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역 (한국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1943년 4월 1일 부산진~거제 간 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 등을 이용하는 열차의 시·종착역이며,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도 기능한다. 현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KTX-이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전역과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전선 - 가야역 (한국철도공사)
가야역은 부전선 상의 철도역으로, 개업 후 폐지, 역명 변경 등을 거쳤으며, 과거 여객과 화물을 취급했으나 현재는 모두 중단되었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가야역과는 환승역이 아니다. - 부산 부산진구의 전철역 -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1호선 개통 후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현재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고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등과 연결되어 부산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부산 부산진구의 전철역 - 부암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암역은 1999년에 개통한 지하역으로, 역명은 부암동에서 유래했지만 실제 위치는 부전동에 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산진구청, 부전초등학교, 온종합병원 등의 주변 시설이 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부전역 |
한자 표기 | 釜田驛 |
로마자 표기 | Bujeonnyeok |
역 번호 | K110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
개업일 | 1943년 4월 1일 |
관리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2급 |
역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노선 정보 | |
노선 | 동해선 부전선 |
승강장 | 4면 7선 |
전철화 여부 | 동해선 전철화 |
동해선 | |
영업 거리 | 부산진 기점 4.6km |
이전 역 | 범일 |
다음 역 | 거제해맞이 |
이전 역 간 거리 | 2.5km |
다음 역 간 거리 | 2.3km |
역 번호 | K110 |
부전선 | |
영업 거리 | 가야 기점 2.2km |
이전 역 | 가야 |
이전 역 간 거리 | 2.2 km |
서비스 | |
인접역 |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해맞이역 무궁화호 (부전-동대구): 센텀역 무궁화호 (부전-청량리): 센텀역 무궁화호 (부전-동해): 센텀역 무궁화호 (순천-포항): 센텀역 무궁화호 (부전-목포): 사상역 |
기타 | |
비고 | 동해선 광역전철 종착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2. 연혁
- 1943년 4월 1일: 부산진 ~ 거제 간 동해남부선 직선화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이는 직전에 폐지된 서면역의 기능을 넘겨받은 것이다.[12][3][4]
- 1944년 1월 1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5]
- 1945년 5월 16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6]
- 1965년 1월 4일: 옛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 1992년 7월 15일: 동해남부선의 모든 열차(통근열차 제외)가 이 역에서 출발하고 도착하게 되었으며, 무연탄 화물에 한하여 화물 취급을 시작했다.[13]
- 2003년 12월: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 2004년 1월 1일: 신역사 준공과 함께 경전선 및 동해남부선 방면 열차의 시·종착역으로 지정되었다.
- 2004년 2월 2일: 경전선 직통 여객 취급을 부산역·부산진역에서 이 역으로 이관하여 영업을 시작했다.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 2008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14][7]
- 2013년 1월 1일: 부전역과 동대구를 오가는 새마을호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16년
- 4월 29일: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으로 편입됨이 고시되었다 (시행은 전철화 개통 시).[8]
- 12월 9일: 서울 출발 ITX-새마을 열차를 신해운대까지 운행 시작했다 (광역전철 개통 연기에 따른 조치).
- 12월 30일: 부전역에서 일광역까지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고, 동해선 전철 운행이 시작되어 전철역이 되었다.[15]
- 2017년 1월 1일: 서울과 신해운대역 사이를 운행하던 무궁화호가 ITX-새마을로 변경되면서 새마을호 등급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고, 노선은 동해본선으로 편입되었다.[16]
- 2020년 3월 2일: 부전역과 강릉역을 오가던 무궁화호의 운행 구간이 동해역까지로 단축되었다.[17]
-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이 시작되었다.
- 2024년 12월 20일: 청량리와 부전역 사이에 KTX-이음 운행이 시작되었다.
2. 1. 한국철도공사
이 역은 1943년 4월 1일에 처음 문을 열었다.[4] 현재 사용 중인 역 건물은 2003년에 새로 지어진 것이다. 과거 동해남부선(현재 동해선)의 월내와 구포·부산을 잇는 가칭 동서통근열차가 운행되었으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KTX 개통을 앞둔 2004년 2월 2일부터는 부산진역과 부산역에서 출발하던 경전선 직통 무궁화호 열차의 출발 및 도착역이 이 역으로 변경되었다.과거에 사용되던 옛 역 건물은 현재의 역사 옆에 남아 있으며, 직원들의 숙소로 사용되고 있다.
- 1943년 4월 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 시작[4].
