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떡국은 얇게 썬 흰 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19세기 문헌에 떡국을 새해 첫날에 먹고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풍습과, 상대방의 나이를 묻는 풍습이 기록되어 있다. 떡국은 쇠고기, 닭고기, 해산물 등을 육수로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떡국은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며, 설날에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으로, 현재는 연중 먹는 음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날 음식 - 적 (음식)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기름에 지진 한국 요리인 적(炙)은 맥적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기, 생선,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 설날 음식 - 만두국
만두국은 고려 시대 중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 상화나 교자 등으로 불렸으며, 특히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발달하여 현재는 다양한 육수와 만두를 넣어 일상과 명절에 즐겨 먹는 한국의 대중적인 국 요리이다. - 한국의 국 - 추어탕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삶아 뼈를 제거하고 고추장, 된장, 채소를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부재료에 차이가 있다. - 한국의 국 - 대구탕
대구탕은 대구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탕으로, 경상도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대구탕이 유명하다. - 떡 - 백설기
- 떡 - 시루떡
시루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주재료로 여러 곡물과 함께 찌는 한국 전통 떡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나뉘며 고사떡이나 잔치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떡국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국 |
기원 | 한국 |
관련 행사 | 설날 |
조리 정보 | |
주재료 | 쌀 떡 |
기타 재료 | 고기 달걀 김 깨 참기름 |
1인분 열량 | 120 kcal |
명칭 | |
한국어 | 떡국 |
로마자 표기 | tteokguk |
일본어 | トックク (Tokkuku) |
일본어 (병기) | 餅スープ (Mochi sūpu, 떡 수프) |
2. 역사
떡국은 조선 시대의 문헌 기록을 통해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25] 당시 떡국은 새해를 맞이하며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상징적인 의미와 연결되기도 했다.[25][5][19] 떡국 풍습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해석도 있으며,[5][19] 전통적으로 차례상에 오르던 중요한 절기 음식이었으나 현대에는 일상적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20]
2. 1. 문헌 기록
1819년 《열양세시기》와 1849년 《동국세시기》 등의 문헌에는 돈 모양으로 썬 흰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음식을 "떡국(湯餠, 餠湯, 餠羹)"이라고 기록하고 있다.[25] 이 기록들에 따르면 떡국에는 쇠고기, 꿩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등을 곁들이기도 했으며,[25] 주로 섣달그믐 밤에 먹는 음식으로 언급된다.[25] 또한 "떡국을 먹다"라는 표현이 "설을 쇠어 나이를 한 살 더 먹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25]떡국을 새해 첫날에 먹는 풍습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4][17] 그러나 19세기 풍속서인 《동국세시기》에는 새해 아침에 떡국을 먹는 풍습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당시 떡국은 육류나 꿩고기를 주재료로 국물을 내고 후추를 양념으로 사용했으며,[4][18] 새해 아침에 떡국 한 그릇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이야기와 함께, 상대방의 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느냐?"라고 표현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전한다.[5][19]
역사가 최남선은 1946년에 쓴 《조선상식》과 《조선의 풍속》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이 고대 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5][19] 그는 순수함과 깨끗함을 상징하는 흰 떡을 새해 첫날 먹는 행위가 한 해의 행운을 기원하는 의례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해석했다.[5][19]
조선 시대에는 설날 아침 차례상에 조상에게 떡국을 올리는 의식을 행했다.[20] 떡국은 전통적으로 설날에 먹는 계절 음식이었지만, 현재는 시기에 관계없이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
2. 2. 떡국 풍습의 의미 변화
떡국을 새해 첫날에 먹는 풍습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17][4] 그러나 19세기 문헌인 《열양세시기》(1819년)와 《동국세시기》(1849년) 등에 떡국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이 문헌들에서는 엽전 모양처럼 썬 흰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음식을 "떡국(湯餠, 餠湯, 餠羹)"이라고 언급하고 있다.[25] 당시 떡국은 쇠고기나 꿩고기를 주재료로 국물을 내고 후추로 양념했으며,[4][18] 때로는 닭고기나 돼지고기를 곁들이기도 했다.[25]섣달그믐 밤이나 새해 아침에 떡국을 한 그릇씩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25][5] "떡국을 먹다"라는 표현은 "설을 쇠어 나이를 한 살 더 먹다"는 의미로 통용되었다.[25] 《동국세시기》에는 새해 아침에 사발에 담긴 떡국을 먹고 나서, 상대방의 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느냐?"라고 묻는 풍습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5][19]
역사가 최남선은 1946년에 쓴 책 《조선상식》(또는 《조선의 풍속》)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이 고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추정했다.[5][19] 그는 순수함과 깨끗함을 상징하는 흰 떡을 먹는 것이 새해의 좋은 운세를 기원하는 의식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5][19]
조선 시대에는 설날 아침 차례상에 떡국을 올리는 의식을 행했다.[20] 떡국은 전통적으로 설날에 먹는 계절 음식이었지만, 현재는 시기와 관계없이 일 년 내내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20]
3. 재료 및 조리법
떡국의 국물은 주로 소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육수에 간장으로 간을 하여 준비한다. 여기에 얇게 썬 가래떡을 넣고 끓인 후, 달걀 지단, 김, 파 등의 고명을 얹어 완성한다.[4][7][18]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떡의 종류나 육수, 고명 등이 달라 특색있는 떡국이 존재한다.[8][9][10][11]
3. 1. 기본 재료

국물은 일반적으로 주 단백질(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꿩고기, 해산물)을 삶은 육수에 간장으로 간을 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꿩고기나 닭고기를 사용하여 떡국의 국물을 만들었지만, 요즘에는 주로 소고기를 사용한다.[7] 육수를 걸러내어 국물을 맑게 한 뒤, 길쭉한 원통형 모양의 가래떡을 얇게 비스듬히 썰어 넣고 끓인다. 먹기 전에 고명을 얹는데, 고명은 지역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게 썰어 부친 달걀 노른자와 흰자, 김, 파 등이 사용된다.[4][18] 떡국을 내기 직전에 참기름을 살짝 뿌리기도 한다.
