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방 (삼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방은 삼국 시대 촉나라의 인물로, 유비를 섬기며 형주종사로 촉에 들어갔다. 유비가 촉을 평정한 후 건위속국도위, 주제태수를 거쳐 안원장군 겸 내항도독에 이르렀다. 221년 또는 222년에 사망했으며, 이회가 뒤를 이었다. 진수가 삼국지를 편찬할 당시에는 자료가 부족하여 열전이 세워지지 않았으나, 양희의 계한보신찬에 그의 인물평이 전해진다. 양희는 등방을 강인한 의지와 용맹함, 청렴함, 과단성을 갖춘 인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21년 사망 - 문소황후
    문소황후는 후한 말기 조위의 인물로 조비의 황후이자 조예의 생모이며, 원희와 혼인했으나 조비의 아내가 되어 총애를 받았지만 소외되어 자결했고, 사후 조예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뛰어난 미모와 덕행, 조식과의 로맨스 설화로도 유명하다.
  • 221년 사망 - 장비 (삼국지)
    장비는 후한 말 삼국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유비, 관우와 도원결의를 맺고 유비를 도와 촉한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에게 암살당했으며, 용맹함과 과격한 성품으로 널리 알려져 용맹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222년 사망 - 엘라가발루스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출신으로 태양신 헬리오가발루스의 사제였으며, 로마 황제가 된 후 엘라가발 신앙을 전파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다 살해당한 인물로,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지만 긍정적인 재평가도 존재한다.
  • 222년 사망 - 마량
    마량은 촉한의 관료이자 유비의 측근으로, 형주에서 등용되어 종사, 시중을 지냈으며 이릉 전투에서 전사했고, 뛰어난 재능을 칭송하는 '백미'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 유비 휘하의 정치인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유비 휘하의 정치인 - 마량
    마량은 촉한의 관료이자 유비의 측근으로, 형주에서 등용되어 종사, 시중을 지냈으며 이릉 전투에서 전사했고, 뛰어난 재능을 칭송하는 '백미'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등방 (삼국지)
기본 정보
이름덩방
한자鄧方
로마자 표기Deng Fang
공산
한자 (자)孔山
생년생년 미상
출신지형주남군
사망년도장무 2년 (222년)?
사망 장소미상
관직
소속촉한
주요 직책안원장군
자강도독
주군유비

2. 생애

등방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기 어렵다.[2] 진수가 『삼국지』를 편찬할 당시 이미 관련 사료가 많이 흩어져 「촉서」에는 그의 열전이 실리지 못했다.[2] 다만, 양희의 『계한보신찬』에 그의 행적과 인물됨이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어 이를 통해 그의 삶의 일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는 형주종사로서 유비를 따라 익주로 들어갔으며[2],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에는 남중 지역의 관리를 맡아 활동했다.[2] 221년(장무 원년)[2] 혹은 222년[1]에 사망하였다. 소설 『삼국지연의』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2. 1. 유비를 섬기다

211년(건안 16년), 형주종사(荊州從事)로서 형주 유비를 수행하여 익주로 들어갔다. 214년,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 등방은 건위속국 도위(犍爲屬國都尉)로 임명되어 남중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215년, 건위속국이 주제군(朱提郡)으로 개편되면서 등방도 주제 태수로 승격했다. 이후 관직은 안원장군(安遠將軍) 겸 내강도독(庲降都督)에 이르렀으며, 남창현(南昌縣)에 주둔하였다.

등방은 221년(장무 원년)[2] 혹은 222년[1]에 사망하였고, 그의 후임 내강도독으로는 이회가 임명되었다.

등방에 관한 기록은 진수가 『삼국지』를 편찬할 당시 이미 많이 흩어졌기 때문에, 『삼국지』 「촉서」에는 그의 열전이 실리지 못했다. 다만 양희가 지은 『계한보신찬』에 그의 행적과 인물평이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계한보신찬』에 따르면 등방은 "강한 의지를 가지고, 참으로 훌륭하고 절조가 굳으며,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과단하며 용맹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았으며,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을 막아내 이역(異域)에서 직무를 완수했다"고 평가받았다.

소설 『삼국지연의』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2. 2. 남중 통치

214년, 유비익주를 평정한 후, 등방은 건위속국도위(犍爲屬國都尉)로 임명되어 남중(南中)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215년에는 건위속국이 주제군(朱提郡)으로 개편되면서 등방 역시 주제태수로 승격하였다. 이후 안원장군(安遠將軍) 겸 내항도독(庲降都督)의 자리에 올라 남창현(南昌縣)에 주둔하며 남중 지역을 다스렸다.

221년(장무 원년)[2] 혹은 222년[1]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후임으로는 이회가 내항도독직을 계승하였다.

양희는 그의 저서 『계한보신찬』에서 등방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강한 의지를 가지고, 참으로 훌륭하고 절조가 굳으며,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과단하며 용맹하고, 간난에 흔들리지 않으며, 소수로써 다수를 막아, 이역에서 직무를 완수했다". 이는 등방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남중 지역을 안정적으로 통치했음을 보여준다.

3. 평가

촉한의 문신 양희는 그의 저서 『계한보신찬』에서 등방을 높이 평가했다. 양희는 등방이 "강한 의지를 가지고, 참으로 훌륭하고 절조가 굳으며,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과단하며 용맹하고, 어려움에 흔들리지 않으며, 소수로써 다수를 막아, 이역에서 직무를 완수했다"고 기록했다. 이는 등방이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더불어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진수가 『삼국지』를 편찬할 당시에는 등방에 관한 기록이 많이 흩어져 있어, 촉서에는 그의 열전이 실리지 못했다. 따라서 양희의 『계한보신찬』은 등방의 행적과 인물됨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4. 삼국지연의

소설 『삼국지연의』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季漢輔臣賛 楊戯伝 221
[2] 서적 이회 《삼국지》43권 촉서 제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