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인천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백제 시대 미추홀로 불린 이래, 고려 시대 인주, 경원부 등을 거쳐 1968년 인천시에 동구로 설치되었다. 2022년 말 기준 5만 8천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면적은 인천 10개 구·군 중 가장 좁다. 2026년 중구의 본토와 통합하여 제물포구로 변경될 예정이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재능대학교, 동산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국도 제6호선 등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 - 송림동
송림동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수도국산의 소나무 숲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효를 중시하고 학구열이 높은 지역이며, 1946년 개칭 후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 송림1동부터 6동까지 구성되었고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동구 - 제물포구
제물포구는 인천광역시의 행정구역 개편안에 따라 중구 구도심 지역과 동구를 통합하여 신설될 예정인 구이다. - 인천 동구 - 화도진공원
화도진공원은 구한말 해안 경계를 위해 설치되었던 화도진을 복원한 공원이며,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장소로, 옛 모습을 복원하고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68년 설치 -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국세청은 대한민국 국세청 소속 기관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1968년 부산지방국세청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 1968년 설치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는 백제 시대부터 어촌을 이루고 근대 문물이 유입된 곳으로, 인천항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국제공항과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6년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영종구와 제물포구로 분리될 예정이다.
동구 (인천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이름 | 동구 |
로마자 표기 | Dong-gu |
한글 | 동구 |
한자 | 東區 |
![]() | |
![]()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인천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11개 동 |
구청장 | 김찬진 (국민의힘) |
국회의원 |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동구·미추홀구 갑)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알 수 없음 |
지리 | |
면적 | 7.19 km² |
위치 | 수도권 |
인구 | |
총 인구 | 58,999명 (2022년 12월 기준) |
세대 | 27,618세대 (2022년 12월 기준) |
방언 | 서울말 |
상징 | |
구의 나무 | 소나무 |
구의 꽃 | 철쭉 |
구의 새 | 갈매기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동구청 웹사이트 |
구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로 67 (송림동 109-2) |
2. 역사
- 백제 시대: 동국여지승람의 백제건국 건설에 의하면 미추홀로 칭하였다.
- 475년: 매소홀현(고구려 남부)
- 신라 경덕왕: 소성현으로 개칭
- 1018년: 수주로 개칭(고려 현종 9년)
- 1096년: 경원군으로 승격(고려 숙종)
- 1123년: 인주로 개칭(고려 인종)
- 1390년: 경원부로 승격(고려 공양왕)
- 1968년 1월 1일 - 경기도 인천시 만석동, 화수동, 화평동, 송현동, 창영동, 금곡동, 송림동을 관할로 '''동구'''가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월미도를 중구로 편입하였다.[11]
- 2026년 7월 1일(예정) - 중구의 본토와 합쳐 제물포구가 될 예정이다.[2]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부터 이 지역은 매소홀현 등으로 불렸다. 1392년(조선 태조 원년)에는 인주로 환원되었으며,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는 인천군으로 개편되었다. 1460년(조선 세조 6년)에는 인천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83년(조선 고종 20년) 한미수호통상조약이 화진지에서 체결되면서 인천항이 개항되었다.2. 2. 일제강점기
1914년 9월 1일 월미도(영종면 관할)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5] 1940년 4월 1일 남동, 부평, 서곶출장소가 설치되었고,[6] 1943년 7월 10일에는 문학출장소가 신설되었다.2. 3. 해방 이후 ~ 현재
1947년 4월 1일 주안지청이 설치되었고, 후에 주안출장소로 이름이 바뀌었다.[7] 1949년 8월 15일에는 인천시로 개칭되었다.[7] 1956년 11월 23일에는 중부, 북부, 동부, 남부출장소가 신설되었다.[8] 1962년 화수동은 화수1~3동으로, 송현동은 송현1~4동으로 분동되었다. 1963년 1월 1일에는 부천군 관할이었던 작약도가 인천에 병합되었다.[9]1968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기도 인천시 동구가 설치되었다.[10] 같은 해 7월 1일, 송림3동은 송림3동서부동과 송림3동동부동으로, 화수1~3동과 송현4동은 송현4동, 화수1·3동, 화수2동으로 분동되었다. 1970년 7월 1일에는 송림1·2동이 송림1동과 송림2동으로, 송림4동이 송림4동과 궁현동(弓峴洞)으로 분동되었다. 1973년 7월 1일, 월미도가 중구에 편입되었다.[11]
1977년 5월 10일, 송림3동서부동은 송림3동으로, 송림3동동부동은 송림5동으로, 궁현동과 화수1·3동은 각각 화수1동, 송림6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송현4동은 화수2동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 동구로 개칭되었다. 1985년 9월 19일에는 금곡동과 창영동이 금창동으로 합동되었다.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동구로 개칭되었다. 1998년 10월 27일, 화수1동과 화평동이 화수1·화평동으로, 송현1동과 송현2동이 송현1·2동으로 합동되었다. 1999년 10월 27일에는 송림3동과 송림5동이 송림3·5동으로 합동되었다.
