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군은 삼국 시대 거칠산군과 대증현을 통합하여 유래되었으며, 현재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일대에 위치했다. 757년 신라 경덕왕 때 동래군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현종 때 동래현으로 격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동래 만호가 왜구를 격퇴하고, 병마사가 설치되는 등 중요한 지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되었고, 1963년 부산시와 동래군으로 분할되었다. 1973년에는 기장 지역을 제외한 동래군 지역이 양산군에 편입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의 동래군은 소멸되었다. 1995년에는 기장군이 설치되어, 과거 동래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설치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1903년 설치 - 창원군
    창원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과 위상이 바뀌며 경상남도에서 존속하다가, 마산항 개항 이후 중심지가 마산으로 이동하고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통합되어 폐지된 군이다.
  • 1896년 폐지 - 이십삼부
    이십삼부는 1895년 갑오개혁으로 조선 정부가 8도 체제를 대체하여 시행한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중앙집권화 강화 및 행정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전국을 23개의 관찰부로 재편하고 행정 구역 명칭을 ‘군’으로 통일했으나, 행정 불균형, 통상 업무 혼란, 군 등급제로 인한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로 중앙집권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 1896년 폐지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경기도)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옛 군으로, 고려 시대 광주를 거쳐 조선 시대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 행정구역 개편 및 성남시, 하남시 분리 후 2001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 신라의 군 - 임관군
    임관군은 신라시대 경주 남부와 울산 일대에 걸쳐 있던 군사 요충지로, 신당서에 강력한 방어 체계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에 왜구 방어와 지명 변경에 대한 기록이 있고, 현재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일대가 중심지로 추정되며 여러 역사 유적을 포함한다.
  • 신라의 군 - 삼척군
    삼척군은 강원도 삼척시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실직국으로 발전하여 신라에 병합된 후 삼척부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삼척시와 통합되었다.
동래군
지도
기본 정보
한글 표기동래군
한자 표기東萊郡
로마자 표기Dongnae-gu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Tongnae-kun
영문 표기Dongnae County
행정
국가대한민국
상위 행정 구역경상남도
하위 행정 구역해당 정보 없음
통계
면적해당 정보 없음
총인구해당 정보 없음
남자 인구해당 정보 없음
여자 인구해당 정보 없음
인구 밀도해당 정보 없음
세대수해당 정보 없음
기타
ISO 3166-2해당 정보 없음
행정 구역 분류 코드해당 정보 없음
군의 나무해당 정보 없음
군의 꽃해당 정보 없음
군의 새해당 정보 없음
공식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2. 유래

동래군은 삼국시대에 거칠산군(居柒山郡)과 대증현(大甑縣)이 합해져서 생겨났다.

지금의 동래에서 해운대에 걸쳐 있던 거칠산은 말 그대로 "거칠다"의 우리말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거친 뫼’ 즉 황령산을 끼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단 고대에는 "까실메"로 읽혔다. 현대어에 가깝게 "칠(柒)"자가 들어간 것은 우연의 결과이다.

지금의 부산포에서 낙동강 하구에 있었던 부산(釜山)이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는 대증현(大甑縣)은 《동국여지승람》에서 "부산은 산이 가마솥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그 산 밑을 부산포라 한다."라고 하였는데, 그 산은 지금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증산"(甑山, 시루대 또는 부산)을 말한 것이다. 큰 시루를 뜻하는 "대증(大甑)"과 "부(釜, 가마솥)"는 뜻이 통하는 것으로 지금의 부산진구 당감동 일대를 말한다.

3. 역사

삼한시대에는 해운대 지역에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서기 1세기 후반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한편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백제ㆍ왜ㆍ가야 연합군의 각축장이 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하였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구 명칭신 명칭현대의 비정 위치
대증현(大甑縣)동평현(東平縣)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기장현(機張縣)기장군 기장읍



1018년(고려 현종 9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의 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梁州)의 속현이 되었다.

1396년(태조 5년) 음력 6월 18일 동래 만호(東萊萬戶) 윤형(尹衡)과 석포 천호(石浦千戶) 이의경(李義敬)이 왜구의 배 1척을 잡아서 군기와 갑옷을 바쳤다.[12] 음력 8월 9일에는 왜적의 배 1백 20척이 경상도에 입구(入寇)하여 병선(兵船) 16척을 탈취해 가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이춘수(李春壽)를 죽였으며, 동래(東萊)·기장(機張)·동평성(東平城)을 함락하였다.[13] 음력 10월 27일 - 왜구가 동래성(東萊城)을 포위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병선 21척을 불살랐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윤형(尹衡)과 임식(任軾)이 전사하였다.[14] 1397년(조선 태조 6년) 동래군에 처음으로 병마사(兵馬使) 겸 판현사(判縣事)를 두고, 동래군에 진(부산진, 釜山鎭)이 설치되었다. 1405년(태종 5년), 1018년 이래로 울주(蔚州)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주현(主縣)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다시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태종 9년) 동평현이 다시 양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428년(세종 10년)에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1547년 동래현이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592년에 다시 동래현으로 격하되었다.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 1599년 기장현이 폐현되어 그 남쪽을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617년 기장현이 복원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동래부 동래군으로 개편되었다.[15] 1896년 양산군 대저면'''→'''김해군, 좌이면'''→동래군''' 이속.[16] 1897년 '''동래군 좌이면→양산군 이속.''' 1904년 '''좌이면→계서면 개칭.''' 1906년 '''동래군+양산군 계서면='''동래부(東萊府). 1910년 10월 1일 '''계서면→좌이면,''' 동래부'''→부산부'''(釜山府) 개칭.[17] 1914년 4월 1일 '''부산부를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하였다. 이때 기장군이 폐지되고 동래군에 흡수된다.[18]

