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은 1993년 8월 30일 시작되어 2015년 5월 20일까지 CBS에서 방송된 심야 토크쇼이다. 데이비드 레터맨이 진행을 맡았고, 폴 셰이퍼가 음악 감독 겸 하우스 밴드인 CBS 오케스트라의 리더를 담당했다. NBC와의 갈등 이후 CBS로 이적한 레터맨은 NBC에서 사용하던 코미디 비트의 소유권 문제로 인해 일부 코너의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다. 처음 2년 동안 제이 레노의 《더 투나잇 쇼》를 시청률에서 앞섰지만, 이후 경쟁이 치열해졌다. 2015년 레터맨의 은퇴 후에는 스티븐 콜베어가 후임으로 진행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더 데일리 쇼
    《더 데일리 쇼》는 코미디 센트럴에서 방송되는 심야 풍자 뉴스 프로그램으로, 가짜 뉴스 형식을 통해 정치, 사회, 미디어를 풍자하고 비판하며, 존 스튜어트, 트레버 노아를 거쳐 현재 존 스튜어트가 복귀하여 진행하고 있다.
  • 미국의 텔레비전 토크 쇼 -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크레이그 퍼거슨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크레이그 퍼거슨》은 크레이그 퍼거슨이 진행한 미국의 심야 토크쇼로, 그의 즉흥적 유머, 반복 개그, 스킷, 인터뷰 코너, 그리고 로봇 해골 조수 제프 피터슨, 판토마임 말 시크리테리엇과 같은 독특한 캐릭터들로 인기를 끌었으며 피바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199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앨리 맥빌
    《앨리 맥빌》은 캘리스타 플록하트 주연의 미국 법정 코미디 드라마로, 보스턴 로펌의 변호사들과 그들의 연애, 사건들을 통해 사회 문제를 풍자하며, 판타지 시퀀스, 유명 가수 출연, 크로스오버 에피소드 등 독특한 연출이 특징이다.
  • 199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래리 킹 라이브
    래리 킹이 진행한 CNN의 심야 인터뷰 프로그램인 《래리 킹 라이브》는 독특한 진행 스타일과 폭넓은 게스트, 전화 시청자 참여, 상징적인 세트 디자인으로 1985년부터 2010년까지 25년간 방송되며 높은 인기를 얻었다.
  • C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넘버스 (드라마)
    넘버스 (드라마)는 FBI 요원과 수학자가 수학 이론을 범죄 수사에 활용하는 과정을 그린 미국의 드라마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개의 시즌으로 제작되었으며, 수학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C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에드 설리번 쇼
    1948년부터 1971년까지 CBS에서 방영된 《에드 설리번 쇼》는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출연시켜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즈의 출연은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흑인 아티스트들의 출연으로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했지만, 논란과 사회 분위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영되어 현재는 편집판 DVD와 유튜브로 시청할 수 있는 미국의 장수 오락 프로그램이다.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시리즈 로고
시리즈 로고
장르심야 토크 쇼
버라이어티 쇼
코미디
제작자데이비드 레터먼
출연
내레이션
테마 음악 작곡가폴 셰이퍼
국가미국
언어영어
시즌 수23
에피소드 수4,214
에피소드 목록레잇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 에피소드 목록
책임 프로듀서

11)
11)
15)
15)



촬영 장소
카메라멀티 카메라
실행 시간62분 (광고 포함)
제작사



방송사CBS
처음 방송1993년 8월 30일
마지막 방송2015년 5월 20일
관련 프로그램
추가 정보
등급TV-PG
하이 비전 방송 시작2005년 가을
공식 웹사이트레잇 쇼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은 1993년 8월 30일 CBS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80] 이 프로그램은 데이비드 레터먼의 제작사인 월드와이드 팬츠 인코퍼레이티드가 제작했으며, 폴 셰이퍼가 음악 감독 겸 하우스 밴드 CBS 오케스트라의 리더를 맡았다. 초기 메인 작가는 저스틴 스탠젤과 에릭 스탠젤이었고, 성우 빌 웬들이 아나운서를 맡았으나 1995년 앨런 칼터로 교체되었다.[17]

이 쇼의 탄생 배경에는 레터맨이 NBC의 간판 토크쇼 《더 투나잇 쇼》 진행자 조니 카슨의 후임으로 제이 레노가 선정되자, 1982년부터 진행해 온 《레이트 나이트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을 떠나 경쟁사인 CBS로 이적하기로 결정한 사건이 있었다. CBS는 이전 심야 토크쇼 시도들이 성공하지 못했던 터라, 레터맨 영입에 매우 적극적이었다.[9] 이 과정에서 NBC 시절 사용했던 코미디 코너들의 지적 재산권 문제와 쇼 명칭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양측의 타협으로 해결되었다.[12]

첫 방송에서는 NBC 나이틀리 뉴스의 앵커 톰 브로코가 깜짝 등장해 NBC의 지적 재산권을 언급하는 농담을 하며 레터맨의 새 출발을 응원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13][15]

방송 초기 2년간 《레이트 쇼》는 제이 레노가 진행하는 NBC의 《더 투나잇 쇼》를 시청률 면에서 앞섰다. 그러나 1995년 휴 그랜트의 스캔들 관련 인터뷰를 기점으로 레노의 《더 투나잇 쇼》가 역전하기 시작했다.[16] 1990년대 중후반 NBC의 강력한 황금 시간대 프로그램 라인업('Must See TV')과 달리, CBS는 상대적으로 약한 라인업과 주요 제휴 방송사 이탈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레이트 쇼》의 시청률 경쟁에 영향을 받았다.

이후 《레이트 쇼》는 때때로 시청률 3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레터맨은 이를 유머 소재로 활용하기도 했다. 그는 존 스튜어트의 《The Daily Show》처럼 쇼의 정치적 색채를 강화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18]

2009년 코난 오브라이언이 《더 투나잇 쇼》를 맡게 되면서 레터맨과의 경쟁 구도에 변화가 생겼고, 잠시 시청률 우위를 점하기도 했다.[21][23] 2010년 《투나잇 쇼》 시간대 변경 논란 당시에는 오브라이언을 지지하며 레노와의 오랜 갈등 관계가 다시 부각되기도 했다.[24] 그럼에도 두 사람은 슈퍼볼 XLIV 기간 중 《레이트 쇼》 홍보 영상에 함께 출연하는 등 변화된 관계를 보이기도 했다. 레터맨과 레노의 오랜 경쟁은 2014년 레노의 은퇴로 완전히 막을 내렸다.

2013년 CBS와의 계약 연장을 통해 레터맨은 조니 카슨을 넘어 미국 방송 역사상 최장수 심야 토크쇼 진행자 기록을 세웠다.[4][25] 2014년 4월, 레터맨은 2015년 은퇴를 발표했고, 2015년 5월 20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22년간 이어온 《레이트 쇼》는 막을 내렸다. 후임으로는 스티븐 콜베어가 선정되어 《더 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를 진행하게 되었다.[26] 2022년에는 데이비드 레터맨의 공식 YouTube 채널이 개설되어 과거 쇼의 클립들을 제공하고 있다.[27]

2. 1. NBC에서 CBS로의 이적

데이비드 레터먼1982년부터 1993년까지 NBC에서 ''레이트 나이트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을 진행했다. 그러나 NBC의 간판 토크쇼인 ''더 투나잇 쇼''의 진행자 조니 카슨이 은퇴하면서 그의 후임으로 제이 레노가 선정되자, 레터먼은 NBC를 떠나 경쟁사인 CBS로 이적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이후 오랫동안 이어진 레터먼과 레노 사이의 경쟁 관계의 시작점이 되었다.

