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라키아의 왕으로, '지배하다'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된다. 그는 호메로스에 따르면 에이오네우스의 아들이며, 후대에는 무사 중 한 명과 강신 스트리몬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레소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의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레소스의 이름을 딴 지명과 천체가 존재하며,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키아 신화의 왕 - 리쿠르고스 (트라케)
리쿠르고스는 트라케의 왕으로, 디오니소스 숭배를 거부하고 추종자들을 박해하다가 디오니소스의 저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며, 권력 남용과 신성 모독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신화 속 인물이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레소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소스 |
유형 | 그리스 신화 |
역할 | 트라키아의 왕 |
가계 | |
부모 | 스트리몬(에이오네우스)와 에우테르페/칼리오페/테르프시코레 또는 헤라클레스와 볼베 |
형제자매 | 올린토스, 브랑가스, 세테 |
17세기 판화 설명 | 디오메데스가 레소스를 죽이는 동안 오디세우스가 그의 말을 훔치는 것을 묘사함. |
![]() |
2. 어원
레소스라는 이름은 '지배하다'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 ''*reg-''에서 유래한 트라키아 인명이며,[1][2] 사템 음운 변화를 보여준다.
2. 1. 이름의 기원
레소스(Ῥῆσος)라는 이름은 '지배하다'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 ''*reg-''에서 유래한 트라키아 인명으로,[1][2] 사템 음운 변화를 보여준다.3. 가계
호메로스에 따르면 레소스의 아버지는 에이오네우스였다. 후대 작가들은 레소스의 부모를 무사 중 하나([3])(에우테르페[4], 칼리오페[5] 또는 테르프시코레[6])와 강신 스트리몬으로 설정했다.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레소스의 여동생 세테와 형제 올린투스, 브란가스를 언급했다.[7] [8]
3. 1. 부모
호메로스에 따르면, 레소스의 아버지는 에이오네우스이며, 그는 서부 트라키아의 스트리몬강 어귀에 있는 역사적인 에이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7] 후대의 작가들은 레소스의 부모에 대해 좀 더 신화적인 설정을 부여했다. 그의 어머니는 무사 중 한 명(에우테르페[4], 칼리오페[5] 또는 테르프시코레[6])이고, 아버지는 강의 신 스트리몬이라고 주장했다.[3]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레소스의 여동생 세테를 언급했는데, 그녀는 아레스와 비티스라는 아들을 두었다.[7] 어떤 설명에 따르면, 레소스의 형제들은 올린투스와 브란가스라고 불린다.[8]3. 2. 형제자매와 자녀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레소스의 여동생 세테를 언급했는데, 그녀는 아레스와 비티스라는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7] 어떤 전승에서는 레소스의 형제들이 올린투스와 브란가스라고 불린다.[8] 에우리피데스에 따르면 레소스는 무사이 여신 중 한 명과 스트리몬 강 신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스트리몬은 레소스를 님프에게 맡겨 기르게 했다.[21]4. 신화 속 레소스
레소스는 샘의 님프에게 양육되었으며, 전투에 참여하지 못하고 죽었다.[9] 스키타이의 공격을 받은 트라키아가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면서, 레소스는 다른 동맹 군대보다 늦게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로 향했다. 돌론은 헥토르를 위해 아가멤논의 군대를 염탐하러 나갔다가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에게 붙잡혔고, 트라키아 군의 도착을 알렸다. 돌론은 레소스가 훌륭한 말들과 신에게 어울리는 금빛 갑옷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그날 밤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는 트라키아인들의 야영지에 잠입하여 레소스를 포함한 많은 트라키아인들을 죽이고 그의 군마를 훔쳤다.[10]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레소스''는 ''일리아스''에 묘사된 사건을 줄거리로 한다. 레소스의 어머니이자 무세 중 한 명은 오디세우스, 디오메데스, 아테나에게 아들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 그녀는 레소스가 불멸이 되지만 동굴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리아스''의 삽화와 ''레소스''에 대한 주석은 레소스에게 더욱 영웅적인 위상을 부여한다.[11]
