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스앤젤레스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앤젤레스 강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를 흐르는 강으로, 벨 크릭과 아로요 칼라바사스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롱비치 항구로 흘러 들어간다. 과거에는 로스앤젤레스 분지의 주요 수원이었으나, 1913년 로스앤젤레스 수도교가 개통된 이후 하수 시스템으로 사용되면서 오염과 홍수 문제를 겪었다. 1938년 대홍수 이후 강바닥이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자연적인 모습을 잃었지만, 최근에는 환경 문제 해결과 복원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영화, 드라마, 뮤직 비디오의 촬영 장소로 활용되며, 세풀베다 분지, 로스앤젤레스 강 자전거 길, 리오 데 로스앤젤레스 주립 공원 등 관련 시설과 공원,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다. 다양한 조류와 외래 어종이 서식하며, 복원 노력의 일환으로 야생 생물 서식지 복원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앤젤레스의 지리 - 라브레아 타르 웅덩이
    라브레아 타르 웅덩이는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행콕 공원에 위치한 천연 아스팔트 웅덩이로, 수만 년 동안 선사 시대 동물의 화석을 보존하며, 검치호랑이, 다이어 울프, 매머드 등의 화석이 발견되어 당시의 기후 환경 연구에 활용된다.
  • 캘리포니아주의 강 - 클래런스 더튼
    클래런스 에드워드 더튼은 미국의 지질학자이자 군인으로, 미국 지질 조사소에서 콜로라도 고원, 유타주의 지질, 그랜드 캐니언의 지사 등을 조사했고, 아이소스타시 개념 정립, 크레이터 호수 수심 측정, 찰스턴 지진 연구 등 다양한 지질학적 업적을 남겼다.
  • 캘리포니아주의 강 - 콜로라도강
    콜로라도강은 미국 콜로라도주의 로키산맥에서 발원하여 캘리포니아만으로 흐르는 북미 남서부의 주요 강으로, 콜로라도고원을 가로지르며 그랜드 캐니언과 같은 협곡을 형성하고, 후버 댐, 글렌 캐니언 댐 등을 통해 미국 서부 지역의 수자원 및 전력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스앤젤레스강
지도
로스앤젤레스 강 유역 지도
로스앤젤레스 강 유역 지도
플레처 드라이브 다리에서 본 로스앤젤레스 강
플레처 드라이브 다리에서 본 로스앤젤레스 강
로스앤젤레스강 유역 지도
로스앤젤레스강 유역 지도
명칭
한국어로스앤젤레스 강
다른 이름(파아이메 파샤이트)
(리오 포르시운쿨라)
West River (웨스트 강)
지리
위치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도시버뱅크
글렌데일
로스앤젤레스
다우니
컴프턴
롱비치
발원지벨 크리크와 아로요 칼라바사스의 합류점
발원지 위치샌 페르난도 밸리 카노가 파크
발원지 좌표34°11′43″N 118°36′08″W
발원지 고도794 ft (242 m)
하구태평양
하구 위치롱비치, 로스앤젤레스 항구
하구 좌표33°45′23″N 118°11′20″W
하구 고도0 ft (0 m)
길이47.9 mi (77.1 km)
유역 면적827 sq mi (2,140 km2)
수문 정보
유량 측정 위치롱비치
최소 유량2 cuft/s (0.057 m3/s)
평균 유량226 cuft/s (6.4 m3/s)
최대 유량129000 cuft/s (3700 m3/s)
지류
왼쪽 지류벨 크리크
브라운스 캐니언 워시
앨리소 크리크
투정가 워시
버두고 워시
아로요 세코
리오 혼도
오른쪽 지류아로요 칼라바사스
컴프턴 크리크

2. 지리

로스앤젤레스 강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군을 흐르는 주요 하천이다. 공식적인 발원지는 로스앤젤레스 시의 카노가 파크 지역으로, 벨 크릭과 아로요 칼라바사스 두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이다.[4][5]

강은 발원지에서 동쪽으로 흘러 샌퍼넌도 밸리를 가로지른다. 이 과정에서 셉풀베다 댐이 형성한 셉풀베다 분지를 통과하며, 투중가 워시와 같은 여러 주요 지류와 합류한다. 버뱅크와 글렌데일 지역을 지나면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고, 그리피스 공원 동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글렌데일 인근의 글렌데일 내로우스(Glendale Narrows) 구간에서는 드물게 강바닥이 콘크리트가 아닌 흙으로 되어 있어 자연 하천의 모습을 일부 간직하고 있다.[10][11]

이후 강은 로스앤젤레스 시내 동쪽을 지나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흐르며, 아로요 세코, 리오 혼도, 컴턴 크릭 등 추가적인 지류들을 받아들인다. 강의 대부분 구간은 홍수 조절을 위해 수로화되어 콘크리트 바닥과 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종적으로 강은 롱 비치 시를 통과하여 롱 비치 항구에서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4][5][12][14][15]

2. 1. 발원지 및 지류

아로요 칼라바사스 (왼쪽)와 벨 크릭 (오른쪽)이 합류하여 로스앤젤레스 강을 형성하는 발원지


로스앤젤레스 강은 공식적으로 로스앤젤레스시의 카노가 파크 지역에서 시작된다. 이곳은 벨 크릭과 아로요 칼라바사스라는 두 개의 수로화된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이다. 벨 크릭은 시미 힐스에서 동쪽으로, 아로요 칼라바사스는 산타 모니카 산맥에서 북쪽으로 흘러와 만난다.

합류 지점 직후, 강은 콘크리트 홍수 조절 수로를 따라 동쪽으로 흐르며, 곧 산타 수사나 산맥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브라운스 캐년 워시와 합류한다. 이후 남쪽으로 약간 방향을 틀어 알리소 캐년 워시를 받아들인다. 그 후 강은 윈네카, 레세다 지역을 지나 셉풀베다 댐에 의해 형성된 홍수 조절 저수지인 셉풀베다 분지로 들어간다.[4][5][6][7] 분지 내에서는 불 크릭과 합류한다.

스튜디오 시티에서 투중가 워시(오른쪽)가 로스앤젤레스 강 본류로 합류하는 모습


셉풀베다 댐을 통과한 후(하구로부터 약 69.20km 지점), 강은 다시 콘크리트 수로를 따라 밴 누이스, 셔먼 오크스, 스튜디오 시티를 지나 동쪽으로 흐른다. 스튜디오 시티에서는 샌 개브리얼 산맥의 앤젤레스 국유림에서 발원하는 가장 큰 지류 중 하나인 투중가 워시와 만난다. 이후 버뱅크 서쪽에서 버뱅크 웨스턴 수로(하구로부터 약 62.76km 지점)가 합류한다.[4][5][8][9]

글렌데일 내로우 구간을 동쪽 (하류)으로 바라본 모습. 강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다.