CBS더 투나잇 쇼 시간대에 편성할 마땅한 자체 심야 토크쇼가 없었기에, 이전에도 ''머브 그리핀 쇼''(1969–1972)나 ''팻 새잭 쇼''(1989–1990) 등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데이비드 레터먼의 영입이 가능해지자, CBS는 적극적으로 그를 유치하려 했고, 3년간 연봉 1400만달러에 달하는 계약을 제안했는데, 이는 그의 ''레이트 나잇'' 출연료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9] 계약에는 쇼를 최소 1년에 한 달 동안 할리우드에서 진행한다는 조건도 포함되었다.[10]

또한 CBS는 쇼 녹화를 위해 뉴욕 맨해튼의 에드 설리번 극장을 400만달러에 매입하고, 건축가 제임스 폴셰크의 감독 하에 "수백만 달러"를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진행했다.[10] 쇼 제작을 위해 CBS가 투자한 총비용은 레터먼과 아나운서 빌 웬들, 음악 감독 폴 셰이퍼, 작가진, 밴드 등의 계약금, 극장 매입 및 리모델링 비용, NBC에 지불한 협상권 비용 등을 포함하여 1.4억달러가 넘었다.[11]

레터먼의 CBS 이적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NBC 시절 ''레이트 나잇''에서 사용했던 코미디 코너들의 지적 재산권 소유 문제였다. NBC는 해당 코너 다수가 자사의 지적 재산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레터먼과 그의 변호사들은 "멍청한 애완동물 묘기(Stupid Pet Tricks)"와 같은 일부 코너는 ''레이트 나잇'' 이전에 NBC가 아닌 레터먼의 제작사 월드와이드 팬츠가 소유했던 ''The David Letterman Show''에서 처음 방영되었으며, 톱 텐 리스트나 "시청자 메일(Viewer Mail)" 등은 공유 재산에 해당하여 어느 쪽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12]

결국 양측은 주요 코너 명칭 변경에 합의하는 타협에 이르렀다. "시청자 메일"은 "CBS 메일백(CBS Mailbag)"으로, ''레이트 나잇''에서 래리 "버드" 멜먼(Larry "Bud" Melman) 역할을 했던 배우 캘버트 드포레스트는 CBS 쇼에서는 본명으로 활동하기로 했으며, 폴 셰이퍼가 이끌던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밴드(World's Most Dangerous Band)"는 "CBS 오케스트라(The CBS Orchestra)"로 명칭을 변경했다. 레터먼의 대표 코너인 "톱 텐 리스트" 역시 공식적으로는 "레이트 쇼 톱 텐 리스트"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원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쇼의 명칭과 관련해서는, NBC가 레터먼에게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또는 ''나이틀리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Nightly with David Letterman) 두 가지 선택지를 주었다. CBS 경영진은 ''나이틀리''라는 이름이 ABC의 ''나이트라인''이나 ''NBC 나이틀리 뉴스''와 혼동될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고, 이에 따라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이 공식 명칭으로 빠르게 확정되었다.

2. 2. 초기 성공과 경쟁

《레이트 쇼》는 첫 2년 동안 경쟁 프로그램인 제이 레노의 《더 투나잇 쇼》를 시청률 면에서 앞섰다. 그러나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 사회에서 큰 화제가 되었던 오제이 심슨 살인 사건에 대해 데이비드 레터맨이 언급을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쟁 구도가 바뀌었다. 결국 1995년 7월 10일, 휴 그랜트가 자신의 스캔들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한 인터뷰를 방송한 제이 레노의 《더 투나잇 쇼》가 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16]

레노가 시청률에서 앞서 나간 데에는 휴 그랜트 인터뷰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작용했다. 1990년대 중후반 NBC는 《사인필드》, 《프렌즈》 등이 포함된 강력한 목요일 밤 황금 시간대 프로그램 라인업인 'Must See TV'를 통해 높은 시청률을 확보했고, 이는 《더 투나잇 쇼》의 시청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반면, CBS는 상대적으로 약한 황금 시간대 라인업과 더불어, 1994년 말 폭스 방송내셔널 풋볼 리그(NFL) 중계권을 넘겨주면서 주요 도시의 제휴 방송사들이 이탈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레이트 쇼》의 시청률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인 1995년, 오랫동안 함께 했던 아나운서 빌 웬들(Bill Wendell)이 은퇴하고 앨런 칼터(Alan Kalter)가 새 아나운서로 합류했다.[17]

《레이트 쇼》는 때때로 동시간대 시청률에서 ABC의 《나이트라인》에도 뒤처져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에 레터맨은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대응했는데, 맨해튼에 《더 투나잇 쇼》의 1위 광고판을 패러디하여 자신의 쇼가 3위임을 알리는 광고판을 설치하기도 했다. 또한, 레터맨은 존 스튜어트가 진행하는 《The Daily Show》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쇼를 더 정치적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18] 훗날 레터맨은 레노의 쇼가 자신보다 더 대중적인 호소력을 가졌으며, 자신 역시 쇼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 실수가 있었다고 인정했다.[19]

2009년 6월 1일, 코난 오브라이언이 《더 투나잇 쇼》의 새 진행자가 되면서 레터맨과 레노의 오랜 경쟁 관계는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드는 듯했다. 레터맨은 오브라이언과의 경쟁 초기에 시청률에서 앞서기도 했으나,[21][23] 새로운 경쟁 구도에 대해 말을 아꼈다.[21][22] 그러나 2010년 《투나잇 쇼》 시간대 변경 논란이 발생하자 레터맨은 코난 오브라이언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레노와의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쟁 관계 속에서도 레노는 슈퍼볼 XLIV 중계 당시 오프라 윈프리와 함께 레터맨의 《레이트 쇼》 홍보 영상에 출연하며 1992년 이후 처음으로 레터맨과 함께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두 사람의 오랜 경쟁은 2014년 2월 레노가 은퇴하고 지미 팰런이 《더 투나잇 쇼》의 새 진행자가 되면서 완전히 막을 내렸다.

2. 3. 계약 연장 및 변화

2009년 6월, 제작사 월드와이드 팬츠는 CBS와 최소 2012년 8월까지 방송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81] 이후 2012년 4월 3일, CBS는 월드와이드 팬츠 및 CBS 텔레비전 스튜디오와 2014년까지 쇼를 계속하기로 계약을 연장했다. 2013년 10월에는 다시 계약을 1년 더 연장하여 2015년까지 방송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25] 이를 통해 데이비드 레터먼NBC 시절을 포함하여 조니 카슨을 넘어 미국 최장수 심야 토크쇼 진행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4]

쇼가 진행되는 동안 제작진과 출연진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다.

