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 가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물원 가설은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면 생명체가 존재하고 진화하며, 외계 문명의 수가 많다고 가정한다. 이 가설은 외계인들이 독립적인 진화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으며, 조기 접촉이 우주 전체의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바탕으로 한다. 동물원 가설은 페르미 역설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로 제시되며, 인류가 특정 수준의 문명과 성숙함을 갖출 때까지 외계 문명이 접촉을 피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가설은 외계 문명 내 반체제 집단의 존재 가능성, 신학적 성격 등으로 비판받기도 하며, SF 소설,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동물원 가설은 우선 생명체가 존재하고 진화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지면 생명체가 존재하고 진화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곳이 많고 외계 문명의 수가 많다고 가정한다.[2] 이 외계인들은 독립적이고 자연스러운 진화와 발달에 대해 큰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특히 지능이 시스템의 접근 가능한 미래의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는 물리적 과정이라고 가정하면,[6] 동물원 가설의 근본적인 동기는 조기 접촉이 우주 자체가 취할 수 있는 전체적인 경로의 다양성을 "지능 없이"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동물원 가설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외계 문명 내에 단일 반체제 집단이나 통일된 은하 클럽이 없어도, 은하계 파벌이 존재하기만 해도 무접촉 협정을 깨기에 충분하다고 말한다.[9][15] 스티븐 웹 등은 인간과 인간 문명 간의 정치를 참고할 때, 그러한 금지가 수백만 년 동안, 또는 적어도 인간 존재 기간 동안 단 한 번의 위반도 없이 효력을 발휘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생각한다.[16][17] 다른 이들은 동물원 가설이, 플라네타리움 변형과 함께, 매우 추측적이며 신학적 이론과 더 일치한다고 말한다.[18] 반체제(불량) 집단 주장에 대한 가능한 반론은 외계 초인공지능이 생물학적 지성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한 우주를 지배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별개의 초인공지능은 병합된 초인공지능 네트워크로 향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불량 행동을 단념시킨다고 추정한다.[19]
동물원 가설은 페르미 역설에 대한 답변 중 하나로 제시된다.[12] 수정된 동물원 가설은 페르미 역설의 해결책으로, 은하수 내에서 최초 문명이 등장한 시점과 후속 문명들이 등장한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문명 간의 초기 도착 간격은 지구의 지질 시대와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떤 문명은 인류보다 1,000만 년, 1억 년 또는 5억 년 앞서 시작했을 수도 있으며, 이는 인류의 탐지 시도를 무력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12]
METI(Messaging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우주 지능체에 메시지 발신)는 2015년에 외계 지적 생명체와 통신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로, 동물원 가설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13] 그러나 METI는 인류의 집단적 의지를 대변하지 못하고 잠재적으로 인류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동물원 가설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외계 문명 내에 단일 반체제 집단이나 통일된 은하 클럽이 없어도, 은하계 파벌이 존재하기만 해도 무접촉 협정을 깨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한다.[9][15] 스티븐 웹(Stephen Webb)을 비롯한 이들은 인간과 인간 문명 간의 정치를 참고할 때, 그러한 금지가 수백만 년 동안, 또는 적어도 인간 존재 기간 동안 단 한 번의 위반도 없이 효력을 발휘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생각한다.[16][17]
동물원 가설은 과학 소설(SF)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다양한 작품에서 이 가설을 차용하거나 변형하여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냈다.
2. 기본 전제
이러한 생각은 여러 외계 문명 사이에 지구와 유사한 발달 단계의 문명과는 고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비교적 보편적인 문화적 또는 법적 정책이 존재할 때 가장 설득력이 있다. 패권이 없는 우주에서 독립적인 원칙을 가진 무작위 단일 문명이 접촉할 것이다. 이것은 분명하게 정의된 규칙이 있는 혼잡한 우주를 더 그럴듯하게 만든다.[7]
그러나 외계 문명이 여럿 존재한다면, 이러한 이론은 동기 통일성 개념에 따라 무너질 수 있다. 왜냐하면 단 하나의 외계 문명, 또는 주어진 문명 내의 작은 집단이 인간의 탐지 범위 내에서 이 명령에 반하는 행동을 결정하기만 하면 되고, 이러한 패권 위반의 가능성은 문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이다.[8][9] 그러나 이 생각은 모든 문명이 접촉과 관련하여 지구상의 수렴 진화가 여러 번 독립적으로 눈을 진화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한 문화적 기준과 가치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거나,[10] 모든 문명이 그들 중 최초 문명과 같은 특별히 뛰어난 문명의 선례를 따르는 경우 더욱 그럴듯해진다.[11]
이 가설에서 보편적인 윤리적 동질성의 문제는 해결된다. 왜냐하면 지속적인 고도의 문명 수준을 획득하려면 자기 파괴, 전쟁, 과잉 인구, 오염, 희소성과 같은 많은 문제를 극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 문명이 책임감 있고 현명한 행동을 채택하도록 이끌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사라질 것이다(페르미 역설에 대한 다른 해결책을 포함). 동물원 가설에서는 인류가 특정한 수준의 문명과 성숙함(책임감과 지혜)을 습득할 때까지는 어떠한 접촉도 불가능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잠재적인 위협이 될 것이다.
