군 영묘 목록

徳川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도쇼다이곤겐
東照大権現|도쇼다이곤겐일본어구능산 동조궁, 닛코 동조궁2도쿠가와 히데타다
徳川秀忠|도쿠가와 히데타다일본어다이토쿠인
台徳院|다이토쿠인일본어조죠지 다이토쿠인 영묘3도쿠가와 이에미쓰
徳川家光|도쿠가와 이에미쓰일본어다이유인
大猷院|다이유인일본어린노지 다이유인 영묘4도쿠가와 이에쓰나
徳川家綱|도쿠가와 이에쓰나일본어겐유인
厳有院|겐유인일본어간에이지 겐유인 영묘5도쿠가와 쓰나요시
徳川綱吉|도쿠가와 쓰나요시일본어조켄인
常憲院|조켄인일본어간에이지 조켄인 영묘6도쿠가와 이에노부
徳川家宣|도쿠가와 이에노부일본어분쇼인
文昭院|분쇼인일본어조죠지 분쇼인 영묘7도쿠가와 이에쓰구
徳川家継|도쿠가와 이에쓰구일본어유쇼인
有章院|유쇼인일본어조죠지 유쇼인 영묘8도쿠가와 요시무네
徳川吉宗|도쿠가와 요시무네일본어유토쿠인
有徳院|유토쿠인일본어간에이지 조켄인 영묘에 합사9도쿠가와 이에시게
徳川家重|도쿠가와 이에시게일본어준신인
惇信院|준신인일본어조죠지 유쇼인 영묘에 합사10도쿠가와 이에하루
徳川家治|도쿠가와 이에하루일본어슌메이인
浚明院|슌메이인일본어간에이지 겐유인 영묘에 합사11도쿠가와 이에나리
徳川家斉|도쿠가와 이에나리일본어분쿄인
文恭院|분쿄인일본어간에이지 겐유인 영묘에 합사12도쿠가와 이에요시
徳川家慶|도쿠가와 이에요시일본어신토쿠인
慎徳院|신토쿠인일본어조죠지 분쇼인 영묘에 합사13도쿠가와 이에사다
徳川家定|도쿠가와 이에사다일본어온쿄인
温恭院|온쿄인일본어간에이지 조켄인 영묘에 합사14도쿠가와 이에모치
徳川家茂|도쿠가와 이에모치일본어쇼토쿠인
昭徳院|쇼토쿠인일본어조죠지 분쇼인 영묘에 합사15도쿠가와 요시노부
徳川慶喜|도쿠가와 요시노부일본어(없음)야나카 령원


3. 주요 영묘 건축

도쿠가와 가문의 영묘는 일본 각지에 분포하며, 특히 도치기현 닛코, 도쿄도의 조죠지와 간에이지, 그리고 와카야마현고야산에 주요 영묘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영묘들은 에도 막부 쇼군들의 권위와 당시의 건축 기술, 예술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닛코에는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모시는 닛코 동조궁과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모시는 린노지의 다이유인 영묘가 있다. 이들 건축군은 화려하고 정교한 장식으로 유명하며, 일본의 국보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닛코의 사찰과 신사'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다.

도쿄의 조죠지와 간에이지는 도쿠가와 쇼군 가문의 주요 보리사(菩提寺)로, 각각 6명의 쇼군을 포함한 많은 가문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 두 사찰 모두 과거에는 웅장한 영묘 건축군을 자랑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도쿄 대공습으로 인해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다. 현재는 소실을 면한 일부 건축물들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 유골은 학술 조사를 거쳐 한곳에 모아 이장되었다.

와카야마현고야산에도 초대 쇼군 이에야스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영묘가 건립되었다. 이 영묘들 역시 중요문화재유네스코 세계유산('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의 일부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3. 1. 닛코

도치기현 닛코시에는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영묘가 자리하고 있다. 이에야스를 모시는 닛코 동조궁과 이에미쓰를 모시는 린노지 경내의 다이유인 영묘가 대표적이다. 이들 건축군은 국보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록되어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3. 1. 1. [[닛코 동조궁]]

