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이 카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 코니프는 미국의 음악 편곡자, 지휘자, 트롬본 연주자이다. 1916년 매사추세츠주 애틀버러에서 태어났으며, 1950년대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로즈메리 클루니, 조니 매티스 등 여러 아티스트의 음반 편곡을 담당했다. 빅 밴드와 합창단을 결합한 독특한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1959년 레이 코니프 싱어즈를 결성하여 "Somewhere My Love"를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약 7천만 장의 앨범을 판매했으며, 1974년에는 러시아에서 녹음한 최초의 미국 대중 음악가가 되었다. 2002년 사망했으며, 그의 음악은 영화와 광고에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지휘자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미국의 지휘자 - 레너드 번스타인
    레너드 번스타인은 20세기에 지휘, 작곡, 피아노 연주, 교육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클래식, 재즈, 뮤지컬을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하고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던 인물이다.
  • 스페인어 가수 - 에디트 피아프
    에디트 피아프는 1915년 파리에서 태어나 거리에서 노래하며 생계를 유지하다 '작은 참새'라는 예명으로 활동한 프랑스의 가수 겸 배우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지스탕스 활동 설, "장미 인생" 등의 히트곡, 이브 몽탕 등의 후배 가수 성공 기여, 마르셀 세르당과의 비극적인 사랑, 약물 중독, 올랭피아 극장 공연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프랑스를 대표하는 위대한 가수로 기억된다.
  • 스페인어 가수 - 글로리아 에스테판
    글로리아 에스테판은 쿠바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으로 데뷔, 솔로 가수로서도 성공하며 라틴 음악계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고, 그래미상 수상, 슈퍼볼 공연, 버스 사고 극복 등 다채로운 경력과 사회 활동으로 영향력을 인정받는 쿠바계 미국인 가수, 배우, 작곡가, 사업가이다.
  • 미국 육군 군인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미국 육군 군인 - 토니 베넷
    앤서니 도미닉 베네데토라는 본명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가수 토니 베넷은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와 같은 대표곡을 통해 스탠더드 팝을 고수하며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았고, 레이디 가가와의 협업 등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며 화가로도 활동했다.
레이 카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8년의 레이 코니프
1958년의 레이 코니프
본명조지프 레이먼드 코니프
다른 이름제이 레이
출생미국 매사추세츠주 애틀보로
출생일1916년 11월 6일
사망미국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
사망일2002년 10월 12일
국적미국
직업작곡가, 지휘자, 밴드 리더
악기트롬본, 보컬
장르빅 밴드, 재즈
웹사이트레이 코니프 공식 웹사이트
군 복무
소속 군대미국 육군
복무 기간1939년 ~ 1942년
최종 계급육군 하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지휘분대장
학력
출신 학교조지타운 대학교 법학과 학사
활동
기타 이력싱어송라이터와 트롬본 연주자와 합창단 지휘자로 활약

2. 생애

레이 카니프는 1916년 11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애틀버러에서 태어났다.[1] 그는 아버지에게 트롬본을 배웠고 교재를 통해 독학으로 음악 편곡을 공부했다.[2] 1954년 콜럼비아 레코드와 계약했으며,[1] 1956년에는 첫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 1966년 영화 《닥터 지바고》의 주제곡 "라라의 테마(Somewhere My Love)" 커버 곡으로 그래미상을 수상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카니프는 1916년 11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애틀버러에서 태어났다.[1] 그는 아버지로부터 트롬본 연주를 배웠으며, 교재를 통해 독학으로 음악 편곡을 공부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인 1939년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복무했으며, 군 복무 중에는 월터 슈만 밑에서 일하기도 했다.[1] 1942년 미국 육군 하사로 예편했다. 전역 후에는 아티 쇼가 이끄는 빅 밴드에 합류하여 편곡자로 활동하며 많은 곡을 썼다.[1]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는 합창단 지휘자로도 활동했다.