3. 이론의 한계
4. 페르미 역설과의 관계
동물원 가설은 패권력 개념을 페르미 역설에 적용한다. 최초의 패권적 불간섭주의적 거대 문명(최초 문명)이 오래전에 사라졌더라도, 그 유산은 전통, 또는 불간섭주의 목표에 전념하는 인공 초지능 형태로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문명이 아니더라도, 불간섭주의를 전파하고 은하계의 넓은 영역을 통제하는 최초의 문명이 패권력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단 하나의 문명이 과거에 패권을 획득했다면, 이는 후속 문명의 탐욕적인 식민지화를 금지하고 불간섭을 옹호하는 연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된 동기 통일성 개념은 무의미해진다. 주요 문제는 은하 전체 문명이 지구에서 오는 의도적, 비의도적 통신을 차단하는 방법이다.[13]
만약 은하수에 현재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문명이 다음으로 오래된 문명보다 1억 년의 시간적 우위를 가진다면, 그들은 자신의 영향권 내에서 모든 후속 문명의 등장을 통제, 감시, 영향 또는 고립시킬 수 있는 유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지구에서 매일 일어나는 일과 유사하며, 지구에서 태어나는 모든 사람은 이미 확립된 가족 관계, 관습, 전통, 법률 시스템 내에서 태어나며, 이에 대한 통제력은 거의 없다.[14]
"만약 항성간 항행을 가능하게 하는 우주인이 있다면, 왜 이 지구에 오지 않는가?"라는 페르미의 역설에 대한 여러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있다.
1973년 하버드 대학교의 볼이 발표한 논문 "The Zoo Hypothesis"에 의해 "동물원 가설"이라는 명칭이 정착되었다. 이는 지구가 우주인에게 동물원과 같은 관찰 대상이라는 의미이다.
우주인이 지구인에게 간섭하지 않는 이유는 "문명 수준 차이가 커서 지구에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지구 문명의 자력 발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등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우주인의 사고는 지구인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유는 얼마든지 붙일 수 있다.
반증 가능성이 없는 이론이기에, 현실에서는 사고 실험 이상이 될 수 없지만, SF에서는 퍼스트 컨택트물의 변형으로 자주 사용된다. 작품에 따라 주인공이 고도 문명 측이 되어, 뒤떨어진 외계 문명과의 접촉을 금지당하는 경우도 많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왜 미래에서 온 여행자가 존재하지 않는가"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도 사용되며, 이 경우 간섭을 피하는 이유는 시간 역설 회피로 생각될 수 있다.