  • 1995년: 아나운서 빌 웬들이 1995년 8월 18일 은퇴했으며,[17][28] 2주간의 휴방 후 9월 5일부터 앨런 칼터가 후임 아나운서로 합류했다.
  • 1996년: 오랜 프로듀서였던 로버트 모튼이 쇼를 떠나고, 당시 수석 작가였던 롭 버넷이 총괄 프로듀서로 승진했다.
  • 1997년: 저스틴 스탠젤과 에릭 스탠젤 형제가 작가로 합류했다.[29]
  • 2000년: 스탠젤 형제는 로드니 로스만의 뒤를 이어 쇼의 수석 작가가 되었다.[29][30] 같은 시기, 연출가 할 거니와 프로듀서 피터 라살리가 쇼를 떠났고, 거니의 후임으로는 제리 폴리(Jerry Foley)가 연출을 맡았다.
  • 2000년-2004년: 총괄 프로듀서 롭 버넷이 잠시 쇼의 일상적인 운영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 바바라 게인스와 마리아 포프(Maria Pope)가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수행했다.
  • 2003년: 프로듀서 주드 브레넌(Jude Brennan)이 총괄 프로듀서 팀에 합류했다.[31]
  • 2013년: 오랜 작가이자 프로듀서였던 맷 로버츠가 스탠젤 형제를 대신하여 쇼의 수석 작가가 되었다.[30][34]

2. 4. 레터맨의 은퇴와 후임

데이비드 레터맨은 2013년 10월 CBS와 계약을 연장하여 2015년까지 쇼를 계속하기로 합의했다.[25] NBC에서 보낸 11년을 포함하여, 레터맨은 조니 카슨을 넘어 미국 방송 역사상 최장수 심야 토크쇼 진행자가 되었다.[4]

2014년 4월, 레터맨은 2015년에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4년 4월 10일, CBS는 레터맨의 후임으로 코미디 센트럴의 인기 프로그램 《더 콜베어 리포트》의 진행자였던 스티븐 콜베어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26]

레터맨의 마지막 《레이트 쇼》는 2015년 5월 20일에 방송되었으며, 이로써 22년간 이어진 프로그램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후임 프로그램인 《더 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는 같은 해 9월 8일부터 방송을 시작했다.

2022년 2월, 데이비드 레터맨의 공식 유튜브 채널이 개설되어, 레터맨이 진행했던 《레이트 쇼》를 비롯해 NBC 시절의 아침 및 심야 쇼 클립들을 제공하고 있다.[27]

3. 주요 특징

CBS는 이전에 ''머브 그리핀 쇼''(1969–1972)와 ''팻 새잭 쇼''(1989–1990) 등으로 심야 시간대 토크쇼 시장에 진출하려 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리핀은 방송사와의 갈등 끝에 신디케이션으로 옮겨갔고, 새잭은 NBC의 막강한 경쟁 프로그램인 ''더 투나잇 쇼 스타링 조니 카슨''에 밀려 저조한 시청률로 종영되었다. 이후 20년간 CBS의 심야 시간대는 주로 영화 재방송이나 ''CBS Late Night''라는 이름으로 묶인 특집 프로그램들로 채워졌다.

상황은 데이비드 레터먼이 NBC와의 갈등 끝에 이적이 가능해지면서 바뀌게 되었다. CBS는 레터맨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연간 1400만달러에 달하는 3년 계약을 제시하며 그의 이전 ''레이트 나잇'' 출연료의 두 배를 약속했다.[9] 또한, CBS는 쇼 제작을 위해 뉴욕의 유서 깊은 에드 설리번 극장을 400만달러에 매입하고, 건축가 제임스 폴셰크의 감독 아래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진행했다.[10] 레터맨 영입과 쇼 제작 준비에 들어간 총비용은 1.4억달러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레터맨의 CBS 이적 과정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그가 NBC ''레이트 나잇'' 시절 만들었던 코미디 코너들의 지적 재산권 문제였다. NBC는 이 코너들이 자사의 소유라고 주장했지만, 레터맨 측은 일부 코너는 NBC 이전 쇼에서 만들어졌고, 톱 텐 리스트 등은 공유 재산이라고 맞섰다.[12] 결국 양측은 타협점을 찾아 일부 코너명을 변경하기로 합의했다. 쇼의 이름 역시 NBC가 제시한 두 가지 선택지 중 ABC의 ''나이트라인'' 등과 혼동될 우려가 적은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1993년 8월 30일 첫 방송에서 레터맨은 NBC 나이틀리 뉴스 앵커 톰 브로코의 깜짝 등장과 함께 NBC와의 관계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냈다. 브로코는 레터맨에게 행운을 빌면서도 "마지막 두 농담은 NBC의 지적 재산"이라며 큐 카드를 빼앗아 가는 연출을 선보였고, 레터맨은 "지적 재산과 NBC라는 단어를 한 문장에서 듣게 될 줄 몰랐다"고 재치있게 응수했다.[13][14][15]

초기 2년간 ''레이트 쇼''는 제이 레노가 진행하는 더 투나잇 쇼 위드 제이 레노를 시청률 면에서 앞섰다. 그러나 1995년 7월, 레노가 휴 그랜트의 체포 사건 이후 첫 인터뷰를 성사시키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16] 또한 1990년대 중후반 NBC의 강력한 황금 시간대 프로그램 라인업(Must See TV)과 폭스 방송으로의 NFL 중계권 이전으로 인한 1994년 주요 방송사 제휴 관계 변동에 따른 CBS 계열사 이탈 역시 ''레이트 쇼''의 시청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95년에는 원년 아나운서 빌 웬들이 은퇴하고 앨런 칼터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17]

이후 레터맨은 시청률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 때로는 ABC의 ''나이트라인''에도 뒤처져 심야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는 이를 자조적인 유머 소재로 삼아 "심야 3위"임을 알리는 광고판을 설치하기도 했다. 또한 존 스튜어트가 진행하는 ''The Daily Show''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쇼의 정치 풍자 수위를 높이려는 시도도 있었다.[18] 훗날 레터맨은 레노가 자신보다 더 대중 친화적이었으며, 스스로 "특정 기본적인 실수"를 저질러 쇼의 성과를 저해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19]

2009년 코난 오브라이언이 ''투나잇 쇼'' 호스트가 되면서 레터맨과 레노의 오랜 경쟁 관계는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드는 듯했다. 레터맨은 오브라이언 체제의 ''투나잇 쇼''가 시청률 부진을 겪자 한동안 경쟁 구도를 언급하는 것을 피하기도 했다.[20][21][22] 그러나 2010 투나잇 쇼 분쟁이 발생하자 레터맨은 오브라이언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레노와의 갈등이 재점화되었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2010년 슈퍼볼 XLIV 중계 중 오프라 윈프리와 함께 ''레이트 쇼'' 홍보 광고에 동반 출연하며 화해의 제스처를 보이기도 했다. 레노가 2014년 최종 은퇴하고 지미 팰런이 ''투나잇 쇼''를 이어받으면서 두 사람의 오랜 경쟁은 완전히 막을 내렸다.

레터맨은 NBC와 CBS를 합쳐 총 33년간 심야 토크쇼를 진행하며, 조니 카슨을 넘어 미국 방송 역사상 최장수 심야 토크쇼 호스트 기록을 세웠다.[4] 2014년 4월, 그는 2015년 은퇴를 발표했고, 후임으로는 코미디 센트럴의 ''The Colbert Report''를 진행하던 스티븐 콜베어가 선정되었다.[26] 레터맨의 마지막 방송은 2015년 5월 20일에 방영되었다. 2022년에는 그의 공식 YouTube 채널이 개설되어 ''레이트 쇼''를 포함한 과거 쇼들의 클립들을 제공하고 있다.[27]

3. 1. 포맷과 구성

레터먼은 NBC에서 진행하던 레이트 나이트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의 여러 코미디 코너와 형식을 CBS로 가져왔다. 다만 NBC와의 지적 재산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부 명칭을 변경했다. '뷰어 메일(Viewer Mail)'은 'CBS 메일백(CBS Mailbag)'으로, 래리 "버드" 멜먼(Larry "Bud" Melman)은 본명인 캘버트 디포리스트(Calvert DeForest)로 활동했으며, 폴 셰이퍼의 밴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밴드(World's Most Dangerous Band)'는 'CBS 오케스트라(The CBS Orchestra)'로 이름을 바꾸었다. 대표 코너인 '탑 텐 리스트(Top Ten List)'도 공식적으로는 '레이트 쇼 탑 텐 리스트'로 변경되었으나, 점차 원래 이름으로 불렸다.