1954년에는 컬럼비아 레코드의 A&R 책임자였던 미치 밀러에게 발탁되어 레이블 전속 편곡가 겸 지휘자로 계약했다.[1] 그는 로즈메리 클루니, 마티 로빈스, 프랭키 레인, 조니 매티스, 가이 미첼, 조니 레이 등 당대 유명 가수들의 음반 작업에 참여했다.[1] 1955년에는 돈 체리의 "Band of Gold"를 편곡하여 톱 10 히트를 기록했으며, 이 싱글은 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 그가 편곡하여 히트한 주요 싱글은 다음과 같다.[1]

가수곡명
조니 레이"Yes Tonight Josephine", "Just Walkin' in the Rain"
조니 매티스"Chances Are", "It's Not for Me to Say"
마티 로빈스"A White Sport Coat", "The Hanging Tree"
프랭키 레인"Moonlight Gambler"
프랭키 레인조니 레이 듀엣"Up Above My Head"
로즈메리 클루니"Pet Me, Poppa"



또한 토니 베넷의 앨범 ''Tony'', 아일린 로저스의 ''Blue Swing'', 돈 체리의 ''Swingin' for Two'', 조니 레이의 ''The Big Beat'' 앨범 절반의 편곡과 반주를 담당했다.[1] 이 시기 코니프는 '''제이 레이'''(Jay Raye)라는 예명으로 에픽 레코드에서 유사한 스타일의 음반을 제작하기도 했는데, 그중에는 미국의 남성 보컬 그룹 솜씽 스미스 앤 더 레드헤즈와 함께한 반주 앨범과 싱글이 있었다.[1]

코니프는 미치 밀러와의 작업 중 빅 밴드 연주에 맞춰 가사 없이 허밍으로 멜로디를 부르는 합창단(여성은 트럼펫 파트, 남성은 트롬본 파트 담당)을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이 독특한 사운드가 좋은 반응을 얻자, 밀러는 코니프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음반을 만들도록 제안했다.[1] 이를 통해 1956년 오케스트라와 8명(남성 4, 여성 4)의 무가사 합창단 구성으로 스탠더드 곡들을 녹음한 그의 첫 솔로 앨범 '''S Wonderful!''이 발매되었다.[1] 이듬해인 1957년에는 당시 유행하던 댄스 스텝을 겨냥한 실험적인 앨범 ''Dance the Bop!''을 발매했으나, 코니프 본인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고 판매 부진으로 곧 회수되었다.[1]

2. 2. 컬럼비아 레코드 시절 (1954년 ~ 2002년)

제2차 세계 대전미국 육군에서 복무한 후, 레이 카니프는 아티 쇼 빅 밴드에 합류하여 편곡가로서 경력을 쌓았다.[1] 밴드 활동 이후, 1954년 컬럼비아 레코드의 A&R 책임자인 미치 밀러에 의해 레이블의 전속 편곡가로 발탁되었다. 그는 로즈메리 클루니, 마티 로빈스, 프랭키 레인, 조니 매티스, 가이 미첼, 조니 레이 등 당대의 유명 아티스트들과 함께 작업하며 편곡 실력을 발휘했다.[1]

카니프의 편곡은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55년 돈 체리의 "Band of Gold" 편곡은 톱 10 히트를 기록하며 백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1] 그의 손을 거쳐 히트한 싱글은 다음과 같다.

  • 조니 레이: "Yes Tonight Josephine", "Just Walkin' in the Rain"
  • 조니 매티스: "Chances Are", "It's Not for Me to Say"
  • 마티 로빈스: "A White Sport Coat", "The Hanging Tree"
  • 프랭키 레인: "Moonlight Gambler"
  • 프랭키 레인 & 조니 레이 듀엣: "Up Above My Head"
  • 로즈메리 클루니: "Pet Me, Poppa"


또한 토니 베넷의 앨범 ''Tony'', 아일린 로저스의 ''Blue Swing'', 돈 체리의 ''Swingin' for Two'', 조니 레이의 ''The Big Beat'' 앨범 절반의 편곡을 담당했다. 이 시기 카니프는 에픽 레코드에서 '''제이 레이'''(Jay Raye)라는 예명으로 유사한 스타일의 음반을 제작하기도 했다.

카니프는 빅 밴드와 함께 가사 없이 노래하는 합창단(여성은 트럼펫, 남성은 트롬본 파트 담당)을 결합하는 독특한 사운드를 개발했다. 그의 백킹 편곡과 새로운 사운드의 성공에 주목한 미치 밀러는 카니프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음반을 제작할 기회를 주었다. 그 결과 탄생한 첫 앨범이 스탠더드 곡들을 오케스트라와 8인조(남성 4, 여성 4) 무가사 합창단으로 편곡한 '''S Wonderful!''(1956)이다.[1] 이 앨범의 성공에 힘입어 그는 '''S Marvelous''(1957, 골드 앨범), '''S Awful Nice''(1958), ''Concert in Rhythm''(1958, 골드 앨범), ''Broadway in Rhythm''(1958), ''Hollywood in Rhythm''(1959), ''Concert in Rhythm, Vol. II''(1960), ''Say It With Music''(1960), ''Memories Are Made of This''(1960, 골드 앨범), '''S Continental''(1962) 등 유사한 형식의 앨범을 연이어 발표하며 큰 인기를 누렸다.[1] (그의 두 번째 앨범 ''Dance the Bop!''(1957)은 당시 유행하던 춤을 활용하려는 기획이었으나, 카니프 본인은 이 앨범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고 판매 부진 후 절판되었다.)