강은 버뱅크와 노스 할리우드를 지나 그리피스 공원을 따라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이 부근에서 샌 개브리엘 산맥과 버두고 산맥 사이 계곡에서 흘러나오는 버두고 워시가 합류한다. 이 구간 일부는 강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어 자연 하천의 모습을 일부 간직하고 있다. 강은 실버 레이크 저수지를 지나며 하구로부터 약 51.50km 지점에 이른다.[4][5][10][11][12]

로스앤젤레스 시내 인근의 수로화된 로스앤젤레스 강과 피게로아 스트리트 다리(데이턴 애비뉴 다리)


강은 엘리시안 공원 동쪽을 지나며 또 다른 주요 지류인 아로요 세코와 합류한다. 이후 로스앤젤레스 시내 동쪽을 지나 남쪽으로 흐르며 메이우드, 벨, 커다히, 커머스 등의 도시 근처를 통과한다. 이 지역은 하구로부터 약 약 32.19km 떨어진 지점이다.[4][5][12][13]

강 하구 근처의 넓어진 수로 모습.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에는 유명한 MTA 태그가 그려져 있었다.


더 남쪽으로 흘러 사우스 게이트 부근에서는 리오 혼도(하구로부터 약 14.48km 지점)와 만난다. 리오 혼도는 평상시 샌 개브리얼 강의 물줄기를 나누는 분배수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강 하구에 더 가까워지면 컴턴 동쪽에서 컴턴 크릭(하구로부터 약 4.35km 지점)이 합류한다. 이후 강은 롱 비치 시내를 지나 롱 비치 항구로 흘러들어 태평양과 만난다.[4][5][12][14][15]

2. 2. 흐름



로스앤젤레스 강은 공식적으로 로스앤젤레스시의 수로화된 두 개의 지류인 벨 크릭과 아로요 칼라바사스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시작한다. 이 지점은 캘리포니아 주도 제27호선 (토팡가 캐년 대로) 바로 동쪽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시의 카노가 파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카노가 파크 고등학교 동쪽에 있다. 벨 크릭은 시미 힐스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아로요 칼라바사스는 산타 모니카 산맥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여기에서 강은 콘크리트 홍수 조절 수로를 따라 동쪽으로 흘러가며, 곧 산타 수사나 산맥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브라운스 캐년 워시와 합류한다. 그 후 강은 약간 남쪽으로 굽어 알리소 캐년 워시와 합류하는데, 이 워시의 유역은 브라운스 캐년과 인접해 있다. 강은 윈네카, 레세다 지역을 지나 셉풀베다 댐에 의해 형성된 홍수 조절 저수지인 셉풀베다 분지로 들어간다.[4][5][6][7]

강이 일반적으로 건조한 저수지로 진행됨에 따라 역사적인 비수로 형태와 유사한 자연스러운 수로로 흘러나온다. 발보아 대로 아래를 지나고 불 크릭과 합류한다. 그런 다음 강은 하구에서 약 69.20km 떨어진 셉풀베다 댐의 출구 구조물을 통과한다. 다시 콘크리트 수로로 흘러 들어가 샌디에고 (405)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밴 누이스, 셔먼 오크스, 스튜디오 시티를 통과하며 계속 동쪽으로 흐른다. 잠시 미국 국도 101호선과 나란히 흐르다가 고속도로에서 벗어나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왼쪽에서 가장 큰 지류 중 하나인 투중가 워시와 합류하는데, 투중가 워시는 샌 개브리얼 산맥의 앤젤레스 국유림에서 남서쪽과 남쪽으로 흐른다. 강은 다시 동북쪽으로 굽어 콘크리트 박스 암거로 바뀌어 할리우드 (170) 고속도로와 101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왼쪽 제방에서 하구에서 약 62.76km 떨어진 버뱅크 웨스턴 수로와 합류한다.[4][5][8][9]

강은 벤투라 (134) 고속도로와 나란히 흐르기 시작하여 노스 할리우드와 버뱅크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골든 스테이트 (5)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그리피스 공원을 따라 굽어들며 남동쪽으로 급격하게 방향을 튼다. 라 카냐다 플린트리지와 글렌데일의 대부분의 물을 배출하는 버두고 워시를 왼쪽에서 합류하는데, 버두고 워시는 샌 개브리얼 산맥에서 버두고 산맥의 수계곡을 통해 남쪽으로 흘러 벤투라 고속도로 아래를 지난다. 여기에서 강은 글렌데일 내로우스(Glendale Narrows)로 알려진 구간에서 자연 하상을 따라 흐르기 시작하지만, 곧 또 다른 콘크리트 구간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몇 마일 동안 골든 스테이트 고속도로와 나란히 흐르며 그리피스 공원 동쪽과 하딩-윌슨 골프 코스를 지난다. 오른쪽에 있는 실버 레이크 저수지를 지나 글렌데일 (2)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며 하구에서 약 51.50km 떨어진 지점이다.[4][5][10][11][12]

강은 남동쪽 방향으로 흐르면서 두 번 굽어지며, 5번 고속도로와 리버사이드 드라이브와 나란히 흐르다가 5번 고속도로와 아로요 세코 (110)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엘리시안 공원 동쪽으로 흐른다. 그런 다음 또 다른 주요 지류인 아로요 세코를 왼쪽에서 합류한다. 강은 왼쪽의 대형 철도 야드인 미션 정션을 지나 남쪽으로 흐른다. 경사진 측면이 있는 더 넓은 콘크리트 수로로 들어가 세자르 차베스 애비뉴, 할리우드 (101) 고속도로, 샌 버나디노 (10)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로스앤젤레스 시내 동쪽을 지나고, 산타 아나 (101) 고속도로, 포모나 (60) 고속도로, 5번 및 10번 고속도로의 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인터체인지를 지난다. 그런 다음 점차 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가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몇 마일을 흐른 후 롱 비치 (710) 고속도로와 나란히 흐르기 시작하여 메이우드, 벨, 커다히, 커머스 근처를 지난다. 하구에서 약 32.19km 떨어진 지점이다.[4][5][12][13]

롱 비치 고속도로를 따라 남남서쪽으로 흐르다가, 강은 이전 캘리포니아 주도 제42호선과 710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리오 혼도를 왼쪽에서 합류한다. 하구에서 약 14.48km 떨어진 지점이다. 리오 혼도("깊은 강")는 현재 휘티어 내로우 저수지를 통해 동쪽으로 샌 개브리얼 강의 분배수로 역할을 한다. 그런 다음 강은 센추리 (105)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약간 남서쪽으로 이동한 다음 컴턴 동쪽과 벨플라워 서쪽으로 흐른다. 아르테시아 (91) 고속도로 아래를 지난 후, 컴턴 크릭을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하구에서 약 4.35km 떨어진 지점이다. 두 번째로 405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난 후, 하구에서 약 3.22km 떨어진 지점으로, 서쪽의 도밍게스 채널에 가까워져 남쪽으로 흘러 롱 비치의 출구로 나와 710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RMS ''퀸 메리''를 지나 롱 비치 항구로 들어간다.[4][5][12][14][15]