레소스는 포세이돈이 아카이아인들의 성벽을 무너뜨리기 위해 이다 산에서 바다로 격노하게 한 여덟 강 중 하나로 언급된다.[12] 비티니아에도 레소스라는 강이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는 같은 이름의 부속 강 신을 제공한다. 트라키아의 왕 레소스는 비티니아의 사냥꾼 아르간토네와의 사랑을 통해 비티니아와 관련되었다.[28]
4. 1. 트로이 전쟁 이전
레소스는 님프에게 양육되었으며, 성장한 후에는 헥토르가 판가이온 산과 파이오니아에서 트라키아 여러 부족을 토벌하고 레소스를 트라키아의 왕으로 삼았다[21]. 레소스가 자란 스트리몬 강변은 예로부터 금이 풍부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었고, 레소스는 황금이 풍족한 땅의 왕이 되었다. 비티니아의 여자 사냥꾼 아르간토네와 사랑에 빠져[28] 결혼했다는 전승도 있다.4. 2. 트로이 전쟁 참전
레소스는 에이오네우스의 아들로,[27] 트라키아군을 이끌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 전쟁 발발 전 스키타이인들을 공격하고 있었기 때문에 늦게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다.[27]헥토르는 막대한 선물과 교환하여 레소스의 원군을 얻으려 했지만, 레소스는 어머니가 그의 죽음을 예견하고 트로이로 보내지 않으려 했고, 트라키아가 스키타이의 공격을 받아 교전 상태였기 때문에 바로 트로이로 갈 수 없었다. 그러나 레소스는 스키타이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대군을 이끌고 트로이로 향했고,[21] 『일리아스』의 둘째 날 밤늦게 도착했다.
레소스는 금과 은으로 장식된 전차와 희고 날랜 백마들을 가지고 있었다.[27] 트로이에 나타난 레소스의 무구와 전차는 황금을 아낌없이 사용한 아름다운 것이었고, 전차를 끄는 백마도 훌륭한 말이었다.
늦게 도착한 레소스는 다른 트로이와 그 동맹군의 본진과 떨어진 곳에 진을 쳤다. 그러나 그리스군의 정찰을 나간 돌론이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에게 붙잡혀 트로이군의 정보를 모두 이야기해 버렸다. 이 때문에 본진과 떨어진 곳에 있던 레소스는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에게 노려지게 되었다.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가 밤중에 몰래 트로이의 진지를 습격했는데, 레소스는 자신의 막사에서 잠을 자다가 디오메데스의 칼에 죽임을 당했다.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는 그의 멋진 말과 전차를 훔쳐서 그리스 진영으로 돌아왔다.[27] 디오메데스는 12명의 트라키아 병사를 죽인 후 잠들어 있는 레소스를 죽였다. 또한 오디세우스는 레소스의 백마를 전차에 연결하고, 활을 채찍 대신 사용하여 달리게 하여, 디오메데스와 함께 귀환했다.[14]
4. 3. 죽음과 최후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는 밤중에 몰래 트로이의 진지를 습격했다. 이때 레소스는 자신의 막사에서 잠을 자다가 디오메데스의 칼에 죽임을 당했고,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는 그의 멋진 말과 전차를 훔쳐서 그리스 진영으로 돌아왔다.[27]레소스는 다른 트로이와 그 동맹군의 본진과 떨어진 곳에 진을 쳤는데, 이는 늦게 도착했기 때문이었다. 그리스군의 정찰을 나간 돌론은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에게 붙잡혀 트로이군의 정보를 누설했고, 이 때문에 본진과 떨어진 곳에 있던 레소스는 이들의 표적이 되었다.[14]
돌론은 레소스가 가장 훌륭한 말들을 가지고 있으며, 필멸자가 아닌 신에게 어울리는 거대한 금빛 갑옷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라키아인들이 잠든 밤,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는 야영지에 잠입하여 많은 수의 트라키아인들과 천막 안의 레소스를 죽이고 그의 유명한 군마를 훔쳤다.[10] 레소스와 트라키아 병사들은 여행의 피로로 잠들어 있었고, 디오메데스는 12명의 트라키아 병사를 죽인 후 잠들어 있는 레소스를 죽였다. 오디세우스는 레소스의 백마를 전차에 연결하고 활을 채찍 대신 사용하여 달리게 하여, 디오메데스와 함께 귀환했다.[14]

레소스는 금과 은으로 장식된 전차와 멋지고 날랜 백마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말들이 트로이의 풀을 뜯고 스카만드로스 강의 물을 마시는 한 트로이는 그리스군에게 함락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고 한다.