1616년에 사망한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유해는 처음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의 구능산 동조궁에 안장되었다. 이듬해인 1617년, 이에야스의 1주기를 앞두고 도치기현 닛코시에 있는 현재의 닛코 동조궁으로 유해를 옮겨 다시 안장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사당이 완성되어 오늘날 도쇼구의 원형이 되었다. 이후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시대에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져 현재의 화려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닛코 동조궁에는 이에야스를 모시는 사당(본전·석간·배전)과 이에야스가 실제로 매장된 묘소인 신묘(보탑)가 있다. 사당 건물은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신묘를 포함한 여러 건조물은 일본의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닛코 동조궁은 인근의 린노지 등과 함께 '닛코의 사찰과 신사'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닛코 동조궁 도리이


닛코 동조궁 배전


닛코 동조궁 주패문


이에야스의 보탑(신묘)


초기에 이에야스가 매장되었던 구능산 동조궁의 신묘

3. 1. 2. [[린노지]]

다이유인 영묘가 있는 사찰로, 3대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모시고 있다. 닛코 도쇼구와 함께 닛코의 사찰과 신사의 일부로서, 이 건축군들은 국보 및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록되어 있다.

3. 2. [[조죠지]]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한 조죠지는 간에이지와 더불어 도쿠가와 쇼군 가문의 주요 보리사이다. 이곳에는 역대 15명의 쇼군 가운데 6명과 그 가족들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조죠지에 매장된 주요 인물
구분이름관계
쇼군히데타다2대 쇼군
이에노부6대 쇼군
이에쓰구7대 쇼군
이에시게9대 쇼군
이에요시12대 쇼군
이에모치14대 쇼군
정실스겐인히데타다의 정실 (2대)
덴에이인이에노부의 정실 (6대)
고다이인이에나리의 정실 (11대)
덴신인(天親院)이에사다의 정실 (13대)
가즈노미야 지카코이에모치의 정실 (14대)
측실게이쇼인이에미쓰의 측실 (3대), 쓰나요시 생모 (5대)
겟코인이에노부의 측실 (6대), 이에쓰구 생모 (7대)
세이신인(契真院)이에나리의 측실 (11대)
겐코인(見光院)이에요시의 측실 (12대)
슈묘인(殊妙院)이에요시의 측실 (12대)
기타역대 쇼군의 자녀 다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다이도쿠인 영묘(2대 히데타다), 스겐인 영패소(히데타다 부인), 분쇼인 영묘(6대 이에노부), 유쇼인 영묘(7대 이에쓰구) 등이 국보로 지정되어 닛코 동조궁에 비견될 만큼 화려함을 자랑했다. 그러나 1945년 태평양 전쟁미군의 공습으로 인해 3월 10일에는 북묘(北廟) 68동, 5월 25일에는 남묘(南廟) 28동이 큰 피해를 입어 대부분의 건축물이 소실되었고, 국보 지정도 해제되었다.

현재는 다음의 건축물들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남아있다:



또한, 히데타다의 부인 스겐인 영묘의 일부는 가마쿠라의 겐초지로 이전되었다. 과거 영묘가 있던 부지는 현재 도쿄 프린스 호텔(구 분쇼인, 유쇼인 영묘 터 등)과 더 프린스 파크 타워 도쿄(구 다이도쿠인, 스겐인 영묘 터 등)가 들어서 있다.

영묘에 안치되어 있던 쇼군과 부인, 측실 등의 유골은 1958년 문화재보호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학술 조사가 이루어진 후 화장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영묘는 지하에 석실을 만들어 유해를 안치하고 그 위에 2장의 거석을 덮은 뒤 기단과 보탑을 세우는 구조였다. 화장된 유골은 조죠지 대전(大殿) 남북에 흩어져 있던 영묘 터에서 한곳으로 모아져, 현재 조죠지 안국전(安国殿) 뒤편의 도쿠가와가 묘소로 이장되었다. 이 묘소 입구의 문은 원래 분쇼인 영묘의 오쿠인 문(奥院門)이었다.

현재 묘소에는 다음과 같은 8기의 보탑이 이전되어 있다.