2. 3. 하구

롱 비치 (710) 고속도로를 따라 남남서쪽으로 흐르다가, 강은 이전 캘리포니아 주도 제42호선과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하구에서 약 14.48km 떨어진 지점에서 리오 혼도를 왼쪽에서 합류한다. 리오 혼도(Río Hondo|리오 온도es, "깊은 강")는 현재 휘티어 내로우 저수지를 통해 동쪽으로 샌 개브리얼 강의 분배수로 역할을 한다. 그런 다음 강은 센추리 (105)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약간 남서쪽으로 이동한 다음 컴턴 동쪽과 벨플라워 서쪽으로 흐른다. 아르테시아 (91) 고속도로 아래를 지난 후, 하구에서 약 4.35km 떨어진 지점에서 컴턴 크릭을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두 번째로 405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난 후, 하구에서 약 3.22km 떨어진 지점에서 서쪽의 도밍게스 채널에 가까워져 남쪽으로 흘러 롱 비치로 나와 710번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RMS 퀸 메리를 지나 롱 비치 항구를 통해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4][5][12][14][15]

3. 역사

로스앤젤레스 강은 수천 년 동안 이 지역의 역사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선사 시대부터 통바족을 비롯한 미국 원주민들은 강 유역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물을 얻고 식량을 구하며 문화를 이루었다. 18세기 후반 스페인 탐험가들과 선교사들이 도착하면서 강의 이름이 붙여지고 유럽식 정착이 시작되었다.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캘리포니아가 미국 영토가 되면서 로스앤젤레스는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늘어나는 인구와 도시 개발은 강의 수자원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고, 강의 흐름을 통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특히 20세기 초, 반복되는 파괴적인 홍수는 도시 발전에 큰 위협이 되었다. 1933년과 1934년의 크레센타 밸리 홍수와 결정적으로 1938년 로스앤젤레스 홍수는 로스앤젤레스 강의 운명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이 대홍수 이후, 미 육군 공병대는 홍수 통제를 위해 강바닥과 제방 대부분을 콘크리트로 덮는 대규모 수로화 사업을 시행했다.[29] 이로 인해 강의 모습은 극적으로 변모했으며, 이는 현대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경관과 강의 생태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원주민 시대

그리피스 공원의 로스앤젤레스 강, 대략 1898년–1910년


1913년 로스앤젤레스 수도교가 개통되기 전까지 로스앤젤레스 강은 로스앤젤레스 분지의 주요 수원지 역할을 했다. 강은 계절에 따라 수량이 크게 변하여 여름에는 마르고 겨울에는 범람하는 특성을 보였다. 원주민들은 이러한 강의 자연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갔다.[24]

특히 통바족은 로스앤젤레스 강 유역을 삶의 터전으로 삼았다. 이들은 강에서 물을 얻고, 물고기와 작은 포유류를 사냥했으며, 강 주변에 풍부했던 참나무에서 도토리를 채집하는 등 수렵 채집 생활을 영위했다.[16] 로스앤젤레스 강 근처에는 최소 45개의 통바족 마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마을은 현재의 글렌데일에 해당하는 샌페르난도 밸리와 엘리시안 밸리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16]

1771년, 스페인 사람들이 미션 산 가브리엘을 세우면서 이 지역의 통바족에게 변화가 찾아왔다. 스페인 선교사들은 선교원 인근에 거주하던 통바족을 가브리엘레뇨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3. 2. 스페인 식민 시대

이 강은 통바족에게 물과 식량을 제공했는데, 통바족은 주로 물고기, 작은 포유류, 강을 따라 풍부하게 자라는 참나무에서 얻은 도토리를 먹고 사는 수렵 채집인이었다. 로스앤젤레스 강 근처에는 최소 45개의 통바족 마을이 있었는데, 현재의 글렌데일에 해당하는 샌페르난도 밸리와 엘리시안 밸리에 집중되어 있었다.[16] 스페인 사람들이 1771년에 미션 산 가브리엘을 세운 후, 그 선교원 인근에 살던 통바족을 가브리엘레뇨라고 불렀다.

1769년, 알타칼리포르니아를 탐험하기 위한 포르톨라 탐험대의 일원들이 이 강을 처음으로 발견한 유럽인이었다. 8월 15일, 탐험대는 현재 로스앤젤레스 시내 근처의 주간고속도로 10호선 교차로 북쪽에 있는 강 근처에서 야영했다. 포르톨라와 함께 여행한 두 명의 프란체스코회 선교사 중 한 명인 프라이 후안 크레스피는 이 강을 el río de Nuestra Señora La Reina de Los Ángeles de Porciúncula|엘 리오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라 레이나 데 로스앙헬레스 데 포르시운쿨라es라고 명명했다. 크레스피는 8월 15일이 성모 마리아의 승천과 천사들의 여왕으로서의 역할을 기리는 연례 가톨릭 축일이며, 아시시의 프란체스코 수도회가 시작된 작은 포르치운쿨라 예배당에 헌정된 날이기 때문에 이 이름을 선택했다. 그 후 이 강은 "포르치운쿨라 강"으로 불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크레스피가 붙인 긴 이름 중 "로스앤젤레스" 부분이 주로 사용되게 되었다.[17]

3. 3. 미국 시대

미국-멕시코 전쟁(1846-1848) 이후 캘리포니아는 멕시코로부터 미국 영토가 되었다. 1850년 캘리포니아가 주로 승격되면서 로스앤젤레스 지역은 이듬해부터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18] 그러나 수 세대에 걸쳐 정착민들과 도시 행정가들은 강의 유역을 고갈시키고, 물길을 바꾸고, 오염시키며 과도하게 개발했다.[19]

원래 로스앤젤레스강은 현재의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그리고 다른 남부 캘리포니아 도시들이 위치한 충적 평야를 자유롭게 흘렀다. 강의 경로는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능했으며, 하구는 롱비치와 발로나 크릭 사이를 자주 오갔다. 잦은 홍수는 농경지를 파괴하고, 가옥을 휩쓸었으며, 인명과 가축 피해를 야기했다. 심각한 홍수를 겪으면서 강 근처 주민들은 피해를 막기 위해 강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정착하거나 건물을 지었다.[20] 19세기 초, 강은 글렌데일 내로우를 지나 남서쪽으로 흘러 발로나 크릭과 합류한 뒤, 현재의 마리나 델 레이 근처 산타 모니카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21] 하지만 J. J. 워너 대령은 그의 저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역사적 개요"에서 다른 주장을 펼쳤다:

"...1825년까지, 비가 오는 계절에도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바다로 이어지는 강길 대신, 물은 땅으로 스며들어 지표면의 낮은 곳을 채우고 호수, 연못, 늪을 형성했다. 강물이 바다에 도달하더라도 여러 지점에서 아주 적은 양으로 땅에서 흘러나왔으며, 1825년 홍수 이전에는 뚜렷한 물길이 존재하지 않았다. 1825년의 홍수가 바다까지 이어지는 강길을 만들고 늪지의 물을 빼면서 숲을 사라지게 했다."[22]


