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드게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드게르타는 12세기 덴마크 역사가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기록한 전설적인 여전사이다. 삭소의 《데인인의 사적》에 따르면, 라드게르타는 스웨덴 왕 프뢰의 노르웨이 침공 당시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도와 용맹을 떨쳤으며, 이후 라그나르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 라그나르와 이혼 후 재혼한 남편을 죽이고 스스로 통치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며, 삭소의 기록은 여성혐오적 시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현대에는 연극, 발레, TV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노르웨이 사람 - 잉골프 아르나르손
잉골프 아르나르손은 874년경 아이슬란드에 정착하여 레이캬비크를 건설하고 이름을 지은 노르웨이 출신 인물로, 건국사에 따르면 피의 복수를 피해 신의 인도를 받아 정착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그의 아들은 아이슬란드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많은 아이슬란드인들이 그의 후손임을 자랑스러워한다. - 9세기 노르웨이 사람 - 스칼라그림 크벨둘프손
스칼라그림 크벨둘프손은 10세기 인물로, 노르웨이 국왕에게 충성을 거부하고 형제의 복수를 위해 싸웠으며, 아이슬란드로 이주하여 정착한 시인이다. - 노르웨이 소왕국들의 왕 - 간달프 알프게이르손
간달프 알프게이르손은 알프게이르 왕의 아들이자 가우트힐드 기리테 알프스도티르의 남편이며, 알프힐드, 히싱, 헬싱, 하키의 아버지이다. - 노르웨이 소왕국들의 왕 - 로근발드 에위스테인손
로근발드 에위스테인손은 10세기 초 노르웨이 바이킹으로, 오크니 제도 정착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하프단 호레그와 구드로드 글림에게 살해당했고, 오크니 백작령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게르만족 여전사 - 스캴드메르
스캴드메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여성 전사를 지칭하는 단어로,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는 방패 처녀들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최근 대중문화에서 바이킹 시대 여성 전사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 게르만족 여전사 - 애설플래드
애설플래드는 9세기 말부터 10세기 초까지 머시아를 통치하며 데인족의 침략에 맞서 싸우고 잉글랜드 통일에 기여한 인물이다.
라드게르타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Hlaðgerðr (고대 노르드어) |
직업 | 바이킹 실드메이든 통치자 |
배우자 | |
배우자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시구르드 |
자녀 | 프리드레프와 이름 모를 딸 |
등장 작품 | |
사가 | 라그나르의 사가 《데인인의 사가》 |
TV 시리즈 | 《바이킹스》 |
추가 정보 | |
관련 인물 | 헤라우드 백작 (외할아버지) |
2.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기록
12세기 덴마크의 기독교 역사가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저술한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 제9책은 라드게르타의 삶을 기록한 주요 문헌이다.[1] 이 기록에 따르면, 라드게르타는 노르웨이의 여성 전사로, 뛰어난 용맹함으로 명성을 떨쳤다.
그녀의 이야기는 스웨덴의 왕 프뢰가 노르웨이를 침략했을 때 시작된다. 프뢰는 노르웨이 왕 시와드를 살해하고 왕족 여성들을 모욕하기 위해 사창가로 보냈다. 이에 분노한 시와드의 손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가 복수를 위해 군대를 이끌고 왔을 때, 많은 여성이 남장을 하고 라그나르 편에서 싸웠다.[2] 라드게르타는 이들 중 가장 용감하게 싸워 라그나르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삭소는 그녀를 "처녀였지만 남자의 용기를 지닌" 숙련된 아마존으로 묘사하며, 그녀의 용맹함에 모두가 감탄했다고 전한다.[1]
