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 광역전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전역에서 태화강역까지 운행하는 광역철도이다.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며, 코레일 블루 색상을 사용한다. 2000년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어 2016년 부전~일광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1년 일광~태화강 구간이 개통되었다. 38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하며, 부산 도시철도 및 부산-김해 경전철과는 별도의 1회권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선 광역전철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동해선 등에서 운행되는 4량 1편성의 전동차로, 37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나 내장재와 신호 방식에 차이가 있고, 2018년 도입된 2차분부터 넓은 통로와 비상사다리가 설치되었으며, M'차와 Tc차에 주요 장비가 탑재되어 있고,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하며, 2016년과 2018년에 걸쳐 17편성이 도입되었고, 2027년 추가 도입될 예정이다. - 동해선 광역전철 - 울산차량사업소
울산차량사업소는 한국철도공사의 차량기지로, 381000호대 전동차와 KTX-이음의 검수 및 주박을 담당하며 대구권 광역철도에 투입되는 392000호대 전동차의 중검수를 수행하고 광역철도 차량 유지 보수와 고속철도 운행 안전에 기여한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 나들목
울산 나들목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남구에 위치하며, 1969년 언양울산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남부순환도로와 국도 제7호선으로 연결된다.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은 FM 104.1MHz로 울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이다.
동해선 광역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동해선 광역전철 |
종류 | 광역철도 |
체계 | 부산 도시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부전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종점 | 태화강역 (울산광역시 남구) |
역수 | 23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영업 거리 | 63.8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신호 | ATS/ATP [수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ATS//ATP 구간 110km/h |
설계 최고 속도 | 80km/h |
개통 연혁 | |
개통일 | 2016년 12월 30일 (부전~일광), 2021년 12월 28일 (일광~태화강) |
노선도 | |
![]() |
2. 운영
동해선 광역전철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운영하는 광역철도 노선이다. 부산 도시철도, 부산-김해 경전철과 1회권이 서로 달라 환승은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다.
2. 1. 운행
부전역을 기점으로 하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전역과는 달리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별개로 관리한다. 동해선 본선 노선을 공유하고 있어, 부산 도시철도 경로만을 '동해선'이라고도 부른다.고유색은 코레일 블루이고, 치안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 부산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한다.
부산 도시철도 및 부산-김해 경전철과 서로 다른 1회권을 이용한다. 따라서 환승은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며,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의 후불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씨티카드의 후불교통카드는 동해선 광역전철에서 사용할 수 없다.
2. 2. 차량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울산차량사업소 소속)가 운행된다.3. 역사
2000년 11월 14일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어 2003년 8월 11일 착공되었다. 그러나 2011년 12월 30일 광역철도 지정이 해제되면서 일반철도 사업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4월 29일 부전 ~ 일광 구간 개통을 2016년 10월 31일로 확정했으나, 2016년 8월 23일 11월에서 12월로 연기되었다. 2016년 9월 8일부터 10월 14일까지 부전 ~ 일광 구간 전철 영업 시운전을 실시했으나, 10월 28일 개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2016년 12월 30일 1단계 부전 ~ 일광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0년 3월 28일에는 부산원동역이 개통되었다.
2021년 5월 1일 일광~태화강 구간 전력 공급이 개시되었으며, 2021년 10월 일광 ~ 태화강 구간 시운전을 거쳐 2021년 12월 28일 2단계 일광 ~ 태화강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5년에는 태화강~북울산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3. 1. 주요 연혁
- 2000년 11월 14일: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었다.
- 2003년 8월 11일: 착공되었다.
- 2011년 12월 30일: 광역철도 지정 해제와 함께 일반철도 사업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4월 29일: 부전 ~ 일광 구간 개통을 2016년 10월 31일로 확정했다.[1]
- 2016년 8월 23일: 부전 ~ 일광 구간 개통을 2016년 11월에서 12월로 연기했다.[2]
- 2016년 9월 8일~10월 14일: 부전 ~ 일광 구간 전철 영업 시운전을 실시했다.[3]
- 2016년 10월 28일: 부전 ~ 일광 구간 개통을 무기한 연기했다.[4]
- 2016년 12월 30일: 1단계 부전 ~ 일광 구간이 개통되었다.[5]
- 2020년 3월 28일 : 부산원동역이 개통되었다.
- 2021년 5월 1일: 일광~태화강 구간 전력 공급이 개시되었다.
- 2021년 10월: 일광 ~ 태화강 구간 시운전[6][7]
- 2021년 12월 28일: 2단계 일광 ~ 태화강 구간이 개통되었다.[8]
- 2025년: 태화강~북울산 구간 개통 예정이다.
4. 역 목록
(원자력의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