쇼는 CBS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활기찬 테마곡과 함께 뉴욕 시의 여러 장면을 보여주는 오프닝 크레딧으로 시작되었다. 아나운서는 그날의 게스트와 폴 셰이퍼, CBS 오케스트라를 소개한 뒤 레터먼을 소개했다. 드물게는 정식 오프닝 전에 레터먼이 무대 뒤에서 짧은 스케치를 하거나 유명인과 잠시 대화하는 콜드 오픈으로 시작하기도 했다. 오프닝 소개 멘트에는 9.11 테러 이후 뉴욕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도시(the greatest city in the world)'라고 칭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후반기에는 아나운서 앨런 칼터(Alan Kalter)가 자신을 소개에 포함시키기도 했으며, 레터먼은 칼터의 소개 전후로 무대 위를 뛰어다니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오프닝 후 레터먼은 무대에 등장해 스탠드업 모놀로그를 진행했다. 모놀로그는 주로 대중문화, 시사, 정치 관련 농담으로 구성되었으며, 때로는 비디오 클립 형태의 개그가 이어졌다. 특히 은퇴한 조니 카슨이 레터먼에게 종종 농담을 보내주었고, 레터먼은 이를 모놀로그에 사용하기도 했다. 2005년 카슨 추모 방송에서는 카슨이 보낸 농담만으로 모놀로그 전체를 구성했다.[42][43] 모놀로그 후에는 폴 셰이퍼 및 CBS 오케스트라와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초기에는 레터먼이 책상으로 걸어가는 모습이 나왔으나, 2009년부터는 이 부분이 광고로 대체되었다.

이후 대표 코너인 톱 텐 리스트를 발표하고 첫 번째 게스트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 게스트 인터뷰는 보통 광고 시간 이후까지 이어졌다.

첫 번째 게스트 인터뷰와 다음 순서 사이에는 짧은 코미디 세그먼트가 포함되기도 했다. 초기에는 런닝 개그를 반복하거나 실패한 스턴트를 재시도하는 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아나운서 앨런 칼터가 짧은 코미디 발표를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마지막 순서에서는 주로 밴드의 라이브 음악 공연이나 스탠드업 코미디언의 공연, 혹은 다른 게스트와의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데이비드 보위, U2 같은 유명 아티스트부터 그리즐리 베어, 고릴라즈, 애니멀 컬렉티브와 같은 인디 밴드까지 다양한 음악 게스트가 출연했으며, CBS 오케스트라는 종종 게스트의 연주에 맞춰 협연했다. 쇼는 보통 레터먼이 시청자들에게 "Good night everybody!"라고 인사하며 마무리되었고, 후반기에는 아나운서 앨런 칼터의 보이스오버로 후속 프로그램(크레이그 퍼거슨 또는 제임스 코든 진행) 시청을 권유하기도 했다.

3. 2. 출연진


  • 사회: 데이비드 레터먼(David Letterman)
  • 아나운서: 빌 웬들(Bill Wendell) (1993–1995), 앨런 칼터(Alan Kalter) (1995–2015)
  • * 빌 웬들은 1995년 8월 18일에 은퇴했으며,[17][28] 1995년 9월 5일부터 앨런 칼터가 아나운서를 맡았다.[28]
  • 음악 감독 겸 밴드 리더: 폴 셰이퍼(Paul Shaffer)
  • 하우스 밴드: CBS 오케스트라
  • * 폴 셰이퍼가 이끄는 하우스 밴드는 NBC 시절 ''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에서는 "World's Most Dangerous Band|월즈 모스트 데인저러스 밴드eng"로 불렸으나, CBS로 이적하면서 지적 재산권 문제로 인해 "CBS 오케스트라"로 명칭을 변경했다.[12]
  • 무대 감독: 비프 헨더슨(Biff Henderson)
  • * NBC 시절부터 함께한 비프 헨더슨이 무대 감독을 맡았으며, 종종 카메라 앞에 등장하기도 했다.[36]
  • 게스트: 다양한 유명 인사들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 최다 출연 게스트 ===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 최다 출연 게스트
순위이름출연 횟수비고
1레지스 필빈150회
2잭 한나103회
3토니 랜들70회
4마브 앨버트52회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 포함 시 126회[45]
5톰 브로코49회



=== 정기 출연자 ===


  • 가수 달린 러브는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 마지막 방송에 출연하여 "Christmas (Baby Please Come Home)|크리스마스 (베이비 플리즈 컴 홈)eng"을 부르는 전통을 이어갔다. 이는 레터맨의 NBC 시절인 1986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레이트 쇼''에서는 1993년부터 2014년까지 총 21년간 이어졌다 (2007년 미국 작가 조합 파업 당시 제외).[59][60][61] 레터맨은 이 연례 공연을 크리스마스에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 밴드 블루스 트래블러는 프로그램 역사상 가장 많이 출연한 밴드이다.[62]

3. 3. 제작진

이 프로그램은 데이비드 레터먼의 제작사인 월드와이드 팬츠 인코퍼레이티드(Worldwide Pants Incorporated)가 제작했다.[80] 음악 감독 겸 하우스 밴드 CBS 오케스트라의 리더는 폴 셰이퍼가 맡았다.

초기 아나운서는 빌 웬들이었으나, 1995년 8월 18일 은퇴하며 쇼를 떠났고,[17][28] 1995년 9월 5일부터 앨런 칼터가 후임 아나운서를 맡았다.[28]

1996년에는 오랫동안 프로듀서로 일했던 로버트 모튼이 떠나고, 당시 수석 작가였던 롭 버넷이 총괄 프로듀서로 승진했다. 이후 연출가 할 거니와 프로듀서 피터 라살리도 쇼를 떠났으며, 연출은 제리 폴리가 맡게 되었다. 롭 버넷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일상적인 운영에서 잠시 물러나 있었고, 이 기간 동안 바바라 게인스와 마리아 포프(Maria Pope)가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수행했다. 바바라 게인스는 온에어 프로듀서 역할도 겸했다. 2003년에는 프로듀서 주드 브레넌(Jude Brennan)이 총괄 프로듀서 팀에 합류했다.[31]

작가진에도 변화가 있었다. 저스틴 스탠젤과 에릭 스탠젤은 1997년에 작가로 합류하여[29] 2000년 3월에는 로드니 로스만의 뒤를 이어 공동 수석 작가가 되었다.[29][30] 이후 2013년 1월, 쇼의 오랜 작가이자 프로듀서였던 맷 로버츠(Matt Roberts)가 스탠젤 형제를 대신하여 새로운 수석 작가로 임명되었다.[30][34]