5. METI (Messaging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6. 비판
다른 비판론자들은 동물원 가설, 특히 플라네타리움 변형이 매우 추측적이며 신학적 이론과 더 일치한다고 말한다.[18] 반체제(불량) 집단 주장에 대한 가능한 반론은 외계 초인공지능이 생물학적 지성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한 우주를 지배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별개의 초인공지능은 병합된 초인공지능 네트워크로 향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불량 행동을 단념시킨다고 추정한다.[19]
7. 대중문화 속 동물원 가설
작품명 개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달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석판 모노리스는, 지구인이 우주로 떠날 때까지 진화했음을 태양계 외 문명에 전달하기 위한 통보 장치였다. 그 이전에 "전초"라는 작품에서 클라크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5] ARIEL 은하 제국의 침략 기업 게도사에 의한 지구 침략을 그린 이 작품에서, 게도사는 은하 제국에 미편입된 지구인에게 관성 제어, 초광속 기관 등 오버 테크놀로지를 수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원해☆티처 히로인 카자미 미즈호는 은하 연맹에서 파견된 변방 행성의 주재 감시원이며, 그 비밀을 지키기 위해 주인공 쿠사나기 케이와 결혼한다. 종반에는 그녀의 행동이 은하 연맹에서 문제시되어 케이를 비롯한 그녀와 관련된 사람들의 기억이 삭제된다. 기갑계 가리안 이라스탄트 은하 고도 문명 연합은 행성 아스트에서, 제1차 문명 붕괴 후에 부흥한 문명에 대한 간섭을 "비간섭 원칙"으로 금지했지만, 행성 란플레이트를 추방당한 마달은 그 금기를 깨고 아스트 선사 문명의 유산인 기갑병을 무기로 아스트 정복에 나선다. 은하철도 999 호시노 테츠로와 메텔이 999호로 지구와 매우 흡사한 외관을 가진 행성 "내일의 별"이라는 행성에 도착한다. 이 행성의 문명 레벨은 쇼와 30년대의 지구 정도이며, 은하철도에 대한 것은 공표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테츠로들은 내일의 별 주민들에게 은하철도로 이 별에 왔다는 것을 숨기고 있었다. 또한 999호는 밤에 조용히 정차하며, 이 별에서는 아직 증기 기관차가 현역이기 때문에 999호는 그 외관을 위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스타 오션 시리즈 "미개 행성 보호 조약"에 의해, 지적 생명체가 독자적으로 우주로 진출하는 문명 수준에 이르지 못한 행성에 대한 간섭이 금지되어 있다. 스타 트렉 연방의 우주 함대는, 문명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함대의 서약"이라는 규칙으로, 자력으로 워프 항법을 개발하지 않은 종족에 대한 간섭을 금지하고 있다. 지구인도 2063년에 첫 워프에 성공한 것으로, 처음으로 벌칸인의 컨택을 받았다.[10] 제이람 이성의 현상금 사냥꾼 일리아와 밥이 도망간 생물 병기 "제이람"을 쫓아 지구를 방문한다. 지구의 문명 수준에서, 어떤 활동의 흔적도 남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존"이라고 불리는 유사 공간에 제이람을 유인하려 하지만, 잘못하여 두 전기 기술자가 휘말린다.
7. 1. 문학
작품명 | 개요 |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달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석판 모노리스는, 지구인이 우주로 떠날 때까지 진화했음을 태양계 외 문명에 전달하기 위한 통보 장치였다. 그 이전에 "전초"라는 작품에서 클라크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
ARIEL | 은하 제국의 침략 기업 게도사에 의한 지구 침략을 그린 이 작품에서, 게도사는 은하 제국에 미편입된 지구인에게 관성 제어, 초광속 기관 등 오버 테크놀로지를 수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원해☆티처 | 히로인 카자미 미즈호는 은하 연맹에서 파견된 변방 행성의 주재 감시원이며, 그 비밀을 지키기 위해 주인공 쿠사나기 케이와 결혼한다. 종반에는 그녀의 행동이 은하 연맹에서 문제시되어 케이를 비롯한 그녀와 관련된 사람들의 기억이 삭제된다. |
기갑계 가리안 | 이라스탄트 은하 고도 문명 연합은 행성 아스트에서, 제1차 문명 붕괴 후에 부흥한 문명에 대한 간섭을 "비간섭 원칙"으로 금지했지만, 행성 란플레이트를 추방당한 마달은 그 금기를 깨고 아스트 선사 문명의 유산인 기갑병을 무기로 아스트 정복에 나선다. |
은하철도 999 | 호시노 테츠로와 메텔이 999호로 지구와 매우 흡사한 외관을 가진 행성 "내일의 별"이라는 행성에 도착한다. 이 행성의 문명 레벨은 쇼와 30년대의 지구 정도이며, 은하철도에 대한 것은 공표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테츠로들은 내일의 별 주민들에게 은하철도로 이 별에 왔다는 것을 숨기고 있었다. 또한 999호는 밤에 조용히 정차하며, 이 별에서는 아직 증기 기관차가 현역이기 때문에 999호는 그 외관을 위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
스타 오션 시리즈 | "미개 행성 보호 조약"에 의해, 지적 생명체가 독자적으로 우주로 진출하는 문명 수준에 이르지 못한 행성에 대한 간섭이 금지되어 있다. |
스타 트렉 | 연방의 우주 함대는, 문명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함대의 서약"이라는 규칙으로, 자력으로 워프 항법을 개발하지 않은 종족에 대한 간섭을 금지하고 있다. 지구인도 2063년에 첫 워프에 성공한 것으로, 처음으로 벌칸인의 컨택을 받았다. |
제이람 | 이성의 현상금 사냥꾼 일리아와 밥이 도망간 생물 병기 "제이람"을 쫓아 지구를 방문한다. 지구의 문명 수준에서, 어떤 활동의 흔적도 남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존"이라고 불리는 유사 공간에 제이람을 유인하려 하지만, 잘못하여 두 전기 기술자가 휘말린다. |
7. 2. 영화 및 TV
- 아서 C. 클라크의 단편 소설 ''더 센티넬''(1951년 초판)과 이후 소설 각색작인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에는 인류가 달에서 발견하면 활성화되는 비콘이 등장한다.