오랫동안 로스앤젤레스강은 현재의 롱비치, 캘리포니아에서 샌 가브리엘 강과 합류했다. 그러나 1862년 대홍수 때 샌 가브리엘 강은 동쪽으로 약 약 9.66km 떨어진 새로운 경로를 만들어 알라미토스 만으로 흘러 들어가기 시작했고, 이 경로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철도의 등장은 도시화를 가속했으며, 여러 정부 기관들은 강의 흐름을 줄이는 방식으로 강을 통제하려 했다.[23] 1900년대까지 강은 도시에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우물 시스템을 구축할 만큼 충분한 수량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20년대 초,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LADWP)은 오웬스 밸리의 거의 모든 농장과 관련 수리권을 점진적으로 매입했다.[26] 주요 수자원을 소유한 농부들은 더 나은 조건을 얻기 위해 오웬스 밸리 관개 지구를 결성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자, 세 개의 소규모 그룹으로 나뉘어 협상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그룹은 폭력에 의존하고, 언론의 관심을 끌려 했으며, 더 많은 보상을 요구하기 위해 정치적 개입을 요청하는 등 격렬한 갈등을 빚었다. 이 분쟁은 매우 치열하여 전국 언론에서 이를 "캘리포니아의 작은 내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7][28]

샌 프란시스퀴토 협곡에 대규모 저수지를 만들어 로스앤젤레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세인트 프란시스 댐이 1924년부터 1926년까지 건설되었으나, 1928년에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1938년 노스할리우드의 로스앤젤레스 홍수


특히 1930년대에는 강 범람이 잦은 지역에서 급속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다.[18]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 이후에도 소규모 완화 노력이 있었지만, 예측 불가능하고 파괴적인 홍수는 193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주요 홍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크레센타 밸리 홍수 (1933년 및 1934년): 새해 전날과 새해 첫날에 발생한 이 홍수는 라 크레센타, 몬트로즈, 라 카냐다, 투중가 지역 사회에 큰 피해를 입혔다.
  • 1938년 로스앤젤레스 홍수: 이 홍수는 당시 로스앤젤레스 시장이었던 프랭크 L. 쇼가 소환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강력한 홍수 통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사건들을 계기로 미 육군 공병대는 강바닥과 제방 대부분을 콘크리트로 덮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29] 현재 강에서 포장되지 않은 구간은 반 누이스 근처 세풀베다 댐 뒤의 홍수 통제 유역, 글렌데일 나로우로 알려진 그리피스 공원 동쪽의 약 17.70km 구간, 그리고 롱비치 하구의 마지막 몇 마일 정도이다.

3. 4. 수로화와 현대

로스앤젤레스 수도교는 1913년에 개통되었다.[24] 이후 로스앤젤레스 강은 하수 처리 시스템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여러 문제를 겪게 되었다. 강 주변 주민들은 분뇨, 쓰레기, 동물의 사체 등을 강에 버렸고, 이는 하류를 거쳐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25]

1920년대 초,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LADWP)은 오웬스 밸리의 거의 모든 농장과 관련 수리권을 점진적으로 매입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26] 물 소유권이 많은 농부들은 더 유리한 조건을 얻기 위해 오웬스 밸리 관개 지구를 결성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자 세 개의 소규모 그룹으로 나뉘어 협상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그룹은 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고, 언론의 관심을 끌려 했으며, 정치적 개입을 요구하는 등 격렬한 갈등을 빚었다. 이 갈등은 매우 치열하여 전국 언론에서 "캘리포니아의 작은 내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7][28]

세인트 프란시스 댐은 로스앤젤레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1924년부터 1926년까지 건설되어 샌 프란시스퀴토 협곡에 큰 저수지를 형성했으나, 1928년에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1930년대에는 강의 범람이 잦은 지역에서 급격한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다.[18]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 이후에도 소규모 완화 노력이 있었지만, 예측 불가능하고 파괴적인 홍수는 193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대표적인 홍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크레센타 밸리 홍수 (1933년 및 1934년): 새해 전날과 새해 첫날 발생한 이 홍수는 라 크레센타, 몬트로즈, 라 카냐다, 투중가 지역 사회에 큰 피해를 입혔다.
  • 1938년 로스앤젤레스 홍수: 이 대홍수는 당시 로스앤젤레스 시장이었던 프랭크 L. 쇼의 주민소환을 촉발했으며, 강력한 홍수 통제 조치를 요구하는 여론을 형성했다.


1938년 로스앤젤레스 시 26번가 인근 좌안의 카운터포트 채널 벽 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


결국 1938년 대홍수를 계기로 미국 육군 공병대는 강바닥과 제방 대부분을 콘크리트로 덮는 대대적인 수로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29] 현재 강의 자연 상태가 남아있는 구간은 반 누이스 인근 세풀베다 댐 뒤의 홍수 통제 유역, 글렌데일 내로우로 알려진 그리피스 공원 동쪽의 약 17.70km 구간, 그리고 롱비치 하구의 마지막 일부 구간 정도이다.

4. 홍수 조절

1938년 로스앤젤레스 홍수 이후 로스앤젤레스 강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홍수 조절이 되었다. 이 대홍수를 계기로 강바닥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포장되었으며, 이 구조물은 현재까지 주요 홍수 방어 시설로 기능하고 있다.[44] 강의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여러 계획에서도 기존 콘크리트 외피가 제공하는 홍수 방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고려하고 있다.[58]

강의 홍수 관리에는 로스앤젤레스군 홍수통제지구(Los Angeles County Flood Control District)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미국 육군 공병대가 소유한 약 약 64.37km의 수로에 대한 통제권 확보를 시도하기도 했다.[63]

4. 1. 셉풀베다 댐

푸른 해오라기가 세풀베다 분지의 생태 복원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5. 환경 문제와 복원 노력

로스앤젤레스 강은 과거 무분별한 개발과 1938년 로스앤젤레스 홍수 이후 진행된 대규모 치수 공사로 인해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강바닥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덮이면서 자연적인 하천 생태계가 크게 훼손되었고, 강은 도시의 하수도나 빗물 배수로처럼 여겨지기도 했다.[44] 이러한 인공적인 구조물은 홍수 예방에는 일부 기여했을지 모르나, 강의 자정 능력을 약화시키고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를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20세기 후반부터 강을 본래의 모습에 가깝게 되돌리고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강의 생태계를 복원하고, 시민들이 강변에서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계획과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로스앤젤레스 시와 카운티, 미국 연방 정부, 그리고 여러 시민 단체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의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중요한 자산으로 만들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진행 중이다. (구체적인 복원 노력과 관련 활동은 아래 '복원 노력'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5. 1. 복원 노력