1957년부터 1968년까지 카니프는 미국 톱 40 앨범 차트에 28번이나 진입했으며, 특히 1966년 발매된 ''Somewhere My Love'' 앨범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1] 그의 명성은 국제적으로도 확장되어, 1969년에는 영국 앨범 차트에서 ''His Orchestra, His Chorus, His Singers, His Sound'' 앨범으로 1위를 차지했다.[1] 1974년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현지 합창단과 협연하여 ''Ray Conniff in Moscow'' 앨범을 녹음했는데, 이는 미국 대중 음악가로서는 최초의 시도였다.[1] 이후 ''Exclusivamente Latino,'' ''Amor Amor,'' ''Latinisimo'' 등의 앨범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칠레의 비냐 델 마르 국제 가요제 출연 이후에는 젊은 팝스타와 같은 대우를 받으며 대규모 공연을 이어갔다.

레이 카니프는 1973년까지 총 30개의 앨범을 빌보드 200 차트에 올리는 등 이지 리스닝 장르에서 가장 성공적인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가 이끈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은 컬럼비아 레코드 시절을 포함하여 총 90개가 넘는 앨범을 발표했다.

2. 3. 레이 코니프 싱어즈 결성 (1959년)

1967년의 코니프


1959년, 코니프는 여성 12명과 남성 13명으로 구성된 레이 코니프 싱어스(The Ray Conniff Singers)를 결성하고 앨범 ''잇츠 더 토크 오브 더 타운(It's the Talk of the Town)''을 발매했다.[1] 이 그룹은 그의 최대 히트곡인 ''섬웨어 마이 러브(Somewhere My Love)'' (1966)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곡은 영화 ''닥터 지바고''의 "라라의 테마"에 가사를 붙인 것으로, 미국 톱 10 싱글에 오르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1]

''섬웨어 마이 러브''가 수록된 동명의 앨범은 미국 톱 20에 진입하고 플래티넘을 기록했으며, 코니프는 이 곡으로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싱글과 앨범은 호주, 독일, 영국, 일본 등 국제 차트에서도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또한, 싱어스의 첫 번째 크리스마스 앨범인 ''크리스마스 위드 코니프(Christmas with Conniff)'' (1959) 역시 성공을 거두었다.

싱어스의 다른 유명 앨범으로는 히트곡 "펄리 셸스(Pearly Shells)"가 수록된 ''레이 코니프의 하와이 앨범(Ray Conniff's Hawaiian Album)'' (1967)과 코니프의 자작곡 "섬원(Someone)", 그리고 "올 아이 해브 투 두 이즈 드림(All I Have to Do is Dream)", "아일 네버 폴 인 러브 어게인(I'll Never Fall in Love Again)", "섬씽(Something)" 등의 리메이크 곡이 담긴 ''브리지 오버 트러블드 워터(Bridge Over Troubled Water)'' (1970) 등이 있다.

음악적으로는 스윙 시절의 오랜 친구인 트럼펫 연주자 빌리 버터필드와 협력하여 두 개의 앨범을 제작하기도 했다. ''코니프 미츠 버터필드(Conniff Meets Butterfield)'' (1959)는 버터필드의 솔로 트럼펫과 작은 리듬 그룹 연주를 특징으로 하며, 1963년에 발매된 ''저스트 키딘 어라운드(Just Kiddin' Around)''는 코니프가 직접 연주한 트롬본 솔로를 포함한다. 이 두 앨범은 보컬 없이 연주곡으로만 구성된 라이트 재즈 앨범이다.

레이 코니프는 1973년까지 30개의 앨범을 ''빌보드'' 핫 200 차트에 올리며 가장 성공적인 이지 리스닝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레이 코니프 싱어스는 총 90개 이상의 앨범을 녹음했다.