4. 4. 사후 전승
레소스의 어머니인 무사는 아들이 살해당한 것에 분노했지만, 페르세포네에게서 레소스의 혼을 돌려받은 후에는 레소스가 트라키아의 동굴에서 영웅신으로 숭배받을 것이라고 예언했다.[21] 일각에서는 레소스가 본래 트라키아의 신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22]트라키아 로도피 산맥에서는 레소스가 죽은 후에도 그곳에서 말을 기르고 사냥하며 살았고, 산짐승들이 레소스의 제단에 스스로 희생되기 위해 찾아온다는 전승이 있었다. 또한 레소스는 역병으로부터 사람들을 지켰기 때문에 로도페 산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았다고 한다.[23]
폴리아이노스에 따르면, 기원전 437년에 아테네인들이 암피폴리스를 건설할 때 신탁에 따라 트로이에서 레소스의 유골을 운반하여 스트리몬 강가에 매장했다고 한다.[24]
레소스가 고대 한국인의 조상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일부에서 제기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며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5. 레소스와 관련된 기타 전승
레소스와 관련된 전승으로는 트로아스 지방을 흐르는 강의 신으로서의 레소스가 있다. 이 강의 신은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아들로 여겨진다.[26] 비티니아에도 레소스라는 강이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에는 같은 이름의 강의 신이 등장한다.[25]
5. 1. 강의 신 레소스
트로아스 지방을 흐르는 레소스 강의 신으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아들이다.[26] 비티니아에도 레소스라는 강이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에는 같은 이름의 강의 신이 등장한다.[25]6. 후대에 미친 영향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레소스》는 레소스를 호메로스보다 더 영웅적으로 묘사한다. 일리아스의 사건은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레소스''의 줄거리를 제공한다. 무사는 페르세포네에게 레소스의 혼을 돌려받은 후, 레소스가 트라키아의 동굴에 영웅신으로서 숨어 살게 될 것이라고 예언하는데,[21] 이는 레소스가 본래 트라키아의 신이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2]
레소스 빙하는 남극 앤버스 섬에 있으며, 9142 레소스 소행성과 마찬가지로 트라키아의 왕 레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3]
6. 1. 문학 작품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레소스》는 레소스를 주인공으로 하며, 호메로스보다 더 영웅적으로 묘사한다. 이 작품에서 레소스의 부모는 스트리몬의 하신(河神)과 무사이 중 하나인 칼리오페이다.[11]''일리아스''의 사건은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레소스''의 줄거리를 제공한다. 레소스의 어머니는 아들의 죽음에 대해 오디세우스, 디오메데스, 아테나에게 책임을 묻고, 레소스가 불멸의 존재가 되어 동굴에 머물 것이라고 예언한다.[11]
무사는 페르세포네에게 레소스의 혼을 돌려받은 후, 레소스가 트라키아의 동굴에 영웅신으로서 숨어 살게 될 것이라고 예언하는데,[21] 이는 레소스가 본래 트라키아의 신이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2]
6. 2. 지명 및 천체
레소스 빙하는 남극 앤버스 섬에 있으며, 9142 레소스 소행성과 마찬가지로 트라키아의 왕 레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3]참조
[1]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2]
논문
"Thrakisch und Dakisch"
De Gruyter
[3]
문서
Rhesus (play)
[4]
문서
Commentary on Virgil's Aeneid
[5]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6]
문서
Iliad
Homer
[7]
문서
Bithyai
[8]
웹사이트
https://topostext.or[...]
[9]
웹사이트
Rhesus
http://www.maicar.co[...]
[10]
문서
Iliad
[11]
서적
Iliad x and the Rhesus: The Myth
Latomus
[12]
문서
Iliad
[13]
웹사이트
Composite Gazetteer of Antarctica
http://data.aad.gov.[...]
[14]
문서
『イーリアス』10巻
[15]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3・4
[16]
문서
ビューザンティオンのアリストパネース
[17]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レーソス』古註、346
[18]
문서
ヒッポナクス断片、41
[19]
문서
ウェルギリウス『アエネーイス』古註、1巻409
[20]
문서
パルテニオス、36
[21]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レーソス』
[22]
문서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308頁
[23]
문서
ピロストラトス『ヘーローイコス』
[24]
문서
ポリュアリーノス、6・53
[25]
문서
『イーリアス』12巻
[26]
문서
신통기
[27]
문서
일리아스
[28]
문서
Erotika Pathem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