2026년 7월 1일(예정), 중구의 본토와 합쳐져 제물포구가 될 예정이다.[2]
3. 행정 구역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은 11행정동 204통 980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구의 면적은 7.19 km2(시 전체의 0.69%)이며, 인구는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 8,999명, 2만 7,618가구이다.[3]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만석동 | 萬石洞 | 1.15 | 6,701 | 3,175 |
화수1.화평동 | 花水1.花平洞 | 0.30 | 5,794 | 2,817 |
화수2동 | 花水2洞 | 0.61 | 7,421 | 3,729 |
송현1.2동 | 松峴1.2洞 | 0.34 | 10,096 | 4,393 |
송현3동 | 松峴3洞 | 2.21 | 3,287 | 1,808 |
송림1동 | 松林1洞 | 0.19 | 3,350 | 1,485 |
송림2동 | 松林2洞 | 0.29 | 2,175 | 1,307 |
송림3.5동 | 松林3.5洞 | 0.55 | 5,801 | 2,573 |
송림4동 | 松林4洞 | 0.79 | 6,091 | 2,537 |
송림6동 | 松林6洞 | 0.56 | 5,902 | 2,497 |
금창동 | 金昌洞 | 0.29 | 2,381 | 1,297 |
동구 | 東區 | 7.19 | 58,999 | 27,618 |
4. 인구
인천 동구는 해발 30~40m의 언덕 위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북쪽 해안의 간척지는 인천 해안 산업 단지의 일부를 형성하며, 주안 및 부평 산업 단지와 연결된 해안 산업 단지를 이루고 있다. 인구는 구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구 전체가 인천 구도심과 연결된 오래된 주거 지역이며,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간선 도로는 송림동 로터리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지선 도로는 불규칙한 형태를 띠고 있다. 구 전체는 도심에 인접한 주거 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 간척지는 공업 지역으로 개발되어 인천 4개 구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높다.
인천광역시 8개 구 중 인구가 가장 적고, 10개 구·군 중 면적이 가장 작다.
연도 | 총인구 |
---|---|
1985년 | 146,290명 |
1990년 | 124,163명 |
1995년 | 100,114명 |
2000년 | 72,792명 |
2005년 | 74,285명 |
2010년 | 72,794명 |
2015년 | 71,054명 |
5. 지리
동구는 해발 30~40m의 언덕 위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북쪽 해안의 간척지는 인천 해안 산업 단지의 일부를 형성하며, 주안 및 부평 산업 단지와 연결된 해안 산업 단지를 이루고 있다. 인구는 구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구 전체가 인천 구도심과 연결된 오래된 주거 지역이며,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간선 도로는 송림동 로터리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지선 도로는 불규칙한 형태를 띠고 있다. 구 전체는 도심에 인접한 주거 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 간척지는 공업 지역으로 개발되어 인천 4개 구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높다.
인천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인천광역시 8개 구 중 인구가 가장 적고, 10개 구 중 면적이 가장 작다. 지리적으로 남쪽으로는 중구, 북쪽으로는 서구, 동쪽으로는 미추홀구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한다. 인천의 서쪽에 위치해 있지만, 동구라는 이름은 인천시청(현 중구 송학동)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6. 정치
6. 1. 구청
현재 인천 동구청은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에 있다.6. 2. 역대 구청장
현재 인천 동구청은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에 있다.
7. 교육 기관
인천광역시 동구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기관이 있다.
- 대학교
:** 재능대학교
- 고등학교
:** 동산고등학교
:** 인천재능고등학교
:** 영화여자정보고등학교
:** 인천산업정보학교
- 중학교
:** 화도진중학교
:** 재능중학교
:** 동산중학교
- 초등학교
:** 인천만석초등학교
:** 인천서림초등학교
:** 인천서흥초등학교
:** 인천송림초등학교
:** 인천송현초등학교
:** 인천창영초등학교
:** 영화초등학교
:** 인천동명초등학교
8. 문화
8. 1. 박물관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9. 산업
현대제철 인천공장, 동국제강 인천공장, HD현대인프라코어 인천공장, 일진전기 인천공장, 동서가구 인천공장, 우아미가구 인천공장, 이건산업 인천공장이 있다.
10. 교통
10. 1. 철도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동구를 지난다. 경인선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도원역이 동구에 있다. 동인천역은 중구에 있지만, 동구와의 경계에 있어 동구에서도 이용 가능하다.10. 2. 도로
동구에는 국도 제6호선과 국도 제77호선이 지난다. 이 외에도 인천대로(구 경인고속도로 구간), 봉수대로, 장고개로, 중봉대로 등이 있다.11. 사건·사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동구 관내 중심부인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구간을 통과하면서 이 일대를 중심으로 균열 문제가 계속되어,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주민들이 인천시 등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2]
웹사이트
2026년 7월 검단구·영종구 출범…인천시, 3단계로 준비
https://www.yna.co.k[...]
2024-03-12
[3]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문서
동구 전역 미추홀구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해당
[5]
법률
부령 제 133호
1914-09-01
[6]
법률
인천부 고시 제32호
[7]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8]
법률
시조례 제144호
[9]
법률
법률 제 1175호
[10]
법률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7-03-30
[11]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