2. 4. 후기 활동

카니프는 1960년대 후반에는 연간 평균 1개의 보컬 앨범과 2개의 기악 앨범을 제작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1979년에는 캐롤 오코너가 주연한 CBS의 드라마 ''아치 벙커의 식당''(Archie Bunker's Place)을 위해 기존 드라마 올 인 더 패밀리(All in the Family)의 주제곡이었던 "Those Were The Days"와 "Remembering You"를 새롭게 편곡하고 녹음했다. 이 편곡에서는 소규모 앙상블과 트롬본 솔로, 그리고 호키통크 피아노가 사용되었다.

카니프는 2002년 사망할 때까지 꾸준히 녹음과 공연 활동을 이어갔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7천만 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했다.

3. 주요 작품

레이 코니프는 편곡가, 트롬본 연주자, 밴드리더로서 오랜 기간 활동하며 수많은 음반을 발표했다. 그의 음악은 주로 이지 리스닝 스타일로, 특유의 코러스와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결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다른 가수들의 히트곡 편곡 작업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름을 건 '레이 코니프 싱어즈' 또는 오케스트라 명의로 다수의 앨범을 발매했다. 그의 앨범 중 상당수는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했으며, 여러 앨범이 골드 또는 플래티넘 음반 인증을 받았다.

3. 1. 대표곡


  • 1950년대 후반에는 조니 매티스의 「사랑의 찬스」(Chances Are), 조니 레이의 「비 속을 걸으면」(Just Walking in the Rain), 마티 로빈스의 「화이트 스포츠 코트」(White Sports Coat) 등 여러 히트곡의 반주 편곡을 담당했다.
  • 「밴드 오브 골드」(Band of Gold): 1956년 돈 체리가 발표하여 미국 빌보드 핫 100 4위를 기록한 곡의 편곡을 제공했다.
  • 「라라의 테마」(Somewhere My Love): 1966년 발표. 1965년 영화 《닥터 지바고》의 주제가로 사용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미국 빌보드 핫 100 9위를 기록했으며, 1968년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이 곡은 대한민국에서도 크게 히트하여 레이 코니프의 대표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 「베사메 무초」(Bésame Muchoes): 멕시코콘수엘로 벨라스케스가 작곡하고 트리오 로스 판초스가 원곡을 부른 스페인어 노래를 리메이크하여 히트시켰다.
  • 「윈즈 오브 체인지」(Winds of Change): 1968년 발표. 미셸 르그랑과 맥 데이비드가 작곡했으며, 같은 해 개봉한 영화 《How to Save a Marriage and Ruin Your Life》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미국 이지 리스닝 차트 17위를 기록했다.
  • 「어린 친구에게」(My Little Friend): 1975년. 로이 버드가 작곡한 영화 《태양에 걸린 다리/페이퍼 타이거》의 주제가를 레이 코니프 싱어즈 명의로 녹음했다.

3. 2. 오리지널 앨범

레이 코니프는 1955년부터 2000년까지 꾸준히 앨범을 발표했으며, 이지 리스닝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앨범 중 다수는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했으며, 골드 또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주요 오리지널 앨범 목록은 다음과 같다.