게스트 섭외는 실라 로저스 프로듀서가 담당했으며, 그녀는 레터맨의 레이트 나이트 시절부터 함께 일해왔다.[35] 무대 감독은 비프 헨더슨이 맡았는데, 그 역시 ''레이트 나이트'' 시절부터 함께 했으며 쇼에서 카메라 앞에 등장하기도 했다.[36] 쇼의 "큐 카드 보이"였던 토니 멘데스(Tony Mendez, c.1945–2021년 7월 29일)는 2014년까지 활동했으나, 작가 빌 셰프트와의 갈등 끝에 해고되었다.[32][33]

3. 4. 스튜디오 및 세트 디자인

이 쇼는 방송 기간 내내 맨해튼 미드타운의 브로드웨이와 53번가 교차로에 위치한 에드 설리번 극장에서 녹화되었다. 이 극장은 이전에 CBS 스튜디오 50으로 불렸으며, ''에드 설리반 쇼''를 비롯한 여러 TV 프로그램의 본거지였다.[10] 레터맨은 쇼를 위해 극장 주변 지역을 활용하기도 했는데, 스튜디오 앞 53번가의 일부를 다양한 스턴트를 위해 폐쇄하기도 했다. 근처 상점 주인들이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며 유명세를 얻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213 W. 53번가에 있는 헬로 델리의 주인 루퍼트 지와 스튜디오 근처 기념품 가게에서 일하던 벵골 출신 이민자 무지부르와 시라줄이 있다.

무대 레이아웃은 레터맨이 ''레이트 나잇''에서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기본 구조를 따랐다. 즉, 무대 맨 왼쪽에는 하우스 밴드(CBS 오케스트라)가 위치하고, 그 옆으로 공연 구역, 그리고 가장 오른쪽에는 인터뷰 세트가 배치되었다.

2015년 5월, 레터맨의 은퇴를 며칠 앞두고 저널리스트 세스 스티븐슨은 ''레이트 쇼'' 녹화 참여 경험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37]

헬스 키친의 산업 지구에 있는 표시 없는 찌그러진 금속 문을 통과하는 대신, 53번가와 브로드웨이에 불이 켜진 마퀴 아래 에드 설리번 극장에 들어서는 것은 거의 왕족이 된 기분이었다. ''레이트 쇼'' 극장은 100명이 아닌 450명을 수용하며, 로코코 양식의 발코니에서는 비틀즈가 미국에서 처음 공연했던 광대한 무대를 영광스럽게 조망할 수 있다. 희미하게 흘러나오는 파이프 음악이나 성의 없는 팝 5중주 대신, 폴 섀퍼와 CBS 오케스트라는 극장 지붕까지 울려 퍼지는 혼 섹션을 포함한 사운드의 벽으로 우리를 뒤흔들었다...

그 ''레이트 쇼'' 스튜디오 관객석에 처음 앉아 있으면서—필수적인 존재라고 느끼지 않기는 어려웠다. 레터맨은 쇼를 진행한다. 그는 완벽하게 다듬어진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며, 방 안의 에너지로부터 힘을 얻는다. 이곳은 누군가의 아이팟이 천장 스피커에 연결된 비좁은 블랙박스 스튜디오가 아니라, 라이브 오케스트라가 있는 크고 화려한 장소이다. 그리고 레터맨은 우리를 필요로 했다.


쇼 종영 후 세트의 일부는 크리스 게타드 쇼에서 사용하기 위해 인수되었다.[38][39]

2005년 8월 29일, 쇼는 고화질 텔레비전(HDTV) 방송을 시작했다.[44] 약 2주 후, 쇼의 기술 감독 팀 케네디는 공식 뉴스레터를 통해 전환 과정에 대해 설명했다.

HD 전환에서 가장 큰 과제는 일주일에 5개의 쇼를 계속 진행하면서 기존의 제어실, 오디오실, 비디오테이프실 및 편집실을 개조하고 업그레이드하는 것이었습니다. ... 이를 위해 53번가에 원격 프로덕션 트럭을 설치하여 트럭과 기존 기술 시설을 연결하기 위해 약 약 15240.00m의 비디오 및 오디오 케이블을 설치해야 했습니다.

가장 멋진 장비는 새로운 제어실의 가상 벽입니다. 우리는 모든 비디오 소스에 대한 기존 모니터를 없애고 70인치 후면 영사 스크린 4개로 교체했으며, 해당 스크린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만큼 많은 비디오 이미지를 "가상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케네디와 그의 팀은 HDTV로의 약 4개월 간의 전환 기간 동안 "시리즈를 위한 뛰어난 기술 연출, 카메라워크, 비디오" 부문에서 에미상을 수상했다.

3. 5. 정규 코너

데이비드 레터먼은 1982년부터 1993년까지 NBC에서 《레이트 나이트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을 진행하다 CBS로 이적하면서 기존의 여러 코미디 코너들을 가져왔다. 하지만 NBC가 코너명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주장함에 따라 법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부 코너의 이름을 변경해야 했다. 예를 들어 "뷰어 메일(Viewer Mail)"은 "CBS 메일백(CBS Mailbag)"으로, 래리 "버드" 멜먼(Larry "Bud" Melman)은 본명인 캘버트 디포리스트(Calvert DeForest)로 활동명을 바꾸었다. 폴 셰이퍼(Paul Shaffer)가 이끄는 밴드 이름 역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밴드(World's Most Dangerous Band)"에서 "더 CBS 오케스트라(The CBS Orchestra)"로 변경되었다. 레터먼 쇼의 간판 코너인 "탑 텐 리스트(Top Ten List)"는 형식상 "레이트 쇼 탑 텐 리스트"로 바뀌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원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레이트 쇼》는 다양한 반복적인 코너를 통해 부조리한 유머를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러한 코너에는 출연진뿐만 아니라 관객이나 제작진이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제작진이 인근의 헬로 델리로 가서 "무엇이 아이팟에 들어있나?"와 같은 게임 코너를 진행하거나, 스튜디오가 위치한 53번가 거리 또는 건물 옥상에서 각종 스턴트를 촬영하는 식이었다.

쇼의 주요 코너 중 하나는 레터먼이 직접 발표하는 "탑 텐 리스트"였으며, 주로 첫 번째 게스트 인터뷰 직전에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쇼 시작 부분에는 시사, 정치, 대중 문화를 다루는 스탠드업 모놀로그가 있었고, 이후에는 가짜 광고나 공익 광고 형태의 비디오 코너, 런닝 개그 등이 이어졌다. 특히 모놀로그의 경우, 은퇴한 조니 카슨이 때때로 익명으로 농담을 보내주면 레터먼이 이를 활용하기도 했다. 카슨이 사망한 직후인 2005년 1월 31일 방송에서는 카슨이 생전에 보낸 농담들만으로 모놀로그 전체를 구성하여 그를 추모했다.[42][43] 쇼의 마지막은 주로 라이브 음악 공연이나 스탠드업 코미디언의 무대로 마무리되었다.

4. 방영 시간 및 기록

데이비드 레터맨은 1982년부터 NBC에서 『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Late Night with David Letterman영어)을 진행했으나, 『더 투나잇 쇼』 사회자 선정 과정에서 제이 레노에게 밀리자 1993년 CBS로 이적하여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뉴욕 맨해튼의 에드 설리번 극장에서 녹화되었으며, NBC 시절부터 함께한 폴 셰이퍼가 음악 감독을 맡았다.[12] 레터맨은 이 쇼를 통해 조니 카슨의 기록을 넘어 미국 방송 역사상 최장수 심야 토크쇼 호스트가 되었다.[4] 프로그램은 2015년 5월 20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종영되었으며,[26] 이후 스티븐 콜베어가 진행하는 『더 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로 이어졌다. 2022년 2월에는 데이비드 레터맨의 공식 YouTube 채널이 개설되어 과거 쇼의 클립들을 제공하고 있다.[27]

4. 1. 방영 시간

미국 동부 및 태평양 시간 기준으로 밤 11시 35분에 방영되었다.

