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허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허흐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예멘 등 아프리카 뿔 지역에서 주로 먹는 전통 음식이다. 얇고 둥근 모양에 표면에 구멍이 뚫린 발효 반죽 빵으로, 밀가루, 수수 가루, 옥수수 가루 등의 곡물 가루를 사용하며, 꿀, 버터, 수프 등과 함께 섭취한다. 지역별로 크기, 모양, 재료에 차이가 있으며, 산업화와 현대적인 조리법의 도입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소말리아 이주민 식당이나 국제 음식 축제를 통해 접할 수 있으며, 한국적인 재료를 활용한 레시피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라허흐는 밀가루, 베이킹파우더가 든 밀가루, 따뜻한 물, 이스트, 그리고 약간의 소금으로 만든다. 이들을 섞어 부드러워질 때까지 손으로 반죽하며, 발효 과정을 거친다.[3] 밀가루 대신 수수 가루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 맛이 나는 라허흐나 달걀을 넣는 등 다양한 조리법이 있다.[1]
라허흐는 주로 금속 재질의 둥근 스토브인 '타와'에서 굽는다. 타와가 없을 경우에는 일반 프라이팬을 사용할 수 있다.[3]
소말리아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라허흐는 주로 아침 식사로 즐겨 먹는다. 보통 세 조각의 라허흐를 꿀, 기(버터)와 함께 먹거나, 올리브 오일, 참기름, 설탕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1] "맥주"(간과 양파), "수카르"(볶음 요리), "오드카크/무크마드"와 함께 먹기도 하며, 거의 항상 소말리아 차와 함께 마신다.[1]
라호흐는 소말리아와 예멘에서 수공예 방식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표준화된 영양 성분을 가지기 어렵다.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사용되는 재료와 제조 방법에 따라 라호흐의 생리 활성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달라진다.[8]
소말리아,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등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라호흐는 주로 아침 식사로 먹는다. 이때 소말리아 버터/기인 '수바그'와 올리브 오일, 참기름, 설탕 또는 꿀, "맥주"(간과 양파), "수카르"(볶음 요리), "오드카크/무크마드"와 함께 먹는다. 때로는 소말리아 스튜, 수프, 카레와 함께 점심으로 먹기도 하며, 거의 항상 소말리아 차와 함께 제공된다.[1]
[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s
Greenwood Press
2001
2. 재료 및 준비
전통적으로 라허흐는 두꺼운 반죽으로 만들며, 수수 가루, 옥수수 가루, 따뜻한 물, 빵 효모, 소금을 약간 넣는다. 이 혼합물은 부드럽고 크리미해질 때까지 손으로 젓는다.[3] 그 후 반죽을 하룻밤 동안 발효시켜 요리하고 아침 식사로 먹는다.
소말리아의 칸제로는 주로 정제된 흰 밀가루와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지만, 북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소말리 주에서는 수수, 옥수수, 보리, 테프, 콩과 작물 (예: 카우피와 팥) 등 다양한 건조 재료와 허브 및 향신료를 넣어 맛을 낸다.[6]
락소옥/칸제로의 글루텐 유사 구조는 역사적으로 카진(수수 또는 다른 글루텐이 없거나 적은 곡물과 뜨거운 물로 만든 사전 젤라틴화 반죽)에 의존했다. 이는 1~2일 동안 간헐적으로 작업하는 수동 공정이다. 열수 처리는 단백질과 전분의 특성을 변화시켜 전분이 젤라틴화되고 글루텐을 모방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특성을 부여한다. 젤라틴화된 전분은 반죽에 가스 유지 능력을 제공하여[7] 반죽의 안정성과 빵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요리사는 ''다나니스''라는 미생물 시동기를 사용하여 발효를 강화하고 속도를 높인다. 요리사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다나니스''의 종류나 양, 또는 다른 발효제(예: 상업용 효모)를 조절하거나 발효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3. 조리법
전통적인 라허흐는 수수 가루, 옥수수 가루, 따뜻한 물, 빵 효모, 소금을 섞어 만든 두꺼운 반죽으로 만든다. 이 반죽은 부드럽고 크리미해질 때까지 손으로 저어준 후 하룻밤 동안 발효시킨다.[3] 일부 요리사는 '다나니스'라는 미생물 시동기를 사용하여 발효를 촉진하기도 한다. 발효 속도는 '다나니스'의 종류나 양, 상업용 효모와 같은 발효제를 조절하거나 발효 기간을 조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소말리아의 칸제로는 밀가루 생산 부족으로 인해 밀 대신 곡물이나 곡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5] 현대에는 정제된 흰 밀가루와 옥수수 가루만 사용하기도 하지만, 북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소말리 주에서는 수수, 옥수수, 보리, 테프, 콩과 작물 (예: 카우피와 팥), 허브 및 향신료를 넣어 다양한 맛을 내기도 한다.[6]