  • '''S Wonderful!'' (1956)
  • ''Dance the Bop!'' (1957)[5]
  • '''S Marvelous'' (1957, 골드 앨범)
  • '''S Awful Nice'' (1958)
  • ''Concert in Rhythm, Vol.1'' (1958, 골드 앨범)
  • ''Broadway in Rhythm'' (1958)
  • ''Hollywood in Rhythm'' (1958)
  • ''It's the Talk of the Town'' (1959)
  • ''Conniff Meets Butterfield'' (1959), with 빌리 버터필드
  • ''Christmas with Conniff'' (1959, 플래티넘 앨범)
  • ''Concert in Rhythm, Vol.2'' (1959)
  • ''Young at Heart'' (1960)
  • ''Say It with Music (A Touch of Latin)'' (1960)
  • ''Memories Are Made of This'' (1960, 골드 앨범)
  • ''Somebody Loves Me'' (1961)
  • '''S Continental'' (1962)
  • ''So Much in Love'' (1962, 골드 앨범)
  • ''Rhapsody in Rhythm'' (1962)
  •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1962, 플래티넘 앨범)
  • ''The Happy Beat of Ray Conniff, His Orchestra and Chorus'' (1962)
  • ''Just Kiddin' Around'' (1962), with 빌리 버터필드 (#85 핫 200)
  • ''You Make Me Feel So Young'' (1963) (#73 핫 200)
  • ''Speak to Me of Love'' (1963) (#50 핫 200)
  • ''Friendly Persuasion'' (1964) (#141 핫 200)
  • ''Invisible Tears'' (1964) (#23 핫 200)
  • ''Love Affair'' (1965) (#54 핫 200)
  • ''Music From '메리 포핀스', '사운드 오브 뮤직', '마이 페어 레이디' & Other Great Movie Themes'' (1965) (#34 핫 200)
  • ''Here We Come A-Caroling'' (1965, 플래티넘 앨범)
  • ''Happiness Is'' (1965) (#80 핫 200)
  • ''Somewhere My Love and Other Great Hits'' (1966, 플래티넘 앨범) (#3 핫 200)
  • ''Ray Conniff's World of Hits'' (1966) (#78 핫 200)
  • ''En Español (The Ray Conniff Singers Sing It in Spanish)'' (1966) (#180 핫 200)
  • ''This Is My Song'' (1967) (#30 핫 200)
  • ''Ray Conniff's Hawaiian Album'' (1967) (#39 핫 200)
  • ''It Must Be Him'' (1967, 골드 앨범) (#25 핫 200)
  • ''Honey'' (1968, 골드 앨범) (#22 핫 200)
  • ''Turn Around Look at Me'' (1968) (#69 핫 200)
  • ''I Love How You Love Me'' (1969) (#101 핫 200)
  • ''Ray Conniff's Greatest Hits'' (1969) (#158 핫 200)
  • ''Live Europa Tournee 1969/Concert in Stereo'' (1969)
  • ''Jean'' (1969) (#103 핫 200)
  • ''Concert In Stereo: Live at '사하라 타호''' (1969) (#177 핫 200)
  • ''Bridge Over Troubled Water'' (1970) (#47 핫 200)
  • ''We've Only Just Begun'' (1970) (#120 핫 200)
  • ''Love Story'' (1970) (#98 핫 200)
  • ''Great Contemporary Instrumental Hits'' (1971) (#177 핫 200)
  • ''I'd Like to Teach the World to Sing'' (1971) (#138 핫 200)
  • ''Love Theme from '대부''' (1972) (#114 핫 200)
  • ''Alone Again (Naturally)'' (1972) (#180 핫 200)
  • ''I Can See Clearly Now'' (aka ''Clair'') (1973) (#165 핫 200)
  • ''Ray Conniff in Britain'' (1973)
  •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1973) (#176 핫 200, #41 AUS[6])
  • ''Harmony'' (1973) (#194 핫 200, #61 AUS[6])
  • ''The Way We Were'' (1973)
  • ''Ray Conniff Plays 카펜터스'' (1974)
  • ''The Happy Sound of Ray Conniff'' (1974)
  • ''Ray Conniff in Moscow'' (1974)
  • ''Laughter in the Rain'' (1975)
  • ''Another Somebody Done Somebody Wrong Song'' (1975)
  • ''Love Will Keep Us Together'' (1975)
  • ''Ray Conniff Plays 비틀즈'' (1975)
  • ''I Write the Songs'' (1975)
  • ''Live in Japan'' (1975)
  • ''Send in the Clowns'' (1976)
  • ''Theme from 'S.W.A.T.' and Other TV Themes'' (1976)
  • ''After the Lovin''' (1976)
  • ''Exitos Latinos'' (1977)
  • ''Ray Conniff Plays the Bee Gees and Other Great Hits'' (1978)
  • ''I Will Survive'' (1979)
  • ''The Perfect '10' Classics'' (1980)
  • ''Exclusivamente Latino'' (1980)
  • ''Siempre Latino'' (1981)
  • ''The Nashville Connection'' (1982)
  • ''Musik für Millionen'' (1982년 독일 TV 쇼를 위해 부분적으로 제작)
  • ''Amor Amor'' (1982)
  • ''Fantastico'' (1983)
  • ''Supersonico'' (1984)
  • ''Christmas Caroling'' (1984)
  • ''Campeones'' (1985)
  • ''Say You Say Me'' (1986)
  • ''30th Anniversary Edition'' (1986)
  • ''Always in My Heart'' (1987)
  • ''Interpreta 16 Exitos De Manuel Alejandro'' (1988)
  • ''Ray Conniff Plays Broadway'' (1990)
  • '''S Always Conniff'' (1991)
  • ''Latinisimo'' (1993)
  • ''40th Anniversary'' (1995)
  • ''Live in Rio (aka Mi Historia)'' (1997)
  • ''I Love Movies'' (1997)
  • ''My Way'' (1998)
  • '''S Country'' (1999)
  • '''S Christmas'' (1999)
  • ''Do Ray Para O Rei'' (2000)

