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이 해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이 해리스는 1898년 오클라호마에서 태어나 1979년 사망한 미국의 작곡가이다.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학했으며, 1920년대 초 아서 블리스와 아서 파웰에게 레슨을 받았다. 1926년부터 1929년까지 파리에서 나디아 불랑제의 마스터 클래스에서 수학하며 신고전주의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르네상스 음악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934년에는 교향곡 '1933'이 상업적으로 녹음된 최초의 미국 교향곡이 되었고, 1939년에는 교향곡 3번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밀스 칼리지, 웨스트민스터 합창단 대학, 줄리아드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36년 피아니스트 요하나 해리스와 결혼했다. 해리스는 미국 민요를 장려하고 국제 현악 회의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말년에는 캘리포니아 주 계관 작곡가로 선포되었다. 그는 170곡이 넘는 작품을 작곡했으며, 교향곡, 실내악, 성악 작품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른다.

2. 생애

로이 해리스는 오클라호마주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주에서 성장하며 음악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독학에 가까웠으나 아서 블리스, 아서 파웰 등에게 지도를 받았고, 애런 코플랜드의 추천으로 파리에서 나디아 불랑제에게 사사하며 르네상스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다.[2]

허리 부상으로 미국에 돌아온 후에는 로체스터의 하워드 핸슨과 보스턴 교향악단세르게이 쿠세비츠키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작품을 선보일 중요한 기회를 얻었다. 1934년, 쿠세비츠키의 지휘로 초연된 그의 ''교향곡 '1933'''은 미국 교향곡으로는 최초로 상업 녹음되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그의 작품은 1936년 하계 올림픽 미술 경기의 음악 부문에 포함되기도 했다.[3]

1939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초연한 교향곡 제3번은 큰 성공을 거두며 해리스에게 전국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4] 이후 그는 줄리아드 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썼으며, 피아니스트 요하나 해리스와 결혼하여 음악적 동반자 관계를 이어갔다. 말년에는 캘리포니아주의 명예 계관 작곡가로 선정되는 등 미국 음악계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5]

2. 1. 초기 생애 (1898-1926)

로이 해리스는 1898년 2월 12일 오클라호마주, 챈들러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 출신이었다. 1903년, 그의 아버지는 오클라호마 주택 경매 수익과 행운의 도박으로 얻은 돈을 합쳐 코비나 근처 샌 가브리엘 밸리의 토지를 구입했고, 가족은 그곳으로 이사했다.[1] 로이 해리스는 이 외딴 시골 환경에서 농부로 자랐다. 그는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나중에는 클라리넷을 배웠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공부했지만, 스스로 음악을 쓰기 시작했을 때는 거의 독학이었다. 1920년대 초, 그는 당시 산타 바바라에 있던 아서 블리스와 미국 원주민 음악 연구가인 미국의 선배 작곡가 아서 파웰에게 레슨을 받았다. 해리스는 농지를 팔고 트럭 운전사이자 유제품 농장의 배달부로 생계를 유지했다. 점차 그는 동부에서 다른 젊은 작곡가들과 교류하게 되었고, 애런 코플랜드의 추천으로 1926년부터 파리에서 나디아 불랑제의 마스터 클래스에서 공부하는 젊은 미국인 중 한 명이 되었다.[2]

2. 2. 교육 활동과 후기 (1939-1979)

1939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가 초연한 그의 교향곡 제3번은 작곡가에게 가장 큰 성공을 가져다주었고, 그를 사실상 유명하게 만들었다.[4]

1930년대 동안 해리스는 밀스 칼리지, 웨스트민스터 합창단 대학(1934–1938) 및 줄리아드 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는 전문적인 경력의 대부분을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교수직과 상주 작곡가 자리를 옮겨 다니며 보냈다. 그의 마지막 직책은 캘리포니아에서였는데, 처음에는 UCLA, 그 다음에는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가르쳤다. 그의 제자로는 윌리엄 슈만, H. 오웬 리드, 존 도널드 롭, 로버트 터너, 로른 베츠, 조지 린, 존 베럴, 플로렌스 프라이스, 레지나 한센 윌먼, 피터 쉑클 (P.D.Q. 바흐의 창작자로 가장 잘 알려짐), 루디 마르티누스 반 다이크 등이 있다. 그는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여러 문화상을 받았으며, 말년에는 캘리포니아 주의 명예 계관 작곡가로 선포되었다.[5]