녹화는 일반적으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진행되었다. 월요일은 오후 4시 30분과 7시, 화요일과 수요일은 오후 5시 30분, 목요일은 오후 4시 30분에 각각 녹화를 진행했다. 금요일 방송분은 주로 주 초반에 미리 녹화되었는데, 예를 들어 둘째 주 월요일 오후 7시 녹화분은 보통 그 주 금요일에 방영되었다.[83] 레터먼은 연간 약 10주의 휴가를 제외하고 주 4일 근무하며 프로그램을 제작했다.[41]

금요일 방송분의 녹화 요일은 시기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초기에는 주 초반, 특히 월요일에 녹화하는 경우가 많았다.[41] 2001년 10월부터 2004년 5월까지는 금요일 방송분을 목요일에 녹화했다. 이후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다시 월요일에 녹화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41] 이 시기 금요일 방송은 시의성이 덜 민감한 주제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2011년 말부터는 다시 금요일 방송을 목요일에 녹화하는 방식으로 돌아가, 방송 내용의 시의성을 높였다.

4. 2. 기록 및 평가

《레이트 쇼》는 첫 2년 동안 경쟁 프로그램인 제이 레노의 《투나잇 쇼》(Tonight Showeng)를 시청률 면에서 앞섰다. 그러나 1995년 7월 10일, 휴 그랜트 인터뷰를 앞세운 레노의 쇼가 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역전되었다. 이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큰 사회적 화제가 되었던 오제이 심슨 살인 사건에 대해 레터맨이 언급을 주저하는 경향을 보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2002년, TV 가이드(TV Guideeng)가 선정한 역대 최고 TV 프로그램 50개 중 《레이트 쇼》는 7위에 선정되었다.[82]

이 쇼의 최고 시청률 에피소드는 1994년 동계 올림픽 이후인 1994년 2월 23일에 방송되었으며, 1,500만 명이 시청했다.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쇼는 이틀 뒤인 2월 25일에 방송되었으며 1,110만 명이 시청했다. 두 에피소드 모두 여자 피겨 스케이팅 경기에 대한 높은 관심 덕분이었는데, 이는 토냐 하딩의 전 남편이 1994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낸시 케리건을 공격한 사건 이후 두 선수 모두 올림픽에 출전했기 때문이다.

2013년 2월, TV by the Numberseng는 《레이트 쇼》가 시즌 초부터 7일 이내의 생방송 시청률에서 평균 310만 명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1년 후 평균 시청자 수는 280만 명으로 감소했다.

2009년, 이 쇼는 2.71억달러의 광고 수익으로 다른 심야 토크쇼를 앞섰다. 2014년 2월, Advertising Age는 칸타 미디어(Kantar Mediaeng)와 닐슨(Nielseneng) 자료를 인용하여, 2013년 1월부터 10월까지 《레이트 쇼》가 CBS에 1.796억달러의 광고 수익을 가져다주었으며, 이는 NBC, ABC, 코미디 센트럴, E!에서 방송되는 7개의 경쟁 심야 토크쇼보다 높은 수치라고 보도했다. 또한 《레이트 쇼》는 이들 경쟁 프로그램 중 가장 높은 58.9세의 중간 연령 시청자층을 보유했다.

2015년 5월 20일에 방영된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의 마지막 에피소드는 1,376만 명이 시청하고 시청률 점유율 9.3/24를 기록하여, 쇼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994년 2월 25일 에피소드 다음). 또한 2005년 12월 1일 오프라 윈프리가 출연한 이후 쇼의 최고 시청률(25~54세 성인 4.1, 18~49세 성인 3.1)을 기록했다. 심야 토크쇼로서는 드물게, 이 쇼는 그날 밤 모든 네트워크 텔레비전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모든 프라임 타임 쇼를 능가했다. 캐나다에서는 마지막 에피소드를 784,000명이 시청했으며, 이는 가장 가까운 경쟁 프로그램보다 516,000명 더 많은 시청자 수였다.

《레이트 쇼》는 영화 및 TV 평점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 100%의 평균 토마토미터와 78%의 팝콘 미터(시청자 평가)를 기록했다.