라드게르타의 용기에 감명받은 라그나르는 그녀에게 구애하여 결혼했고, 둘 사이에는 아들 프리들레이프와 두 딸이 태어났다.[1] 하지만 라그나르는 이후 덴마크로 돌아가 스웨덴 왕녀 토라와 결혼하기 위해 라드게르타와 이혼했다.[2] 그럼에도 라드게르타는 훗날 라그나르가 덴마크에서 내전에 휘말리자, 여전히 그를 향한 마음으로 120척의 함대를 이끌고 와 그를 도왔다. 전투 중 라그나르가 위기에 처했을 때, 라드게르타는 과감한 반격으로 전세를 뒤집고 그를 구원했다.[1]
그러나 노르웨이로 돌아온 후, 라드게르타는 자신의 남편과 다투다가 숨겨둔 창으로 그를 살해했다. 삭소는 그녀가 남편의 이름과 통치권을 모두 빼앗았으며, "남편과 함께 왕좌를 공유하는 것보다 남편 없이 통치하는 것이 더 즐겁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기록하며 그녀가 스스로 통치자가 되었음을 시사한다.[1]
2. 1. 전사로서의 삶

라게르타의 이야기는 12세기 덴마크 역사가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덴마크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 제9책에 기록되어 있다.[1] ''데인인의 사적''에 따르면, 라게르타의 전사로서의 경력은 스웨덴의 왕 프뢰(Frø)가 노르웨이를 침략하여 노르웨이 왕 시와드(시나르두스)를 살해하면서 시작되었다. 프뢰는 사망한 왕족 여성들을 공개적인 수치심을 주기 위해 사창가로 보냈다. 이 소식을 들은 시와드의 손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는 할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군대를 이끌고 왔다. 이때 프뢰에게 학대받던 많은 여성이 남장을 하고 라그나르 편에 서서 싸웠는데,[2] 그중 라게르타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라그나르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삭소는 그녀의 용맹함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라게르다는 숙련된 아마존으로, 처녀였지만 남자의 용기를 지녔으며, 머리카락을 어깨 위로 늘어뜨린 채 가장 용감한 사람들 앞에서 싸웠다. 모든 사람이 그녀의 비할 데 없는 행동에 감탄했는데, 그녀의 머리카락이 등을 따라 내려오는 모습은 그녀가 여자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1]
2. 2.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의 관계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데인인의 사적》 제9책에 따르면, 라드게르타는 스웨덴의 왕 프뢰가 노르웨이를 침략하여 노르웨이 왕 시와드를 죽였을 때 처음 전사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1] 프뢰는 왕족 여성들을 모욕하기 위해 사창가로 보냈는데, 이 소식을 들은 시와드의 손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가 복수를 위해 군대를 이끌고 왔다. 이때 프뢰의 학대에 분노한 많은 여성들이 남장을 하고 라그나르 편에서 싸웠으며,[2] 라드게르타는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활약을 펼쳐 라그나르의 승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0] 삭소는 라드게르타를 숙련된 아마존으로, 처녀였지만 남자의 용기를 지녔으며, 머리카락을 어깨 위로 늘어뜨린 채 가장 용감한 사람들 앞에서 싸웠다고 묘사했다. 모든 사람이 그녀의 비할 데 없는 행동에 감탄했는데, 그녀의 머리카락이 등을 따라 내려오는 모습은 그녀가 여자임을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라드게르타의 용맹에 깊은 인상을 받은 라그나르는 그녀에게 구애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골라르 계곡에 있는 라드게르타의 집을 찾아갔는데, 그곳에는 그녀가 집을 지키도록 둔 곰 한 마리와 큰 사냥개 한 마리가 있었다. 라그나르는 창으로 곰을 찔러 죽이고 개는 목 졸라 죽여 그녀를 시험한 장애물을 극복하고 마침내 라드게르타와 결혼했다. 둘 사이에는 아들 프리들레이프와 이름이 기록되지 않은 두 딸이 태어났다.[1][11]