3. 2. 조리법
국물은 주로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꿩고기, 해산물 등을 이용해 만든 육수에 간장으로 간을 하여 준비한다. 과거에는 꿩고기나 닭고기를 사용하여 국물을 만드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대에는 주로 소고기를 사용한다.[7] 육수는 맑게 하기 위해 걸러내며, 길쭉한 가래떡을 얇게 비스듬히 썰어 맑은 국물에 넣고 끓인다.
먹기 전에 고명을 얹는데, 이는 지역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잘게 썰어 부친 달걀 노른자와 흰자 지단, 김, 그리고 송송 썬 파가 주로 사용된다.[4][18] 떡국을 내기 직전에 참기름을 살짝 뿌리기도 한다.
지역별로 특색있는 떡국이 존재한다.
4. 종류
떡국은 사용하는 육수, 떡의 모양, 고명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멸치 등으로 맛을 낸 맑은 육수에 얇게 썬 가래떡을 넣고 끓인 뒤, 달걀 지단, 김, 파 등의 고명을 얹어 먹는다.[7][4] 과거에는 꿩고기나 닭고기 육수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소고기 육수가 보편적이다.[7]
지역별로 고유한 특색을 가진 떡국이 발달했으며, 만두를 넣어 함께 끓인 떡만두국도 인기 있는 종류 중 하나이다.[8][9][10][11]
4. 1. 지역별 떡국
충청도 지역의 특산물인 생떡국 또는 날떡국은 멥쌀과 찹쌀을 섞어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들거나 가래떡처럼 늘여 얇게 썰어 육수에 넣어 끓인다.[8][21] 개성 지역의 조랭이 떡국은 작은 누에고치 모양으로 꼬아 만든 떡을 사용한다.[9][22] 제주도의 곤떡국은 일반적인 가래떡 대신 얇게 썬 절편을 사용한다.[10][23] 전라도에서는 닭고기와 간장을 넣어 닭장떡국을 만든다.[11]이 외에도 떡국에 만두를 넣어 끓인 떡만두국도 있다.
4. 2. 기타 떡국
떡국에 만두를 넣어 끓인 떡만두국도 있다.
그 외에도 지역별로 특색있는 떡국이 있다.
5. 상징적 의미
기다란 가래떡은 장수를 상징하며,[25] 설날에 이 가래떡을 썰어 떡국을 끓여 먹는 풍습 역시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25] 또한, 한국에서는 설날 아침에 가족들이 모여 합동 차례를 지내며 조상에게 떡국을 올린다.[6] 떡국은 전통적으로 설날에 먹는 계절 음식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설날이 아니더라도 일 년 내내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
6. 문화
기다란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이며, 설날에 가래떡을 썰어 떡국을 끓여 먹는 것에도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25]
1971년에는 윤정희와 엄앵란이 주연한 영화 ''떡국''(New Year's Soupeng)이 개봉되었다.[12][24]
참조
[1]
웹사이트
tteokguk
http://www.hansik.or[...]
2017-05-16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6
[3]
웹사이트
Tteokguk
http://100.naver.com[...]
[4]
웹사이트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5]
웹사이트
Tteokguk culture
http://100.nate.com/[...]
2011-06-10
[6]
웹사이트
http://hansik.org/
http://hansik.org/en[...]
2014-03-21
[7]
웹사이트
떡국
https://terms.naver.[...]
2021-04-04
[8]
웹사이트
Saeng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9]
웹사이트
Joraengi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10]
웹사이트
Gon tteokguk
http://100.naver.com[...]
[11]
웹사이트
지역마다 다른 설 떡국...특징과 의미는?
https://www.ytn.co.k[...]
2024-09-09
[12]
웹사이트
Tteokguk
http://movie.naver.c[...]
[13]
웹사이트
tteokguk
http://www.hansik.or[...]
2017-05-16
[14]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6
[15]
서적
韓国伝統文化事典
教育出版
2006
[16]
웹사이트
Tteokguk
http://100.naver.com[...]
[17]
서적
韓国伝統文化事典
教育出版
2006
[18]
웹사이트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19]
웹사이트
Tteokguk culture
http://100.nate.com/[...]
2011-06-10
[20]
웹사이트
http://hansik.org/en[...]
[21]
웹사이트
Saeng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22]
웹사이트
Joraengi tteokguk
http://100.nate.com/[...]
2011-06-10
[23]
웹사이트
Gon tteokguk
http://100.naver.com[...]
[24]
웹사이트
Tteokguk
http://movie.naver.c[...]
[25]
서적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 식생활
국립민속박물관
20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