1918년 1월 1일 좌이면'''→'''구포면 개칭. 1931년 4월 1일 동래면을 동래읍으로 승격하였다.[19] 1936년 4월 1일 서면'''→부산부 부산진출장소 개칭,''' 사하면 암남리 내속.[20] 1942년 10월 1일 사하면'''→사하출장소''', 남면'''→수영출장소 개편''', 동래읍, 사하면,  남면, 북면 부곡·장전리'''→'''부산부 '''편입'''.[21] 1943년 10월 1일 구포면'''→'''읍 승격.[22]

1963년 1월 1일 구포읍'''→ 부산시 구포출장소''', 사상면'''→사상출장소''', 북면'''→동래군 북면출장소''', 기장면 송정리'''→동래군 해운대출장소'''에 편입하고,[23] 울주군 서생면을 동래군에 편입하였다.[24]

1973년 7월 1일 현재 기장 지역 등 남은 동래군 지역 모두가 양산군에 편입됨으로써 행정구역명이 소멸되었다.[25]

1995년 3월 1일 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을 관할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이 설치되었다.[26] 이때 설치된 기장군의 군역은 1914년 폐지된 기장군과 일치하여, 군명은 기장군이 되었다.

3. 1. 삼국시대 이전

삼한시대에 현재의 해운대 지역에는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한편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백제ㆍ왜ㆍ가야 연합군의 각축장이 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3. 2. 신라 시대

삼한시대 해운대 지역에는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서기 1세기 후반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한편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백제ㆍ왜ㆍ가야 연합군의 각축장이 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하였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구 명칭신 명칭현대의 비정 위치
대증현(大甑縣)동평현(東平縣)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기장현(機張縣)기장군 기장읍


3. 3. 고려 시대

삼한시대 해운대 지역에는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서기 1세기 후반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 백제, 가야, 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의 속현이 되었다.

3. 4. 조선 시대

삼한시대 해운대 지역에는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백제ㆍ왜ㆍ가야 연합군의 각축장이 되었다.[12][13][14]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하였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구 명칭신 명칭현대의 비정 위치
대증현(大甑縣)동평현(東平縣)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기장현(機張縣)기장군 기장읍



1018년(고려 현종 9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의 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梁州)의 속현이 되었다.

1396년(태조 5년) 음력 6월 18일 동래 만호(東萊萬戶) 윤형(尹衡)과 석포 천호(石浦千戶) 이의경(李義敬)이 왜구의 배 1척을 잡아서 군기와 갑옷을 바쳤다.[12] 음력 8월 9일에는 왜적의 배 1백 20척이 경상도에 입구(入寇)하여 병선(兵船) 16척을 탈취해 가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이춘수(李春壽)를 죽였으며, 동래(東萊)·기장(機張)·동평성(東平城)을 함락하였다.[13] 음력 10월 27일 - 왜구가 동래성(東萊城)을 포위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병선 21척을 불살랐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윤형(尹衡)과 임식(任軾)이 전사하였다.[14] 1397년(조선 태조 6년) 동래군에 처음으로 병마사(兵馬使) 겸 판현사(判縣事)를 두고, 동래군에 진(부산진, 釜山鎭)이 설치되었다. 1405년(태종 5년), 1018년 이래로 울주(蔚州)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주현(主縣)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다시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태종 9년) 동평현이 다시 양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428년(세종 10년)에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1547년 동래현이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592년에 다시 동래현으로 격하되었다.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 1599년 기장현이 폐현되어 그 남쪽을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617년 기장현이 복원되었다.

3. 5.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었다.[17] 1914년 4월 1일 부산부를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하면서 기장군이 폐지되어 동래군에 흡수되었다.[18] 동래군은 부산부 읍내면, 동상면, 동하면, 용주면, 남면, 동평면, 서하면, 사하면, 사상면, 좌이면, 북면, 기장군 상서면, 하서면, 하북면, 상북면, 중북면, 동면, 남면, 읍내면을 관할하였다.