- 스타 트렉에서, 연방(인간 포함)은 연방이 마주치는 기술적으로 덜 발전된 문화에 대한 불간섭이라는 엄격한 프라임 지령 정책을 가지고 있다. 포함 기준은 초광속 추진력의 독립적인 기술 개발이다. 이 쇼의 정경에서, 벌칸 종족은 인간이 최초의 워프 비행을 할 때까지 관찰로 제한했고, 그 후 그들은 최초의 접촉을 시작했는데, 이는 이 관행이 인간 종족이 이 기준을 넘어서기 전부터 존재했음을 나타낸다.[2]
작품명 | 개요 |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달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석판 모노리스는, 지구인이 우주로 떠날 때까지 진화했음을 태양계 외 문명에 전달하기 위한 통보 장치였다. 그 이전에 "전초"라는 작품에서 클라크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5] |
스타 트렉 | 연방의 우주 함대는, 문명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함대의 서약"이라는 규칙으로, 자력으로 워프 항법을 개발하지 않은 종족에 대한 간섭을 금지하고 있다. 지구인도 2063년에 첫 워프에 성공한 것으로, 처음으로 벌칸인의 컨택을 받았다.[10] |
7. 3. 게임
Spore (2008)에서는 지적 종족이 행성을 통일하고 우주 비행을 개발해야 다른 종족과 접촉할 수 있다. 단, 외계인 납치, 미스터리 서클 생성, 모노리스 배치 등으로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는 것은 가능하다.[1] 스텔라리스 (2016)에서는 플레이어가 덜 발달된 문명을 관찰하며, 기술 계몽, 은밀한 침투 등을 선택할 수 있다.[1]7. 4. 기타
- 1987년: 줄리안 메이의 소설 『개입』에서, 은하 환경의 다섯 외계 종족은 지구를 감시하지만, 인간이 초자연적인 평화의 기도를 통해 정신적, 윤리적 성숙함을 보여줄 때까지 개입하지 않는다.
- 1989년: 이언 M. 뱅크스의 단편 『예술의 경지』는 컬처가 지구를 비밀리에 방문한 후, 다른 문명에 대한 그들의 조작이 궁극적으로 최선인지 확인하기 위해 지구를 통제 집단으로 두고 접촉하지 않고 개발을 지켜보기로 결정하는 것을 묘사한다(실험실 가설). 뱅크스의 다른 작품들은 컬처(또는 컬처에 상응하는 존재)가 산업 혁명 이전의 문명을 포함하여, 덜 발달된 문명을 철학적 또는 외교적 목적으로 은밀하게 또는 공공연하게 조작하는 것을 묘사한다.