5. 주요 에피소드


  • 1993년 8월 30일 첫 방송에는 빌 머레이가 첫 게스트로, 빌리 조엘이 첫 음악 공연자로 출연했으며, 2,30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했다.[46]
  • 1993년 9월 7일, 로지 페레즈는 인터뷰에서 펑크마스터 플렉스의 DJ 파티 참석 경험을 이야기했다. 레터맨은 이를 모르는 척하며 "펑크. 마스터. 플렉스 나이트... 펑크마스터 플렉스 나이트 티켓 구하기 어렵지."라고 농담했는데, 이 음성은 나중에 DJ 자신에 의해 샘플링되어 힙합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니들 드롭이 되었다.[47] 레터맨은 26년 후 데서스와 메로의 쇼에 출연해서야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48]
  • 1994년 3월 31일에는 마돈나가 출연하여 많은 논란을 낳았다.[46]
  • 1995년 4월 12일, 드류 배리모어는 레터맨의 생일 선물이라며 그의 책상 위로 뛰어올라 가슴을 드러내 화제가 되었다.[46]
  • 2000년 2월 21일 주간 방송은 레터맨이 오중 우회술을 받고 복귀한 첫 방송이었으며, 빌 코스비(2월 22일)와 레지스 필빈(2월 24일) 등이 임시 진행을 맡기도 했다.[49]
  • 2001년 9.11 테러 이후 첫 방송인 9월 17일 에피소드에는 댄 래더, 레지스 필빈, 할렘 소년 합창단, 오데타가 출연했다. ''뉴욕 데일리 뉴스''는 이 방송을 "TV 역사상 가장 순수하고, 정직하며, 중요한 순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46]
  • 2002년 10월 30일 에피소드는 말기 암 진단을 받은 워렌 지본이 유일한 게스트로 출연하여 자신의 투병에 대해 이야기했다.[50]
  • 2004년 3월 17일, 코트니 러브는 자신의 앨범 홍보차 출연하여 여러 차례 셔츠를 들어 올리고 레터맨에게 가슴을 드러내며 드류 배리모어의 행동을 재현,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46]
  • 2005년 1월 31일, 레터맨의 오랜 친구이자 멘토인 조니 카슨이 사망한 후 첫 방송에서, 레터맨은 카슨이 생전에 쓴 농담으로만 오프닝 모놀로그를 구성하며 그를 추모했다.[51]
  • 2008년 1월 2일은 2007년 WGA 파업 이후 첫 방송이었다. 레터맨의 제작사인 월드와이드 팬츠와 WGA 간의 임시 합의 덕분에 《레이트 쇼》는 파업이 끝날 때까지 작가들과 함께 방송을 계속할 수 있었다.
  • 2008년, 존 매케인은 쇼에 출연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당시의 경제 위기 대처를 이유로 마지막 순간에 출연을 취소했다. 그러나 쇼 녹화 중 매케인이 실제로는 같은 건물 CBS 뉴스에서 케이티 쿠릭과 인터뷰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매케인의 대체 게스트는 키스 올버만이었다.
  • 2009년 7월 15일, 폴 매카트니비틀즈1964년 미국 텔레비전 데뷔를 했던 바로 그 에드 설리번 극장에서 게스트로 출연하고 공연했다. 매카트니는 극장 간판 위에서 "Get Back"을 공연하며 비틀즈의 옥상 콘서트를 재현하기도 했다.[52]
  • 2009년 10월 1일, 레터맨은 자신이 공갈 시도의 대상이 되었음을 방송을 통해 직접 밝혔다.[46]
  • 2012년 10월 29일, 허리케인 샌디의 영향으로 관객들의 안전을 위해 스튜디오에 관객 없이 쇼를 녹화했다.[53]
  • 2014년 4월 3일, 레터맨은 방송 도중 《레이트 쇼》에서의 은퇴 계획을 발표했다.[46]
  • 2014년 4월 22일, 레터맨의 후임자로 발표된 스티븐 콜베어가 《레이트 쇼》에 처음으로 출연했다.[46]
  • 2014년 8월 18일, 로빈 윌리엄스가 사망한 후 첫 방송에서 레터맨은 코미디 스토어 시절부터 알고 지낸 윌리엄스를 추모했다. 그는 윌리엄스의 자살에 대해 "그가 고통스러워하고, 고뇌하고 있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윌리엄스의 과거 《레이트 쇼》 출연 장면들과 레터맨이 게스트로 출연했던 《모크와 민디》의 에피소드 편집본이 방송되었다.[54] 이 추모 영상은 해당 주 심야 토크쇼 클립 중 가장 많이 시청되었으며, 온라인에서 33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55]
  • 2014년 12월 18일, 가수 달린 러브는 쇼가 시작된 1993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불렀던 "Christmas (Baby Please Come Home)"을 마지막으로 공연했다.[46]
  • 2015년 5월 20일 마지막 방송은 예정보다 17분 길게 방영되었고 1,37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했다. 방송에는 제럴드 포드 대통령의 기록 영상과 전직 대통령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그리고 당시 현직 대통령이었던 버락 오바마가 등장하여 포드의 유명한 발언인 "우리의 오랜 국가적 악몽은 끝났다"라고 말하는 사전 녹화된 카메오가 포함되었다. 또한, 알렉 볼드윈, 바바라 월터스, 스티브 마틴, 제리 사인펠드, 짐 캐리, 크리스 록, 줄리아 루이스-드레이퍼스, 페이튼 매닝, 티나 페이, 빌 머레이 등 10명의 유명인사가 "내가 데이브에게 항상 하고 싶었던 말"이라는 주제로 톱 10 리스트에 참여했다. 레터맨은 방청석에 있던 아내 레지나와 아들 해리, 어머니, 시청자, 제작진, 폴 셰이퍼와 밴드에게 감사를 표하며 후임자 스티븐 콜베어에게 행운을 빌었다. 쇼는 레터맨의 과거 쇼 하이라이트, 아이들과 함께한 장면 모음, 그리고 레터맨이 가장 좋아하는 곡인 푸 파이터스의 "Everlong" 공연으로 채워졌으며, 그의 아들 해리가 스키를 타는 영상으로 마무리되었다.[56][57][58]

6. 수상 경력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은 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 부문에서 1993-94 시즌부터 2008-09 시즌까지 16시즌 연속으로 후보에 올랐다. NBC의 전신인 ''레이트 나이트''의 후보 지명까지 포함하면 레터먼의 출연진과 제작진은 이 부문에서 26번 연속 후보에 올랐다.[72]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먼''은 이 부문에서 총 6번 수상했으며,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즌에미상부문
1993-94제49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1997-98제50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1998-99제51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1999-00제52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2000-01제5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2001-02제5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코미디, 음악 또는 버라이어티 시리즈상


7. 국제 방송

영국에서는 스카이 원, 파라마운트 코미디 채널, ITV2, ITV4, 디바 TV 등 여러 채널을 통해 방영되었다. 1995년 데이비드 레터먼이 런던에서 쇼를 진행했을 때는 일주일 동안 BBC2에서도 방송되었다.

호주에서는 네트워크 텐에서 미국 본방송 후 몇 시간 지나지 않아 시청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Rai5 채널에서 영어 원본에 이탈리아어 자막을 더해 방송했다.

일본에서는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이 직접 방영되지는 않았지만, 데이비드 레터먼제이 레노 사이의 심야 토크쇼 경쟁 구도는 일본 시청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다.