조죠지 안국전 뒤편 묘소의 보탑 (1958년 이전)
원 영묘 등대상 인물재질비고
문소원(文昭院)이에노부 (6대)동조덴에이인(정실) 합장
숭원원(崇源院)스겐인 (히데타다 정실)석조히데타다 (2대) 합장 (원래 목조 보탑은 전소)
유장원(有章院)이에쓰구 (7대)석조
준신원(惇信院)이에시게 (9대)석조
신덕원(慎徳院)이에요시 (12대)석조
소덕원(昭徳院)이에모치 (14대)석조
정관원궁(静寛院宮)가즈노미야 지카코 (이에모치 정실)동조
월광원(月光院)겟코인 (이에쓰구 생모)석조쇼군 생모 및 측실 합사탑으로 사용



현존하는 영묘 관련 건축물 및 묘소

유쇼인 영묘 이천문 (현 도쿄 프린스 호텔 부지 내 위치)

3. 3. [[간에이지]]

도쿄도 다이토구 우에노사쿠라기에 위치한 간에이지에는 역대 15명의 도쿠가와 쇼군 중 6명이 잠들어 있다.

간에이지 매장 주요 인물
구분인물비고
쇼군도쿠가와 이에쓰나4대
쇼군도쿠가와 쓰나요시5대
쇼군도쿠가와 요시무네8대
쇼군도쿠가와 이에하루10대
쇼군도쿠가와 이에나리11대
쇼군도쿠가와 이에사다13대
쇼군 가족덴쇼인13대 쇼군 이에사다 정실
쇼군 가족도쿠가와 이에모토10대 쇼군 이에하루 장남



4대 쇼군 이에쓰나의 영묘인 엄유원(厳有院)과 5대 쇼군 쓰나요시의 영묘인 조켄인(常憲院)이 있었으나, 1945년 태평양 전쟁공습으로 인해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화재를 피하고 남은 일부 건축물은 현재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간에이지 잔존 중요문화재
영묘문화재 종류상세 내용
엄유원 영묘 (4대 이에쓰나)칙액문(勅額門)
수반사(水盤舎)
오타마야 당문(奥院唐門)
오타마야 보탑(奥院宝塔)부속: 슌메이인(도쿠가와 이에하루) 보탑, 분쿄인(도쿠가와 이에나리) 보탑
조켄인 영묘 (5대 쓰나요시)칙액문(勅額門)
수반사(水盤舎)
오타마야 당문(奥院唐門)
오타마야 보탑(奥院宝塔)부속: 유토쿠인(도쿠가와 요시무네) 보탑, 효쿄인(도쿠가와 이에모토) 보탑, 온쿄인(도쿠가와 이에사다) 보탑, 덴쇼인(도쿠가와 이에사다 부인) 보탑



8대 쇼군 요시무네와 13대 쇼군 이에사다의 보탑은 조켄인 영묘 부지 내에, 10대 쇼군 이에하루와 11대 쇼군 이에나리의 보탑은 엄유원 영묘 부지 내에 세워져 있다.

3. 4. [[고야산]]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위치한 고야산에도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영묘가 세워졌다. 고야산의 탑두인 蓮花院|렌게인일본어마쓰다이라(松平) 가문 시절부터 도쿠가와 가문의 보리소(菩提所)이자 숙방이었다. 분로쿠 3년(1594년) 이에야스가 참배한 것을 계기로 '''大徳院|다이토쿠인일본어'''으로 이름을 바꾸고 승의 본사가 되었다.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에 의해 다이토쿠인에도 이에야스와 히데타다의 영묘가 건축되었다('''도쿠가와가 영묘'''). 히데타다의 영묘는 1633년에, 이에야스의 영묘는 1641년에 건립되었다. 이 영묘들은 난인 뒤편에 있었으나, 현재는 곤고부지 소유이다. 구체적인 영묘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이에야스 영묘


고야산 도쿠가와가 영묘


도쿠가와가 영묘,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가 영묘, 도쿠가와 히데타다


메이지 시대에 영묘는 곤고부지 앞으로 이전되었고, 다이토쿠인은 다른 탑두 사찰과 합병되어 곤고부지 문 앞으로 옮겨지면서 옛 이름인 렌게인으로 돌아갔다. 현재 렌게인에는 도쿠가와 가문의 역대 위패 및 오오쿠 관련 위패가 모셔져 있다. 고야산의 도쿠가와가 영묘는 현재 일본의 중요문화재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덧붙여, 오쿠노인에는 유키 히데야스와 그의 어머니 초쇼인의 영묘(렌게인 소유)가 있으며, 이 역시 중요문화재 및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4. 소실된 영묘 건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