1938년 대홍수 이후 강바닥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덮이면서, 강을 원래의 자연 상태로 완전히 되돌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44]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의 생태계를 되살리고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초기에는 건기 동안 강바닥을 고속도로나 호버크라프트 경로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45], 2000년대 들어 본격적인 생태 복원 및 친수 공간 조성 논의가 시작되었다. 2002년, 로스앤젤레스 시의회는 에드 레예스 시의원을 중심으로 강 접근 및 활성화 특별 위원회를 구성했다.[50] 2006년에는 당시 로스앤젤레스 시장이었던 안토니오 빌라라이고사가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청계천 복원 사례를 직접 살펴보기도 했다. 이는 로스앤젤레스 강 복원 계획에 중요한 참고가 되었다.[51]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07년, 로스앤젤레스 시는 '로스앤젤레스 강 활성화 마스터 플랜(Los Angeles River Revitalization Master Plan)'을 채택했다. 이 계획은 강을 도시의 중요한 공간으로 만들고 시민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마스터 플랜의 주요 권고 사항 중 하나로, 2009년 비영리 개발 공사인 'LA 강 활성화 공사(Los Angeles River Revitalization Corporation, LARRC)'가 설립되었다. LARRC는 강을 따라 공원, 자전거 도로, 보행자 다리 등을 건설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52][53] 대표적으로 2020년에는 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보행자, 자전거, 승마용 다리가 완공되었다. LARRC는 2013년, 강 전체 약 82.08km(82km) 구간에 걸쳐 연속적인 녹지 공간과 자전거 도로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기도 했다.[52][53] 이 경로는 단순한 레크리에이션 공간을 넘어 로스앤젤레스 시내를 통과하는 대체 교통로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54]

2014년 엘리시안 밸리 강 레크리에이션 구역에서 낚시하는 사람들


엘리시안 밸리 강 레크리에이션 구역 북쪽 접근 지점의 표지판. 물과의 접촉 시 주의를 요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2011년에는 'L.A. 강 레크리에이션 구역'이 지정되어 특정 구간에서 시민들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합법화되었다.[46] 이후 글렌데일 내로스(Glendale Narrows)의 약 4.02km 구간 등이 여름철에 개방되어 카약, 낚시 등의 활동이 가능해졌다.[47][48][49]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도 강 복원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15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게리가 당시 'River LA'로 이름을 바꾼 LARRC와 협력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며[55], 2017년에는 강에 대한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인 'LA 강 지수(LA River Index)'를 공동으로 제작했다.[56] 2018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는 강 마스터플랜 업데이트를 결정했고, 게리 파트너스 등도 이 작업에 참여했다.[57]

미 육군 공병대 역시 복원 노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공병대는 그리피스 공원과 링컨 하이츠 사이 구간의 약 600에이커 규모 서식지를 복원하는 4.53억달러 규모의 계획을 권고했다. 이 계획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공하는 홍수 방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강의 생태계를 되살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58] 로스앤젤레스 시내 북쪽 11마일 구간을 정화하여 강철 송어와 같은 어종이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계획에는 약 11억달러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62] 복원 과정에서 연방 정부의 예산 지원 문제[58][59]나 관리 주체 문제[63]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남아 있다.

시민 사회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1986년 시인이자 활동가인 루이스 P. 맥아담스가 설립한 '로스앤젤레스 강의 친구들(Friends of the Los Angeles River, FoLAR)'은 강 서식지 복원과 대중 접근성 향상을 위해 활동하는 대표적인 비영리 단체이다.[65][66] FoLAR는 "강을 되살리기 위한 40년짜리 예술 작품"이라는 기치 아래[66]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FoLAR의 가장 유명한 활동은 매년 열리는 '그레이트 LA 강 정화(Great LA River CleanUp)' 행사이다. 1988년 20명 미만으로 시작된 이 행사는 점차 규모가 커져 2017년에는 약 1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했으며[67], 2018년에는 6천여 명이 60톤 이상의 쓰레기를 수거했다.[68] 2019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강 정화 활동으로 기록되기도 했다.[69] FoLAR는 또한 2012년 미국 육군 공병대(USACE)의 ARBOR 연구 완료를 지원하기 위해 100만달러의 기부금을 모금했으며, 이 연구는 강의 생태 복원을 위한 중요한 계획('대안 20') 채택으로 이어졌다.[71][72][73] FoLAR는 다른 환경 단체와의 협력 및 기업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연중 정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6. 문화적 활용

로스앤젤레스 강은 수많은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광고,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강은 일 년 중 대부분 물이 적게 흐르고 콘크리트로 포장된 강바닥이 드러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시 내에서 넓고 인적이 드문 공간이 필요한 경주, 자동차 추격전, 갱단 싸움 등의 장면 촬영지로 자주 활용된다.

6. 1. 영화 및 드라마

영화 ''그리스''의 로스앤젤레스 강 수로 자동차 경주 장면. 운하화된 강은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뮤직 비디오 등의 촬영 장소로 자주 활용된다.


수많은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광고, 비디오 게임 등에서 로스앤젤레스 강변의 다양한 장소가 등장했다. 강은 일 년 중 대부분 물이 적게 흐르고 수로 바닥이 드러나 있는 경우가 많아, 도시 내에서 넓고 인적이 드문 공간이 필요한 경주, 자동차 추격전, 갱단 싸움 등의 장면 촬영지로 자주 사용된다.

다음은 강 수로에서 촬영되었거나 수로를 배경으로 하는 주요 작품들이다.

'''영화'''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1930)
  • ''걸스 타운'' (1959)
  • ''포인트 블랭크'' (1967)
  • ''차이나타운'' (1974)
  • ''클레오파트라 존스'' (1973)
  • ''지진'' (1974)
  • ''60초 안에 사라지다'' (1974)
  • ''그것은 살아있다'' (1974)
  • ''프리키 프라이데이'' (1976)
  • ''개볼 랠리'' (1976)
  • ''그리스'' (1978)
  • ''로드블록'' (1980년대 추정, 원문 정보 부족)
  • ''블루 썬더'' (1983)
  • ''레포 맨'' (1984)
  • ''버캐루 반자이의 8차원 횡단'' (1984)
  • ''블루 나이트'' (1986)
  • ''L.A. 스토리'' (1991)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1991)
  • ''폭풍 속으로'' (1991)
  • ''할리 데이비슨과 말보로 맨'' (1991)
  • ''글리밍 더 큐브'' (1989)
  • ''블러드 인 블러드 아웃'' (1993)
  • ''라스트 액션 히어로'' (1993)
  • ''LA 탈출'' (1996)
  • ''볼케이노'' (1997)
  • ''아이 갓 더 훅 업'' (1998)
  • ''60초 안에 사라지다'' (2000 리메이크)
  • ''더 코어'' (2003)
  • ''이탈리안 잡'' (2003 리메이크)
  • ''트랜스포머'' (2007)
  • ''이번 크리스마스 (2007년 영화)'' (2007)
  • ''인투 더 와일드'' (2007)
  • ''드라이브'' (2011)
  • ''인 타임'' (2011)
  • ''다크 나이트 라이즈'' (2012)
  • ''갱스터 스쿼드'' (2013)
  • ''앰뷸런스'' (2022)
  • ''배드 가이즈'' (2022)
  • ''데드라인 오토 띠프'' (정보 부족)
  • ''더블 니켈스'' (정보 부족)
  • ''정크맨'' (정보 부족)
  • ''그들!'' (Them!, 1954년 영화로 추정)


'''텔레비전 시리즈'''

  • ''비벌리 힐빌리즈''
  • ''전격 Z 작전''
  • ''칩스''
  • ''24''
  • ''터미네이터: 사라 코너 연대기''
  • ''어메이징 레이스'' (시즌 15)
  • ''헬's 키친'' (시즌 7, 시즌 16)
  • ''피어 더 워킹 데드''
  •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아포칼립스''
  • ''더 스트레인저'' (2020)
  • ''휴엘 하우저'' 진행 ''비지팅...'' 에피소드 218[74]


'''뮤직 비디오'''

'''비디오 게임'''

  • ''미드나잇 클럽 2''
  • ''미드나잇 클럽: 로스앤젤레스''
  • ''GTA: 산 안드레아스'' (가상의 도시 로스 산토스 내에서 묘사)
  • ''그랜드 테프트 오토 V'' (가상의 도시 로스 산토스 내에서 묘사)


'''기타'''

  • 시트콤 ''브래디 번치''에서 브래디 가족의 집 외부 촬영 장소로 사용된 노스 할리우드 노스 딜링 스트리트 11222번지 주택은 뒷마당 가장자리에 강둑이 있다.