1936년 해리스는 14세 연하의 피아니스트 요하나 해리스(결혼 전 성은 더피)와 결혼했다. 그녀는 여러 음반을 녹음하고 거의 모든 주요 미국 교향악단과 협연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고, 줄리아드 학교에서 오랫동안 피아노 교수로 재직했다. 해리스는 결혼 전 이름이 Beula Duffey였던 그녀에게 J.S. 바흐를 따라 요하나로 이름을 바꾸도록 설득했다. ''캐나다 백과사전''은 "요하나와 로이 해리스는 미국 음악계의 ''주요 인물''이었다. 그들의 협력은 로버트클라라 슈만 부부의 협력과 비교되었다. 해리스 부부는 콘서트를 조직하고, 축제에서 심사했으며, 1959년 국제 현악 회의를 설립했다. 그들은 콘서트와 방송에 민요를 포함시켜 미국 민요를 장려했다."라고 언급한다.[6] 부부는 패트리샤, 숀, 다니엘, 모린, 레인 등 다섯 자녀를 두었다. 그들의 두 아들은 1960년대 후반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사이키델릭 록 밴드인 웨스트 코스트 팝 아트 실험 밴드에서 활동했으며,[7] 로이 해리스는 1973년 아들 숀의 동명 솔로 앨범에 현악 편곡을 제공하기도 했다.[8]

해리스는 1947년 웨스트 음악 아카데미 여름 음악 학교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9]

3. 주요 작품

로이 해리스는 다작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교향곡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는데, 번호가 매겨진 교향곡 외에도 여러 교향적 작품을 포함하여 최소 18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이 중 교향곡 3번은 그의 가장 유명하고 자주 연주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교향곡 외에도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합창곡, 발레 음악 등 폭넓은 작품 활동을 펼쳤다. 대표적인 관현악 작품으로는 '존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 – 미국 서곡'[16], '미국의 초상' 등이 있으며, 실내악 분야에서는 피아노 오중주(1936)와 현악 사중주 3번(1937) 등이 알려져 있다. 피아노 독주곡으로는 소나타 Op. 1(1928), '아메리카 발라드'(1946), 토카타(1949)[14][15]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여러 오케스트라와 지휘자에 의해 녹음되었으며, 특히 낙소스(Naxos) 레이블에서 마린 올솝, 테오도르 쿠차르 등의 지휘로 교향곡 전집 녹음 프로젝트가 진행되기도 했다.

3. 1. 교향곡

화자, 합창, 피아노, 관현악 (개정판)개정판 악보 일부가 분실되었다가 발견되어 초연됨교향곡 11번1967관현악뉴욕 필하모닉 125주년을 위해 작곡교향곡 12번 '페르 마르케트'1967–69테너 솔로, 화자 및 관현악건국 200주년 기념 교향곡 1776 (교향곡 13번)1969–746부 합창, 솔로 보컬, 화자, 관현악작곡가는 13을 기피하여 14번으로 번호 매겼으나, 사후 미망인의 허락 하에 13번으로 변경됨



이 외에도 고등학교 관현악단을 위한 사라진 (그리고 아마도 완성되지 않은) 교향곡 (1937)과 다음과 같은 미완성 또는 단편 작품이 있다.



2006년, 음반사 낙소스(Naxos)는 주로 지휘자 마린 올솝의 지휘로 번호가 매겨진 13개의 교향곡을 녹음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교향곡 3번, 4번, 5번, 6번, 7번, 9번의 녹음이 발매되었다. 이 중 7번과 9번은 테오도르 쿠차르가 지휘하는 우크라이나 국립 교향악단의 연주이다. 교향곡 1933은 1987년 호르헤 메스터의 지휘와 루이빌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그들의 퍼스트 에디션 레코딩 시리즈를 위해 녹음되었다. 같은 오케스트라는 22년 전인 1965년에 그의 다섯 번째 교향곡도 녹음하고 발매했다. 데이비드 앨런 밀러가 지휘하는 올버니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2002년에 해리스의 교향곡 2번 녹음(모턴 굴드의 교향곡 3번과 함께)을 발매했다. 해리스의 교향곡 8번과 9번은 올버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1999년 녹음인 "위대한 아메리카의 아홉 번째"에서 찾을 수 있다.