이후 라그나르는 덴마크로 돌아가 스웨덴 왕 헤라우드의 딸 토라 보르가르효르트와 결혼하기 위해 라드게르타와 이혼했다. 삭소에 따르면, 라그나르는 라드게르타가 자신을 시험하기 위해 짐승들을 풀어놓았던 것에 대해 여전히 불쾌감을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2][10] 새로운 아내를 얻은 후 라그나르는 덴마크에서 내전에 휘말리게 되었다. 그는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사절을 보냈고, 여전히 라그나르를 마음에 두고 있던 라드게르타는 120척의 배를 이끌고 그를 돕기 위해 왔다.[1][11] 전투가 격렬해지면서 라그나르의 아들 시와드가 부상을 입는 등 전세가 불리해졌을 때, 라드게르타는 결정적인 반격을 감행하여 라그나르 군대를 위기에서 구했다. 삭소는 이때의 라드게르타를 "섬세한 체구에도 불구하고 비할 데 없는 정신을 지닌 라게르다는 그녀의 훌륭한 용기로 병사들의 흔들리는 마음을 덮었다. 그녀는 돌격을 감행하여 적의 뒤로 날아가 그들을 기습했고, 그리하여 친구들의 공황을 적의 진영으로 바꾸었다"고 묘사했다.[1]
2. 3. 여왕으로서의 통치
덴마크 내전에서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도운 후 노르웨이로 돌아온 라드게르타는 남편과 다툼 끝에 드레스 아래 숨겨둔 창으로 그를 살해했다.[1] 삭소는 그녀가 "그의 이름과 주권을 모두 찬탈했다"고 기록했다.[1] 삭소는 또한 "이 가장 주제넘은 여인은 남편과 함께 왕좌를 공유하는 것보다 남편 없이 통치하는 것이 더 즐겁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이며, 라드게르타가 남편 없이 스스로 나라를 다스렸다고 전한다.[1]3. 역사적 실존성과 해석
라드게르타의 이야기는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 제9권에 기록되어 있으나, 그 역사적 실존성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주디스 예쉬(Judith Jesch)와 같은 학자들은 삭소의 기록, 특히 초기 9권에 실린 이야기 대부분을 역사적 사실보다는 허구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12][3] 삭소는 이야기를 구성하면서 고대 아마조네스 전설이나 다른 고대 노르드어 자료들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그의 기록에는 당대 교회의 시각을 반영한 여성혐오적 관점이 나타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2][3]
라드게르타 이야기의 기원이나 해석과 관련하여 여러 가설이 제시된다. 6세기 스쿌둥 왕조의 할프단 사가에 등장하는 Hlaðgerðr|흘라드게르드non라는 인물과의 연관성,[13][4] 프랑크족의 이름이나 전승에서 유래했을 가능성,[13][4] 삭소의 묘사에서 나타나는 비행 능력(circumvolarela)이 발키리아와의 연관성을 암시한다는 해석,[14][5] 그리고 노르드 신화의 여신 토르게르드와 동일시하는 견해[10][2]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들은 라드게르타라는 인물이 역사적 실존 인물이라기보다는 여러 전승과 문학적 요소가 결합된 복합적인 인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3. 1. 삭소의 창작 가능성
주디스 예쉬에 따르면,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 제1권에서 제9권까지 실린 이야기 대부분은 허구로 여겨지며, 라드게르타의 이야기도 이러한 허구적 이야기 중 하나로 판단된다.[12][3] 삭소는 여러 이야기 속에서 많은 여전사들을 등장시키면서 이들을 고전 고대의 아마조네스 전설에 빗대어 설명하곤 했다.[12][3] 또한, 그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고대 노르드어 (특히 아이슬란드어) 자료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다.[3]삭소의 여전사 묘사에는 당시 교회 지도자들에게서 흔히 보이던 여성혐오적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12][3] 그는 여성을 주로 성적인 존재로 간주했으며, 스캴드메르(방패 여전사)와 같이 전통적인 성 역할을 거부하는 여성들은 기독교와 안정된 군주제가 도입되기 이전, 이교도 시절 덴마크 사회의 혼란과 무질서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겼다.[12][3]
라드게르타 이야기의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된다.