6. 2. 기타



수많은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광고 및 비디오 게임에서 로스앤젤레스 강을 따라 위치한 다양한 장소들이 등장했다. 강은 일년 중 대부분 기간 동안 가늘게 흐르고 수로는 건조하기 때문에, 종종 도시 내에서 개방적이고 인적이 드문 장소를 필요로 하는 경주, 자동차 추격전, 갱단 싸움 및 기타 장면의 배경으로 사용된다.

다음 작품들은 수로에서 촬영되었거나 수로를 배경으로 한다.

이 강은 ''휴엘 하우저''와 함께하는 ''비지팅...'' 에피소드 218에 등장한다.[74]

강을 조명하는 TV 시리즈로는 ''비벌리 힐빌리즈'', ''전격 Z 작전'', ''칩스'', ''터미네이터: 사라 코너 연대기'',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아포칼립스'', ''어메이징 레이스''의 15번째 시즌, ''헬's 키친''의 7번째, 16번째 시즌, 그리고 ''더 스트레인저''가 있다.

다음 뮤직 비디오는 강에서 촬영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비디오 게임으로는 레이싱 게임 시리즈 ''미드나잇 클럽''의 ''미드나잇 클럽 2''와 ''미드나잇 클럽: 로스앤젤레스'' 그리고 액션 어드벤처 게임 ''GTA: 산 안드레아스''와 ''그랜드 테프트 오토 V''(두 게임 모두 가상의 도시 로스 산토스 내에서 강을 묘사)가 있다.

시트콤 ''브래디 번치''에 나오는 브래디 가족의 집 외부 촬영에 사용된 노스 할리우드의 노스 딜링 스트리트 11222번지의 집은 뒷마당의 가장자리에 강둑을 가지고 있다.

7. 관련 시설

로스앤젤레스 강 주변에는 홍수 조절 및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세풀베다 분지, 강을 따라 조성된 로스앤젤레스 강 자전거 길, 복원된 습지를 포함하는 리오 데 로스앤젤레스 주립 공원 등 여러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32][33][34][35] 강의 남쪽 구간은 링컨 하이츠에서 롱비치까지 이어지는 산업 회랑의 중심을 이루며, 롱비치 고속도로 (I-710)와 철도 야드 등이 위치한다.[36] 이 산업 회랑 인근에는 벨, 벨 가든스, 커다히 등 캘리포니아 주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들이 위치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과거 강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겪었던 지역이다.

2008년 링컨 하이츠 근처 로스앤젤레스 강 노스 브로드웨이-부에나 비스타 고가교(1909–11년 건설)의 봄


로스앤젤레스 강 유역에 위치한 주요 커뮤니티와 도시는 다음과 같다.

커뮤니티/도시커뮤니티/도시
카노가 파크글래스엘 파크
위네트카사이프러스 파크
레시다차이나타운
엔시노링컨 하이츠
레이크 발보아보일 하이츠
밴 누이스버논
셔먼 오크스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스튜디오 시티사우스 센트럴 로스앤젤레스
유니버설 시티메이우드
톨루카 호수커머스
버뱅크
글렌데일벨 가든스
로스 펠리즈쿠다히
아트워터 빌리지사우스 게이트
엘리시안 밸리린우드
파라마운트
컴턴
롱 비치


7. 1. 공원

세풀베다 분지는 기본적으로 홍수 유출수를 관리하기 위한 홍수 통제 분지이다. 하지만 평상시 건조한 이 분지는 대부분 로스앤젤레스 시립 공원 레크리에이션부가 관리하며, 운동장, 농업 시설, 골프 코스, 낚시 호수, 공원, 하수 처리 시설 및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32]

리버프런트 공원의 자전거 길 입구


로스앤젤레스 강 자전거 길은 글렌데일 내로우스를 통과한다. 이 자전거 길은 북쪽 끝의 리버사이드 드라이브와 로스 펠리즈 대로, 남쪽 끝의 글렌데일 대로와 플레처 드라이브, 그리고 엘리시안 밸리의 에그렛 공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33][34] 자전거 길은 대부분 5번 고속도로와 나란히 이어지며, 이용자의 정보 확인과 안전을 위해 마일 표지판과 비상 전화(콜 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리버프런트 공원은 이 자전거 길의 주요 접근 지점 중 하나이다.

리오 데 로스앤젤레스 주립 공원은 로스앤젤레스 시내 북쪽, 강 동쪽 기슭의 사이프러스 파크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247acre (약 1km2) 규모의 이 공원은 토착 식물로 복원된 습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 공간을 제공한다.[35]

7. 2. 자전거 도로



로스앤젤레스 강 자전거 길은 글렌데일 내로우스를 통과한다. 이 길은 북쪽 끝의 리버사이드 드라이브와 로스 펠리즈 대로, 남쪽 끝의 글렌데일 대로와 플레처 드라이브, 그리고 엘리시안 밸리의 에그렛 공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33][34] 자전거 길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5번 고속도로와 나란히 이어지며, 이용자의 정보 확인과 안전을 위해 마일 표지판과 비상 전화(콜 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7. 3. 기타 시설

강의 남쪽 구간은 링컨 하이츠에서 롱비치까지 이어지는 산업 회랑의 중심을 이룬다. 이 지역에서는 분주한 롱비치 고속도로 (I-710)와 여러 고압 전력선이 강바닥 가까이 지나가며, 강둑을 따라 몇 개의 철도 야드도 위치해 있다.[36] 산업 회랑 바로 바깥에는 벨, 벨 가든스, 커다히, 메이우드 및 사우스 게이트와 같이 캘리포니아 주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들 대부분은 강의 범람원에 위치하여, 수로화 이전에는 심각한 홍수를 겪었다.