(광역) 소말리아에서 락소옥/칸제로의 글루텐 유사 구조 개발은 역사적으로 카진에 의존했다. 카진은 수수나 다른 글루텐이 없거나 낮은 곡물과 뜨거운 물로 만든 사전 젤라틴화 반죽이다. 열수 처리는 단백질과 전분의 특성을 변화시켜 전분을 젤라틴화하고 글루텐을 모방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특성을 부여한다. 젤라틴화된 전분은 반죽에 가스 유지 능력을 제공하여[7] 반죽의 안정성과 빵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20세기 후반에는 산업용 반죽/시트 기계가 도입되어 상업용 카진 반죽을 생산했지만, 소말리아 내전으로 인해 북부 소말리아 도시의 기계는 파괴되거나 해체되었다. 2019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6] 남부 소말리아와 푼틀란드의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카진을 사용하지만, 북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소말리 주에서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4. 섭취 방법
점심 식사에는 커리, 수프, 스튜와 곁들여 먹기도 한다.[1]
이스라엘에서는 예멘계 유대인들이 라호흐를 전파했다.[9]
파키스탄에서는 파슈토어로 ویشلہ (위슐라)라고 불리며 파슈툰 가족들에게 인기 있는 요리이다. 보통 밀가루, 소금, 설탕으로 요리한다.
5. 영양학적 특징
| 재료 |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mg β-카로틴/kg) | 안토시아닌 함량 (mg 시아니딘 3-''O''-글루코사이드/g) |
| ------------------------- | ------------------------------------- | ------------------------------------------------ |
| 적색 수수 가루 | 22.58 | 0.32 |
| 정제 밀가루 첨가 | 현저하게 감소 | 현저하게 감소 |
* 정제 밀가루 사용은 라호흐의 영양학적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말리아 라호흐는 세포 밀도가 22.4~57.4 cells/cm2로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예멘 라호흐 중 하나는 145 cells/cm2에 달했다.[8]
6. 지역별 라호흐의 특징
북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소말리 주에서는 수수, 옥수수, 보리, 테프, 콩과 작물(예: 카우피와 팥)을 포함한 여러 가지 건조 재료와 허브 및 향신료를 넣어 라호흐의 맛을 낸다.[6] 반면 소말리아의 칸제로는 정제된 흰 밀가루와 옥수수 가루만 사용하여 준비되는 경우가 많다.
소말리아와 예멘의 라호흐는 수공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예멘과 소말리아 북부의 빵 제조 과정은 대체로 유사하지만,[8] 발효 단계에서 초기 사워도우 반죽에 미리 젤라틴화된 반죽을 사용하는 방식은 소말릴란드에서는 1980년대에 들어 인기를 잃었지만, 예멘에서는 계속 사용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스라엘에서는 이주한 예멘계 유대인들에 의해 라호흐가 소개되었다.[9]
파키스탄에서는 파슈토어로 ویشلہ|위슐라ps라고 불리며 파슈툰 가족들에게 인기 있는 요리이다. 보통 밀가루, 소금, 설탕으로 요리한다.
참조
[2]
웹사이트
Yemenite Lahoh (Lachoch)
https://www.deliciou[...]
2019-01-01
[3]
웹사이트
Saturday brunch: Lahoh, purple salad with ginger-dill dressing and more
http://food.lizstein[...]
2009-01-04
[4]
웹사이트
Ambabur (Cambaabur) Ambabur لحوح بالبهارات {{!}} Xawaash.com
http://xawaash.com/?[...]
2023-11-02
[5]
논문
Traditional flat breads spread from the Fertile Crescent: Production process and history of baking systems
2018-03-01
[6]
논문
A survey of laxoox/canjeero, a traditional Somali flatbread: production styles
2022-06-21
[7]
논문
Production of extruded-cooked lentil flours at industrial level: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starch gelatinization,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and techno-functional parameters
https://www.scienced[...]
2021-07-01
[8]
논문
Physical-Chem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zation of Somali Laxoox Flatbread and Comparison with Yemeni Lahoh Flatbread
2023-01
[9]
웹사이트
Hatikva market — the other side of Tel Aviv
http://food.lizstein[...]
2010-01-27
[10]
뉴스
Little Business Women
http://www.yobserver[...]
2011-09-28
[1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2001
[12]
웹사이트
Hatikva market — the other side of Tel Aviv
https://web.archive.[...]
[13]
뉴스
Dholas and other straw hats come into season
http://www.yobserver[...]
2012-03-08
[14]
웹사이트
Preparing Lahoh
http://food.lizste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