- 6세기 스쿌둥 왕조의 왕 할프단의 사가에 등장하는 Hlaðgerðr|흘라드게르드non라는 인물과의 연관성이다. 그녀는 Hlaðeyjar|흘라데위야르non라는 곳을 다스렸으며, 할프단 왕이 적을 물리치는 것을 돕기 위해 배 20척을 제공했다고 전해진다.[13][4]
-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데인인의 사적》 주석에서 라드게르타라는 이름이 프랑크족에게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는 리트가르드 드 베르망도 (914년경–978년경)와 같은 프랑크계 이름을 예시로 들며, 라드게르타 이야기가 프랑크족의 전통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보았다.[13][4]
- 삭소가 라드게르타가 전투 중 적진 후방으로 circumvolare|날아다녔다la고 묘사한 부분에 대해, 예쉬는 이것이 발키리아와의 연관성을 암시한다고 해석한다.[14][5] 이는 특히 헬기 하딩갸스카티의 연인이었던 발키리아 카라가 백조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전투 중인 헬기 위를 날아다니며 그를 돕는 주문을 외웠다는 전승과 유사하다.[15][6]
3. 2. 여성혐오적 관점 비판
주디스 예쉬에 따르면, 라드게르타 이야기가 포함된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 처음 9권에 나오는 다양한 이야기는 "대체로 허구로 여겨진다".[3][12] 삭소는 이러한 이야기 속의 여러 여전사들을 묘사하면서 고전 고대의 아마조네스 전설을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고대 노르드어(특히 아이슬란드어) 자료를 참고했다.[3][12]그러나 예쉬는 삭소의 여성 전사 묘사에 여성혐오가 깔려 있다고 지적한다.[3][12] 당시 대부분의 교회 지도자들과 마찬가지로 삭소는 여성을 오로지 성적인 존재로만 여겼다.[3][12] 그에게 바이킹 시대의 스캴드메르(방패 여전사)는 이러한 전통적인 여성 역할을 거부한 존재였으며, 이는 옛 이교도 시절 덴마크의 무질서를 보여주는 사례였다.[3][12] 삭소는 이러한 '무질서' 또는 '사회적 병증'이 나중에 기독교와 안정된 세습 군주제가 들어서면서 치유되었다고 보았다.[3][12]
3. 3. 다른 전설과의 연관성
주디스 예쉬에 따르면, 라드게르타 이야기가 포함된 삭소의 《데인인의 사적》 처음 9권에 나오는 다양한 이야기는 "대체로 허구로 여겨진다".[3][12] 삭소는 이러한 이야기 속의 여러 전사 여성을 묘사하면서 고대 고전 시대의 아마조네스 전설을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고대 노르드어(특히 아이슬란드어) 자료를 참고했다.[3][12] 삭소의 여성 전사 묘사는 또한 여성혐오로 물들어 있다. 당시 대부분의 교회 지도자들과 마찬가지로 삭소는 여성을 오로지 성적 존재로 여겼다. 그에게 바이킹의 스캴드메르들은 나중에 교회와 안정된 군주제에 의해 치유된 옛 이교도 덴마크의 무질서의 한 예였다.[3][12]라드게르타는 다른 전설 속 인물들과 동일 인물일 수 있다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6세기 스쿌둥 씨족의 왕 할프단에 관한 사가에는 "흘라데위야르(Hlaðeyjarnon)"라는 곳을 다스리는 "흘라드게르드(Hlaðgerðrnon)"라는 여성이 등장한다. 그녀는 할프단에게 배 스무 척을 주어 그가 적들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4][13]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데인인의 사적》 주석에서 이 이름이 프랑크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하며, 리트가르드 드 베르망도(생몰 914년경-978년경)를 예로 들면서 라드게르타 이야기가 프랑크 쪽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는 설을 제기했다.[4][13]
삭소가 라드게르타가 싸우는 모습을 묘사하며 적진 최후미까지 단숨에 "날아다녔다(circumvolarela)"고 표현한 것은, 예쉬에 따르면 그녀에게 비행 능력을 부여한 것으로, 이는 발키리아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5][14] 이 이야기는 특히 헬기 하딩갸스카티의 연인이었던 발키리아 카라가 백조로 변신해 헬기의 싸움터 위를 날아다니며 그에게 도움이 되는 주문을 걸었다는 전승을 연상시킨다.[6][15]
한편 라드게르타가 여신 토르게르드(Þorgerðr Hölgabrúðr)와 동일인물이라는 설도 있다. 데이비드슨은 이를 가능성 있는 설로 평가하며, 노라 K. 채드윅은 매우 그럴듯한 설이라고 평가한다.[2][10] 이 가설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 노르웨이의 지배자 하콘 시구르다르손(생몰 937년경-995년경)은 토르게르드를 숭배했으며 때때로 토르게르드와 결혼했다고도 전해진다. 토르게르드는 "흘라디르(Hlaðirnon)"(라데)라는 곳에 살았는데, 이것이 "흘라드게르드"라는 이름의 어원일 수 있다는 것이다.[4][13]