세풀베다 분지는 홍수 유출수를 관리하기 위한 홍수 통제 분지이다. 평상시 이 건조한 분지는 대부분 로스앤젤레스 시립 공원 레크리에이션부에 의해 임대되어 운동장, 농경지, 골프 코스, 낚시 호수, 공원, 하수 처리 시설 및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32]

로스앤젤레스 강 자전거 길은 글렌데일 내로우스를 통과하며, 북쪽 끝인 리버사이드 드라이브, 로스 펠리즈 대로, 남쪽 끝인 글렌데일 대로, 플레처 드라이브, 그리고 엘리시안 밸리의 에그렛 공원에서 대중에게 개방된다.[33][34] 자전거 길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5번 고속도로와 나란히 뻗어 있으며, 정보 제공 및 안전 확보를 위해 마일 표지판과 비상 연락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리오 데 로스앤젤레스 주립 공원은 로스앤젤레스 시내 북쪽에 있으며, 강 동쪽 기슭의 사이프러스 파크 지역에 위치한다. 247acre 규모의 이 공원에는 토착 식물이 있는 복원된 습지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35]

8. 야생 동물

흰뺨오리(Anas platyrhynchos)


역사적으로 로스앤젤레스강에는 다양한 토착 어종이 서식했다. 여기에는 무지개/강철 트라우트(''Oncorhynchus mykiss''), 민물새우(''Macrobrachium ohione''), 왕연어(''Oncorhynchus tshawytscha''), 새크라멘토 시클리드(''Ptychocheilus grandis''), 태평양 칠성장어, 세 가시 가시고기, 산타아나 빨판상어 등이 포함된다. 1877년 오스트리아 대공 루드비히 살바토르는 1876년 로스앤젤레스 방문 기록인 ''남부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 황금의 땅에서 온 꽃''(Los Angeles in Südcalifornien. Eine Blume aus dem goldenen Landde)에서 로스앤젤레스강의 물고기를 묘사했다. 그는 "연어, 퀴나 연어(Salmo quinnat), 11월에서 6월 사이에 풍부; 두 종류의 송어, 연어 송어(Salar iridea); 그리고 연어 송어(Ptychocheilus grandis)"가 있다고 기록했다. 이 세 종은 오늘날 각각 왕연어, 강철/무지개 송어, 새크라멘토 시클리드로 알려져 있다.[38] 그러나 1938년 강의 자연적인 하천 부지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면서 토착 어종 대부분이 멸종되었다. 강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된 토착 어종은 1940년 지역 어부가 잡은 무지개 송어였다.[39]

현재 로스앤젤레스 강에는 잉어, 큰입배스, 틸라피아, 녹색 햇살고기, 알파카 가이양(''Pterygoplichthys pardalis''), 파란새치, 검은 불헤드, 갈색 불헤드, 채널 메기, 지느러미 민물고기, 가재, 모기 물고기 등 많은 수의 외래 어종이 서식하고 있다. 한편, 수로화 이후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토착종 아로요 춤이 로스앤젤레스 강 일부 구간에서 다시 발견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볼보아 호수/앤서니 C. 빌렌슨 공원 주변의 불 크릭, 우들리 크릭, 세풀베다 분지 야생 생물 보호 구역의 작은 하천과 주요 수역 등에서 확인되었다.

로스앤젤레스 강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눈 백로,[40] 큰 백로,[41] 검은목말똥가리,[40] 큰 푸른 왜가리,[40][41] 푸른 왜가리,[40] 흰뺨오리,[40] 계피청둥오리,[40] 미국 물닭,[40][41] 사향오리,[40] 흰 펠리칸, 캐나다 기러기, 물수리, 캘리포니아 고지대 애도 비둘기, 검은턱 벌새, 굴뚝새, 붉은꼬리매 등이 강 주변에서 둥지를 틀거나 서식하며 강의 자원을 이용하고 있다.[41]