- 1989년: 빌 워터슨의 만화 『캘빈과 홉스』의 1989년 11월 8일자 만화는 최초의 접촉에 대한 윤리적 기준점(또는 적어도 최초의 접촉에 대한 신중함)의 가능성을 암시하며, 캘빈은 "가끔 나는 지적 생명체가 우주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징후는 그들 중 아무도 우리에게 연락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한다.[3]
작품명 | 개요 |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달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석판 모노리스는, 지구인이 우주로 떠날 때까지 진화했음을 태양계 외 문명에 전달하기 위한 통보 장치였다. 그 이전에 "전초"라는 작품에서 클라크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
ARIEL | 은하 제국의 침략 기업 게도사에 의한 지구 침략을 그린 이 작품에서, 게도사는 은하 제국에 미편입된 지구인에게 관성 제어, 초광속 기관 등 오버 테크놀로지를 수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원해☆티처 | 히로인 카자미 미즈호는 은하 연맹에서 파견된 변방 행성의 주재 감시원이며, 그 비밀을 지키기 위해 주인공 쿠사나기 케이와 결혼한다. 종반에는 그녀의 행동이 은하 연맹에서 문제시되어 케이를 비롯한 그녀와 관련된 사람들의 기억이 삭제된다. |
기갑계 가리안 | 이라스탄트 은하 고도 문명 연합은 행성 아스트에서, 제1차 문명 붕괴 후에 부흥한 문명에 대한 간섭을 "비간섭 원칙"으로 금지했지만, 행성 란플레이트를 추방당한 마달은 그 금기를 깨고 아스트 선사 문명의 유산인 기갑병을 무기로 아스트 정복에 나선다. |
은하철도 999 | 호시노 테츠로와 메텔이 999호로 지구와 매우 흡사한 외관을 가진 행성 "내일의 별"이라는 행성에 도착한다. 이 행성의 문명 레벨은 쇼와 30년대의 지구 정도이며, 은하철도에 대한 것은 공표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테츠로는 내일의 별 주민들에게 은하철도로 이 별에 왔다는 것을 숨기고 있었다. 또한 999호는 밤에 조용히 정차하며, 이 별에서는 아직 증기 기관차가 현역이기 때문에 999호는 그 외관을 위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
스타 오션 시리즈 | "미개 행성 보호 조약"에 의해, 지적 생명체가 독자적으로 우주로 진출하는 문명 수준에 이르지 못한 행성에 대한 간섭이 금지되어 있다. |
스타 트렉 | 연방의 우주 함대는, 문명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함대의 서약"이라는 규칙으로, 자력으로 워프 항법을 개발하지 않은 종족에 대한 간섭을 금지하고 있다. 지구인도 2063년에 첫 워프에 성공한 것으로, 처음으로 벌칸인의 컨택을 받았다. |
제이람 | 이성의 현상금 사냥꾼 일리아와 밥이 도망간 생물 병기 "제이람"을 쫓아 지구를 방문한다. 지구의 문명 수준에서, 어떤 활동의 흔적도 남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존"이라고 불리는 유사 공간에 제이람을 유인하려 하지만, 잘못하여 두 전기 기술자가 휘말린다. |
참조
[1]
논문
Is the apparent absence of extraterrestrial technological civilizations down to the zoo hypothesis or nothing?
https://www.nature.c[...]
2024
[2]
논문
The Zoo Hypothesis
1973-07
[3]
논문
Imachinations of Peace: Scientifictions of Peace in Iain M. Banks's The Player of Games
2002
[4]
논문
'Special Circumstances': Intervention by a Liberal Utopia
2001
[5]
논문
Culture Clash: Ambivalent Heroes and the Ambiguous Utopia in the Work of Iain M. Banks
http://strangehorizo[...]
2002
[6]
웹사이트
Causal entropic forces
http://www.alexwg.or[...]
2013
[7]
웹사이트
SETI and the Cosmic Quarantine Hypothesis
https://www.astrobio[...]
2005-10-17
[8]
간행물
Where are They? Maybe we are alone in the galaxy after all
http://www.scientifi[...]
2011-12-20
[9]
논문
Spatio-temporal constraints on the zoo hypothesis, and the breakdown of total hegemony
2011-06-08
[10]
논문
Assembly of the cnidarian camera-type eye from vertebrate-like components
2008-07-01
[11]
서적
Extraterrestrials – Where are they?
Pergmon Press
[12]
문서
Kardashev scale
1964
[13]
웹사이트
'Zoo hypothesis' may explain why we haven't seen any space aliens
https://www.nbcnews.[...]
2019-03-31
[14]
논문
Temporal dispersion of the emergence of intelligence: An inter-arrival time analysis
[15]
논문
The Galactic Club or Galactic Cliques? Exploring the limits of interstellar hegemony and the Zoo Hypothesis
2016-11-28
[16]
서적
If the Universe Is Teeming with Aliens... Where Is Everybody? Fifty Solutions to Fermi's Paradox and the Problem of Extraterrestrial Life
Copernicus Books
[17]
논문
SETI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ivilizational Politics
https://www.scienced[...]
2022-08-01
[18]
논문
Astrobiological phase transition: towards resolution of Fermi's paradox.
2008-12
[19]
논문
Artificial versus biological intelligence in the Cosmos: clues from a stochastic analysis of the Drake equation
https://www.cambridg[...]
2020
[20]
문서
The Zoo Hypothesis
1973
[21]
웹인용
The Zoo Hypothesis
http://www.sciencedi[...]
1973-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