1918년 1월 1일 좌이면이 구포면으로 개칭되었고, 1931년 4월 1일에는 동래면이 동래읍으로 승격하였다.[19] 1936년 4월 1일 서면이 부산부 부산진출장소로 개칭되었고, 사하면 암남리가 부산부에 내속되었다.[20] 1942년 10월 1일 사하면은 사하출장소, 남면은 수영출장소로 개편되었으며, 동래읍, 사하면, 남면, 북면 부곡·장전리가 부산부로 편입되었다.[21] 1943년 10월 1일에는 구포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22]

1963년 1월 1일 구포읍은 부산시 구포출장소, 사상면은 사상출장소, 북면은 동래군 북면출장소, 기장면 송정리는 동래군 해운대출장소에 편입되었고,[23] 울주군 서생면이 동래군에 편입되었다.[24]

3. 6. 해방 이후

1963년 1월 1일 구포읍과 사상면이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 편입되고,[23] 북면 및 기장면 송정리가 부산직할시 동래구에 편입되었으며, 울주군 서생면을 동래군에 편입하였다.[24] 1973년 7월 1일에는 기장 지역 등 남은 동래군 지역 모두가 양산군에 편입되면서 동래군이라는 행정구역명이 완전히 소멸되었다.[25]

1995년 3월 1일 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을 관할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이 설치되었다.[26] 이때 설치된 기장군의 군역은 1914년 폐지된 기장군과 일치하여, 군명은 기장군이 되었다.

4. 1914년 당시 행정구역 (1914년~현재)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장군과 울산군 서생면이 동래군에 통합되었다.[27]

1914년현재
동·리시·구동·리
사하면암남리부산 서구암남동
감천리, 하단리, 신평리, 장림리, 다대리, 구평리, 당리, 괴정리부산 사하구감천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당리동, 괴정동
사상면주례리, 학장리, 괘법리, 덕포리, 엄궁리, 감전리, 모라리, 삼락리, 유두리[28]부산 사상구주례동, 학장동, 괘법동, 덕포동, 엄궁동, 감전동, 모라동, 삼락동 일부, 삼락동 일부
서면[29]양정리, 범전리, 부전리, 초읍리, 연지리, 전포리, 부암리, 개금리, 가야리, 당감리부산 부산진구양정동, 범전동, 부전동, 초읍동, 연지동, 전포동, 부암동, 개금동, 가야동, 당감동
문현리, 대연리, 우암리, 용호리, 용당리, 감만리부산 남구문현동, 대연동, 우암동, 용호동, 용당동, 감만동
남면[30]광안리, 남천리, 남수리, 망미리, 민락리부산 수영구광안동,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민락동
우리, 좌리, 중리, 재송리부산 해운대구우동, 좌동, 중동, 재송동
동래면[31]반여리, 석대리, 반송리반여동, 석대동, 반송동
연산리, 거제리부산 연제구연산동, 거제동
수안리, 칠산리, 복천리, 낙민리, 원리, 교리, 온천리, 여고리[32], 명장리부산 동래구수안동, 칠산동, 복천동, 낙민동, 안락동, 명륜동, 온천동, 사직동, 명장동
회동리, 오륜리, 금사리, 서리부산 금정구회동동, 오륜동, 금사동, 서동
북면부곡리, 구서리, 선리, 두구리, 장전리, 노포리, 남산리, 청룡리부곡동, 구서동, 선동, 두구동, 장전동, 노포동, 남산동, 청룡동
좌이면[33]금성리금성동
화명리, 구포리, 덕천리, 금곡리, 만덕리부산 북구화명동, 구포동, 덕천동, 금곡동, 만덕동
철마면[34]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부산 기장군 철마면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
정관면[35]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부산 기장군 정관읍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
장안면[36]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용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부산 기장군 장안읍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용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
일광면[37]이천리, 삼성리, 학리,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원리부산 기장군 일광읍이천리, 삼성리, 학리,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원리
기장면[38]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신천리,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교리,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부산 기장군 기장읍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신천리,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교리,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송정리부산 해운대구송정동



1936년 부산부의 행정구역 확장 이전까지 동래읍, 서면, 북면, 구포면, 사상면, 사하면, 남면, 기장면, 일광면, 장안면, 정관면, 철마면이 동래군에 속해 있었다.

참조

[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02-14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09-30
[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9] 법률 법률 제1173호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11-21
[10]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1]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12] 역사자료 태조실록 (1413) 9권, 태조 5년 6월 18일 갑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06-18
[13] 역사자료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8월 9일 갑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08-09
[14] 역사자료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10월 27일 신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10-27
[15]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6]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02-14
[2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09-30
[2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23] 법률 법률 제1173호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11-21
[24]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5] 법률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26] 법률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27]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28] 기타 삼락리로 흡수
[29] 기타 서면은 부산부 서하면(西下面)과 동평면(東平面), 남면(南面)의 합면이다.
[30] 기타 남면은 부산부 용주면(龍珠面)과 동하면(東下面)의 합면이다.
[31] 기타 동래면은 부산부 읍내면(邑內面)과 서상면(西上面), 동상면(東上面)의 합면이다.
[32] 기타 1917년 사직리로 개칭
[33] 기타 1918년 1월 1일 구포면으로 개칭되고, 1943년 10월 1일에 구포읍으로 승격되었다.
[34] 기타 철마면은 기장군 상서면(上西面)과 하서면(下西面)의 합면이다.
[35] 기타 정관면은 기장군 하북면(下北面)과 하서면의 합면이다.
[36] text
[37] text
[38]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