강이 수로화되기 전에는 다양한 포유류도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금곰(1897년 제거), 회색 늑대(1890년대 제거), 코요테, 노새 사슴, 북미 비버 등이 그 예이다. 특히 북미 비버(''Castor canadensis'')의 서식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있다. 1776년 데 안자 원정대의 기록에서 페드로 폰트 신부는 산 가브리엘 미션의 베네메(모하비)와 제니게치(산 자킨토) 원주민 여성들이 비버 가죽으로 만든 망토를 입었다고 묘사했다.[42] 또한 통가 또는 산 가브리엘 미션의 가브리엘리뇨 원주민 언어에는 비버를 뜻하는 "토-레-바-체"라는 단어가 있었다.[43]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Hydrography Dataset high-resolution flowline data http://viewer.nation[...] 2011-05-07
[2] 간행물 2011-05-16
[3] 웹사이트 USGS Gage #11103000 on the Los Angeles River at Long Beach, CA http://nwis.waterdat[...] U.S. Geological Survey 2011-05-16
[4] 웹사이트 Los Angeles River http://www.tpl.org/c[...] www.tpl.org 2009-08-20
[5] 지도 Map of the Los Angeles River https://maps.google.[...] Google Maps 2009-08-20
[6] 웹사이트 Urbanization spreads into the watershed of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7] 웹사이트 Friends Of Vast Industrial Concrete Kafkaesque Structures – Page 1 http://seriss.com/pe[...] Seriss Corporation 2009-08-20
[8] 웹사이트 Sepulveda Basin and Dam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9] 웹사이트 Friends Of Vast Industrial Concrete Kafkaesque Structures – Page 3 http://seriss.com/pe[...] Seriss Corporation 2009-08-20
[10] 웹사이트 The Verdugo Wash Converges with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11] 웹사이트 The Los Feliz Area of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12] 웹사이트 Friends Of Vast Industrial Concrete Kafkaesque Structures – Page 4 http://seriss.com/pe[...] Seriss Corporation 2009-08-20
[13] 웹사이트 The Arroyo Seco Converges with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14] 웹사이트 The Rio Hondo Converges with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www.urbanedpartnership.org 2009-08-20
[15] 웹사이트 Long Beach and the Mouth of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rbanedpa[...] Urban Education Partnership 2009-08-20
[16] 서적 Down By the Los Angeles River: Friends of the Los Angeles Rivers Official Guide https://books.google[...] Wilderness Press 2005-10-14
[17] 서적 Fray Juan Crespi: Missionary Explorer on the Pacific Coast, 1769–1774 http://catalog.hathi[...] HathiTrust Digital Library 2014-04-06
[18] 웹사이트 The Los Angeles River https://www.theriver[...] 2022-04-06
[19] 웹사이트 Efforts to Restore the Los Angeles River Collide With a Gentrifying City https://www.sierracl[...] 2018-06-25
[20] 논문 Remaking American Environmentalism: On the Banks of the L.A. River http://dx.doi.org/10[...] 2008-07-01
[21] 뉴스 Why we turned the L.A. River into a freeway (for water) https://www.latimes.[...] 2022-03-02
[22] 웹사이트 Full text of "A history of California and an extended history of its southern coast counties, also containing biographies of well-known citizens of the past and present" https://archive.org/[...] 2015-07-10
[2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OS ANGELES RIVER https://ladpw.org/wm[...] 2022-02-23
[24] 서적 Water and Los Angeles: A Tale of Three Rivers,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논문 Unnatural Nature: Anglers Reimaginings of the Los Angeles River as Parkland https://www.tandfonl[...] 2022-03-15
[26] 논문 Floodpath https://openlibrary.[...] 2016
[27] 논문 Chinatown Revisited: Owens Valley and Los Angeles—Bargaining Costs and Fairness Perceptions of the First Major Water Rights Exchange 2009-10-01
[28] 서적 Water & power: the conflict over Los Angeles' water supply in the Owens Val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웹사이트 The LA River and the Corps: A brief history http://www.spl.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14-03-08
[30] 뉴스 Angelenos' vision of their river is created from a made-up memory https://www.latimes.[...] 2022-02-02
[31] 웹사이트 Frank Gehry's bold plan to upgrade the L.A. River seeks to atone for past injustices https://www.latimes.[...] 2021-01-11
[32] 웹사이트 Sepulveda Basin Wildlife Reserve http://www.laparks.o[...] 2015-11-19
[33] 웹사이트 Bicycling – Glendale Narrows / Elysian Valley Bike Path https://www.google.c[...] 2015-10-25
[34] 웹사이트 Glendale Narrow and Elysian Valley Path http://www.kcet.org/[...] 2011-03-24
[35] 뉴스 Accord Brings Soccer Fields to Urban Park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3-08-14
[36] 문서 Rail yards along the lower Los Angeles River
[37] 서적 Creating a Complete Los Angeles Greenway for All: Stories and Guidance https://innovation.l[...] UCLA Luskin Center for Innovation 2016-09-01
[38] 서적 Los Angeles in the Sunny Seventies. A Flower from the Golden Land B. McCallister, J. Zeitlin
[39] 뉴스 Steelhead trout in the L.A. River? These experts envision a fish passage through downtown https://www.latimes.[...] 2020-10-06
[40] 웹사이트 River Wildlife http://folar.org/riv[...] 2015-10-25
[41] 서적 Down By the Los Angeles River: Friends of the Los Angeles Rivers Official Guide https://books.google[...] Wilderness Press 2005-10-14
[42] 서적 Expanded Diary of Pedro Font http://anza.uoregon.[...] 2011-01-30
[43] 서적 The First Angelinos: The Gabrielino Indians of Los Angeles Ballena Press
[44] 뉴스 Frank Gehry's bold plan to upgrade the L.A. River seeks to atone for past injustices https://www.latimes.[...] 2021-01-14
[45] 뉴스 The long, tortured journey to bring rail back to Los Angeles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6-11-01
[46] 간행물 Unnatural Nature: Anglers Reimaginings of the Los Angeles River as Parkland https://www.tandfonl[...] 2022-03-15
[47] 웹사이트 At last, Los Angeles River opens to public recreation after 80 years http://www.cnn.com/2[...] Cable News Network.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2013-06-02
[48] 웹사이트 Los Angeles River Recreation Zone – Summer 2014 http://www.lariverre[...] 2014-05
[49] 웹사이트 Corps opens recreational boating program at Sepulveda http://www.spl.usace[...] 2014-05-23
[50] 웹사이트 Milestones http://lariver.org/m[...] 2019-12-31
[51] 뉴스 Seoul's Stream a 'Vision' for L.A. https://www.latimes.[...] 2018-12-15
[52] 뉴스 Ambitious goal for L.A. River: Continuous 51-mile path by 2020 https://www.latimes.[...] 2013-07-25
[53] 뉴스 Frank Gehry's controversial L.A. River plan gets cautious, low-key rollout https://www.latimes.[...] 2017-07-27
[54] 뉴스 L.A. River advocates wait for watershed Army Corps study https://www.latimes.[...] 2013-07-25
[55] 웹사이트 Exclusive: Architect Frank Gehry is helping L.A. With its Los Angeles River master plan, but secrecy troubles some https://www.latimes.[...] 2019-12-31
[56] 뉴스 Frank Gehry's controversial L.A. River plan gets cautious, low-key rollout https://www.latimes.[...] 2017-07-31
[57] 웹사이트 The Los Angeles River: Frank Gehry's Most Ambitious Project https://altaonline.c[...] 2019-12-31
[58] 뉴스 Army of Corps of Engineers backs $453 million plan to restore L.A. River http://www.theeastsi[...] The Eastsider 2015-06-02
[59] 웹사이트 Funding for Los Angeles River cleanup in doubt as el Niño begins - Capital Gazette https://www.capitalg[...] 2019-10-03
[60] 웹사이트 New funds flow into the Los Angeles River http://www.uscannenb[...] 2019-10-03
[61] 웹사이트 Efforts to Restore the Los Angeles River Collide with a Gentrifying City https://www.sierracl[...] 2019-10-03
[62] 웹사이트 Volunteers clean the LA River and find what? https://www.dailynew[...] 2019-10-03
[63] 웹사이트 LA County officials think they can do a better job than feds managing LA, San Gabriel rivers https://www.dailynew[...] 2019-10-03
[64] 웹사이트 LA River Master Plan http://larivermaster[...] 2022-04-07
[65] 웹사이트 Legacy projects take shape honoring Lewis MacAdams, poet and crusader for transforming Los Angeles River – Los Angeles Times https://www.latimes.[...] 2017-10-06
[66] 뉴스 A Brief History of Public Art and the L.A. River https://www.kcet.org[...] 2018-10-26
[67] 웹사이트 Volunteers remove tons of trash from Los Angeles River as Earth Month cleanup continues https://www.latimes.[...] 2016-04-23
[68] 뉴스 Great L.A. River CleanUp marks 30 years https://beverlypress[...] Park LaBrea news / Beverly Press 2019-04-11
[69] 웹사이트 Earth Day cleanups at the LA River — largest such events in the U.S. — will celebrate 30th year https://www.dailynew[...] 2019-04-12
[70] 뉴스 Kayaking the Los Angeles River, an Improbable Eden https://www.wsj.com/[...] 2019-10-03
[71] 웹사이트 folar.org {{!}} Alternative 20 and the ARBOR Study https://folar.org/al[...] 2018-10-26
[72] 뉴스 Feds Okay $1-Billion Los Angeles River Project https://www.kcet.org[...] 2018-10-26
[73] 뉴스 11 mile makeover of the LA River is moving right along https://la.curbed.co[...] 2018-10-26
[74] 웹사이트 L.A. River- Visiting (218) – Huell Howser Archives at Chapman University https://blogs.chapma[...] 1994-09-25
[75] 웹사이트 The Calling: Wherever You Will Go (Music Video 2001) https://www.imdb.com[...]
[76] 웹사이트 Limp Bizkit: Gold Cobra (Music Video) 2011 https://www.imdb.com[...]
[77] 웹사이트 Deftones Announce American Tour; Ticket Pre-Sale Begins This Thursday, March 22; New Single and Video Hit Airwaves; Exclusive Ringtone to Help Homeless Youth http://www.sys-con.c[...] Sys-Con Media 2007-03-21
[78] 웹사이트 Eminem Was In Korn's 'Got The Life' Music Video Before He Was Famous http://www.rockfeed.[...] 2016-11-27
[79] 서적 Korn https://books.google[...]
[80] 간행물 Finneas Unveils 'Shelter' Video After Making 'Saturday Night Live' Debut With Sis Billie Eilish: Watch https://www.billboar[...] 201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