4. 사망

레이 코니프는 2002년 10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에서 넘어져 싱크대에 머리를 부딪혀 사망했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웨스트우드 빌리지 메모리얼 파크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비에는 "Somewhere My Love"의 처음 네 음표가 악보로 새겨져 있다. 코니프는 아내 베라, 딸 타마라 코니프, 아들 지미 코니프, 그리고 세 명의 손주를 유족으로 남겼다. 아들 지미 코니프는 2015년에 사망했으며, 아내 베라(1944년 4월 7일 ~ 2018년 1월 7일)는 레이와 같은 묘역에 묻혔다.

5. 유산 및 영향

2004년, 희귀하고 이전에 공개되지 않은 많은 트랙이 수록된 기념 2CD 컴필레이션 세트인 《The Essential Ray Conniff》가 발매되었다. 이후 Collectables 레이블에서 《The Singles Collection, Vol. 1》(2005년), 《The Singles Collection, Vol. 2》(2007년), Vol. 3(2009년)이 차례로 발매되었으며, 이 컬렉션들 역시 희귀 싱글과 미발표 트랙을 포함하고 있다. 그의 음악은 영화 메리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에도 삽입되어 대중에게 다시 한번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2022년에는 코니프의 1973년 앨범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에 수록된 "Bah Bah Conniff Sprach (Zarathustra)"가 매튜 매커너히가 출연한 Salesforce TV 광고에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그의 음악은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미국의 많은 라디오 방송국이 매년 12월 크리스마스 음악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코니프의 휴일 히트곡들은 연말에 인기가 급증한다.[7] 2011년 12월, 빌보드는 스트리밍, 방송 횟수, 판매 데이터를 종합하여 역대 최고의 휴일 히트곡 순위를 매기는 Holiday Songs 차트(초기 50위, 2013년부터 Holiday 100으로 확장)를 시작했다.[8][9] 레이 코니프와 싱어스(The Singers)의 두 곡이 Holiday 100 차트에 올랐으며, 시즌별 최고 순위는 다음과 같다.

제목휴가 시즌 최고 차트 순위앨범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
"캐롤 오브 더 벨스"60[10]92[11]97[12]84[13]92[14]우리는 당신에게 즐거운 크리스마스를 기원합니다
"크리스마스 열두 날"49[15]63[16]83[17]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웨스트우드 빌리지 메모리얼 파크 묘지에 있는 그의 묘비에는 그의 대표곡 중 하나인 "Somewhere My Love"의 처음 네 음표가 악보 형태로 새겨져 있어, 그의 음악적 유산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2] 웹사이트 Ray Conniff Biography http://www.artistdir[...] 2009-03-25
[3] 문서 From group photo identification on Speak to Me of Love Columbia Records 1963
[4] 웹사이트 LATINISIMO – RAY CONNIFF LIVE (PART 1/5) https://www.youtube.[...] 2020-09-21
[5] 웹사이트 Dance The Bop! http://comcast.rayco[...] 2015-08-19
[6]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7] 뉴스 Jingle bell rock: Why lots of radio stations go all-Christmas in December https://www.chicagot[...] 2015-12-22
[8] 웹사이트 Andy Williams Hits New High, The Ronettes 'Ride' Back After 52 Years & More Hot 100 Chart Moves https://www.billboar[...] 2019-02-08
[9] 간행물 Carey Brings Back 'Christmas' 2013-12-14
[10]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December 12, 2015 https://www.billboar[...] 2019-03-09
[11]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December 16, 2017 https://www.billboar[...] 2019-03-09
[12]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December 8, 2018 https://www.billboar[...] 2019-03-09
[13]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December 7, 2019 https://www.billboar[...] billboard.com 2021-01-05
[14] 간행물 Holiday 100 (Week of December 3, 2022) https://www.billboar[...] 2022-12-03
[15]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January 5, 2019 https://www.billboar[...] 2019-03-09
[16] 웹사이트 Holiday 100: The week of January 4, 2020 https://www.billboar[...] billboard.com 2021-01-05
[17] 간행물 Holiday 100 (Week of December 11, 2021) https://www.billboar[...] 2021-12-11
[18] 웹사이트 Dance The Bop! http://comcast.rayco[...] 2023-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