- 1944년 1월 11일: 배치 간이역으로 승격[5].
- 1945년 5월 16일: 보통역으로 승격[6].
- 1965년 1월 4일: 옛 역사 건물 신축 준공.
- 2003년 12월: 현재 역사 건물 준공.
- 2004년 2월 2일: 경전선 직통 여객 열차 취급을 부산역·부산진역에서 이 역으로 이관하여 영업 시작.
- 2008년 11월 1일: 화물 취급 중지[7].
- 2016년
- * 4월 29일: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으로 편입됨을 고시 (시행은 전철화 개통 시)[8].
- * 12월 9일: 서울 출발 ITX-새마을 열차를 신해운대까지 운행 시작 (광역전철 개통 연기에 따른 조치).
- * 12월 30일: 이 역부터 일광역까지 복선 전철화 완료, 동해선 전철 운행 시작.
3. 역 구조
광역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내부를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사는 선로 위에 지어진 교상역사 형태이다.
3. 1. 배선도
부전역의 선로는 북쪽으로 동해선 거제해맞이역 방면(울산, 경주 방향)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동해선 범일역 방면(부산진, 부산 방향)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부전선을 통해 가야역 방면(사상, 삼랑진 방향)으로 연결된다. 역 주변에는 범전로와 새싹로가 지난다.3. 2. 승강장
전철용 고상홈과 일반열차용 저상홈이 있는 지상역으로, 4면 7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교상역사이다.승강장 | 노선 | 열차 종류 | 행선지 |
---|---|---|---|
1~4 | 동해선 | 광역전철 | 거제해맞이 · 교대 · 벡스코 · 신해운대 · 기장 · 일광 · 남창 · 태화강 방면 |
5·6 | 경부선 · 동해선 | ITX-새마을 · ITX-마음 | 서울 · 대전 · 동대구 · 신해운대 방면 |
동해선 · 영동선 | 무궁화호 | 신해운대 · 태화강 · 포항 · 동대구 · 동해 방면 | |
7·8 | 경전선 | 무궁화호 | 사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순천 · 광주송정 · 목포 방면 |
9·10 | 경전선 | 무궁화호 | 당역 종착 |
경전선 무궁화호는 목포까지, 동해선 무궁화호는 포항까지 운행한다.[2] 중앙선 KTX-이음 열차는 2024년 12월 20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청량리까지 운행한다.
4. 이용 가능한 노선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지사 관할 하에 있으며,[2] 부산광역시에서 부산역 다음으로 규모가 큰 종착역 기능을 수행한다.[2]
현재 이용 가능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일반열차
- 경전선 무궁화호: 부전 - 목포[2]
- 동해선 무궁화호: 부전 - 포항[2]
- 중앙선 무궁화호: 부전 - 청량리[2]
- KTX-이음: 2024년 12월 20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2]
- 광역전철
- 동해선 전철: 부전 - 태화강. 2016년 12월 30일 부전역부터 일광역까지의 복선 전철화 구간이 개통되면서 운행을 시작했으며,[8] 현재 태화강 방면으로 운행하는 모든 동해선 전철은 이 역을 기점 및 종착역으로 삼고 있다.[2]
동해선의 부전 - 부산진 구간에는 현재 여객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다.[2] 또한, 이 역을 기점 및 종착역으로 하는 경부선 및 경전선 직통 열차는 부전선과 가야선을 경유하여 사상역에서 경부선 본선으로 합류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2]
과거에는 동해남부선(현 동해선) 월내와 구포·부산역을 연결하는 '동서통근열차'(가칭)가 운행되었으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다.[2] KTX 개통을 앞둔 2004년 2월 2일부터는 기존에 부산진역과 부산역에서 출발하던 경전선 직통 무궁화호 열차의 시종착역이 부전역으로 변경되었다.[2]
5. 역 주변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전역이 인근에 있으며, 부산의 대표적인 번화가인 서면과 가깝다.
- 역 주변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 부전시장
- * 부산진경찰서 부전지구대
- * 부산시민공원
- * 부산지방법원 부산진등기소
- * 이비스 앰배서더 호텔
- * 농협 하나로클럽
- * 부산진중학교
- * 성지초등학교
- * 이마트 트레이더스
- * 부산진구청
역 바로 아래로 KTX 경부고속선의 금정터널이 지나간다. 금정터널 내에 KTX 지하 역사를 건설하는 계획이 있으며, 실현 가능성 조사에 착수했다.[9]
6.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