참조

[1] 뉴스 David Letterman: 33 Years in Latenight by the Numbers https://variety.com/[...] 2016-06-12
[2] 웹사이트 "'Late Night with David Letterman' /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https://web.archive.[...] Museum of Broadcast Communications 2009-09-23
[3] 웹사이트 TV Guide Names Top 50 Shows https://www.cbsnews.[...] CBS News 2013-09-14
[4] 웹사이트 David Letterman Extends Agreement to Host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Through 2015 https://web.archive.[...] TVbythenumbers 2014-01-31
[5] 웹사이트 TV Guide Magazine's 60 Best Series of All Time https://www.tvguide.[...] 2013-12-23
[6] 뉴스 David Letterman to Leave the 'Late Show' in May https://www.nytimes.[...] 2015-01-11
[7] 뉴스 Jimmy Fallon and Seth Meyers Beat the ABC and CBS Time-Slot Competition in All Key Measures for the Week of May 25–29 https://web.archive.[...] 2015-06-04
[8] 뉴스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Premieres on Tuesday September 8th" https://web.archive.[...] 2015-01-12
[9] 간행물 Is Dave Worth It? https://ew.com/artic[...] 2011-12-07
[10] 웹사이트 CBS Buys a Theater To Keep Letterman On New York's Stage https://www.nytimes.[...] 2014-02-22
[11] 웹사이트 David Letterman: Keeping Us Up Late https://web.archive.[...] 2011-04-11
[12] 뉴스 News 4's close encounters with David Letterman from the 90s http://wivb.com/2015[...] 2015-05-21
[13] AV media The Late Show August 30, 1993 https://www.youtube.[...] 1993-08-30
[14] 웹사이트 Review/Television; New Time, New Place, Same Humor https://query.nytime[...] 2011-05-15
[15] 웹사이트 AUG. 29–Sept. 4; Mega-Mouths: Jay and Dave Head-to-Head https://query.nytime[...] 2011-05-15
[16] 뉴스 Tonight Show Turns 15 http://www.eonline.c[...] E! News 2007-08-28
[17] 뉴스 Letterman's Show Losing Its Voice : Television: Bill Wendell's send-off has been less than warm despite his 15-year relationship with the talk-show host. https://www.latimes.[...] 1995-08-18
[18] 뉴스 In Conversation: David Letterman https://www.vulture.[...] 2017-03-06
[19] 웹사이트 David Letterman Says ‘Retirement Is a Myth’ in His GQ Video Cover Story https://www.gq.com/s[...] 2024-12-16
[20] 뉴스 Letterman Baffled by NBC's replacing of Leno https://www.nytimes.[...] 2009-06-10
[21] 웹사이트 Who's Loyal to Leno, O'Brien, and Letterman? https://abcnews.go.c[...] ABC News 2009-06-10
[22] 웹사이트 Roberts Sides with Letterman https://www.today.co[...] Today.com 2009-06-10
[23] 웹사이트 David Letterman: Julia Roberts Helps Him Beat Conan O'Brien for First Time; Denzel Washington, Jonas Brothers Visit Thursday https://web.archive.[...] 2009-06-10
[24] 웹사이트 Why Jay Leno and David Letterman Hate Each Other http://www.popeater.[...] PopEater 2010-02-02
[25] 간행물 CBS Announces New Contract Extensions with Late Night stars David Letterman and Craig Ferguson Through 2015 http://www.cbscorpor[...] CBS Corporation 2012-10-19
[26] 웹사이트 Stephen Colbert Next Host of 'The Late Show' http://www.cbs.com/s[...] CBS 2014-04-10
[27] 웹사이트 Watch David Letterman's Return to 'Late Night' For Show's 40th Anniversary As Trove Of Classic Clips Drops On YouTube https://deadline.com[...] 2022-02-02
[28] 뉴스 Bill Wendell https://query.nytime[...] 1999-04-15
[29] 웹사이트 Stangel Brothers Team Up on Late Show ... Badlands of Battery Park ... Noriega Goes Down http://observer.com/[...] 2013-09-15
[30] 웹사이트 David Letterman Shakeup In ''Late Show'' Head Writers as Stangel Brothers Snag Multi-Year Development Deal https://archive.toda[...] Deadline Hollywood 2013-02-01
[31] 웹사이트 Jude Brennan https://www.imdb.com[...]
[32] 웹사이트 Tony Mendez, David Letterman's cue-card guy, reportedly dies at 76 https://www.primetim[...] 2021-08-16
[33] 뉴스 Late Show cue-card man fired after argument, assault on writer https://nypost.com/2[...] 2021-08-16
[34] 웹사이트 Letterman Shakeup: 'Late Night Show with David Letterman' Changes Up Writers http://www.christian[...] 2013-02-01
[35] 웹사이트 12 Talent Bookers Who Keep New York Talking http://www.backstage[...] 2011-05-15
[36] 뉴스 PUBLIC LIVES; A Straight Man Who Won't Dwell on the Bad Stuff https://www.nytimes.[...] 2002-02-13
[37] 웹사이트 YouTube Killed the Studio Audience: What I Learned from Going to Tapings of Every Late-Night Show http://www.slate.com[...] 2015-05-11
[38] 웹사이트 The Chris Gethard Show rescued the Letterman set https://www.avclub.c[...] 2015-06-23
[39] 뉴스 David Letterman's 'Late Show' bridges rescued by 'The Chris Gethard Show' - NY Daily News http://www.nydailyne[...] 2015-06-24
[40] 간행물 A Dave New World https://ew.com/artic[...] 2011-05-15
[41] 웹사이트 When the hell does Letterman tape his shows? http://www.tvsquad.c[...] TV Squad 2011-05-15
[42] 웹사이트 Carson Feeds Jokes to Letterman https://www.cbsnews.[...] CBS News 2012-10-19
[43] 웹사이트 Letterman Pays Special Tribute to Carson http://www.redorbit.[...] 2012-10-19
[44] 웹사이트 Monday, August 29, 2005 http://www.cbs.com/l[...] CBS Interactive 2015-04-23
[45] 웹사이트 Facts from 25 Years in Late Night http://www.cbspresse[...] CBS
[46] 뉴스 Letterman Marks a Milestone https://www.cbsnews.[...] CBS News 2009-09-23
[47] 간행물 How a David Letterman Diss Became Hip-Hop Legend https://www.rollings[...] 2015-05-18
[48] 뉴스 Desus and Mero's Extended Interview With David Letterman Is a Total Delight https://www.vulture.[...] 2020-02-04
[49] 웹사이트 No Shortage of Subs When Letterman Returns https://www.chicagot[...] 2014-08-23
[50] 웹사이트 The Night Warren Zevon Left the 'Late Show' Building https://www.theringe[...] 2022-10-31
[51] 웹사이트 Letterman Delivers Carson's Final Monologue http://www.people.co[...] 2015-06-06
[52] 간행물 Paul McCartney Stuns Manhattan With Set on Letterman's Marquee https://www.rollings[...] 2015-09-19
[53] 웹사이트 Hurricane Sandy: David Letterman Performs Eerie Monologue to Empty Studio (Video) https://tv.yahoo.com[...] 2012-10-30
[54] 뉴스 David Letterman Had the Most Touching Robin Williams Tribute of Them All https://www.huffingt[...] 2014-08-19
[55] 뉴스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Have the Two Most Viewed Late-Night Clips for August 18–22" http://tvbythenumber[...] TV by the Numbers 2014-08-22
[56] 뉴스 David Letterman's final Late Show: recap here http://www.cbc.ca/ne[...] 2015-05-21
[57] 뉴스 "'Late Night with David Letterman:' Stars recite final Top 10 list" http://www.nydailyne[...] 2015-05-20
[58] 뉴스 David Letterman's emotional farewell https://money.cnn.co[...] 2015-05-21
[59] 뉴스 For Darlene Love, a Christmas without David Letterman? https://www.pri.org/[...] 2017-09-28
[60] 뉴스 Darlene Love's Last 'Letterman' Christmas https://www.nytimes.[...] 2014-12-20
[61] 뉴스 People: Love Lost for Letterman http://www.contracos[...] 2007-12-24
[62] 웹사이트 Umphrey's McGee & Blues Traveler https://www.bluenote[...] 2024-07-13
[63] 뉴스 Dave Pals To Cover For Him While He Heals http://www.nydailyne[...] 2000-02-05
[64] 웹사이트 Janeane Garofalo https://www.imdb.com[...]
[65] 웹사이트 Gifford to Leave http://www.people.co[...] 2011-05-15
[66] 웹사이트 Guest-Host Concept Will Ease Letterman's Work Load http://blogs.kansasc[...] KansasCity.com 2015-09-20
[67] 웹사이트 Letterman Stressed Out with Shingles http://www.people.co[...] 2015-07-19
[68] 뉴스 David Letterman Ending his Friday Summer Breaks https://www.usatoday[...] 2010-05-07
[69] 간행물 Music-Related TV Listings for March 10–16, 2003. https://www.billboar[...] 2014-04-08
[70] 문서 Paul Shaffer#Collaboration with David Letterman
[71] 웹사이트 Adam Sandler Saves Day For Letterman https://www.cbsnews.[...] 2007-03-20
[72] 웹사이트 Conan O'Brien Ousts Jay Leno and David Letterman from Emmys http://goldderby.lat[...] 2010-07-08
[73] 웹사이트 Late Night TV Ratings For February 4-8, 2013 http://tvbythenumber[...] zap2it.com 2013-09-14
[74] 웹사이트 Leno's Triumphant Return to Late Night May No Longer Matter http://adage.com/art[...] 2012-04-05
[75] 웹사이트 Why Jimmy Fallon's 'Tonight Show' Can Thrive with Fewer Viewers when Conan's Couldn't http://adage.com/art[...] 2014-02-14
[76] 뉴스 David Letterman's farewell episode nabs biggest audience in over 2 decades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2015-05-21
[77] 웹사이트 Bill Brioux https://twitter.com/[...]
[78] 웹사이트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79] 문서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http://epguides.com/[...]
[80] 웹인용 Late Night with David Letterman / Late Show with David Letterman http://www.museum.tv[...] 2012-04-15
[81] 웹인용 Letterman Reaches a Deal With CBS to Extend ‘Late Show’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1-05-15
[82] 뉴스 TV Guide Names Top 50 Shows http://www.cbsnews.c[...]
[83] 웹인용 When the hell does Letterman tape his shows? http://www.tvsquad.c[...] TV Squad 2011-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