3. 2. 그 외 주요 작품

4. 음악적 특징

1930년대와 1940년대 해리스의 작품에는 강인한 미국적 애국심이 나타나는데, 이는 민속 음악 연구와 사용, 그리고 재즈 리듬의 활용에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는 유럽의 고전 시대 이전 형식, 특히 푸가(제3 교향곡에서 들을 수 있음)와 파사칼리아(제7 교향곡에 등장)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음악은 길게 이어지는 노래 같은 선율과 풍부하게 울리는 선법 화성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르네상스 시대 다성 음악에 대한 존경심에서 발전한 것이다. 그는 또한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대위법 효과를 사용했다. 당시 많은 미국 작곡가들처럼 해리스 역시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업적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해리스의 뛰어난 작품들에서 음악은 마치 작은 씨앗에서 거대한 나무가 자라나듯 처음 몇 마디로부터 유기적으로 발전해 나간다. 이러한 특징은 그의 대표작이자 에런 코플런드와 버지릴 톰슨의 작품과 함께 미국 음악 레퍼토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제3 교향곡에서 잘 드러난다. 켄트 케넌의 저서 ''관현악 기법''(1952) 초판은 첼로, 팀파니, 비브라폰을 위한 뛰어난 관현악 작법의 예시로 이 교향곡의 세 부분을 인용하기도 했다. 이 책은 다른 해리스의 교향곡은 인용하지 않았다. 이 곡을 두 번이나 녹음하며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레너드 번스타인 덕분에, 제3 교향곡은 다른 어떤 미국 교향곡보다도 확고하게 표준 연주 목록에 자리 잡게 되었다.

해리스의 교향곡들은 미국 음악에 대한 그의 가장 큰 기여로 평가받지만, 그는 아마추어를 위한 많은 작품을 포함하여 총 170곡이 넘는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 목록에는 관악 앙상블, 오케스트라, 성악, 합창, 실내악 작품 등이 포함된다.

5. 사회적 활동과 정치적 입장

해리스는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며 자신의 신념을 드러냈다. 미국 내 현악 연주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현악 학회를 설립했으며, 미국 작곡가 연합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1958년에는 미국 국무부에 의해 피터 메닌, 로저 세션스 등 동료 작곡가들과 함께 문화 교류 사절단으로 소련에 파견되었다. 그는 당시 소련 정부가 작곡가들에게 제공하는 지원 수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다만, 그의 방문이 소련 당국에 의해 얼마나 통제되었는지는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10] 해리스는 또한 여러 학술 대회와 현대 음악 축제를 꾸준히 조직했으며, 라디오 방송에도 자주 출연하여 대중과 소통했다.

그의 사회적 관심은 작품에도 반영되었는데,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위촉받은 마지막 교향곡이 대표적이다. 이 교향곡은 미국의 건국을 축하하는 분위기와는 대조적으로 노예 제도와 남북 전쟁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었다. 이 때문에 초연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기도 했다.[11]

참조

[1] 서적 Stehman 1984
[2] 서적 Stehman 1984
[3] 웹사이트 Roy Harris https://www.olympedi[...] 2020-08-01
[4] 서적 Oliver 1987; Lamkin 2016
[5] 서적 Lamkin 2016
[6] 서적 Gillard 2013
[7] 서적 Deming n.d.
[8] 서적 Ankeny n.d.
[9] 웹사이트 Music History Monday: Lotte Lehmann https://robertgreenb[...] 2020-02-07
[10] 서적 Stehman 1984
[11] 서적 Stehman 1984
[12] 간행물 Roy Harris's Symphonies (Part II) http://dx.doi.org/10[...] 2000-10
[13] 서적 Anon. n.d.
[14] 서적 Hinson 2000
[15] 서적 Stehman 2001
[16] 서적 井上和男編著『クラシック音楽作品名辞典 改訂版』 三省堂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