- 삭소에 따르면 라드게르타가 살았던 가울라 계곡(Gaulardal)은 토르게르드 신앙의 중심지 근처에 위치했다. 또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기록에서는 하콘 시구르다르손의 아내 토라의 거주지가 가울라라고 한다.[7][16]
- 마지막으로 라드게르타가 머리칼을 휘날리며 라그나르를 돕는 장면은 《플라테이야르보크》에서 토르게르드와 그 여동생 이르파가 하콘 시구르다르손을 도운 장면과 유사하다.[4][13]
4. 대중문화 속 라드게르타
라드게르타는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기록에 영감을 주어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 속 인물로 재탄생했다. 18세기 말 크리스텐 프람은 그녀를 주인공으로 한 역사 드라마 ''라게르타''(1789)를 썼으며, 이는 빈첸초 갈레오티가 만든 발레 ''라게르타''(1801)의 기초가 되었다.[8] 비교적 최근에는 TV 시리즈 ''바이킹''(2013)에서 캐서린 윈닉이 연기한 라드게르타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그녀는 방패 처녀이자 라그나르의 첫 아내였으며, 나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야를이자 여왕의 자리에 오르는 인물로 그려진다.[9]
4. 1. 문학 작품
크리스텐 프람의 역사 드라마 ''라게르타''(1789)는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안무가 빈첸초 갈레오티는 프람의 작품을 바탕으로 노르드 테마를 다룬 최초의 발레인 ''라게르타''(1801)를 만들었다. 클라우스 샬의 음악에 맞춰 제작된 이 발레는 갈레오티의 왕립 극장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노래, 판토마임, 춤, 그리고 원래는 대화 부분까지 포함하는 ''게잠트쿤스트베르크''(종합예술작품)로 구상되었다.[8]
더 최근에는, 라게르타(배우: 캐서린 윈닉)는 2013년 TV 시리즈 ''바이킹''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삭소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는 이 시리즈는 그녀를 방패 소녀이자 라그나르의 첫 번째 아내로 묘사하며, 이후에는 야를로, 그리고 스스로 여왕으로 통치하는 주체적인 인물로 그려진다.[9]
4. 2. 발레
안무가 빈첸초 갈레오티는 크리스텐 프람의 역사 드라마 ''라게르타''(1789)를 바탕으로, 북유럽 신화 테마를 다룬 최초의 발레인 ''라게르타''(1801)를 창작했다. 이 작품은 클라우스 샬이 음악을 맡았으며, 갈레오티가 운영하던 왕립 극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발레 ''라게르타''는 노래, 판토마임, 춤뿐만 아니라 원래 대사까지 포함하는 게잠트쿤스트베르크(종합예술작품)으로 구상되었다.[8]4. 3. TV 드라마
캐서린 윈닉이 연기한 라게르타는 2013년 TV 시리즈 ''바이킹''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이 시리즈는 삭소의 기록에 상당 부분 기반하여, 라게르타를 방패 처녀이자 라그나르의 첫 번째 아내로 묘사한다. 이후 그녀는 야를로, 그리고 스스로 여왕으로 통치하는 인물로 그려진다.[9]참조
[1]
웹사이트
The Danish History, Book IX
http://en.wikisource[...]
2013-03-09
[2]
서적
The Early Cultures of North-West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Women in the Viking Age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4]
서적
The history of the Danes: books I-IX
https://books.google[...]
D. S. Brewer
[5]
문서
Jesch, 179
[6]
문서
Davidson, 154
[7]
문서
Davidson, 152
[8]
서적
Dans i Danmark: danseformerne ca. 1600 til 1950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2007
[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atheryn Winnick (Lagertha)
https://www.history.[...]
2022-07-17
[10]
서적
The Early Cultures of North-West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인용
The Danish History, Book IX
http://en.wikisource[...]
[12]
서적
Women in the Viking Age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13]
서적
The history of the Danes: books I-IX
https://books.google[...]
D. S. Brewer
[14]
문서
Jesch, 179
[15]
문서
Davidson, 154
[16]
문서
Davidson, 1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